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642B1 -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642B1
KR102196642B1 KR1020197006829A KR20197006829A KR102196642B1 KR 102196642 B1 KR102196642 B1 KR 102196642B1 KR 1020197006829 A KR1020197006829 A KR 1020197006829A KR 20197006829 A KR20197006829 A KR 20197006829A KR 102196642 B1 KR102196642 B1 KR 102196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flow path
carbon dioxide
gas flo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9983A (ko
Inventor
히사유키 카토
다카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타바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9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2Treatment of plants with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8Greenhouses for treating plants with carbon dioxid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6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coo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4Nitrogen oxides other than dinitrogen 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5/00Preventing emissions
    • F23J2215/50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2Direct CO2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정화 장치는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을 가온하기 위한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를 정화한다. 정화 장치는 배기 가스 유로, 유하부, 및 냉각부를 구비한다. 배기 가스 유로는 미리 정해진 유하(流下) 방향을 따라서 배기 가스를 유하시키는 유로이며, 유하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하측을 향하는 냉각 구간을 갖는다. 또, 유하부는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유로에 유입시키고, 상기 배기 가스를, 유하 방향을 따라서 배기 가스 유로를 유하시킨다. 또, 냉각부는 냉각 구간을 유하하는 배기 가스를 냉각한다.

Description

정화 장치
본 개시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온실을 가온할 때에 발생한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의 이산화탄소 시용(施用) 장치에서는, 야간에, 시설 원예의 농업용 하우스를 가온하는 보일러의 굴뚝으로부터 배기 가스가 배출되고,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가 탱크에 축적된다. 그리고, 낮에, 탱크에 축적된 이산화탄소가 농업용 하우스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원예 작물의 광합성이 촉진된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시용(施用) 장치에서는, 탱크에는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 등과 같은 이산화탄소의 흡착재가 축적되어 있다. 흡착재가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착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축적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이산화탄소를 흡착재에 흡착시키기 위하여, 열교환기 등을 이용하여 배기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5-126708호 공보
그러나, 냉각에 의해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배기 가스가 유황 산화물, 질소 산화물 등을 갖고 있으면, 응축수는 황산이나 질산 등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응축수가 보일러의 굴뚝에 유입되면, 굴뚝이 부식될 우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1의 이산화탄소 시용(施用) 장치에서는, 보일러의 굴뚝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분기되는 유로 상에서 배기 가스가 냉각된다. 이 때문에, 유로 상에 응축수가 쌓이게 되어 유로의 벽면이 부식될 우려가 있다.
배기 가스의 냉각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에 의한 부식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측면인 정화 장치는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을 가온하기 위한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를 정화한다. 정화 장치는 배기 가스 유로, 유하부, 및 냉각부를 구비한다. 배기 가스 유로는 미리 정해진 유하(流下) 방향을 따라서 배기 가스를 유하시키는 유로이며, 유하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하측을 향하는 냉각 구간을 갖는다. 또, 유하부는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유로에 유입시키고, 상기 배기 가스를, 유하 방향을 따라서 배기 가스 유로를 유하시킨다. 또, 냉각부는 냉각 구간을 유하하는 배기 가스를 냉각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유로에 있어서의 냉각 구간을 유하할 때에 냉각된다. 냉각 구간은 유하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하측을 향한다. 이 때문에, 냉각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는 냉각 구간을 유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응축수가 한 곳에 머무르는 것이 억제된다. 또, 응축수가, 유하 방향의 반대측을 향하여 유하하는(환언하면, 배기 가스 유로를 역류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응축수가, 배기 가스의 발생원인 가온기에 있어서의 굴뚝 등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가스의 냉각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에 의한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정화 장치는 정화액 축적부를 더 구비해도 무방하다. 정화액 축적부는 배기 가스 유로에 있어서의 냉각부의 유하 방향 측에 설치되고,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액을 축적하고 있으며, 배기 가스 유로를 유하하는 배기 가스가 정화액에 접촉한다. 그리고, 배기 가스 유로는 유입 구간을 더 가져도 무방하다. 유입 구간은 냉각부에 의한 배기 가스의 냉각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를, 정화액 축적부에 축적된 정화액에 유입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정화액에 의해 응축수를 정화하고 응축수의 부식 작용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응축수에 의한 정화 장치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정화 장치는 배기 가스 유로에 있어서의 정화액 축적부의 유하 방향 측에 설치되고, 배기 가스 유로를 유하하는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정화부를 더 구비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더한층 배기 가스를 정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배기 가스를 대기중 및 온실 내에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정화 장치는 축적부와 공급부를 더 구비해도 무방하다. 축적부는 배기 가스 유로에 있어서의 정화부의 유하 방향 측에 설치되고, 배기 가스 유로를 유하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를 축적한다. 또, 공급부는 축적부에 축적된 이산화탄소를 온실에 공급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야간 등에 있어서의 온실의 가온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를, 축적부에 축적할 수 있다. 그리고, 낮에, 축적부에 축적된 이산화탄소를 온실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실에서 재배되고 있는 작물의 성장을 재촉할 수 있다.
또, 정화 장치는 온실을 가온하기 위한 연소가 행해지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유하부는 검출부에 의해 연소가 검출되면,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유로에 유입시키고, 유하 방향을 따라서 배기 가스 유로를 유하시켜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온실의 가온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확실하게 정화 장치에 의한 배기 가스의 정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실시형태의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유로의 변형예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하기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한,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구성의 설명]
도 1에 있어서의 본 실시형태의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온실(2)에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온실(2)은 시설 원예에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온실(2)에는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온실(2)의 실내(이후, 간단히 실내라고 기재)를 가온하는 가온기(3)가 설치된다. 가온기(3)는 예를 들면 등유, 중유 등의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실내를 가온한다.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는 야간에 가온기(3)에 의해 실내가 가온되면, 가온기(3)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정화함과 아울러,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를 축적한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는 정화 등을 행한 배기 가스를, 온실(2)의 실외(이후, 간단히 실외라고 기재)에 배출한다. 즉,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는 가온기(3)에 의한 가온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정화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는 낮에, 축적된 이산화탄소를 실내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실내의 식물 광합성이 촉진된다.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는 배기 가스 유로(10), 열교환기(20), 중화 탱크(30), 블로어(40), 정화부(50), 축적부(60), 및 제어부(70)를 갖는다.
배기 가스 유로(10)는 유하 방향(15)을 따라서 배기 가스를 유하시키기 위한 유로이다. 가온기(3)에서는,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는 배출 유로(4)를 통과하여 가온기(3)의 외부에 배출된다. 배기 가스 유로(10)는 가온기(3)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의 배출 유로(4)(환언하면, 굴뚝)에 연결되어 있다. 일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유로(10)는 연직 방향, 또는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 유로(4)와의 접속 부위로부터, 수평 방향, 또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배출 유로(4)를 유하하는 배기 가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배기 가스 유로(10)에 유입된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유로(10)는 예를 들면, 연직 방향, 또는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 유로(4)에 있어서의 접속 부위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유로(10)는 배출 유로(4)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또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에 있어서의 접속 부위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배기 가스 유로(10)는 하측 구간(11)을 갖는다. 하측 구간(11)은 유하 방향(15)을 향함에 따라서 하측을 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구간(11)은 일례로, 연직 방향 또는 대략 연직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하측 구간(11)은 예를 들면, 유하 방향(15) 측이 하측으로 경사진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 예를 들면, 하측 구간(11)은 만곡 또는 굴곡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열교환기(20)는 하측 구간(11)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배치 위치에 설치된다. 열교환기(20)는 하측 구간(11)에 있어서의 상기 배치 위치를 유하하는 배기 가스를, 냉각재에 의해 측방부터 냉각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 냉각재로서 물 등의 액체가 이용된다. 그러나, 액체 이외에도, 예를 들면 공기 등이 냉각재로서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또,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는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서 냉각재를 순환시켜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경로 상에 설치된 방열 부재에 의해, 냉각재에 축적된 열을 방열시켜도 무방하다.
중화 탱크(30)는 배기 가스 유로(10)에 있어서의 열교환기(20)의 유하 방향(15) 측에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측 구간(11)에 있어서의 유하 방향(15) 측의 단부가, 중화 탱크(30)에 연결되어 있다. 중화 탱크(30)에는 정화액(31)이 축적되어 있다. 한편, 정화액(31)이란, 일례로 알카리성의 수용액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배기 가스 유로(10)를 유하하는 배기 가스는 중화 탱크(30)에 축적된 정화액(31)에 접촉하면서 중화 탱크(30)를 통과한다. 구체적으로는, 배기 가스는 정화액(31)의 내부를 통과한 후, 중화 탱크(30)로부터 유출된다. 이 때,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유황 산화물, 질소 산화물 등이 제거된다.
블로어(40)는 배기 가스 유로(10)에 있어서의 중화 탱크(30)의 유하 방향(15) 측에 설치된다. 블로어(40)는 배기 가스 유로(10)에 존재하는 기체를 압축함으로써, 배기 가스 유로(10)에 존재하는 기체를 유하 방향(15)을 따라서 유하시킨다. 이에 따라, 가온기(3)의 배출 유로(4)를 유하하는 배기 가스가, 배기 가스 유로(10)에 유입되고, 유하 방향(15)을 따라서 배기 가스 유로(10)를 유하한다. 한편, 블로어(40)로 바꾸어, 예를 들면 팬 등에 의해, 배기 가스 유로(10)에 존재하는 기체를 유하 방향(15)을 따라서 유하시켜도 무방하다.
정화부(50)는 배기 가스 유로(10)에 있어서의 블로어(40)의 유하 방향(15) 측에 설치된다. 배기 가스 유로(10)를 유하하는 배기 가스는 정화부(50)를 통과한다. 이 때, 식물의 육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유해 물질(예를 들면, 질소 산화물, 일산화 탄소 등)이, 배기 가스로부터 제거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정화부(50)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을 활성탄에 흡착시킴으로써, 유해 물질을 제거해도 무방하다. 또, 예를 들면, 정화부(50)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을 산화 촉매에 의해 산화시킴으로써, 유해 물질을 제거해도 무방하다.
축적부(60)는 배기 가스 유로(10)에 있어서의 정화부(50)의 유하 방향(15) 측에 설치된다. 축적부(60)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를 축적한다. 그리고, 축적된 이산화탄소는 실내에 공급된다. 축적부(60)는 분상(粉狀) 또는 입상(粒狀)의 이산화탄소 흡착재의 집합체인 적어도 1개의 흡착부를 갖는다. 흡착재란, 예를 들면, 활성탄, 제올라이트 등이어도 무방하다.
배기 가스 유로(10)를 유하하는 배기 가스는 적어도 1개의 흡착부의 내부를 통과한다. 이 때,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가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다. 이에 따라,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가 축적부(60)에 축적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로부터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저하된 배기 가스가 유출된다.
또, 공기가 적어도 1개의 흡착부의 내부를 통과하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어 있는 이산화탄소가 공기와 함께 상기 흡착부의 외부에 유출된다. 이 때문에, 상기 흡착부를 통과한 공기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은 상태가 된다. 상기 흡착부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에 유입시킴으로써, 축적부(60)에 축적된 이산화탄소가 실내에 공급된다.
제어부(70)는 블로어(40)의 작동 상태, 및 배기 가스 유로(10) 등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밸브의 개폐 상태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등의 흐름이 제어된다. 제어부(70)는 CPU, RAM, ROM, 및 기억 장치 등을 구비하는 주지의 컴퓨터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한편, 기억 장치란, 리라이트 가능한 불휘발성 기억 장치(예를 들면, HDD 등)이어도 무방하다. 제어부(70)의 CPU는 기억 장치로부터 RAM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행한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가 제어된다. 한편, 기억 장치 및 RAM은 비천이적 실태적 기록 매체에 상당한다. 또, 제어부(70)는 다수의 디지털 회로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각종 처리를 행해도 무방하다.
[동작의 설명]
먼저,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가, 배기 가스의 정화, 및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의 축적을 행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의 제어부(70)는 야간에 가온기(3)에 의한 가온이 개시되면, 배기 가스 유로(10)에 있어서의 시단(始端)(환언하면, 배출 유로(4)와 배기 가스 유로(10) 간의 접속 부위)의 부근에 설치된 시단 밸브를 개방함과 아울러, 블로어(4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배출 유로(4)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배기 가스 유로(10)에 유입된다. 상기 배기 가스는 유하 방향(15)을 따라서 배기 가스 유로(10)를 유하한다.
여기에서, 가온기(3)는 제어부(70)에 대하여, 착화 신호를 출력해도 무방하다. 한편, 착화 신호란, 가온기(3)에 의해 가온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그리고, 제어부(70)는 가온기(3)로부터 입력된 착화 신호에 의거하여, 가온기(3)에 의한 가온이 개시되었음을 검출해도 무방하다. 또, 배출 유로(4)에, 배출 유로(4)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4a)가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 온도 센서(4a)는 제어부(70)에 대하여, 배출 유로(4)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신호를 출력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온도 신호가 나타내는 온도가 미리 정해진 한계값에 도달한 경우에, 가온기(3)에 의한 가온이 개시되었음을 검출해도 무방하다.
배기 가스 유로(10)에 유입된 배기 가스는 하측 구간(11)을 통과할 때에 열교환기(20)에 의해 냉각된다. 이에 따라,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한다. 여기서, 하측 구간(11)은 유하 방향(15) 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측을 향한다. 이 때문에, 응축수는 하측 구간(11)을 유하 방향(15) 측에 유하하고, 중화 탱크(30)에 축적된 정화액(31)에 유입된다.
그리고, 하측 구간(11)을 통과한 배기 가스는 중화 탱크(30)에 도달한다. 상기 배기 가스는 정화액(31)을 통과하여 중화 탱크(30)의 유하 방향(15) 측에 유출된다. 또, 중화 탱크(30)를 통과한 배기 가스는 정화부(50)를 통과한다. 배기 가스는 중화 탱크(30) 및 정화부(50)를 통과함으로써 정화된다.
그 후, 정화부(50)를 통과한 배기 가스는 축적부(60)에 도달한다. 상기 배기 가스는 축적부(60)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의 흡착부를 통과하고, 축적부(60)의 유하 방향(15) 측에 유출된다. 이 때,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가 축적부(60)에 축적된다. 그리고, 축적부(60)를 통과한 배기 가스는 실외로 유출된다.
다음으로,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가, 축적부(60)에 축적된 이산화탄소를 실내로 공급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70)는 낮에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70)는 시단 밸브를 폐쇄한다. 또, 제어부(70)는 시단 밸브와는 다른 밸브를 개방함과 아울러, 블로어(4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공기가, 별도의 유로로부터 배기 가스 유로(10)에 유입되고, 축적부(60)를 향하여 유하한다.
축적부(60)에 도달한 공기는 축적부(60)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의 흡착부를 통과하고, 축적부(60)의 유하 방향(15) 측으로 유출된다. 이 때,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어 있던 이산화탄소가, 공기와 함께 유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는 실내에 유입된다. 이에 따라, 축적부(60)에 축적된 이산화탄소가 실내에 공급된다.
[효과]
(1)상기 실시형태의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에 따르면,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유로(10)에 있어서의 하측 구간(11)을 유하할 때에 냉각된다. 하측 구간(11)은 유하 방향(15)을 향함에 따라서 하측을 향한다. 이 때문에, 냉각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는 하측 구간(11)을 유하 방향(15)으로 이동하고, 응축수가 한 곳에 머무르는 것이 억제된다. 또, 응축수가, 유하 방향(15)의 반대측으로 유하하는(환언하면, 배기 가스 유로(10)를 역류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응축수가, 가온기(3)의 배출 유로(4)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가스의 냉각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에 의한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2) 또, 하측 구간(11)의 하단에 중화 탱크(30)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기 가스의 냉각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는 하측 구간(11)에 의해 중화 탱크(30)의 정화액(31)에 유도된다. 이 때문에, 정화액(31)에 의해 응축수를 정화하고, 응축수의 부식 작용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응축수에 의한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3) 또, 중화 탱크(30)의 유하 방향(15) 측에는 정화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 일산화탄소 등이 배기 가스로부터 제거된다. 그 결과, 배기 가스를 대기중 및 실내에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또,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는 야간에 있어서의 실내의 가온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를, 축적부(60)에 축적할 수 있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는 낮에, 축적부(60)에 축적된 이산화탄소를 실내에 공급한다. 이 때문에, 온실(2)에서 재배되고 있는 작물의 성장을 재촉할 수 있다.
(5) 또,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는 온도 센서(4a)로부터의 온도 신호, 또는 가온기(3)로부터의 착화 신호 등에 의해, 가온기(3)에 의해 가온이 개시되었음을 검출한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는 가온의 시작을 검출하면, 배출 유로(4)로부터 배기 가스 유로(10)에 배기 가스를 유입시키고, 배기 가스의 정화, 및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의 축적을 행한다. 이 때문에, 온실(2)의 가온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확실하게 배기 가스의 정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형태]
(1)상기 실시형태의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로부터 이산화탄소의 축적 및 공급 기능을 제외한 정화 장치를 구성해도 무방하다. 바꾸어 말하면,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유로(10), 열교환기(20), 중화 탱크(30), 블로어(40), 및 정화부(50)를 구비하고, 축적부(60)를 구비하지 않는 정화 장치를 구성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정화 장치는 야간인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행해지는, 가온기(3)에 의한 온실(2)의 가온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정화에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는 정화 장치는 예를 들면, 정화한 배기 가스를 실내외에 배출해도 무방하다.
(2)상기 실시형태의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에서는, 축적부(60)는 이산화탄소의 흡착재의 집합체인 적어도 1개의 흡착부를 갖는다. 그리고, 기계적인 가압 및 가열을 수반하지 않고, 상기 흡착부와 배기 가스 또는 공기를 간단히 접촉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의 축적 및 공급이 행해진다. 그러나, 축적부(60)는 예를 들면, 압력 스윙법 등과 같이, 기계적인 가압을 수반한 방법에 의해, 이산화탄소의 축적 및 공급을 행해도 무방하다. 또, 축적부(60)는 가열을 수반하여 이산화탄소의 축적 및 공급을 행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이산화탄소를 축적하는 부재로서, 예를 들면, 리튬 복합 산화물이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3)상기 실시형태의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에서는, 배기 가스 유로(10)는 가온기(3)의 배출 유로(4)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온기(3)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일부가, 배기 가스 유로(10)에 유입된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는 가온기(3)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 전부가, 배기 가스 유로(10)에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특허청구범위와의 대응]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1)가 정화 장치의 일례에, 하측 구간(11)이 냉각 구간 및 유입 구간의 일례에, 열교환기(20)가 냉각부의 일례에, 중화 탱크(30)가 정화액 축적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 블로어(40) 및 제어부(70)가 유하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 배기 가스 유로(10), 블로어(40), 및 제어부(70)가 공급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 온도 센서(4a) 또는 제어부(70)가 검출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1: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 2: 온실
3: 가온기, 4: 배출 유로
4a: 온도 센서, 10: 배기 가스 유로
11: 하측 구간, 20: 열교환기
30: 중화 탱크, 31: 정화액
40: 블로어, 50: 정화부
60: 축적부, 70: 제어부

Claims (5)

  1.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을 가온하기 위한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정화 장치이며,
    미리 정해진 유하 방향을 따라서 상기 배기 가스를 유하시키는 유로이며, 상기 유하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하측을 향하는 냉각 구간을 갖는 배기 가스 유로;
    상기 연소에 의해 발생한 상기 배기 가스를 상기 배기 가스 유로에 유입시키고, 상기 배기 가스를, 상기 유하 방향을 따라서 상기 배기 가스 유로를 유하시키는 유하부;
    상기 냉각 구간을 유하하는 상기 배기 가스를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배기 가스 유로에서 상기 냉각부의 상기 유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액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배기 가스 유로를 유하하는 상기 배기 가스가 상기 정화액에 접촉하도록 하는 정화액 축적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가스 유로의 일부는 상기 냉각부에 의한 상기 배기 가스의 냉각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를, 상기 정화액 축적부에 축적된 상기 정화액에 유입시키는 유입 구간이도록 구성된 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정화액 축적부의 상기 유하 방향 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 가스 유로를 유하하는 상기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정화부를 더 구비하는 정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정화부의 상기 유하 방향 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 가스 유로를 유하하는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를 축적하는 축적부; 및
    상기 축적부에 축적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온실에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정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을 가온하기 위한 상기 연소가 행해지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하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연소가 검출되면, 상기 배기 가스를 상기 배기 가스 유로에 유입시키고, 상기 유하 방향을 따라서 상기 배기 가스 유로를 유하시키는 정화 장치.
  5. 삭제
KR1020197006829A 2016-09-16 2016-09-16 정화 장치 KR102196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7532 WO2018051504A1 (ja) 2016-09-16 2016-09-16 浄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983A KR20190039983A (ko) 2019-04-16
KR102196642B1 true KR102196642B1 (ko) 2020-12-30

Family

ID=6161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829A KR102196642B1 (ko) 2016-09-16 2016-09-16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494776B1 (ko)
JP (1) JP6791973B2 (ko)
KR (1) KR102196642B1 (ko)
CN (1) CN109688803B (ko)
WO (1) WO2018051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8492B1 (ja) * 2018-11-28 2019-09-25 株式会社西部技研 二酸化炭素回収施用一体型発電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591B2 (ja) * 1992-11-18 2000-03-27 入江工研株式会社 磁気浮上搬送装置
JP2004248565A (ja) 2003-02-19 2004-09-09 Toshiba Corp 温室向け二酸化炭素および温水の供給装置
JP2013074887A (ja) 2011-09-13 2013-04-25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燃焼排ガス中の二酸化炭素を利用した園芸用施設への二酸化炭素供給装置
JP2015126708A (ja) * 2013-12-27 2015-07-09 フタバ産業株式会社 二酸化炭素施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866B1 (ko) * 1970-09-28 1974-01-10
JPS62129605A (ja) * 1985-11-29 1987-06-11 冷化工業株式会社 ボイラの廃液排ガス処理装置
JP3025591U (ja) * 1995-08-17 1996-06-21 智 川合 ハウス内におけるco2 供給兼暖房装置
CN1175720C (zh) * 2002-12-11 2004-11-17 梁殿国 大型温室二氧化碳增施装置
PL2331238T3 (pl) * 2008-10-09 2014-04-30 Rogmans Maria Sposób i urządzenie do wspomaganego fotosyntezą usuwania CO2
CN202136901U (zh) * 2011-07-12 2012-02-08 卢绍康 一种燃煤发电厂废气处理二氧化碳分离和综合利用装置
JP6028799B2 (ja) * 2012-07-10 2016-11-16 株式会社デンソー 二酸化炭素供給装置
GB2510171B (en) * 2013-01-28 2015-01-28 Cool Flame Technologies As Method and cleaning apparatus for removal of SOx and NOx from exhaust gas
JP6359881B2 (ja) * 2014-06-10 2018-07-18 フタバ産業株式会社 二酸化炭素施用装置
JP6567837B2 (ja) * 2014-12-24 2019-08-28 吉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資源・エネルギーの利用方法
JP2016151273A (ja) * 2015-02-17 2016-08-22 吉田 厚生 Co2の貯槽を付設した、ハウス用電熱併給型暖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591B2 (ja) * 1992-11-18 2000-03-27 入江工研株式会社 磁気浮上搬送装置
JP2004248565A (ja) 2003-02-19 2004-09-09 Toshiba Corp 温室向け二酸化炭素および温水の供給装置
JP2013074887A (ja) 2011-09-13 2013-04-25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燃焼排ガス中の二酸化炭素を利用した園芸用施設への二酸化炭素供給装置
JP2015126708A (ja) * 2013-12-27 2015-07-09 フタバ産業株式会社 二酸化炭素施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88803A (zh) 2019-04-26
EP3494776A1 (en) 2019-06-12
WO2018051504A1 (ja) 2018-03-22
JPWO2018051504A1 (ja) 2019-06-24
EP3494776B1 (en) 2021-06-02
EP3494776A4 (en) 2020-03-25
CN109688803B (zh) 2021-02-26
KR20190039983A (ko) 2019-04-16
JP6791973B2 (ja)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9651B2 (ja) 排ガス中の二酸化炭素回収システム
JP6290622B2 (ja) 二酸化炭素施用装置
KR101903297B1 (ko) 이산화탄소 시용장치
JP2013074887A (ja) 燃焼排ガス中の二酸化炭素を利用した園芸用施設への二酸化炭素供給装置
KR101569677B1 (ko) 고희박연소를 이용한 트라이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A2951291C (en) Apparatus for carbon dioxide enrichment
KR102196642B1 (ko) 정화 장치
JP6708743B2 (ja) 二酸化炭素供給装置
KR102164859B1 (ko) 이산화탄소 시용 장치
KR101361152B1 (ko) 식물 재배용 이산화탄소 발생 장치
JP6590900B2 (ja) 排ガス供給システムおよび排ガス供給方法
JP6764644B2 (ja) 排ガス供給システムおよび排ガス供給方法
KR102195037B1 (ko) 이산화탄소 공급 장치
JP6787854B2 (ja) 二酸化炭素施用装置
JP6659852B2 (ja) 冷却装置
JP6787855B2 (ja) 冷却加熱装置
KR101396256B1 (ko) 이산화탄소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공급방법
CZ31275U1 (cs) Poloprovozní jednotka pro výzkum metod konverze a eliminace Hg ve spalinách energetických zdroj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