KR20110120028A - 목재 팰릿 연소기 - Google Patents

목재 팰릿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028A
KR20110120028A KR1020100039512A KR20100039512A KR20110120028A KR 20110120028 A KR20110120028 A KR 20110120028A KR 1020100039512 A KR1020100039512 A KR 1020100039512A KR 20100039512 A KR20100039512 A KR 20100039512A KR 20110120028 A KR20110120028 A KR 20110120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air
combustion chamber
vent
g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길
Original Assignee
김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길 filed Critical 김정길
Priority to KR1020100039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0028A/ko
Publication of KR20110120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7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returning solid combustion residues to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F23B90/02Start-up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팰릿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나무를 톱밥과 같은 작은 입자 형태로 분쇄하여 만든 팰릿을 연소실에 공급하게 될 때 연소실에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팰릿의 점화시에 연기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목재 팰릿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부에 화격자가 구비되고 화격자에 있는 팰릿은 측부 및 하부 방향의 제1,2통기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연소되어 화염을 발생시키는 연소실과; 외통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되 외통의 내측에 일정간격의 제1통기공간부를 두고 다수의 안내날개가 설치되어 연소실에 선회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줄 수 있도록 한 제1통기부와, 제1통기공간부의 하부는 화격자의 하부에 있는 제2통기공간부를 통해 연소실에 공기를 불어줄 수 있는 제2통기부로 이루어진 공기공급부와; 화격자(12)의 하부에 있는 제2통기공간부에 설치되어 전기히터(34)에 의해 팰릿을 점화할 수 있도록 한 점화발생부와; 연소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팰릿을 순차적으로 이송하고 제1통기공간부의공기가 유입되어 팰릿의 건조 및 팰릿이 투입이 용이하도록 한 팰릿공급부;로 이루어진 목재 팰릿 연소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 팰릿 연소기 {Wood Pellet combustor}
본 발명은 목재 팰릿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나무를 톱밥과 같은 작은 입자 형태로 분쇄하여 만든 목재 팰릿을 연소실에 공급하게 될 때 팰릿공급부 방향으로 연소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팰릿의 점화시에 고온의 전기히터에 의한 불꽃점화로 연기발생을 방지하고 연소효율이 높은 목재 팰릿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 팰릿은 산림에서 생산된 목재나 제재소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톱밥으로 분쇄한 다음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압축하여 일정한 크기로 생산한 청정 목질계 바이오 연료이다.
이러한 목재 팰릿은 목재의 수분 함유량을 최소화한 상태로 압축된 것을 사용함으로서 열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므로 건조된 팰릿을 저장탱크에 보관한 다음 저장탱크에서 이송스크류등으로 이루어진 이송공급수단에 의해 연소실에 팰릿을 지속적으로 필요량만큼 투입하는 형태로 이송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팰릿은 다공성으로 쉽게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저장탱크에 보관하는 동안이나 저장탱크에 보관된 팰릿을 연소실로 지속적으로 투입하는 동안 팰릿에 수분이 함침될 뿐만 아니라 특히 수분이 습한 기온이거나 장소 또는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 팰릿에 함침되는 수분에 의해 연소실에서 연기발생이 많아지고 연소효율도 떨어지게 되었으며, 팰릿 공급부에서 연소실로 팰릿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연소실의 연소가스가 팰릿 공급부로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연소실에 투입된 목재 팰릿을 연소시키기 위한 점화를 하기 위해서는 화격자의 일측에서 고온의 열풍을 점화시키는 점화부재에 의해 팰릿에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어서 점화과정에서 많은 연기가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팰릿에 점화가 이루어진 다음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이 열풍 점화부재에 전달되어 열풍 점화부재가 손상되는 등 고장발생의 우려가 많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목재 팰릿을 연소실에서 연소하기 위해 투입되는 팰릿공급부로 연소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팰릿을 건조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팰릿공급부의 투입부에서 연소실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팰릿이 투입방향으로 이송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소실에 투입된 팰릿의 점화시에는 화격자의 하부에 구비된 점화공간부에 팰릿이 투입되어 고온의 전기히터에 접촉되는 수단으로 신속하고 연기 발생없이 불꽃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소효율이 높은 목재 팰릿 연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하부에 화격자가 구비되고 화격자에 있는 팰릿은 측부 및 하부 방향의 제1,2통기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연소되어 화염을 발생시키는 연소실과; 외통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되 외통의 내측에 일정간격의 제1통기공간부를 두고 다수의 안내날개가 설치되어 연소실에 선회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줄 수 있도록 한 제1통기부와, 제1통기공간부의 하부는 화격자의 하부에 있는 제2통기공간부를 통해 연소실에 공기를 불어줄 수 있는 제2통기부로 이루어진 공기공급부와; 화격자(12)의 하부에 있는 제2통기공간부에 설치되어 전기히터(34)에 의해 팰릿을 점화할 수 있도록 한 점화발생부와; 연소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팰릿을 순차적으로 이송하고 제1통기공간부의공기가 유입되어 팰릿의 건조 및 팰릿이 투입이 용이하도록 한 팰릿공급부;로 이루어진 목재 팰릿 연소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재 팰릿 연소기는 팰릿공급부를 통해 연소실에 팰릿이 공급되기 직전에 제1통기공간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팰릿공급부로 연소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팰릿에 함침되어 있는 수분을 완전 건조시킨 다음 연소실로 투입되므로 팰릿의 연소과정에서 연기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연소효율을 높여주게 되고, 팰릿의 점화시에는 다공성 점화판에 설치된 전기히터에 접촉되는 수단으로 불꽃점화를 할 수 있게 되므로 팰릿은 연기발생이 거의 없으면서 신속하게 점화가 이루어지고 화격자의 하부에 전기히터가 설치되므로 팰릿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영향을 받지않게 되므로 전기히터의 내구성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통기공간부에서 연소실의 측방향으로 회오리바람과 같은 원주방향으로 선회되는 공기를 줄어주게 됨과 아울러 제2통기공간부에서 연소실의 직상방으로 불어주는 공기가 함께 혼합되어 연소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목재 팰릿 연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목재 팰릿 연소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격자 및 점화발생부를 나타낸 일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목재 팰릿 연소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목재 팰릿 연소기에서 점화발생부에서의 점화시의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통기공간부에서 연소실의 원주방향으로 회오리바람과 같은 선회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팰릿공급부에서 팰릿이 투입되는 연소실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주는 형태를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목재 팰릿 연소기를 보일러에 적용시킨 설치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나무를 톱밥과 같은 작은 입자 형태로 분쇄해 만드는 작은 알갱이모양의 연료에 해당하는 목재 팰릿을 연소시켜 보일러(C) 등의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재 팰릿 연소기는, 목재 팰릿을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키는 연소실(10)과, 상기 연소실(10)에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공급부(20)와, 상기 연소실(10)의 화격자(12) 하부에 설치되어 팰릿의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화발생부(30)와, 상기 연소실(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팰릿을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투입하기 위한 팰릿공급부(40)로 크게 나뉘어진다.
상기 연소실(10)은, 하부에 화격자(12)가 구비되어 화격자(12)에 있는 팰릿은 측부 및 하부 방향의 제1,2통기부(14)(16)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연소되어 화염을 발생시키고 상부는 연소실(10)의 내벽면 안쪽으로 돌출된 화염유도 안내턱(18)이 형성되어 연소실(10)의 원주방향으로 공기가 선회되어 연소되는 화염은 화염유도 안내턱(18)에 부딪혀서 하향되어 중심부로 집적되게 한 수단으로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며, 상기 연소실(10)의 상측에는 비산되는 미연소재가 연소실로 회수되어 완전연소될 수 있도록 하는 호퍼형 재회수부(1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20)는, 외통(A)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B)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되 외통(A)의 내측에 일정간격의 제1통기공간부(22)를 두고 다수의 안내날개(24)가 설치되어 안내날개(24) 선단의 제1통기부(14)를 연소실(10)에 선회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줄 수 있도록 하고, 제1통기공간부(22)의 하부는 화격자(12)의 하부에 있는 제2통기공간부(28)를 통해 연소실(10)에 공기를 불어줄 수 있는 제2통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날개(24)는, 연소실(10)의 내벽면 역할을 하면서 연소실(10)의 원주방향으로 선회되는 공기를 불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안내날개(24)가 중첩되는 형태로 배치되되 안내날개(24) 사이에는 통기로(26)를 형성하되 연소실(10)에 위치한 안내날개(24) 선단의 제1통기부(14)로 갈수록 통기로(26)의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하여 제1통기공간부(22)에서 연소실(10) 방향으로 공기가 선회되어 강한 회오리바람과 같은 공기를 불어줄 수 있도록 한다.
또, 안내날개(24)는 적어도 두개 이상이 중첩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연소실(10)의 화염이 제1통기공간부(22)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외통(A)은 냉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화발생부(30)는, 화격자(12)의 하부에 있는 제2통기공간부(28)에 설치되되 화격자(12)의 주연부에 형성한 팰릿안내구멍(12a)을 통해 낙하되는 팰릿의 일부가 놓여질 수 있는 다공성 점화판(32)이 설치되고 다공성 점화판(32)의 상부에는 전기히터(34)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전기히터(34)에 접촉되는 팰릿을 불꽃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공성 점화판(32)은 중심부가 하향된 호형으로 형성되어 낙하되는 팰릿이 집적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집적되는 부분에 전기히터(34)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전기히터(34)에 팰릿이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전기히터(34)는 적어도 1000℃ 이상의 고온을 발생시키는 것을 사용하고, 전기히터(34)는 제2통기공간부(28)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어 팰릿의 점화시에는 전기히터가를 온(ON) 시켜 팰릿의 연소가 안정화될 때까지 고온을 유지한 다음 팰릿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전기히터는 오프(OFF) 시키게 된다.
상기 팰릿공급부(40)는, 이송스크류(42a)가 구비된 이송관로(42)가 제1통기공간부(22)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연소실(10)과 연결되어 팰릿이 연소실(10)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되 제1통기공간부(22)에 위치한 이송관로(42)의 일측은 공기가 유입되어 연소실(10)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줄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통기구멍(44)이 형성되어 연소실의 연소가스가 팰릿공급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연소실에 투입되는 팰릿은 건조시키게 되며, 연소실(10) 방향의 이송관로(42) 선단은 팰릿의 투입안내돌편(46)이 형성되어 연소실(10)에서 선회되는 공기의 지장을 받지않고 연소실(10)에 팰릿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통기구멍(44)은 제1통기공간부(22)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이송관로(42)의 주연부에 형성되되 이송관로(42)의 원주면에 폭이 좁은 형태로 장방형으로 등간격 형성되고 연소실 방향으로 공기가 진행될 수 있도록 경사각을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목재 팰릿 연소기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팰릿공급부(40)를 통해 연소실(10)에 순차적으로 목재 팰릿을 투입하여 연소실(10)에서 지속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본 발명의 팰릿공급부(40)는 이송스크류(42a)가 구비된 이송관로(42)가 제1통기공간부(22)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연소실(10)과 연결되어 있고 제1통기공간부(22)에 위치한 이송관로(42)의 일측은 다수의 통기구멍(44)이 형성되어 제1통기공간부(22)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연소실 방향으로 불어주게 되므로 연소실의 연소가스가 팰릿공급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연소실에 투입되는 목재 팰릿을 건조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팰릿공급부(40)를 통해 연소실(10)에 팰릿이 공급되기 직전에 제1통기공간부(22)의 공기를 이용하여 팰릿공급부의 투입부분으로 연소실의 연소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소실에 투입되기 직전의 팰릿에 함침되어 있는 수분을 완전 건조시킨 다음 연소실(10)로 투입되므로 목재 팰릿의 연소과정에서 연기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연소효율을 높여주게 된다.
그리고 팰릿공급부(40)를 통해 연소실(10)로 투입된 팰릿은 화격자(12)에 낙하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되 팰릿의 일부는 화격자(12)의 주연부에 형성한 팰릿안내구멍(12a)을 통해 다공성 점화판(32)에 낙하가 되어 다공성 점화판(32)에 설치된 전기히터(34)에 접촉되는 수단으로 불꽃점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즉, 팰릿의 점화시에 다공성 점화판(32)에 설치된 전기히터(34)를 온(ON) 시키게 되면 다공성 점화판(32)에 낙하된 팰릿은 다공성 점화판(32)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전기히터(34)에 접촉되면서 1000℃ 이상의 고온을 발하는 전기히터(34)에 의해 팰릿은 불꽃점화가 이루어지게 되는바, 이러한 고온의 전기히터(34)의 접촉에 의해 점화가 이루어지므로 점화과정에서의 팰릿은 연기발생이 거의 없으면서 신속하게 점화가 이루어져서 상측의 화격자(12)에 있는 팰릿의 연소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팰릿의 점화가 이루어지면서 안정된 연소상태가 되면 전기히터(34)는 오프(OFF) 시키게 되며 이러한 전기히터(34)는 연소작용이 이루어지는 화격자(12)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화염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공성 점화판(32)에서 목재 팰릿의 점화가 이루어지게 될 때 외통(A)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B)를 통해 제1통기공간부(22)로 유입되는 공기는 하부에 형성된 제2통기부(16)를 통해 제2통기공간부(28)를 공기를 불어주게 되고 제2통기공간부(28)에서는 다공성 점화판(32)과 화격자(12)를 거쳐 연소실(10)의 하부에서 직상방으로 공기를 불어주게 되므로 제2통기공간부(28) 및 다공판 점화판(32)에 연소재가 잔류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연소실(10)에서의 팰릿의 연소작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연소실(10)에서 화격자(12)에 투입된 팰릿이 연소될 때에는 제2통기공간부(28)에서 연소실(10)으로 직상방으로 불어주는 공기뿐만 아니라 제1통기공간부(22)에서 연소실(10)의 측방향에서 회오리바람과 같은 공기를 불어주게 되므로 연소효율이 크게 항상된다.
즉, 제1통기공간부(22)의 원주면 내측에 해당 부분에 다수의 안내날개(24)가 설치되고 그 안내날개(24) 선단의 제1통기부(14)를 통해 연소실(10)에 선회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주되 안내날개(24) 사이에 형성된 통기로(26)는 연소실(10)에 위치한 안내날개(24) 선단의 제1통기부(14)로 갈수록 통기로(26)의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하여 제1통기공간부(22)에서 연소실(10)의 원주방향으로 공기가 선회되어 강한 회오리바람과 같은 공기를 불어주게 되면서 연소되는 화염은 화염유도 안내턱(18)에 부딪혀서 하향되어 중심부로 집적되게 됨과 제2통기공간부(28)에서 연소실의 중심부에서 직상방으로 불어주는 공기와 함께 혼합되면서 연소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통기공간부(22)에서 연소실(10)의 측방향으로 회오리바람과 같은 원주방향으로 선회되는 공기를 줄어주게 됨과 아울러 제2통기공간부(28)에서 연소실(10)의 직상방으로 불어주는 공기가 함께 혼합되어 연소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외통 B : 송풍기
10 : 연소실 12 : 화격자
12a : 팰릿안내구멍 14 : 제1통기부
16 : 제2통기부 18 : 화염유도 안내턱
19 : 재회수부 20 : 공기공급부
22 : 제1통기공간부 24 : 안내날개
26 : 통기로 28 : 제2통기공간부
30 : 점화발생부 32 : 점화판
34 : 전기히터 40 : 팰릿공급부
42 : 이송관로 42a : 이송스크류
44 : 통기구멍 46 : 투입안내돌편

Claims (8)

  1. 하부에 화격자(12)가 구비되고 화격자(12)에 있는 목재 팰릿은 측부 및 하부 방향의 제1,2통기부(14)(16)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연소되어 화염을 발생시키는 연소실(10)과;
    외통(A)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B)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되 외통(A)의 내측에 일정간격의 제1통기공간부(22)를 두고 다수의 안내날개(24)가 설치되어 연소실(10)에 선회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줄 수 있도록 한 제1통기부(14)와, 제1통기공간부(22)의 하부는 화격자(12)의 하부에 있는 제2통기공간부(28)를 통해 연소실(10)에 공기를 불어줄 수 있는 제2통기부(16)로 이루어진 공기공급부(20)와;
    화격자(12)의 하부에 있는 제2통기공간부(28)에 설치되어 전기히터(34)에 의해 팰릿을 점화할 수 있도록 한 점화발생부(30)와;
    연소실(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목재 팰릿을 순차적으로 이송하고 제1통기공간부(22)의공기가 유입되어 팰릿의 건조 및 팰릿이 투입이 용이하도록 한 팰릿공급부(40);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팰릿 연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0)은,
    하부에 화격자(12)가 구비되어 화격자(12)에 있는 목재 팰릿은 측부 및 하부 방향의 제1,2통기부(14)(16)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연소되어 화염을 발생시키되 상부는 연소실(10)의 내벽면 안쪽으로 돌출된 화염유도 안내턱(18)이 형성되어 연소실(10)의 원주방향으로 공기가 선회되어 연소되는 화염이 화염유도 안내턱(18)에 부딪혀서 하향되어 중심부로 집적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팰릿 연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0)의 상측에는 비산되는 미연소재가 회수되어 완전연소될 수 있도록 하는 호퍼형 재회수부(19)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팰릿 연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날개(24)는,
    연소실(10)의 내벽면 역할을 하면서 연소실(10)의 원주방향으로 선회되는 공기를 불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안내날개(24)가 중첩되는 형태로 배치되되 안내날개(24) 사이에는 통기로(26)를 형성하되 연소실(10)에 위치한 안내날개(24) 선단의 제1통기부(14)로 갈수록 통기로(26)의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하여 제1통기공간부(22)에 연소실(10) 방향으로 선회되는 공기를 불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팰릿 연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발생부(30)는,
    화격자(12)의 하부에 있는 제2통기공간부(28)에 설치되되 화격자(12)의 주연부에 형성한 팰릿안내구멍(12a)을 통해 낙하되는 팰릿의 일부가 놓여질 수 있는 다공성 점화판(32)이 설치되고 점화판(32)의 상부에는 전기히터(34)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전기히터(34)에 접촉되는 팰릿을 점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팰릿 연소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점화판(32)은 중심부가 하향된 호평으로 형성되어 낙하되는 팰릿이 집적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집적부분에 전기히터(34)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전기히터(34)에 팰릿이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팰릿 연소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공급부(40)는,
    이송스크류(42a)가 구비된 이송관로(42)가 제1통기공간부(22)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연소실(10)과 연결되어 연소실(10)로 팰릿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되 제1통기공간부(22)에 위치한 이송관로(42)의 일측은 공기가 유입되어 팰릿을 건조하고 연소실(10) 방향으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통기구멍(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팰릿 연소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멍(44)은,
    제1통기공간부(22)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이송관로(42)의 주연부에 형성되되 이송관로(42)의 원주면에 폭이 좁은 형태로 장방형으로 등간격 형성되고 연소실 방향으로 공기가 진행될 수 있도록 경사각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목재 팰릿 연소기.
KR1020100039512A 2010-04-28 2010-04-28 목재 팰릿 연소기 KR20110120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512A KR20110120028A (ko) 2010-04-28 2010-04-28 목재 팰릿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512A KR20110120028A (ko) 2010-04-28 2010-04-28 목재 팰릿 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028A true KR20110120028A (ko) 2011-11-03

Family

ID=4539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512A KR20110120028A (ko) 2010-04-28 2010-04-28 목재 팰릿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00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6375A (zh) * 2014-06-25 2014-08-27 岳秀宇 生物质燃料锅炉燃烧器
KR20160112212A (ko) 2015-03-18 2016-09-28 성우디디아이 (주) 목재 필렛용 연소장치
KR20200123657A (ko) * 2019-04-22 2020-10-30 박동성 자동 보일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6375A (zh) * 2014-06-25 2014-08-27 岳秀宇 生物质燃料锅炉燃烧器
KR20160112212A (ko) 2015-03-18 2016-09-28 성우디디아이 (주) 목재 필렛용 연소장치
KR20200123657A (ko) * 2019-04-22 2020-10-30 박동성 자동 보일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7965B1 (en) Solid fuel burner for a heating apparatus
US9310071B2 (en) Combustion chamber for burning solid fuels
JP4566043B2 (ja) 木質ペレット燃焼装置
JP2010185631A (ja) バイオ燃料の燃焼装置
KR20110120028A (ko) 목재 팰릿 연소기
KR20120039369A (ko) 목재 팰릿 난로
KR101221421B1 (ko) 온수보일러의 연소장치
US20140158108A1 (en) Combustion device
KR101313429B1 (ko) 가스자동점화방식 수평형 펠렛버너
JP2007322099A (ja) 乾留ガス化燃焼炉
KR101313436B1 (ko) 가스자동점화방식 펠렛버너
KR101224417B1 (ko) 펠릿 난로
CN205640877U (zh) 改进的生物质高温气化锅炉燃烧器
JP5509397B1 (ja) 燃焼装置
KR20120130920A (ko) 펠렛보일러용 버너
KR101597122B1 (ko) 기름 점화용 펠릿 보일러
KR101766478B1 (ko) 방사형의 블로잉 구조를 갖는 펠릿보일러
JP7199235B2 (ja) 燃焼炉及びその起動方法
KR101382582B1 (ko)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
CN203687017U (zh) 一种生物质颗粒锅炉
KR101640779B1 (ko) 펠릿난로
KR102418332B1 (ko) 고체 연료 연소장치
KR101691625B1 (ko) 펠렛 히터
KR100405332B1 (ko) 가스 및 액체연료 겸용 온풍기
KR101373973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용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