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963B1 - 팬티형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팬티형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963B1
KR102194963B1 KR1020207018550A KR20207018550A KR102194963B1 KR 102194963 B1 KR102194963 B1 KR 102194963B1 KR 1020207018550 A KR1020207018550 A KR 1020207018550A KR 20207018550 A KR20207018550 A KR 20207018550A KR 102194963 B1 KR102194963 B1 KR 102194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gion
elastic
vertical direction
absorbe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6741A (ko
Inventor
히데아키 마키
다쿠야 이노우에
데츠오 오쿠보
노리코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8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흡수성 본체(10)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성 시트(24)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10)에 접합된 제 1 몸통 둘레부(20)를 갖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1)으로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24)의 하단(24b)은, 상기 흡수성 본체(10)의 상단(10a)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거리(lg)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다.

Description

팬티형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앞길 외장체와 뒷길 외장체의 사이에 흡수성 본체가 가교(架橋)되고, 앞길 외장체와 뒷길 외장체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접합되어, 허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앞길 외장체, 및 뒷길 외장체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재가, 이너 시트와 아우터 시트(비(非)신축성 시트)의 사이에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제2013-138795호
특허문헌 1과 같이 신축재가 설치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허리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신축재의 신축성에 의해, 앞길(뒷길) 외장체가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따라 피트되는 동시에, 흡수성 본체의 상단부(上端部)가 착용자의 하복부(下腹部) 부근에 피트된다.
그러나, 허리 둘레 신축재로서 복수의 사상(絲狀) 신축재가 이용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사상 신축재의 신축력에 의해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선상(線狀)의 자국이 생기기 쉬워진다. 특히, 피부가 약한 유유아(乳幼兒) 등이 착용자인 경우, 복부 등에 있어서의 촉감이 악화되어 불쾌감이 커질 우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1의 기저귀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재에 의해 앞길(뒷길) 외장체와 흡수성 본체의 상단부를 동시에 피트시키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신체를 움직인 경우에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착용자가 다리를 전후로 움직이면, 착용자의 복측에 있어서,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흡수성 본체가 상하(전후)로 움직임으로써, 앞길 외장체도 흡수성 본체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여 버리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앞길 외장체의 위치가 어긋나서, 피트성이 악화되거나, 웨이스트부에 생기는 틈새로부터 배설물이 누출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촉감이 양호하고,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피트 가능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흡수성 본체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성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에 접합된 제 1 몸통 둘레부를 갖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의 하단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확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촉감이 양호하고,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피트 가능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1)(이하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또한 신장 상태의 기저귀(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복측 몸통 둘레부(20)(제 1 몸통 둘레부) 및 흡수성 본체(10)에 대해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도 5A 및 도 5B는, 착용자의 복측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피트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신축성 시트(24)의 고정 방법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해진다.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흡수성 본체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성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에 접합된 제 1 몸통 둘레부를 갖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의 하단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제 1 몸통 둘레부 중 신축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착용자의 피부에 면으로 피트됨으로써, 양호한 촉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하 방향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와 흡수성 본체가 중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양자가 연동하는 일 없이, 각각 독립하여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것이 가능해져, 양호한 피트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의 하단과,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중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은,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 시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의 하단과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영역에서는 제 1 몸통 둘레부가 자유롭게 변형하기 쉬워진다. 한편, 신축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제 1 몸통 둘레부가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피트되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 중,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중복되어 있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에 대하여 탄성 부재의 수축력이 작용함으로써, 흡수성 본체를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시켜,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 중,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와 상기 흡수성 본체가 중복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신축성 시트와 흡수성 본체와의 상하 방향의 사이의 영역(완충 영역)에서는 탄성 부재(사상 탄성 부재)에 의한 신축성이 작용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당해 영역에 있어서 제 1 몸통 둘레부가 유연하게 변형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신축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흡수성 본체가 각각 독립하여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워져,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피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는,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은,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대한 제 1 몸통 둘레부의 조임이 너무 강해지지 않아,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기 어렵다. 한편, 흡수성 본체에는 비교적 큰 체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가 인장되거나 큰 외력이 작용하거나 하는 경우라도, 흡수성 본체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는,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 중, 상기 상하 방향의 중앙보다도 상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은, 상기 상하 방향의 중앙보다도 하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상단부)에 걸쳐, 응력이 단계적으로 작아진다. 즉, 신축성 시트의 하단과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영역(완충 영역)에 가까울수록 응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당해 영역보다도 상측의 영역에서 작용하는 힘과 하측의 영역에서 작용하는 힘을, 보다 효율적으로 완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배설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고,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흡수체의 상단과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은,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상단과,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상기 상하 방향의 중앙과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의 상단부에 가까울수록,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와 중복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흡수체를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시키기 쉬워진다. 한편, 흡수체와 중복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조임이 너무 강해지지 않아 촉감을 소프트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는,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의 하단과,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신축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 제 1 몸통 둘레부 중 착용자의 피부에 면으로 피트되는 부분의 비율이 커져, 제 1 몸통 둘레부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배설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고,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는,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단과, 상기 흡수체의 상단과의 사이의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의 하단과,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의 상단부가 착용자의 복부에 의해 피트되기 쉬워져, 흡수성 본체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를 구성하는 비신축성 시트에 상기 신축성 시트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갖고, 상기 신축성 시트는, 상기 상하 방향의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단을 기점으로 위쪽 방향으로 되접힌 되접힘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되접힘부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가 적층되어 신축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복측 몸통 둘레부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 고정부의 하단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신축성 시트의 하단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신축성 시트와 흡수성 본체가 중복되어 있지 않은 영역(완충 영역)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게 되어, 착용 대상자의 체형 등에 따라 최적인 피트성을 갖는 흡수성 물품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유유아용의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 들어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에 관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유유아용의 일회용 기저귀로 한정되지 않고, 어른용의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쇼츠 등으로서도 이용 가능하다.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1)의 구성===
도 1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1)(이하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또한 신장 상태의 기저귀(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선에서의 단면도이다.
기저귀(1)는, 도 1에 나타내는 팬티형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갖고, 몸통 둘레 개구부(BH),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LH)가 형성되어 있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몸통 둘레 개구부(BH)측을 상측으로 하고, 가랑이 아래측을 하측으로 한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를 구성하는 자재가 적층된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 하고, 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에게 접촉하는 측을 피부측이라고 하며, 착용자에게 접촉하지 않는 측을 비피부측이라고 한다.
또, 기저귀(1)는, 평면시(平面視) 장방형상의 3부재인, 흡수성 본체(10), 복측 몸통 둘레부(20), 및 등측(背側) 몸통 둘레부(30)를 갖는다. 복측 몸통 둘레부(20)(제 1 몸통 둘레부)는 착용자의 복측부에 대어지고, 등측 몸통 둘레부(30)(제 2 몸통 둘레부)는 착용자의 등측부에 대어진다.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0) 및 등측 몸통 둘레부(30)는, 그들의 길이 방향이 기저귀(1)의 좌우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중앙부에,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한쪽측의 단부(端部)가 배치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등측 몸통 둘레부(30)의 중앙부에,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다른쪽측의 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이 기저귀(1)의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흡수성 본체(10)가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둘로 접히고, 기저귀(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양측 단부와 등측 몸통 둘레부(30)의 양측 단부가, 열 용착이나 초음파 용착 등으로 접합되어, 한 쌍의 접합 영역(2)이 형성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팬티형 상태의 기저귀(1)가 된다.
흡수성 본체(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11)와, 흡수체(11)보다도 피부측에 배치된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12)와, 흡수체(11)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된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13)와, 백 시트(13)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된 외장 시트(14)를 갖는다.
흡수체(11)는, 소변 등의 배설액을 흡수하여 홀딩하는 흡수성 코어(11A)와, 흡수성 코어(11A)를 덮는 액체 투과성의 코어 랩 시트(11B)를 갖는다. 흡수성 코어(11A)로는,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포함하는 펄프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가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양측부에는, 다리 둘레 탄성 부재(15)가 설치되어 있어, 기저귀(1)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피트된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15)는, 예를 들면,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되접혀 2층이 된 외장 시트(14)의 사이에서,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15)로는, 사상 탄성 부재나 신축성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복측 몸통 둘레부(20) 및 등측 몸통 둘레부(3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내층 시트(21, 31)와, 내층 시트(21, 31)에 적층된 외층 시트(22, 32)와, 복수의 사상 탄성 부재(23, 33)를 갖는다.
외층 시트(22, 32)는 내층 시트(21, 31)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내층 시트(21, 31) 및 외층 시트(22, 32)는 흡수성 본체(10)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단, 외층 시트(22, 32)의 위쪽의 단부(221,321)는 아래 방향으로 되접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피부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내층 시트(21, 31) 및 외층 시트(22, 32) 단체는, 기저귀(1)의 좌우 방향의 신축성을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비신축성 시트이다. 내층 시트(21, 31) 및 외층 시트(22, 32)로는, SMS 부직포(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플라스틱 시트, 개공(開孔) 플라스틱 시트 및 그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사상 탄성 부재(23, 33)는, 내층 시트(21, 31)와 외층 시트(22, 32)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복측 몸통 둘레부(20) 및 등측 몸통 둘레부(30)는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여,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피트된다. 사상 탄성 부재(23, 33)로는, 고무나 스판덱스 등의 사상 탄성 부재를 예시할 수 있다.
등측 몸통 둘레부(30)에서는,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에 걸쳐 사상 탄성 부재(33)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상단부에는, 사상 탄성 부재(23)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성 시트(24)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상단부에 사상 탄성 부재(23)를 배치하지 않고 신축성 시트(24)를 배치함으로써,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상단부가 면으로 착용자에게 밀착한다. 그 때문에, 국소적인 조임이 억제되어, 신축 부재의 자국을 남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특히 유유아의 복부는 불룩 나와 있기 때문에,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조임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저귀(1) 착용 시의 몸통 둘레 개구부(BH)의 벌림 용이성에 대해서는, 몸통 둘레부(20, 30)의 상단부의 신축력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신축성 시트(24)는, 자연 상태에서 신장하기 쉽고, 신장 상태에서 수축하기 어려운 성질을 갖는다. 그 때문에,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상단부에 신축성 시트(24)를 배치함으로써, 기저귀(1) 착용 시에 몸통 둘레 개구부(BH)를 벌리기 쉬워지고, 또, 몸통 둘레부(20, 30)를 착용자에게 피트시킨 후의 복부의 조임을 방지할 수 있다.
신축성 시트(24)에는, 예를 들면, 질량이 10∼40g/㎡, 보다 바람직하게는, 질량이 15∼30g/㎡의 탄성 섬유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니들펀치 부직포 등, 각종 공지의 제법에 의해 제조된 신축성의 섬유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탄성 섬유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고무 등을 원료로 하는 것으로서,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원료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와 마찬가지로 압출기를 이용한 용융 방사(紡絲)가 가능하고, 또 그와 같이 하여 얻어진 섬유는 열 융착시키기 쉬워, 신축성의 섬유 부직포로서 적합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신축성 시트는 적어도 좌우 방향으로 탄성을 나타내는 것이면 되고, 두 방향 이상으로 탄성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된다. 신축성 시트(24)의 좌우 방향의 신장 배율은 1.2배∼3.0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기저귀(1)의 복측에 있어서의 피트성에 대해서===
계속해서, 기저귀(1) 착용 시의 착용자의 복측에 있어서의 피트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복측 몸통 둘레부(20)(제 1 몸통 둘레부) 및 흡수성 본체(10)에 대해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과 같이, 복측 몸통 둘레부(20)는, 내층 시트(21)와, 외층 시트(22)와, 신축성 시트(24)를 갖는다. 제조 도중의 상태에 있어서,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서부터 차례로, 외층 시트(22), 내층 시트(21), 신축성 시트(24)가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성 시트(24)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단(24b)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신축성 시트(24)의 하단(24b)이, 흡수성 본체(10)의 상단(10a)으로부터 상측으로 lg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신축성 시트(24)의 하단(24b)과, 흡수성 본체(10)의 상단(10a)과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간격(lg)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lg)의 영역을 「완충 영역(BR)」이라고 부른다.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완충 영역(BR)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시트 부재의 매수가 적어, 복측 몸통 둘레부(20)에 있어서 가장 강성이 낮아져 있는 영역이다.
또, 복측 몸통 둘레부(20) 중, 상하 방향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24)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상측 영역(UR)」이라 한다. 상측 영역(UR)에서는,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신축성 시트(24)가 좌우 방향으로 수축함으로써, 복측 몸통 둘레부(20)를 착용자의 웨이스트를 따라 피트시킬 수 있다.
또, 복측 몸통 둘레부(20) 중, 복수의 사상 탄성 부재(23, 23)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상단부와 중복하고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사상 탄성 부재(23a)와, 가장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사상 탄성 부재(23x)와의 사이의 영역을 「하측 영역(DR)」이라 한다. 하측 영역(DR)에서는,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사상 탄성 부재(23)가 좌우 방향으로 수축함으로써, 흡수성 본체(10) 및 복측 몸통 둘레부(20)를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시킬 수 있다. 특히, 흡수성 본체(10)는, 그 상단부가 사상 탄성 부재(23)의 신축성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꽉 눌러짐으로써, 기저귀(1) 착용 시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측 영역(UR)과 하측 영역(DR)의 사이에 있는 영역을 「중간 영역(CR)」이라 한다. 즉, 중간 영역(CR)은, 신축성 시트(24) 및 사상 탄성 부재(23)의 어느 쪽에도 배치되어 있지 않아, 그들 탄성 부재에 의한 좌우 방향의 신축성이 발현하고 있지 않은 영역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완충 영역(BR)이 중간 영역(CR)에 포함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착용자의 복측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피트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A는, 착용자가 등줄기를 곧게 한 통상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면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착용자가 허리를 굽히고 앉는 등, 앞쪽으로 기운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면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5A의 통상 자세에서는, 상측 영역(UR)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24)가 발현하고 있는 수축력에 의해,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상단부가, 착용자의 복부의 불룩한 부분에 면으로 피트되고 있다.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상단부가 피트되는 것에 의해, 당해 상단부가 벨트처럼 작용함으로써, 복측 몸통 둘레부(20)가 착용자의 복부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 상측 영역(UR)이 면으로 피트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의 조임 압력이 국소적으로 집중하는 일 없이, 신축성 시트(24)의 전체로 압력이 분산된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기 어려워지고, 또, 탄성 부재에 의한 조임 자국이 복부에 나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하측 영역(DR)에 있어서 사상 탄성 부재(23)가 발현하고 있는 수축력에 의해, 흡수성 본체(10)의 상단부가 착용자의 복부의 불룩함보다도 하측의 영역에 피트되고 있다. 이 영역은, 복부의 불룩함의 정점에서부터 고간부에 걸쳐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복수의 사상 탄성 부재(23)의 각각에 대해 수축력을 발현시켜, 조임을 강하게 함으로써, 흡수성 본체(10)가 어긋나 내려가 버리거나, 흡수성 본체(10)의 상단부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측 영역(DR)에 있어서 사상 탄성 부재(23)보다도 피부측에는 많은 부재(예를 들면, 내층 시트(21)나 흡수체(11) 등)가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이 영역에서 체결력을 강하게 했다고 해도, 착용자의 피부에는 사상 탄성 부재(23)에 의한 조임 자국은 나기 어렵다.
그리고, 상측 영역(UR)과 하측 영역(DR) 사이의 완충 영역(BR)(중간 영역(CR))에서, 복측 몸통 둘레부(20)가 착용자의 복부에 피트되고 있다. 단, 완충 영역(BR)에는, 신축성 시트(24) 등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완충 영역(BR)에는 좌우 방향의 신축성이 작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완충 영역(BR)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0)는 반드시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5A의 상태로부터 착용자가 앞쪽으로 기운 자세를 취하면, 착용자의 복부가 상하 방향으로 오그라들도록 변화한다. 이때, 상측 영역(UR)에서는 신축성 시트(24)에 의한 신축력이 계속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영역에 있어서의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피트성은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하측 영역(DR)에서는 사상 탄성 부재(23)에 의한 신축력이 계속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상단부의 피트성은 유지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복부에 있어서, 상측 영역(UR)의 위치와 하측 영역(DR)의 위치의 상하 방향의 거리가 서로 가까워진다.
한편, 완충 영역(BR)에서는, 적층된 시트 부재의 수가 적어 강성이 낮아져 있기 때문에, 상측 영역(UR) 및 하측 영역(DR)에 의해, 상하로 압축됨으로써, 도 5B와 같이 완충 영역(BR)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0)가 착용자의 피부(복부)로부터 떨어져서, 비피부측으로 돌출하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이, 완충 영역(BR)이 변형함으로써, 상측 영역(UR)과 하측 영역(DR)이 충돌하여 피트성이 손상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즉,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상측 영역(UR)과 하측 영역(DR)의 상대 위치가 변화한 경우라도, 각각의 영역(UR, DR)에 있어서의 피트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도 5B의 경우와는 반대로, 착용자가 발돋움을 하는 등, 등측으로 휜 자세를 취한 경우에는, 착용자의 복부가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변화함으로써, 상측 영역(UR)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하측 영역(DR)이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도 완충 영역(BR)이 상하로 신장하도록 변형함으로써, 상측 영역(UR)과 하측 영역(DR)이 모두 피트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흡수성 본체(10)가 소변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여 중량이 무거워짐으로써 하측으로 처지거나, 착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하측으로 인장되거나 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완충 영역(BR)이 존재함으로써, 흡수성 본체(10)를 하측으로 인장하는 힘이 상측 영역(UR)까지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착용자에게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만일, 신축성 시트(24)의 하단(24b)이 흡수성 본체(10) 전측의 상단부와 중복되어 있는 경우, 즉, 상측 영역(UR)과 하측 영역(DR)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고, 완충 영역(BR)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흡수성 본체(10)가 인장되는 등에 의해 하측 영역(DR)의 위치가 어긋나면, 그것에 연동하여 상측 영역(UR)의 위치도 어긋나 버려, 피트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24)의 하단(24b)과, 흡수성 본체(10)의 상단(10a)과의 사이에 완충 영역(BR)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측 영역(UR)과 하측 영역(DR)이 각각 독립하여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측 몸통 둘레부(20) 및 흡수성 본체(10)의 피트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성 본체(10)의 상단(10a)보다도 하측에 사상 탄성 부재(23)(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24)의 하단(24b)과, 흡수성 본체(10)의 상단(10a)과의 사이의 완충 영역(BR)에는, 사상 탄성 부재(23)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즉, 사상 탄성 부재(23)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완충 영역(BR)과 중복되어 있지 않아, 당해 완충 영역(BR)에는 사상 탄성 부재(23)에 의한 신축성이 작용하기 어렵다. 이것에 의해, 복측 몸통 둘레부(20)는, 완충 영역(BR)에 있어서 유연하게 변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측 영역(UR)이나 하측 영역(DR)의 위치 어긋남이 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져, 기저귀(1) 착용 시의 피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상하 방향에 있어서 완충 영역(BR)과 사상 탄성 부재(23)가 중복되어 배치되어 있었다고 해도, 신축성 시트(24)와 흡수성 본체(10)의 상단(10a)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면, 완충 영역(BR)에 의한 「완충」 기능은 실현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완충 영역(BR)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σBR)이,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상측 영역(UR)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σUR)보다도 작다(σBR<σUR). 따라서,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 상측 영역(UR)에서는 복측 몸통 둘레부(20)가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피트되기 쉽고, 완충 영역(BR)에서는 복측 몸통 둘레부(20)가 자유롭게 변형하기 쉽다. 따라서, 완충 영역(BR)의 변형에 의해 하측 영역(DR)과 상측 영역(UR)이 보다 연동하기 어려워져,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위치 어긋남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완충 영역(BR), 및 상측 영역(UR)에 있어서의 「응력」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응력 시험을 행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우선, 팬티형의 기저귀(1)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합 영역(2)을 떼어, 복측 몸통 둘레부(20)와 등측 몸통 둘레부(30)로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한 복측 몸통 둘레부(20)로부터 완충 영역(BR)과 상측 영역(UR)을 각각 측정 대상의 시험편으로서 잘라낸다. 각 시험편에 대하여, 좌우 방향에 있어서 140mm의 길이의 구간을 측정 구간으로 하여 인장 시험기(인스트론사)의 척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100mm/min의 속도로 270mm 정도의 길이로 신장할 때까지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 인장하고, 그 후, 100mm/min의 속도로 척간 거리가 140mm로 되돌아올 때까지 수축시킨다. 이 사이클을 2회 반복하고, 2 사이클째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인장 하중을 측정하여 응력을 산출한다.
또, 상측 영역(UR)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0)에 작용하고 있는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σUR)은, 하측 영역(DR)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에 작용하고 있는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σDR)보다도 작다(σUR<σDR). 따라서,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복측 몸통 둘레에 대한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조임이 너무 강해지지 않아,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기 어렵다. 한편, 흡수성 본체(10)의 상단부에는 비교적 큰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착용자가 다리를 움직이는 등에 의해 흡수성 본체(10)가 하측으로 강하게 인장되는 등의 경우라도, 흡수성 본체(10)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 복측 몸통 둘레부(20)에 있어서, 사상 탄성 부재(23)가 상하 방향의 위치에 따라 다른 신장 배율로 배치되는 등에 의해, 하측 영역(DR)에 있어서의 응력이, 상하 방향의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본체(10)에 작용하는 힘이, 완충 영역(BR)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작아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영역(BR)과 인접하는 흡수성 본체(10)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응력이 크면, 완충 영역(BR)에서 힘을 다 완충하지 못해, 흡수성 본체(1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해 버리는 등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하측 영역(DR) 중 상하 방향의 중앙보다도 상측의 영역(DR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σDR1)이, 하측 영역(DR) 중 상하 방향의 중앙보다도 하측의 영역(DR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σDR2)보다도 작아지도록 하면 된다(σDR1<σDR2). 이와 같은 구성이면, 흡수성 본체(10)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상단부)에 걸쳐, 응력이 단계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완충 영역(BR) 부근에서의 응력이 작아져, 상측 영역(UR)에서 작용하는 힘과 하측 영역(DR)에서 작용하는 힘을, 보다 효율적으로 완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영역(DR1) 중, 상하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11)와 중복되어 있지 않은 영역(DR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σDR3)이, 영역(DR1) 중, 상하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11)와 중복되어 있는 영역(DR4)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σDR4)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σDR3<σDR4). 이와 같은 구성이면, 흡수성 본체(10)의 하측에서부터 상단부에 걸쳐, 응력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것에 더해, 흡수체(11)와 중복되어 있는 영역(DR4)에서는 응력이 강함으로써, 흡수체(11)를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시키기 쉬워진다. 한편, 흡수체(11)와 중복되어 있지 않은 영역(DR3)은,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가 적고, 흡수성 본체(10)의 강성이 낮기 때문에, 당해 영역(DR3)에 있어서의 응력을 작게 함으로써, 흡수성 본체(10)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조임이 너무 강해지지 않아, 촉감을 소프트하게 할 수 있다.
또, 상하 방향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24)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즉, 상측 영역(UR))의 길이는, 신축성 시트(24)의 하단(24b)과,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사상 탄성 부재(23a)와의 사이의 영역(즉, 중간 영역(CR))의 길이보다도 길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 영역(UR)의 길이를, 중간 영역(CR)의 길이보다도 길게 함으로써, 상측 영역(UR)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0) 중 착용자의 피부에 면으로 피트되는 부분의 비율이 커져,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 복측 몸통 둘레부(20)가 피트되고 있는 부분의 촉감을 보다 소프트하게 할 수 있다.
또, 상하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상단(10a)과 흡수체(11)의 상단(11ea)과의 사이의 영역의 길이는, 신축성 시트(24)의 하단(24b)과,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사상 탄성 부재(23a)와의 사이의 영역(즉, 중간 영역(CR))의 길이보다도 길다. 흡수성 본체(10) 중 흡수체(11)와 중복되어 있지 않은 상단부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중간 영역(CR)의 길이보다도 길게 함으로써, 흡수성 본체(10)의 상단부가 착용자의 복부에 보다 피트되기 쉬워져, 흡수성 본체(1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변형예>
도 6은,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신축성 시트(24)의 고정 방법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신축성 시트(24)와, 비신축성 시트(내층 시트(21) 및 외층 시트(22))와의 사이에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가 도포된 고정부(4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부(41)에 의해, 신축성 시트(24)는 비신축성 시트(21, 22)에 고정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복측 몸통 둘레부(20)에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24)가 꺾여지는 일 없이 곧게 배치되어 있었다. 즉, 상측 영역(UR)은, 신축성 시트(24)의 상단과 하단(24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었다. 한편, 도 6의 변형예에서는, 신축성 시트(24)의 하단(24b)이, 고정부(41)의 하단(41b)보다도 하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연장되어 나온 부분이 고정부(41)의 하단(41b)을 기점으로 하여 위쪽 방향으로 되접혀, 되접힘부(24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신축성 시트(24) 중, 고정부(41)의 하단(41b)보다도 하측으로 불거져 나온 부분이, 해당 신축성 시트(24) 자체의 수축력에 의해 상측으로 말려 올라가도록 하여 되접힘부(241)가 형성된다.
신축성 시트(24)의 하단부에 있어서 되접힘부(241)가 형성된 영역에서는, 신축성 시트(24)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당해 적층된 영역에서는, 신축성 시트(24)에 의한 신축성이 국소적으로 강해져, 복측 몸통 둘레부(20)가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 되접힘부(24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완충 영역(BR)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24)의 되접힘 기점(즉, 고정부(41)의 하단(41b))의 위치와 흡수성 본체(10)의 상단(10a)과의 사이의 영역이 된다. 따라서, 고정부(41)가 설치되는 위치(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완충 영역(BR)이나 상측 영역(UR)의 길이(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착용 대상자의 월령이나 체형에 따라, 완충 영역(BR)의 크기가 적절히 설정된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의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기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이나 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상단부에 신축성 시트(24)를 배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복측 몸통 둘레부(20)의 어느 위치에 신축성 시트(24)를 배치해도 된다. 또, 등측 몸통 둘레부(30)(제 1 몸통 둘레부)가 신축성 시트를 갖고, 복측 몸통 둘레부(20)(제 2 몸통 둘레부)가 신축성 시트를 갖고 있지 않지 않아도 되고, 복측 몸통 둘레부(20)와 등측 몸통 둘레부(30)가 모두 신축성 시트(24)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복측 몸통 둘레부(20)와 등측 몸통 둘레부(30)가 분리되어 별도의 부재인 기저귀를 예시했지만, 복측 몸통 둘레부(20)와 등측 몸통 둘레부(30)의 사이에 가랑이 아래부가 설치되어, 복측 몸통 둘레부(20)와 등측 몸통 둘레부(30)가 연속한 하나의 부재(一部材)여도 된다.
1: 기저귀(팬티형 흡수성 물품), 2: 접합 영역,
10: 흡수성 본체, 10a: 상단,
11: 흡수체, 11ea: 상단,
11A: 흡수성 코어, 11B: 코어 랩 시트,
12: 톱 시트, 13: 백 시트,
14: 외장 시트, 15: 다리 둘레 탄성 부재,
20: 복측 몸통 둘레부(제 1 몸통 둘레부),
21: 내층 시트(비신축성 시트), 22: 외층 시트(비신축성 시트),
23: 사상 탄성 부재, 23a: 사상 탄성 부재,
23x: 사상 탄성 부재, 24: 신축성 시트,
24b: 하단, 241: 되접힘부,
30: 등측 몸통 둘레부(제 2 몸통 둘레부),
31: 내층 시트, 32: 외층 시트,
33: 사상 탄성 부재, 41: 고정부,
BR: 완충 영역, UR: 상측 영역,
CR: 중간 영역, DR: 하측 영역

Claims (14)

  1.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흡수성 본체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성 시트 및 탄성 부재와, 비(非)신축성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에 접합된 제 1 몸통 둘레부를 갖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비신축성 시트는, 내층 시트 및 외층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내층 시트와 상기 외층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신축성 시트는, 상기 내층 시트보다 피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의 하단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의 하단과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단과의 사이의 영역과, 상기 탄성 부재가 중복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 중,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중복되어 있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 중,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와 상기 흡수성 본체가 중복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4.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흡수성 본체와,
    내층 시트, 상기 내층 시트보다 비(非)피부측에 배치된 외층 시트, 및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성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에 접합된 제 1 몸통 둘레부를 갖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배설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고,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의 하단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상기 내층 시트 및 상기 외층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외층 시트의 위쪽의 단부는, 아래 방향으로 되접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상하 방향의 단부를 피부측으로부터 덮고 있으며,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체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된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중복되어 있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사상(絲狀)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사상 탄성 부재보다 피부측에 상기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사상 탄성 부재는, 상기 내층 시트와 상기 외층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성 시트는, 상기 내층 시트보다 피부측으로부터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 탄성 부재는 상기 내층 시트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신축성 시트는 상기 내층 시트보다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사상 탄성 부재가, 상기 흡수성 본체와 중복되는 영역이고, 또한 상기 흡수체와 중복되지 않은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사상 탄성 부재가, 상기 흡수성 본체와 중복되는 영역이고, 또한 상기 흡수체와 중복되지 않은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 또는 사상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의 하단과,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또는 상기 사상 탄성 부재 중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탄성 부재 또는 상기 사상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은,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는, 복수의 탄성 부재 또는 사상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은,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또는 상기 사상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는 복수의 탄성 부재 또는 사상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또는 상기 사상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 중,
    상기 상하 방향의 중앙보다도 상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은,
    상기 상하 방향의 중앙보다도 하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배설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고,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탄성 부재 또는 상기 사상 탄성 부재와, 상기 흡수체의 상단과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은,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상단과,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또는 상기 사상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상기 상하 방향의 중앙과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방향의 평균 응력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는, 복수의 탄성 부재 또는 사상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의 하단과,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탄성 부재 또는 상기 사상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배설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고,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는, 복수의 탄성 부재 또는 사상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단과, 상기 흡수체의 상단과의 사이의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시트의 하단과,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탄성 부재 또는 상기 사상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14.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통 둘레부를 구성하는 비신축성 시트에 상기 신축성 시트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갖고,
    상기 신축성 시트는, 상기 상하 방향의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단을 기점으로 위쪽 방향으로 되접힌 되접힘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KR1020207018550A 2017-12-28 2018-12-07 팬티형 흡수성 물품 KR102194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54955 2017-12-28
JP2017254955A JP7057130B2 (ja) 2017-12-28 2017-12-28 パンツ型吸収性物品
PCT/JP2018/045077 WO2019131060A1 (ja) 2017-12-28 2018-12-07 パンツ型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741A KR20200086741A (ko) 2020-07-17
KR102194963B1 true KR102194963B1 (ko) 2020-12-24

Family

ID=6706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550A KR102194963B1 (ko) 2017-12-28 2018-12-07 팬티형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698763B1 (ko)
JP (1) JP7057130B2 (ko)
KR (1) KR102194963B1 (ko)
CN (1) CN110612084A (ko)
PH (1) PH12020551002A1 (ko)
RU (1) RU2739374C1 (ko)
SG (1) SG11202004898VA (ko)
WO (1) WO2019131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9661B2 (ja) * 2017-12-28 2020-03-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423307B2 (ja) * 2019-12-26 2024-0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7321974B2 (ja) * 2020-05-28 2023-08-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CN114681207A (zh) * 2020-12-29 2022-07-01 尤妮佳股份有限公司 一次性穿着物品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731A (ja) 2000-08-24 2002-03-05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8148875A (ja) 2006-12-15 2008-07-03 Kao Corp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20110094661A1 (en) 2009-10-23 2011-04-28 Thorson Russell E Method of making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employing elastomeric film laminate body panels
JP2013172862A (ja) 2012-02-24 2013-09-05 Kao Corp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15073637A (ja) 2013-10-07 2015-04-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6112165A (ja) 2014-12-15 2016-06-23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16159095A1 (ja) 2015-03-30 2016-10-06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7099854A (ja) 2015-11-20 2017-06-08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1Y2 (ja) * 1990-11-30 1996-01-10 株式会社瑞光 トレーニングブリーフ
JP4233002B2 (ja) * 2000-08-01 2009-03-0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N1829491B (zh) * 2003-08-06 2012-09-26 株式会社瑞光 一次性穿着物的制造方法
RU2352314C2 (ru) * 2004-09-29 2009-04-2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дноразовых впитывающих изделий
JP5457822B2 (ja) * 2009-12-22 2014-04-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13099510A1 (ja) * 2011-12-28 2013-07-0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5884489B2 (ja) 2012-01-05 2016-03-1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5997945B2 (ja) * 2012-06-11 2016-09-28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731A (ja) 2000-08-24 2002-03-05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8148875A (ja) 2006-12-15 2008-07-03 Kao Corp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20110094661A1 (en) 2009-10-23 2011-04-28 Thorson Russell E Method of making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employing elastomeric film laminate body panels
JP2013172862A (ja) 2012-02-24 2013-09-05 Kao Corp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15073637A (ja) 2013-10-07 2015-04-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6112165A (ja) 2014-12-15 2016-06-23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16159095A1 (ja) 2015-03-30 2016-10-06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7099854A (ja) 2015-11-20 2017-06-08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1060A1 (ja) 2019-07-04
JP7057130B2 (ja) 2022-04-19
EP3698763A1 (en) 2020-08-26
EP3698763B1 (en) 2022-08-17
KR20200086741A (ko) 2020-07-17
RU2739374C1 (ru) 2020-12-23
SG11202004898VA (en) 2020-07-29
PH12020551002A1 (en) 2021-04-26
EP3698763A4 (en) 2020-11-25
CN110612084A (zh) 2019-12-24
BR112020010334A2 (pt) 2020-11-10
JP2019118558A (ja)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963B1 (ko) 팬티형 흡수성 물품
KR101574683B1 (ko) 흡수성 물품
CN214434823U (zh) 短裤型吸收性物品
KR20120101581A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2017012461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6067511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317517B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6647443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CN111526845A (zh) 短裤型吸收性物品
JP6296761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CN111565686B (zh) 短裤型吸收性物品
KR102315291B1 (ko) 일회용 기저귀
CN104507435A (zh) 一次性尿布
CN214104885U (zh) 短裤型吸收性物品
KR20230029697A (ko) 팬티형 패드
CN111526841B (zh) 吸收性物品
JP641284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823325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紙おむつ
KR102312228B1 (ko) 일회용 기저귀
JP2018083077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17002448A1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CN112399841A (zh) 吸收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