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397B1 -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397B1
KR102195397B1 KR1020200100787A KR20200100787A KR102195397B1 KR 102195397 B1 KR102195397 B1 KR 102195397B1 KR 1020200100787 A KR1020200100787 A KR 1020200100787A KR 20200100787 A KR20200100787 A KR 20200100787A KR 102195397 B1 KR102195397 B1 KR 102195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k
coupling
disposed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동
Original Assignee
조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동 filed Critical 조재동
Priority to KR102020010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서로 탈착 가능한 모듈형태의 잉크 카트리지를 형성하여, 잉크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카트리지의 수량을 증감 가능하여 사용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은 잉크용기를 형성하는 단계와, 용기받침을 형성하는 단계와, 용기받침을 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연결하여 받침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받침 조립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용기받침에 프린터의 카트리지와 연결된 튜브를 복수개의 용기받침이 서로 연결된 방향으로 각각 결합하여 복수개의 용기받침을 카트리지와 개별적으로 연통시키는 단계 및 복수개의 용기받침에 잉크용기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Printing Ink Continuous Feede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프린터는 소정량의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카트리지가 공급된 용지의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노즐을 통해 용지 상에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잉크를 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인쇄장치이다.
이러한 잉크젯프린터는 잉크 카트리지 내의 잉크가 다 소모되고 나면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잉크 카트리지의 경우 지속적인 잉크소모에 따라 교체해야만 하는 일회용이기 때문에 비용상승과 원자재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잉크젯프린터에서 사용중인 잉크가 모두 소모된 잉크 카트리지를 폐기하지 않은 채 잉크 카트리지 내에 잉크만을 재충전하여 잉크 카트리지를 재사용하는 잉크 리필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잉크 리필방식의 경우 잉크 카트리지를 새것으로 교체하는 것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환경을 보호하면서 자원낭비를 방지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잉크 리필장치의 경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18313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주사기 형태의 주입구조를 적용하기 때문에 잉크의 주입 및 관리가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71776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주사기 형태의 잉크 리필장치를 보완한 패키지 형태의 잉크 리필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패키지 형태의 잉크 리필장치는 하나의 패키지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각 구획 공간에 여러 종류의 잉크를 저장해 둔 상태로 사용해야 함에 따라, 패키지의 교체 및 관리가 불편하고, 잉크를 교체 또는 추가하기 위해서는 패키지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1831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717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탈착 가능한 모듈형태의 잉크 카트리지를 형성하여, 잉크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카트리지의 수량을 증감 가능하여 사용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은 잉크용기를 형성하는 단계; 용기받침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용기받침을 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연결하여 받침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받침 조립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용기받침에 프린터의 카트리지와 연결된 튜브를 상기 복수개의 용기받침이 서로 연결된 방향으로 각각 결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용기받침을 상기 카트리지와 개별적으로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용기받침에 상기 잉크용기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잉크용기를 형성하는 단계는, 내부에 잉크를 저장 가능하고 단부에 바디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용기바디 및 상기 용기바디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바디와 연통되는 용기헤드를 포함하는 용기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단부에 웨지형상의 노즐수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1 탄성돌기가 형성되는 탄성밸브를 상기 용기헤드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부에 잉크를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받침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잉크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잉크용기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어댑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튜브와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마운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어댑터와 상기 마운트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헤드와 결합 가능한 용기헤드 결합홈, 상기 탄성밸브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노즐, 상기 결합노즐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와 연통 가능한 제2 유로, 상기 결합노즐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밸브 결합홈,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웨지형상의 어댑터 결합돌기, 상기 어댑터 결합돌기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자성체, 축방향을 따라 하단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걸림홈, 상기 제1 걸림홈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걸림홈 및 상기 바디결합돌기와 결합 가능한 바디 결합홈을 포함하는 어댑터 바디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밸브 결합홈보다 더 긴 길이 및 더 큰 외경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제2 유로와 연통 가능한 제3 유로 및 상기 제3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2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실밸브를 상기 제1 밸브 결합홈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댑터 바디와 결합 가능한 어댑터 결합홈, 상기 제1 걸림홈 또는 상기 제2 걸림홈과 결합 가능한 걸림돌기, 상기 어댑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 결합돌기와 결합 가능한 돌기 결합홈, 상기 돌기 결합홈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자성체와 결합 가능한 제2 자성체, 상기 튜브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와 연통 가능한 제4 유로, 상기 노즐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4 유로와 연통되는 제2 밸브 결합홈, 상기 노즐부를 수용하는 노즐 수용홈, 상기 노즐 수용홈과 연통되고 상기 튜브가 통과 가능한 튜브 관통공, 외측 둘레를 따라서 각 면에 형성되는 웨지형상의 마운트 결합돌기, 상기 마운트 결합돌기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3 자성체, 상기 외측 둘레를 따라서 각 면에 형성되고, 상기 튜브 관통공을 중심으로 상기 마운트 결합돌기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마운트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마운트 결합홈 및 상기 마운트 결합홈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4 자성체를 포함하는 마운트 바디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밸브 결합홈보다 더 긴 길이 및 더 큰 외경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제3 유로 및 상기 제4 유로와 연통 가능한 제5 유로와, 상기 제5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3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실밸브를 상기 제2 밸브 결합홈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와 상기 마운트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걸림홈을 상기 걸림돌기에 안착시켜 상기 제1 실밸브와 상기 제2 실밸브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어댑터 바디와 상기 마운트 바디를 축방향으로 상호 가압하여 상기 제2 걸림홈과 상기 걸림돌기, 상기 어댑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 결합홈,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를 각각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제1 실밸브와 상기 제2 실밸브를 축방향으로 압착시켜 반경방향으로 팽창되도록 하여 상기 제3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제2 탄성돌기와 상기 제5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제3 탄성돌기를 각각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제3 유로와 상기 제5 유로를 서로 연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받침을 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연결하여 받침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돌기와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홈을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홈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돌기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돌기와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홈,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홈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돌기,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3 자성체와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자성체 및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자성체와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3 자성체를 각각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용기받침을 상기 카트리지와 개별적으로 연통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를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된 제1 튜브에 결합하여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1 튜브에 구비된 제1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를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된 제2 튜브에 결합하여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제2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1 튜브에 구비된 제1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의 단부에 구비된 웨지형상의 노즐헤드를 상기 제1 튜브의 단부에 마련된 웨지형상의 제1 안착홈에 삽입하여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와 상기 제1 튜브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와 상기 제1 튜브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헤드를 상기 제1 튜브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1 잉크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복수의 제1 개폐돌기를 상기 제1 튜브의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1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튜브의 단부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의 단부에 밀착시켜 상기 제1 튜브의 단부에 배치된 제1 튜브 자성체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의 단부에 배치된 제5 자성체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제2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는,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의 단부에 구비된 웨지형상의 노즐헤드를 상기 제2 튜브의 단부에 마련된 웨지형상의 제2 안착홈에 삽입하여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와 상기 제2 튜브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와 상기 제2 튜브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헤드를 상기 제2 튜브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2 잉크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복수의 제2 개폐돌기를 상기 제2 튜브의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2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튜브의 단부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의 단부에 밀착시켜 상기 제2 튜브의 단부에 배치된 제2 튜브 자성체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의 단부에 배치된 제5 자성체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용기받침에 상기 잉크용기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는,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에 결합하는 단계; 및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에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노즐수용홈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결합노즐을 결합하여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제1 유로와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2 유로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결합노즐을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탄성밸브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제1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복수의 제1 탄성돌기를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탄성밸브의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제1 유로와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2 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용기바디의 단부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의 단부에 밀착시켜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바디결합돌기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바디 결합홈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에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노즐수용홈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결합노즐을 결합하여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제1 유로와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2 유로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결합노즐을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탄성밸브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제1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복수의 제1 탄성돌기를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탄성밸브의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제1 유로와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2 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용기바디의 단부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의 단부에 밀착시켜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바디결합돌기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바디 결합홈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밸브를 상기 용기헤드에 결합하는 단계는, 외경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상기 탄성밸브를 압축시켜 상기 용기헤드의 입구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탄성밸브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탄성밸브의 밸브헤드를 상기 용기바디에 구비된 밸브헤드 결합홈에 삽입하고, 탄성밸브의 밸브바디를 상기 용기헤드의 내부에 구비된 밸브바디 결합홈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1 튜브에 구비된 제1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튜브에 구비된 제1 탄성고리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에 구비된 후크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제2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제2 탄성고리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에 구비된 후크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탈착 가능한 모듈형태의 잉크 카트리지를 형성하여, 잉크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카트리지의 수량을 증감 가능하여 사용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잉크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어댑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마운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용기받침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받침 조립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용기받침에 튜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노즐부와 튜브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용기받침에 잉크용기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1)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모듈형 카트리지와, 복수개의 모듈형 카트리지를 프린터(P)의 카트리지(C)와 연결하는 튜브(T)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모듈형 카트리지는 각각 잉크(I)가 저장되는 잉크용기(10)와, 잉크용기(10)에 결합되어 잉크용기(10)를 튜브(T)와 연결하는 용기받침(20)을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및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은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각 단계는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를 주체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잉크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잉크용기(10)를 형성한다(S100).
잉크용기(10)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16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내부에 잉크(I)를 저장 가능하고 단부에 바디결합돌기(111A)가 형성되는 용기바디(111) 및 용기바디(111)의 단부에 형성되어 용기바디(111)와 연통되는 용기헤드(112)를 포함하는 용기부(11)를 사출성형한다(S110).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단부에 웨지형상의 노즐수용홈(121)이 형성되고, 내부에 제1 유로(122) 및 제1 유로(122)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1 탄성돌기(123)가 형성되는 탄성밸브(12)를 용기헤드(112)에 결합한다(S120).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외경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탄성밸브(12)를 압축시켜 용기헤드(112)의 입구에 삽입한다(S121). 그리고,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탄성밸브(12)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탄성밸브(12)의 밸브헤드(12A)를 용기바디(111)에 구비된 밸브헤드 결합홈(111B)에 삽입하고, 탄성밸브(12)의 밸브바디(12B)를 용기헤드(112)의 내부에 구비된 밸브바디 결합홈(112A)에 삽입한다(S122).
다음으로, 도 2 및 도 16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용기부(11)에 잉크(I)를 충진시킨다(S130).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용기받침(20)을 형성한다(S200).
용기받침(20)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어댑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마운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용기받침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17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잉크용기(10)에 결합되어 잉크용기(10)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어댑터(21)를 형성한다(S210).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17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용기헤드(112)와 결합 가능한 용기헤드 결합홈(211A), 탄성밸브(12)에 결합되어 제1 유로(122)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노즐(211B), 결합노즐(211B)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 유로(122)와 연통 가능한 제2 유로(211C), 결합노즐(211B)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2 유로(211C)와 연통되는 제1 밸브 결합홈(211D),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웨지형상의 어댑터 결합돌기(211E), 어댑터 결합돌기(211E)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자성체(211F), 축방향을 따라 하단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걸림홈(211G), 제1 걸림홈(211G)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걸림홈(211H) 및 바디결합돌기(111A)와 결합 가능한 바디 결합홈(211I)을 포함하는 어댑터 바디(211)를 사출성형한다(S211).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1 밸브 결합홈(211D)보다 더 긴 길이 및 더 큰 외경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제2 유로(211C)와 연통 가능한 제3 유로(212A) 및 제3 유로(212A)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2 탄성돌기(212B)가 형성되고,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실밸브(212)를 제1 밸브 결합홈(211D)에 결합한다(S212).
다음으로, 도 4 및 도 17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튜브(T)와 결합되어 카트리지(C)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마운트(22)를 형성한다(S220).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18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어댑터 바디(211)와 결합 가능한 어댑터 결합홈(221A), 제1 걸림홈(211G) 또는 제2 걸림홈(211H)과 결합 가능한 걸림돌기(221B), 어댑터 결합돌기(211E)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어댑터 결합돌기(211E)와 결합 가능한 돌기 결합홈(221C), 돌기 결합홈(221C)의 단부에 배치되어 제1 자성체(211F)와 결합 가능한 제2 자성체(221D), 튜브(T)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노즐부(221E), 노즐부(221E)의 내부에 형성되어 튜브(T)와 연통 가능한 제4 유로(221F), 노즐부(221E)의 상측에 형성되어 제4 유로(221F)와 연통되는 제2 밸브 결합홈(221G), 노즐부(221E)를 수용하는 노즐 수용홈(221H), 노즐 수용홈(221H)과 연통되고 튜브(T)가 통과 가능한 튜브 관통공(221I), 외측 둘레를 따라서 각 면에 형성되는 웨지형상의 마운트 결합돌기(221J), 마운트 결합돌기(221J)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3 자성체(221K), 외측 둘레를 따라서 각 면에 형성되고, 튜브 관통공(221I)을 중심으로 마운트 결합돌기(221J)에 대향 배치되며, 마운트 결합돌기(221J)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마운트 결합홈(221L) 및 마운트 결합홈(221L)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4 자성체(221M)를 포함하는 마운트 바디(221)를 사출성형한다(S221).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2 밸브 결합홈(221G)보다 더 긴 길이 및 더 큰 외경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제3 유로(212A) 및 제4 유로(221F)와 연통 가능한 제5 유로(222A)와, 제5 유로(222A)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3 탄성돌기(222B)가 형성되고,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실밸브(222)를 제2 밸브 결합홈(221G)에 결합한다(S222).
다음으로, 도 4 및 도 17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어댑터(21)와 마운트(22)를 결합한다(S230). 구체적으로, 도 7,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1 걸림홈(211G)을 걸림돌기(221B)에 안착시켜 제1 실밸브(212)와 제2 실밸브(222)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킨다(S231).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어댑터 바디(211)와 마운트 바디(221)를 축방향으로 상호 가압하여 제2 걸림홈(211H)과 걸림돌기(221B), 어댑터 결합돌기(211E)와 돌기 결합홈(221C), 제1 자성체(211F)와 제2 자성체(221D)를 각각 서로 결합시키고, 제1 실밸브(212)와 제2 실밸브(222)를 축방향으로 압착시켜 반경방향으로 팽창되도록 하여 제3 유로(212A)를 폐쇄하고 있는 복수의 제2 탄성돌기(212B)와 제5 유로(222A)를 폐쇄하고 있는 복수의 제3 탄성돌기(222B)를 각각 이격되도록 하여 제3 유로(212A)와 제5 유로(222A)를 서로 연통시킨다(S232).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용기받침(20)을 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연결하여 받침 조립체(30)를 형성한다(S300).
받침 조립체(30)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받침 조립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마운트 결합돌기(221J)와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마운트 결합홈(221L)을 동축위치로 정렬시킨다(S310).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마운트 결합홈(221L)과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마운트 결합돌기(221J)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킨다(S320).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과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마운트 결합돌기(221J)와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마운트 결합홈(221L),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마운트 결합홈(221L)과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마운트 결합돌기(221J),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3 자성체(221K)와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4 자성체(221M) 및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4 자성체(221M)와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3 자성체(221K)를 각각 결합시킨다(S330).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받침 조립체(30)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용기받침(20)에 프린터(P)의 카트리지(C)와 연결된 튜브(T)를 복수개의 용기받침(20)이 서로 연결된 방향으로 각각 결합하여 복수개의 용기받침(20)을 카트리지(C)와 개별적으로 연통시킨다(S400).
복수개의 용기받침(20)을 카트리지(C)와 개별적으로 연통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용기받침에 튜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노즐부와 튜브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23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를 카트리지(C)와 연결된 제1 튜브(T1)에 결합하여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4 유로(221F)와 제1 튜브(T1)에 구비된 제1 잉크공급유로(T11)를 연통시킨다(S410).
도 10,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4 유로(221F)와 제1 튜브(T1)에 구비된 제1 잉크공급유로(T11)를 연통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의 단부에 구비된 웨지형상의 노즐헤드(221E1)를 제1 튜브(T1)의 단부에 마련된 웨지형상의 제1 안착홈(T12)에 삽입하여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와 제1 튜브(T1)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킨다(S411).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와 제1 튜브(T1)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헤드(221E1)를 제1 튜브(T1)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제1 잉크공급유로(T11)를 폐쇄하고 있는 복수의 제1 개폐돌기(T13)를 제1 튜브(T1)의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4 유로(221F)와 제1 잉크공급유로(T11)를 연통시킨다(S412).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1 튜브(T1)의 단부를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의 단부에 밀착시켜 제1 튜브(T1)의 단부에 배치된 제1 튜브 자성체(T14)를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의 단부에 배치된 제5 자성체(221E2)와 결합시킨다(S413).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1 튜브(T1)에 구비된 제1 탄성고리(T15)를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에 구비된 후크(221E3)에 결합한다(S414).
도 9 및 도 23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를 카트리지(C)와 연결된 제2 튜브(T2)에 결합하여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4 유로(221F)와 제2 튜브(T2)에 구비된 제2 잉크공급유로(T21)를 연통시킨다(S420).
도 11,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4 유로(221F)와 제2 튜브(T2)에 구비된 제2 잉크공급유로(T21)를 연통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의 단부에 구비된 웨지형상의 노즐헤드(221E1)를 제2 튜브(T2)의 단부에 마련된 웨지형상의 제2 안착홈(T22)에 삽입하여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와 제2 튜브(T2)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킨다(S421).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와 제2 튜브(T2)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헤드(221E1)를 제2 튜브(T2)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제2 잉크공급유로(T21)를 폐쇄하고 있는 복수의 제2 개폐돌기(T23)를 제2 튜브(T2)의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4 유로(221F)와 제2 잉크공급유로(T21)를 연통시킨다(S422).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2 튜브(T2)의 단부를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의 단부에 밀착시켜 제2 튜브(T2)의 단부에 배치된 제2 튜브 자성체(T24)를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의 단부에 배치된 제5 자성체(221E2)와 결합시킨다(S423).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2 튜브(T2)에 구비된 제2 탄성고리(T25)를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노즐부(221E)에 구비된 후크(221E3)에 결합한다(S424).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복수개의 용기받침(20)에 잉크용기(10)를 각각 결합한다(S500).
복수개의 용기받침(20)에 잉크용기(10)를 각각 결합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의 용기받침에 잉크용기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1 잉크(I1)가 충진된 잉크용기(10)를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어댑터 바디(211)에 결합한다(S510).
도 13,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제1 잉크(I1)가 충진된 잉크용기(10)를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어댑터 바디(211)에 결합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1 잉크(I1)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노즐수용홈(121)과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결합노즐(211B)을 결합하여 제1 잉크(I1)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제1 유로(122)와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2 유로(211C)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킨다(S511).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1 잉크(I1)가 충진된 잉크용기(10)를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어댑터 바디(211) 측으로 가압하여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결합노즐(211B)을 제1 잉크(I1)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탄성밸브(12)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제1 잉크(I1)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제1 유로(122)를 폐쇄하고 있는 제1 잉크(I1)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복수의 제1 탄성돌기(123)를 제1 잉크(I1)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탄성밸브(12)의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제1 잉크(I1)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제1 유로(122)와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2 유로(211C)를 연통시킨다(S512).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1 잉크(I1)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용기바디(111)의 단부를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어댑터 바디(211)의 단부에 밀착시켜 제1 잉크(I1)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바디결합돌기(111A)를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바디 결합홈(211I)에 결합시킨다(S513).
도 12,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2 잉크(I2)가 충진된 잉크용기(10)를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어댑터 바디(211)에 결합한다(S520).
도 14,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제2 잉크(I2)가 충진된 잉크용기(10)를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어댑터 바디(211)에 결합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2 잉크(I2)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노즐수용홈(121)과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결합노즐(211B)을 결합하여 제2 잉크(I2)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제1 유로(122)와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2 유로(211C)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킨다(S521).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2 잉크(I2)가 충진된 잉크용기(10)를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어댑터 바디(211) 측으로 가압하여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결합노즐(211B)을 제2 잉크(I2)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탄성밸브(12)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제2 잉크(I2)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제1 유로(122)를 폐쇄하고 있는 제2 잉크(I2)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복수의 제1 탄성돌기(123)를 제2 잉크(I2)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탄성밸브(12)의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제2 잉크(I2)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제1 유로(122)와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제2 유로(211C)를 연통시킨다(S522). 다음으로,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장치는 제2 잉크(I2)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용기바디(111)의 단부를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어댑터 바디(211)의 단부에 밀착시켜 제2 잉크(I2)가 충진된 잉크용기(10)의 바디결합돌기(111A)를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20)의 바디 결합홈(211I)에 결합시킨다(S523).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탈착 가능한 모듈형태의 잉크 카트리지를 형성하여, 잉크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카트리지의 수량을 증감 가능하여 사용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10. 잉크용기
11. 용기부
111. 용기바디
111A. 바디결합돌기
111B. 밸브헤드 결합홈
112. 용기헤드
112A. 밸브바디 결합홈
12. 탄성밸브
12A. 밸브헤드
12B. 밸브바디
121. 노즐수용홈
122. 제1 유로
123. 제1 탄성돌기
20. 용기받침
21. 어댑터
211. 어댑터 바디
211A. 용기헤드 결합홈
211B. 결합노즐
211C. 제2 유로
211D. 제1 밸브 결합홈
211E. 어댑터 결합돌기
211F. 제1 자성체
211G. 제1 걸림홈
211H. 제2 걸림홈
211I. 바디 결합홈
212. 제1 실밸브
212A. 제3 유로
212B. 제2 탄성돌기
22. 마운트
221. 마운트 바디
221A. 어댑터 결합홈
221B. 걸림돌기
221C. 돌기 결합홈
221D. 제2 자성체
221E. 노즐부
221E1. 노즐헤드
221E2. 제5 자성체
221E3. 후크
221F. 제4 유로
221G. 제2 밸브 결합홈
221H. 노즐 수용홈
221I. 튜브 관통공
221J. 마운트 결합돌기
221K. 제3 자성체
221L. 마운트 결합홈
221M. 제4 자성체
222. 제2 실밸브
222A. 제5 유로
222B. 제3 탄성돌기
30. 받침 조립체
P. 프린터
C. 카트리지
T. 튜브
T1. 제1 튜브
T11. 제1 잉크공급유로
T12. 제1 안착홈
T13. 제1 개폐돌기
T14. 제1 튜브 자성체
T15. 제1 탄성고리
T2. 제2 튜브
T21. 제2 잉크공급유로
T22. 제2 안착홈
T23. 제2 개폐돌기
T24. 제2 튜브 자성체
T25. 제2 탄성고리
I. 잉크
I1. 잉크
I2. 잉크

Claims (2)

  1. 삭제
  2. 잉크용기를 형성하는 단계;
    용기받침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용기받침을 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연결하여 받침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받침 조립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용기받침에 프린터의 카트리지와 연결된 튜브를 상기 복수개의 용기받침이 서로 연결된 방향으로 각각 결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용기받침을 상기 카트리지와 개별적으로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용기받침에 상기 잉크용기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용기를 형성하는 단계는,
    내부에 잉크를 저장 가능하고 단부에 바디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용기바디 및 상기 용기바디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바디와 연통되는 용기헤드를 포함하는 용기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단부에 웨지형상의 노즐수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1 탄성돌기가 형성되는 탄성밸브를 상기 용기헤드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부에 잉크를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받침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잉크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잉크용기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어댑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튜브와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마운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어댑터와 상기 마운트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헤드와 결합 가능한 용기헤드 결합홈, 상기 탄성밸브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노즐, 상기 결합노즐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와 연통 가능한 제2 유로, 상기 결합노즐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밸브 결합홈,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웨지형상의 어댑터 결합돌기, 상기 어댑터 결합돌기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자성체, 축방향을 따라 하단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걸림홈, 상기 제1 걸림홈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걸림홈 및 상기 바디결합돌기와 결합 가능한 바디 결합홈을 포함하는 어댑터 바디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밸브 결합홈보다 더 긴 길이 및 더 큰 외경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제2 유로와 연통 가능한 제3 유로 및 상기 제3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2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실밸브를 상기 제1 밸브 결합홈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댑터 바디와 결합 가능한 어댑터 결합홈, 상기 제1 걸림홈 또는 상기 제2 걸림홈과 결합 가능한 걸림돌기, 상기 어댑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 결합돌기와 결합 가능한 돌기 결합홈, 상기 돌기 결합홈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자성체와 결합 가능한 제2 자성체, 상기 튜브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와 연통 가능한 제4 유로, 상기 노즐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4 유로와 연통되는 제2 밸브 결합홈, 상기 노즐부를 수용하는 노즐 수용홈, 상기 노즐 수용홈과 연통되고 상기 튜브가 통과 가능한 튜브 관통공, 외측 둘레를 따라서 각 면에 형성되는 웨지형상의 마운트 결합돌기, 상기 마운트 결합돌기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3 자성체, 상기 외측 둘레를 따라서 각 면에 형성되고, 상기 튜브 관통공을 중심으로 상기 마운트 결합돌기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마운트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마운트 결합홈 및 상기 마운트 결합홈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4 자성체를 포함하는 마운트 바디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밸브 결합홈보다 더 긴 길이 및 더 큰 외경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제3 유로 및 상기 제4 유로와 연통 가능한 제5 유로와, 상기 제5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3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실밸브를 상기 제2 밸브 결합홈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와 상기 마운트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걸림홈을 상기 걸림돌기에 안착시켜 상기 제1 실밸브와 상기 제2 실밸브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어댑터 바디와 상기 마운트 바디를 축방향으로 상호 가압하여 상기 제2 걸림홈과 상기 걸림돌기, 상기 어댑터 결합돌기와 상기 돌기 결합홈,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를 각각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제1 실밸브와 상기 제2 실밸브를 축방향으로 압착시켜 반경방향으로 팽창되도록 하여 상기 제3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제2 탄성돌기와 상기 제5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제3 탄성돌기를 각각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제3 유로와 상기 제5 유로를 서로 연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받침을 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연결하여 받침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돌기와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홈을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홈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돌기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돌기와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홈,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홈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마운트 결합돌기,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3 자성체와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자성체 및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자성체와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3 자성체를 각각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용기받침을 상기 카트리지와 개별적으로 연통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를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된 제1 튜브에 결합하여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1 튜브에 구비된 제1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를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된 제2 튜브에 결합하여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제2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1 튜브에 구비된 제1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의 단부에 구비된 웨지형상의 노즐헤드를 상기 제1 튜브의 단부에 마련된 웨지형상의 제1 안착홈에 삽입하여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와 상기 제1 튜브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와 상기 제1 튜브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헤드를 상기 제1 튜브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1 잉크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복수의 제1 개폐돌기를 상기 제1 튜브의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1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튜브의 단부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의 단부에 밀착시켜 상기 제1 튜브의 단부에 배치된 제1 튜브 자성체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의 단부에 배치된 제5 자성체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제2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는,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의 단부에 구비된 웨지형상의 노즐헤드를 상기 제2 튜브의 단부에 마련된 웨지형상의 제2 안착홈에 삽입하여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와 상기 제2 튜브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와 상기 제2 튜브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헤드를 상기 제2 튜브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2 잉크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복수의 제2 개폐돌기를 상기 제2 튜브의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4 유로와 상기 제2 잉크공급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튜브의 단부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의 단부에 밀착시켜 상기 제2 튜브의 단부에 배치된 제2 튜브 자성체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노즐부의 단부에 배치된 제5 자성체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용기받침에 상기 잉크용기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는,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에 결합하는 단계; 및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에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노즐수용홈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결합노즐을 결합하여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제1 유로와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2 유로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결합노즐을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탄성밸브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제1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복수의 제1 탄성돌기를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탄성밸브의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제1 유로와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2 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용기바디의 단부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의 단부에 밀착시켜 상기 제1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바디결합돌기를 상기 일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바디 결합홈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에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노즐수용홈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결합노즐을 결합하여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제1 유로와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2 유로를 동축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결합노즐을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탄성밸브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제1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복수의 제1 탄성돌기를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탄성밸브의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제1 유로와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제2 유로를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용기바디의 단부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어댑터 바디의 단부에 밀착시켜 상기 제2 잉크가 충진된 잉크용기의 바디결합돌기를 상기 타 측에 배치된 용기받침의 바디 결합홈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
KR1020200100787A 2020-08-11 2020-08-11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 KR102195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787A KR102195397B1 (ko) 2020-08-11 2020-08-11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787A KR102195397B1 (ko) 2020-08-11 2020-08-11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397B1 true KR102195397B1 (ko) 2020-12-28

Family

ID=7408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787A KR102195397B1 (ko) 2020-08-11 2020-08-11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3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313B1 (ko) 2003-02-14 2005-10-04 주식회사 프린톤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리필장치
KR100571776B1 (ko) 2004-02-06 200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카트리지
KR200463175Y1 (ko) * 2012-05-11 2012-10-24 (주)에프앤비즈 프린터의 잉크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313B1 (ko) 2003-02-14 2005-10-04 주식회사 프린톤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리필장치
KR100571776B1 (ko) 2004-02-06 200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카트리지
KR200463175Y1 (ko) * 2012-05-11 2012-10-24 (주)에프앤비즈 프린터의 잉크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7118A (en) Ink cartridge for a hard copy printing or plotting apparatus
EP2907666B1 (en) Tank unit and liquid ejecting system having tank unit
JP5429425B2 (ja) タンクユニット、タンクユニットを備えた液体噴射システム
GB2293141A (en) Multi-chambered ink cartridge for ink jet printer.
KR102195397B1 (ko) 프린트 잉크 연속 공급기 제조 방법
JP2005219491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100251994B1 (ko) 잉크 제트 헤드용 액체 용기
JP2014040110A (ja) タンクユニット、タンクユニットを備えた液体噴射システム
JP200321170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20040139868A1 (en) Stencil printing ink container, stencil printing ink cartridg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nk cartridge, and inner plug for the ink container
KR200401615Y1 (ko) 프린터용 잉크리필장치
US7887165B2 (en) Sealing structure
JP2012045805A (ja) 液体吐出ヘッド及び液体吐出装置
JP2015027807A (ja) タンクユニット、タンクユニットを備えた液体噴射システム
US6663234B2 (en) Ink cartridge providing improved ink supply
US6474798B1 (en) Ink supplied printer head and ink container
CN105856849A (zh) 液体容纳体
US20070176420A1 (en) Connector-and-tube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CN111976296B (zh) 打印用液体容器、系统及盖
JP2007245376A (ja) 直液式筆記具
CN220947224U (zh) 一种墨水补充容器
JP7167852B2 (ja) 印刷用液体容器
US6116725A (en) Ink cartridge used in inkjet printer
KR101780950B1 (ko) 외부 토너 공급장치를 구비한 출력장치
JP2004017356A (ja) 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