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424B1 -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424B1
KR102195424B1 KR1020190072215A KR20190072215A KR102195424B1 KR 102195424 B1 KR102195424 B1 KR 102195424B1 KR 1020190072215 A KR1020190072215 A KR 1020190072215A KR 20190072215 A KR20190072215 A KR 20190072215A KR 102195424 B1 KR102195424 B1 KR 102195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ember
receiving hole
layer
wir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혁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9007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8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with screen grounding means, e.g. drain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대한 노이즈 제거를 위한 접지 작업을 효율화 할 수 있는 프로텍터 모듈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화한 접지용 유닛을 제공하여 차폐전선을 내부에 안착하고 상하 케이스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접지공정을 단순화 및 효율화할 수 있으며, 내부에 페라이트 코어 부재를 배치하여 노이즈 제거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모듈화한 규격제품을 적용하여 접지선의 압착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Protector module for eliminating noise of wiring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적용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대한 노이즈 제거를 위한 접지 작업을 효율화 할 수 있는 프로텍터 모듈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이용되고 있는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는 자동차의 점화, 등화, 충전 등을 위하여 차체 내에 설치되는 배선으로 개별적으로 절연된 여러 가닥의 전선들을 함께 피복 처리하여 간단하고 말끔하게 묶음 처리된 전기배선이다.
이러한 와이어링 하네스는 차량에 장착된 전기장치, 프로텍터, 퓨즈박스 등과 같은 각종 사출품에 연결되어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전기적인 신호 또는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에서 사용되는 전선은 중심에 전류가 흐르는 도전체가 배치되고 도전체 주위를 절연체로 둘러싸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선으로부터는 전자파가 방출되고 있으며, 또한 외부로부터 전자파가 전선으로 침투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전선의 도전체 위에 차폐를 위한 도전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감전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절연층으로 피복한 차폐전선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폐전선은 전류가 흐르는 도전체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차폐를 위한 도전층에 의해서 차폐되기 때문에 외부에 전자기파를 방출하기가 어렵고, 외부로부터 전자기파도 전선 내부로 유입되기가 곤란한 것이다. 한편, 종래에 차량용 신호회로의 노이즈 방지를 위하여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로는 트위스트(Twist) 전선이나 동선 편조차폐 전선이 사용되고, 이들 전선의 차폐층을 접지하여 노이즈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사용중인 노이즈 방지용 동선 편조차폐 전선의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노이즈 방지를 위한 동선 편조 차폐전선은 심선용 절연전선(10)을 그물 구조로 된 동선 편조차폐층(20)이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동선 편조차폐층(20)의 바깥면에 PVC(polyvinylchloride) 쉬이즈(30)로 피복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동선 편조 차폐전선을 이용한 차량에서 신호회로 상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링 하네스를 배선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PVC쉬이즈(30)를 벗겨낸 후에 그물 구조로 된 동선 편조차폐층(20)을 분리한 다음, 접지선을 2~3회 꼬아서 상대 접지선에 압착 연결하여 접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 상기 동선 편조차폐층(20)이 아주 복잡한 그물 구조로 되어 있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동선 편조차폐층(20)을 분리할 때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대 접지선과의 접지를 위해 분리된 동선 편조차폐층(20)의 접지선을 2~3회 정도를 꼬은 상태에서 압착 접지하기 때문에 접지선의 압착 품질 자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4254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화한 접지용 유닛을 제공하여 차폐전선을 내부에 안착하고 상하 케이스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접지공정을 단순화 및 효율화할 수 있으며, 내부에 페라이트 코어 부재를 배치하여 노이즈 제거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모듈화한 규격제품을 적용하여 접지선의 압착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으며, 차폐전선의 편조체와 면접촉하는 버스바 부재의 후면에 도전성 완충부재를 배치하여 차폐전선의 규격의 미세변화율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의 프로텍터 모듈을 구현함으로써, 접지 효율의 향상과 접지공정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텍터 모듈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선(1)을 내부의 수용부(E)에 수용하는 구조로 둘러싸는 편조체층(2)과 상기 편조체층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절연체층(3)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차폐전선 구조물(B)을 접지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은 중심부에 차폐전선 구조물(B)이 안착되는 제1수용홀(P1)이 마련되는 제1케이스부재(100);와, 상기 제1케이스부재(20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결합부((J)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1수용홀(P2)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수용홀(P2)이 마련되는 제2케이스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스부재(100)와 상기 제2케이스부재(200)의 제1수용홀(P1) 및 제2수용홀(P2)이 형성하는 수용공간(P)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페라이트 코어 부재(110, 120) 및 제2페라이트 코어 부재(210, 220); 상기 제2페리아트 코어 부재(210, 220)의 내표면과 인접하여 상호 통전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차폐전선 구조물(B)의 상기 편조체층(2)과 면접촉하는 버스바 부재(240); 상기 제2케이스부재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 부재(200와 연결되어 외부의 접지부와 접지하는 접지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250);을 포함한다.
상기 버스바 부재(240)는, 상기 제1수용홀(P1) 및 제2수용홀(P2)이 형성하는 수용공간(P)의 단면이 형성하는 원단면의 중심부(Y)를 기준으로, 상기 제2수용홀(P2)이 형성하는 상기 제2케이스부재(200) 내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수용홀(P1)의 원단면의 중심부(Y)로부터의 반경(R1)보다, 상기 제2수용홀(P2)의 원단면의 중심부(Y)로부터의 반경(R2)이 더 작게(R1>R2) 구현될 수 있다.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은 상기 버스바 부재(240)과 상기 제2페라이트 코어 부재(210, 220)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 및 통전성을 가지는 도전성 완충부재층(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화한 접지용 유닛을 제공하여 차폐전선을 내부에 안착하고 상하 케이스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접지공정을 단순화 및 효율화할 수 있으며, 내부에 페라이트 코어 부재를 배치하여 노이즈 제거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모듈화한 규격제품을 적용하여 접지선의 압착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폐전선의 편조체와 면접촉하는 버스바 부재의 후면에 도전성 완충부재를 배치하여 차폐전선의 규격의 미세변화율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의 프로텍터 모듈을 구현함으로써, 접지 효율의 향상과 접지공정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구현된다.
도 1은 종래의 차폐전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단면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수용부에 안착할 차폐전선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차폐전선을 도 3의 프로텍터 모듈에 안착한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단면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수용부에 안착할 차폐전선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차폐전선을 도 3의 프로텍터 모듈에 안착한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선(1)을 내부의 수용부(E)에 수용하는 구조로 둘러싸는 편조체층(2)과 상기 편조체층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절연체층(3)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차폐전선 구조물(B)을 접지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의 구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중심부에 차폐전선 구조물(B)이 안착되는 제1수용홀(P1)이 마련되는 제1케이스부재(100)와, 상기 제1케이스부재(20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결합부((J)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1수용홀(P2)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수용홀(P2)이 마련되는 제2케이스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부재(100)와 상기 제2케이스부재(200)는 상호 분리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내부에 차폐전선을 수용하여 서로 맞물리어 결합되는 구조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제1케이스부재(100)와 상기 제2케이스부재(200)는 각각의 내측 중심부의 영역에 반구형상의 수용홀이 마련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제1케이스부재(100)와 상기 제2케이스부재(200) 각각에 마련되는 반구형의 제1수용홀(P1) 및 제2수용홀(P2)은 상호 결합하는 경우, 구형의 수용공간(P)을 마련하게 된다.
상기 제1케이스부재(100)와 상기 제2케이스부재(200) 내측에는 페라이트 코어 부재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반구형의 제1수용홀(P1) 및 제2수용홀(P2)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페라이트 코어 부재(110, 120) 및 제2페라이트 코어 부재(210, 220)가 각각 배치되게 되며, 이는 도 4와 같은 차폐전선에 배치되게 되는 경우, 전자파 차폐 효과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페라이트 코어 부재(210, 220)의 내표면과 인접하여 상호 통전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차폐전선 구조물(B)의 상기 편조체층(2)과 면접촉하는 버스바 부재(240)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스바 부재(240)는 통전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전자파 차폐 성능의 향상을 위해, 차폐전선의 편조체층(도 4의 구성 2)와 제2페라이트 코어 부재(210, 220)에 접촉되어 전기적 통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스바 부재, 페라이트 코어 부재가 제2케이스부재 상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동일한 구조가 상부 케이스인 제1케이스부재 상에 형성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버스바 부재(240)는, 상기 제1수용홀(P1) 및 제2수용홀(P2)이 형성하는 수용공간(P)의 단면이 형성하는 원단면의 중심부(Y)를 기준으로, 상기 제2수용홀(P2)이 형성하는 상기 제2케이스부재(200) 내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수용홀(P1)의 원단면의 중심부(Y)로부터의 반경(R1)보다, 상기 제2수용홀(P2)의 원단면의 중심부(Y)로부터의 반경(R2)이 더 작게(R1>R2)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수용홀(P1)의 원단면의 중심부(Y)로부터의 반경(R1)보다, 상기 제2수용홀(P2)의 원단면의 중심부(Y)로부터의 반경(R2)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로 구현되게 되나, 상기 제2수용홀(P2)의 내측에 버스바 부재(240)이 배치되어 상기 제2수용홀(P2)의 직경이 상기 상기 제1수용홀(P1)의 직경보다 작게 구현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폐전선이 배치되는 경우에 전체적으로 수용공간(P)의 직경이 차폐전선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구현하게 되며, 버스바 부재의 표면이 차폐전선의 편조체와 면접촉하는 압력을 더욱 강하게 구현하여 전기적 통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스바 부재(240)과 상기 제2페라이트 코어 부재(210, 220)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 및 통전성을 가지는 도전성 완충부재층(225)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는, 차폐전선의 두께(직경)이 본 발명의 수용공간(P) 직경 보다 어느 정도 큰 것은 체결에 큰 무리가 없으나, 미세한 차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결합구조가 어긋나게 되거나 상기 제1케이스부재(100)와 상기 제2케이스부재(200)의 결합이 풀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차폐전선의 절연체층의 일부를 절개하여 본 발명의 버스바 부재와 편조체층이 면접촉하도록 하는 경우에, 어느정도 직경의 오차가 존재하더라도 완충을 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는 도전성 완충부재층(225)을 두어 이러한 두께 편차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도전성 완충부재층(225)의 경우에도, 통전이 가능한 구조물이어야 하는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완충부재의 재질로, 전기전도성 비발포고무 코어층과 같은 전도성과 탄성을 가지는 물질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상 실리콘고무에 금속 파우더를 혼합하여 인쇄방식으로 도포하고 열 액상 실리콘고무에 금속 파우더를 혼합하여 인쇄방식으로 도포하고 열 또는 습기 경화하여 형성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표면 전기저항이 1Ω 이하이고, 20㎛ 내지 200㎛의 두께를 갖도록 하여, 전기 전도도와 탄성을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이와는 달리, 전기전도성 탄성부재는 전기전도성 탄성고무를 코팅하거나 무전해 도금하여 전기전도성을 갖는 전기전도성 실 또는 연신율이 우수한 미세 직경의 금속층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금속층은 두께가 3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구리박 또는 주석이 도금된 구리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도전성 완충부재의 경우, 단일 층의 도전성 및 탄성을 가지는 층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나, 복수의 층으로 구현된 구조물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메인 도전성부재의 표면에 보조 탄성부재가 적층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메인 도전성 부재와 보조 탄성부재가 겹쳐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보조 탄성부재보다도 비저항이 낮고, 상기 보조 탄성부재는 상기 도전성 부재보다도 항복점 및 탄성계수가 높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이로 인해 완충부재가 가져야할 통전성과 탄성의 쌍방을 양호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인 도전성 부재의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이 상기 보조 탄성부재로 둘러싸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도전성 부재는, Cu, Au, Ag 또는 Pd 또는 Cu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Cu 합금이 Cu, Si, Ni 를 갖는 합금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탄성부재는 Ni 또는 Ni-X (단, X 는 P, W, Mn, Ti, Be 중 어느 1 종 이상) 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가 Cu 합금일 때 상기 도전성 부재와 상기 보조 탄성부재 사이에 Cu, Ag, Au, Ru, Rh, Pd, Os, Ir 또는 Pt 중에서 선택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밀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원소가 혼재되어 있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부재의 표면에 Ni 또는 Ni-X (단, X 는 P, W, Mn, Ti, Be 중 어느 1 종 이상) 를 직접 도금, 특히 무전해 도금하면 상기 보조 탄성부재가 불균일하게 형성되기 쉬워진다. 이 경우, 상기 도전성 부재와 상기 보조 탄성부재 사이에 Cu, Ag, Au, Ru, Rh, Pd, Os, Ir 또는 Pt 중에서 선택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밀착층이 존재하고 있으면, Ni 또는 Ni-X (단, X 는 P, W, Mn, Ti, Be 중 어느 1 종 이상) 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보조 탄성부재를 균일하게 막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밀착층의 막두께는 0.01㎛ 내지 0.1㎛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탄성부재를 NiP 를 사용하여 형성할 때에는, 조성을 Ni100-xPx (단, x 는 at% 로 10≤x≤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탄성부재에 사용하는 NiP (니켈 인) 합금 중 인 농도를 10at% 이상으로 함으로써 니켈의 결정석출을 억제하여 스프링 물성 (기계 강도)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금 응력(특히, 압축 응력)을 억제하여 도금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NiP (니켈 인) 합금 중 인 농도가 30at% 보다 커지면 Ni 와 P 의 각종 금속간 화합물이 석출된다. 이들 금속간 화합 물은 매우 단단하여 깨지기 쉽기 때문에 탄성물성이 열화된다.
도 5는 도 3의 구조에 도 4의 차폐전선을 안착한 구조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이 경우, 도 4에서 절연체층(3)의 일부 피복이 절개되어 내부의 편조체층(2)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수용공간(P)에 안착되고, 상기 제1케이스부재(200)와 제2케이스부재(200)가 결합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차폐전선을 가압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후, 제2케이스부재(200) 내측에 배치되는 버스바 부재(240)이 상기 편조체층(2)과 면접촉하게 되며, 버스바 부재(240)의 외측에 배치되는 페라이트 코어 부재(210, 220)과 상호 통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버스바 부재(240)과 상기 제2페라이트 코어 부재(210, 220)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 및 통전성을 가지는 도전성 완충부재층(225)이 배치되어, 편조체의 훼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폐전선의 자체 두께나 절연층 제거시 발생하는 일정한 두께 편차의 오류를 완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케이스부재(200)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 부재(200와 연결되어 외부의 접지부와 접지하는 접지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250)이 구비되며, 상기 버스바 부재(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선(251)은 가이드홀(250)을 따라서 외부로 가이드 되어 외부 접지개소에 접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5의 도면에서는, 상기 버스바 부재(240)이 하부의 제2케이스부재(200)에만 구비되는 구조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동일한 버스바 부재(240)와 페라이트 코어 부재(210, 220), 도전성 완충부재층(225)이 구비되는 구조가 제1케이스부재(100)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케이스부재(100) 또는 제2케이스부재(200) 중 어느 하나에 상술한 버스바 부재(240)와 페라이트 코어 부재(110, 120, 210, 220), 후술하는 도전성 완충부재층(225)의 부재가 형성되거나,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은 모듈화한 접지용 유닛을 제공하여 차폐전선을 내부에 안착하고 상하 케이스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접지공정을 단순화 및 효율화할 수 있으며, 내부에 페라이트 코어 부재를 배치하여 노이즈 제거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모듈화한 규격제품을 적용하여 접지선의 압착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차폐전선의 편조체와 면접촉하는 버스바 부재의 후면에 도전성 완충부재를 배치하여 차폐전선의 규격의 미세변화율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의 프로텍터 모듈을 구현함으로써, 접지 효율의 향상과 접지공정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1케이스부재
200: 제2케이스부재
110, 120: 제1페라이트 코어 부재
210, 220: 제2페라이트 코어 부재
130, 230: 몸체
225: 도전성완충부재
240: 버스바 부재
250: 가이드홀

Claims (3)

  1.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선(1)을 내부의 수용부(E)에 수용하는 구조로 둘러싸는 편조체층(2)과 상기 편조체층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절연체층(3)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차폐전선 구조물(B)을 접지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에 있어서,
    중심부에 차폐전선 구조물(B)이 안착되는 제1수용홀(P1)이 마련되는 제1케이스부재(100);와,
    상기 제1케이스부재(10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결합부(J)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1수용홀(P1)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수용홀(P2)이 마련되는 제2케이스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스부재(100)와 상기 제2케이스부재(200)의 제1수용홀(P1) 및 제2수용홀(P2)이 형성하는 수용공간(P)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페라이트 코어 부재(110, 120) 및 제2페라이트 코어 부재(210, 220);
    상기 제2페라이트 코어 부재(210, 220)의 내표면과 인접하여 상호 통전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차폐전선 구조물(B)의 상기 편조체층(2)과 면접촉하는 버스바 부재(240);
    상기 제2케이스부재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 부재(240)와 연결되어 외부의 접지부와 접지하는 접지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250);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부재(240)는,
    상기 제1수용홀(P1) 및 제2수용홀(P2)이 형성하는 수용공간(P)의 단면이 형성하는 원단면의 중심부(Y)를 기준으로,
    상기 제2수용홀(P2)이 형성하는 상기 제2케이스부재(200) 내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수용홀(P1)의 원단면의 중심부(Y)로부터의 반경(R1)보다, 상기 제2수용홀(P2)의 원단면의 중심부(Y)로부터의 반경(R2)이 더 작게(R1>R2)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부재(240)과 상기 제2페라이트 코어 부재(210, 220)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 및 통전성을 가지는 도전성 완충부재층(2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
KR1020190072215A 2019-06-18 2019-06-18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 KR102195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15A KR102195424B1 (ko) 2019-06-18 2019-06-18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15A KR102195424B1 (ko) 2019-06-18 2019-06-18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424B1 true KR102195424B1 (ko) 2020-12-28

Family

ID=7408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215A KR102195424B1 (ko) 2019-06-18 2019-06-18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4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6638A (ja) * 1996-10-14 1998-05-06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伝送媒体のノイズ低減装置
JP2002198680A (ja) * 2000-12-26 2002-07-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航空機搭載電子機器のケーブルノイズ抑制装置
KR20130042546A (ko) 2010-07-14 2013-04-26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차폐 전선의 접지선 연결 구조
JP2016154176A (ja) * 2015-02-20 2016-08-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ノイズ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6638A (ja) * 1996-10-14 1998-05-06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伝送媒体のノイズ低減装置
JP2002198680A (ja) * 2000-12-26 2002-07-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航空機搭載電子機器のケーブルノイズ抑制装置
KR20130042546A (ko) 2010-07-14 2013-04-26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차폐 전선의 접지선 연결 구조
JP2016154176A (ja) * 2015-02-20 2016-08-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ノイズフィル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9778B2 (en) High-speed connector inserts and cables
KR101555115B1 (ko) 실드 커넥터
KR102286311B1 (ko) 차폐형 케이블 조립체
US6677518B2 (en) Data transmission cable
US4846724A (en) Shielded cable assembly comprising means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undesirable radiation of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assembly
US20090166082A1 (en) Anti-electromagnetic-interference signal transmission flat cable
US7255602B1 (en) Shielding for electrical cable assemblies
EP2718941B1 (en) Nested shielded ribbon cables
CN101819830B (zh) 屏蔽扁平电缆
KR20150067733A (ko) 전기 접속 시스템
JP6752260B2 (ja) シールドされたワイヤケーブル用の電気接続システム
KR20090077715A (ko)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및 접속 방법
CN110034443B (zh) 一种hdmi电缆
KR20150067734A (ko) 전기 커넥터 단자
US11654842B2 (en) Wiring harness assembly
KR20160140444A (ko) 전기 차폐 커넥터
KR102195424B1 (ko) 와이어링 하네스 노이즈 제거용 프로텍터 모듈
WO2015030011A1 (ja) シールド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EP3480899B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shielded wire cable
KR102265050B1 (ko) 저프로파일 접속 잠금 기구
JP2005149963A (ja) シールドスリーブ
CN101015094A (zh) 屏蔽的插座组件和用于形成电缆端接的方法
JP2006190562A (ja) 同軸ケーブル
US7339117B2 (en) Multi-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cable having improved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JP2006302790A (ja) 同軸ケーブル及び同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