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882B1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882B1
KR102194882B1 KR1020160135003A KR20160135003A KR102194882B1 KR 102194882 B1 KR102194882 B1 KR 102194882B1 KR 1020160135003 A KR1020160135003 A KR 1020160135003A KR 20160135003 A KR20160135003 A KR 20160135003A KR 102194882 B1 KR102194882 B1 KR 10219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limit
limit information
camera
stor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213A (ko
Inventor
오세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8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차량은, 차량 전방을 영상화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획득한 영상정보로부터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한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내비게이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주행환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내비게이션 단말이 내장되고 있다. 내비게이션 단말은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에 설치된 장치들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단말에서 실행할 수 있는 부가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이 구현된 디스플레이, 또는 죠그 셔틀(jog shuttle) 타입의 컨트롤러 등을 통해 내비게이션 단말을 조작하여 차량 내의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최근, 내비게이션 단말은 단순히 목적지까지의 경로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주행 중인 경로 상에서의 제한속도 정보 등 다양한 환경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때, 환경정보는 지속적으로 변함에 따라 실제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른 차량은, 차량 전방을 영상화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획득한 영상정보로부터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한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내비게이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와이퍼의 동작, 레인센서를 통한 감지 결과, 및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헤드램프의 동작, 및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을 때의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도로 주변에 위치한 대상체 및 상기 카메라의 오작동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에 해당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기초로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는, 도로 별 제한속도정보를 획득할 때의 차량의 위치정보, 속도정보, 시간정보, 및 방향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도로 별 제한속도정보에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시간정보와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을 때의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제어부는,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여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결과를 기초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및 클러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카메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차량은,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저장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 주행 중에 도로 주변에 위치한 표지판으로부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를 획득할 때의 차량의 위치정보, 속도정보, 시간정보, 및 방향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도로 별 제한속도정보에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와이퍼의 동작, 레인센서를 통한 감지 결과, 및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헤드램프의 동작, 및 상기 도로 주변에 위치한 표지판으로부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았을 때의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주행 중인 도로 상에 위치한 대상체 및 상기 카메라의 오작동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기초로 상기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시간정보와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을 때의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제어부는, 상기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여 판단한 결과를 기초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및 클러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카메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차량은, 차량 전방을 영상화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획득한 영상정보로부터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표시된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카메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 전방을 영상화한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정보로부터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한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와이퍼의 동작, 레인센서를 통한 감지 결과, 및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것은, 헤드램프의 동작, 및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을 때의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도로 주변에 위치한 대상체 및 상기 카메라의 오작동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에 해당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를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주행 중에 도로 주변에 위치한 표지판으로부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주행 중인 차량의 주행속도를 기초로 상기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시간정보와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을 때의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경로 상에 위치한 표지판을 인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경로 상에 위치한 대상체로 인해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경로 상의 날씨로 인해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를 통해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제한속도정보가 저장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한속도정보의 등록 또는 보정을 수행하는 차량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및 도5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8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93, 94)를 포함한다. 차체(80)는 후드(81), 프런트 휀더(82), 도어(84), 트렁크 리드(85), 및 쿼터 패널(86)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체(80)의 외부에는 차체(8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87),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윈도(88), 도어(84)에 설치되어 차량(1) 후방 및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91, 92), 및 차체(80)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9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1)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차량(1)에는 공조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공조장치는 차량(1)의 실내/외 환경 조건, 공기의 흡/배기, 순환, 냉/난방 상태 등을 포함한 공조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1)에는 공조장치가 마련되어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153)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차량(1)의 내부에는 내비게이션 단말(100)이 마련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단말은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이라고도 하나,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내비게이션 단말이라 하기로 한다.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단말(100)에서 실행할 수 있는 부가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상술한 공조장치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공조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공조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차량 내의 공조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표시된 지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한편, 디스플레이(101)는 대시 보드(10)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11)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차량(1)의 내부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4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은 스피커(143)를 통해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은 스피커(143)를 통해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또한, 차량(1)의 내부에는 클러스터(144)가 마련될 수 있다. 클러스터(144)는 계기판이라고도 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클러스터(144)라 하기로 한다. 클러스터(144)에는 차량의 주행속도, 엔진회전수(Revolution Per Minute, RPM), 연료량 등이 표시된다. 또한, 클러스터(144)는 내비게이션 단말(100)과 연동되어, 주행경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제한속도정보 등과 같은 도로의 환경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마련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빛을 반사경에 투영하고,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프론트 윈도(87)로 비추게 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윈드쉴드 타입, 및 별도의 스크린을 마련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컴바이너 타입이 존재하며,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1) 내의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이를 모두 포함한다. 이에 따라, 차량(1)은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술한 디스플레이(101), 클러스터(144),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통칭하여 표시장치라고 한다.
한편, 내비게이션 입력부(102)는 대시 보드(10)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11)에 위치할 수 있다. 운전자는 내비게이션 입력부(102)를 조작하여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목적지 등을 입력할 수도 있다.
내비게이션 입력부(102)는 디스플레이(101)와 인접한 영역에 하드 키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디스플레이(101)가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01)는 내비게이션 입력부(102)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센터 콘솔(40)에는 죠그 셔틀 타입 또는 하드 키 타입의 센터 입력부(43)가 마련될 수 있다. 센터 콘솔(40)은 운전석(21)과 조수석(22) 사이에 위치하여 기어조작 레버(41)와 트레이(42)가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센터 입력부(43)는 내비게이션 입력부(102)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는 이그니션 키(Ignition key, IGN key)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103)이 마련될 수 있다. 키 홈(10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티어링 휠의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이그니션 키는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는 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그니션 키는 일반적인 열쇠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그니션 키를 키 홈(103)에 삽입한 후, 이그니션 키를 돌려 어디에 위치시키는지에 따라 차량 내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즉, 차량 내에 공급되는 전원은 이그니션 키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그니션 키의 위치와 상관없이 상시 공급되는 전원도 있을 수 있으며, 제한이 없다
이외에도, 이그니션 키는 스마트 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에는 스마트 키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103)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에서 스마트 키가 감지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스마트 키를 삽입하는 경우,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엔진 시동 버튼(스타트 버튼)을 누를 경우, 차량 내에 공급되는 전원은 다를 수 있다.
한편, 차량 내 기기들은 기기 별로 동작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정격이 다를 수 있다. 이때, 차량 내 기기들의 정격을 어느 정도 통일시켜, 특정 상황에서는 차량 내 기기 중에서 일부 기기만이 동작하거나 또는 차량 내 모든 기기가 동작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차량 내 기기들 별로 요구되는 정격, 즉 전원조건은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조건은 IGN 1(Ignition 1), IGN 2(Ignition 2), ACC(Accessory), B+(Battery +), ST(Start) 및 오프(OFF)로 분류될 수 있다. IGN 1은 시동과 운행에 필요한 전원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IGN 1은 엔진, 오토미션, 브레이크뿐만 아니라, 차량 내에 마련된 카메라(1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조건에 해당한다. 또한, IGN 2는 차량 운행에 부수적으로 필요한 장치들의 전원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IGN 2는 와이퍼(95), 공조장치, 썬루프 등의 전원조건에 해당한다.
또한, ACC는 탑승객들의 편의를 위해 내장된 기기들의 전원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CC는 오디오, 시거잭 등의 전원조건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단말(100), 디스플레이(101), 스피커 등의 기기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조건을 의미한다.
또한, ST는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한 전원조건을 의미한다. 또한, B+는 상시 전원으로서, 이그니션 키의 위치에 관계 없이 공급되는 전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내 등과 같이, 이그니션 키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작하는 기기들은 B+의 전원조건에 해당한다. 각각의 전원조건에 대응하는 전압, 및 전류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내 기기들은 전원조건이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그니션 키를 키 홈(103)에 삽입한 후 ACC의 위치까지 돌린 경우, 내비게이션 단말(100), 및 오디오는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할 수 있으나, 공조장치, 및 스티어링 휠의 열선은 적합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이그니션 키를 돌려 차량(1)의 시동을 건 경우, 내비게이션 단말(100), 및 오디오뿐만 아니라 카메라(110). 공조장치, 및 스티어링 휠의 열선까지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은 전술한 구성 요소 외에도 카메라(110), 위치측정 센서(114), 자이로 센서(115), 레인 센서(116), 및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측정 센서(110)는 차량(1)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정보는 차량(1)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는 경도, 위도, 및 고도 등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 전부를 포함한다.
한편, 위치측정 센서(114)는 인공위성을 통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뿐만 아니라, 이를 보완하여 고정밀도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으로부터 지상의 GPS로 송신되는 위치는 오차를 가진다. 예를 들어, 서로 가까운 에 위치한 N(N≥2)개의 GPS가 있을 경우, N개의 GPS는 비슷한 오차를 갖게 된다. 이때, DGPS는 N개의 GPS가 가지는 공통의 오차를 서로 상쇄시킴으로써, 보다 정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위치측정 센서(114)를 통해 제한속도정보를 획득할 때의 차량(1)의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제한속도정보에 위치정보를 매핑시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자이로 센서(115)는 차량(1)의 방향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의 방향정보는 차량(1)이 위치한 지점을 기준으로, 차량(1)이 주행 가능한 방향 또는 주행중인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115)는 X, Y, Z축에 대한 각이 변화한 정도를 나타내는 각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이로 센서(115)는 특정 지점 또는 축을 기준으로 차량(1)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자이로 센서(115)를 통해 제한속도정보를 획득할 때의 차량(1)의 방향정보를 결정하여, 제한속도정보에 방향정보를 매핑시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할 수 있다.
레인 센서(116)는 빗물의 세기와 양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레인 센서(116)는 빗물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기초로 운전자가 별도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와이퍼의 동작여부뿐만 아니라, 동작 속도 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통신부(120)는 무선통신망 또는 유선통신망을 통해 외부 기기와 각종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망은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무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망은 3G 통신망, 4G 통신망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통신망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선통신망은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유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선통신망은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express, USB(Universe Serial Bus)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제어부(112)는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주행 중인 지역의 날씨를 파악하고, 파악한 결과를 기초로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통신부(120)는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2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아 또는 미리 설정된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차량(1)에는 카메라(11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10)는 도 2 및 도 3에서의 차량(1)의 헤드라이닝(13)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1)의 전방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110)는 촬영부(111), 카메라 제어부(112), 및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1)는 차량(1)의 전방에 관한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은 차량(1) 내부에서 프론트윈도(87)를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한다. 영상정보에는 차선, 가드레일, 표지판, 주변에 위치한 차량 등의 대상체뿐만 아니라 도로 주변에 존재하는 나무, 신호등과 같은 각종 대상체가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12)는 카메라(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제어부(112)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통해 촬영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12)는 카메라(110)에 내장된 프로세서(processor) 등과 같이 각종 연산, 제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처리 장치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기 공지된 다양한 처리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112)는 영상 처리를 통해 영상정보로부터 표지판을 인식하고, 표지판에 표시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지판은 도로 상에 또는 도로 주변에서 위치하여,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표시된 것을 의미한다.
제한속도정보는 도로 별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차량(1)에서 제한속도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은 탑승객들의 안전과 관련된 기능으로써, 이를 정확히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부(112)는 영상정보로부터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를 도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제한속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112)는 도출한 제한속도정보를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부(112)는 표지판이 인식되지 않아 제한속도정보를 도출하지 못한 경우에도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제어부(112)는 도출한 제한속도정보에 위치정보, 방향정보, 시간정보, 및 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시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제어부(112)는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표지판이 인식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여,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확장 또는 정부의 운영방침 등 다양한 원인에 따라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변경된 제한속도정보를 사용자에게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지도 데이터베이스(140)는 통신망 또는 사용자가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제 도로의 환경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실제 도로 상에 위치한 표지판으로부터 제한속도정보를 도출하여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한 다음,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112)는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주행 중에 도출한 제한속도정보를 비교하여,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된 경우,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부(112)는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변경된 제한속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는 빈번히 변경되기 때문에,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또한 실제 도로 상황을 반영하지 못할 확률이 높다.
이에 따라, 카메라 제어부(112)는 촬영부(111)를 통해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않는 경우라 함은 표지판이 인식되지 않아 제한속도정보를 도출할 수 없는 경우 등과 같이 표지판이 미인식된 경우뿐만 아니라 표지판 자체가 오인식 된 경우를 의미한다.
카메라 제어부(112)는 촬영부(111)를 통해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여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가 실제 도로의 주행환경을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제어부(112)는 판단 결과를 기초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부(112)는 주행 중에 제한속도정보가 도출되지 않으면, 단순히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여 어떠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보다 정확도가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표지판의 인식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제어부(112)는 차량(1)에 마련된 다양한 기기 또는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한 원인이 단순 미인식/오인식 때문인지 또는 주행환경의 변화 때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표지판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미인식 또는 오인식될 수 있다. 일 예로, 비가 많이 오거나 또는 눈이 많이 오는 등 기상 악화로 인해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 카메라(110)는 표지판을 인식하기 어렵다. 다른 일 예로, 야간 시간대의 경우 너무 어두워 카메라(110)는 표지판을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낮 시간대의 경우 반사판에 의해 광이 반사되어, 카메라(110)는 표지판을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교통이 혼잡한 경우, 다른 차량들로 인해 표지판이 가려져 카메라(110)가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카메라(110)의 오작동으로 인해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즉, 다양한 원인에 의해 카메라(110)는 표지판을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특히 전술한 예들의 경우에는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을 확률, 즉 주행환경이 변경되었을 확률이 낮다.
다만, 도로의 표지판이 존재하던 위치에서 표지판이 없어진 경우에는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을 확률이 높다. 또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의 등록시점이 수개월이상 흐른 경우에는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을 확률이 높다.
이에 따라, 카메라 제어부(112)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한 원인을 분석하여,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한 원인에 따라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중 제공할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지도 데이터베이스(140)는 통신망을 통해 또는 저장 매체 등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러나, 지도 데이터베이스(140)의 업데이트 주기를 짧게 하면, 통신망의 과부하가 발생되고, 저장 매체를 통해 업데이트하기에는 사용자의 번거로움 때문에 실제 도로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지도 데이터베이스(140)의 업데이트 주기를 짧게 함에 따라 발생되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로써도 보다 정확한 제한속도정보를 제공 받아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제어부(112)는 레인 센서(115)를 통한 감지 결과. 와이퍼(95)의 동작 여부 및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표지판이 미인식된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레인 센서(115)를 통해 빗물이 감지되거나 또는 와이퍼(95)가 동작 중이면, 카메라 제어부(112)는 날씨 등의 원인으로 인해 표지판이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기상정보를 확인한 결과, 현재 주행 중인 지역에 비 또는 눈이 오거나 안개주의보가 발령된 경우, 카메라 제어부(112)는 날씨 등의 원인으로 인해 표지판이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날씨로 인해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 제어부(112)는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을 확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하고,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카메라 제어부(112)는 촬영부(111)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초로 표지판이 미인식된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촬영부(111)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동작시 오류가 발생되어, 영상정보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제어부(112)는 촬영부(111)의 동작을 감지하여 촬영부(111)의 오작동으로 인해 표지판이 미인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작동으로 인해 표지판이 미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 제어부(112)는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을 확률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카메라 제어부(112)는 도로 주변에 위치한 대상체로 인해 표지판이 인식되지 않은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의 주행속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보다 낮으면, 도로 상에 다른 차량들이 많아 교통 체증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제어부(112)은 다른 차량들로 인해 표지판이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수준은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비교하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한속도가 시속 100km인 도로에서 시속 50km로 주행 중인 경우, 카메라 제어부(112)는 교통 체증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제한속도가 시속 60km인 도로에서 시속 50km로 주행 중인 경우, 카메라 제어부(112)는 교통 체증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할 수 있다. 주행속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보다 낮아 제한속도정보를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 제어부(112)는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을 확률이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는 제한속도정보를 획득할 때의 차량(1)의 속도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 제어부(112)는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했을 때의 차량(1)의 주행속도와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차량(1)의 주행속도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수준을 초과하면, 도로 상에 다른 차량들이 너무 많거나 또는 차량(1)의 주행속도가 너무 빨라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제어부(113)는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을 확률이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의 등록 시점과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하였을 때의 시점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간을 경과하면, 카메라 제어부(112)는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가 오래되어 변경되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제어부(112)는 현재 주행 중인 도로에서 획득하여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가 6개월이 경과된 경우, 실제 도로의 주행환경을 반영하지 못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제어부(112)는 지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주행 중인 도로에서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하였을 때의 시간대를 분석하여, 카메라 제어부(112)는 주변이 너무 밝거나 또는 너무 어두워 표지판이 인식되지 않은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제어부(112)는 도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가 현재의 도로 상황을 반영하지 못할 확률이 높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제어부(112)는 AVN 제어부(105)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101), 및 클러스터(144)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지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중 보다 정확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제어부(112)가 AVN 제어부(105)를 통해서만 제한속도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 제어부(112)가 디스플레이(101), 및 클러스터(144)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는 도로 별 제한속도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는 도로 별 제한속도정보에 제한속도정보를 획득할 때의 위치정보, 획득시간, 방향정보 및 차량의 주행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측정 센서(114)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방향정보는 자이로 센서(115)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도로 별 제한속도정보에 매핑된 정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한 원인을 분석할 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112)는 주행 중에 획득한 영상정보로부터 제한속도정보를 도출하여,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정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데이터베이스(113)는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내비게이션 제어부(105)를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제어부(105)는 내비게이션 단말(100)에 내장된 프로세서(processor) 등과 같이 각종 연산, 제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처리 장치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기 공지된 다양한 처리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제어부(105)는 차량(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제어부(105)는 내비게이션 단말(100)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101), 스피커(143) 등 차량(1)에 모든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제어부(105)는 차량(1)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술한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제어부(105)는 제어 신호를 통해 공조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1)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제한은 없다. 또한, 내비게이션 제어부(105)는 카메라 제어부(112)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101), 클러스터(144) 등 각종 표시장치를 제어하거나 또는 스피커(143)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제한속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 제어부(105)는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지도 데이터베이스(14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로의 신설 등의 이유로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요구되는 경우, 내비게이션 제어부(105)는 통신부(120)를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도 데이터베이스(14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내비게이션 제어부(105)는 지도 데이터베이스(14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지도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데이터는 지도 데이터는 도로, 건물, 그 밖에 지도를 표현할 수 있는 각종 정보가 포함된다. 이외에도, 지도 데이터에는 POI(Point Of Interest)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도 데이터는 지도 내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환경정보를 포함한다. 도로에 관한 환경정보는 도로의 주행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로에 관한 환경정보는 과속방지턱의 위치에 관한 정보, 교통사고 주요발생지역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도로에 관한 환경정보는 각 도로에서의 제한속도정보 등이 포함된다. 도로마다 제한속도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와 일반도로의 제한속도정보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도로에 관한 환경정보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도 데이터베이스(140)에는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저장되어, 운전자에게 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지도 데이터베이스(140)는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도 데이터베이스(140)에는 모든 지역에 관한 지도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으나, 일부 지역에 관한 지도 데이터만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차량(1)은 통신부(120)를 통해 필요한 지도 데이터를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전달 받아, 이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차량(1) 내에는 제어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프로세서(processor) 등과 같이 각종 연산, 제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처리 장치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기 공지된 다양한 처리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50)가 수행하는 동작은 도 4 에 도시된 카메라 제어부(112), 및 내비게이션 제어부(105)를 포함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제어부(112), 및 내비게이션 제어부(105)는 내비게이션 단말(100)에 내장된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에 집적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내비게이션 단말(100) 내에 내장되어,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동작 흐름을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경로 상에 위치한 표지판을 인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경로 상에 위치한 대상체로 인해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경로 상의 날씨로 인해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를 통해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은 카메라를 통해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500). 영상정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선, 가드레일, 표지판, 주변에 위치한 차량 등의 대상체뿐만 아니라 도로 주변에 존재하는 나무, 신호등과 같은 각종 대상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은 영상 처리를 통해 영상정보로부터 표지판을 인식할 수 있고(510), 표지판에 표시된 제한속도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의 헤드라이닝에는 카메라(1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10)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정보는 도로의 차선, 차량 주변에 위치한 다른 차량들뿐만 아니라, 표지판(200)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은 영상 처리를 통해 표지판(200)을 인식하고, 표지판(200)에 기재된 제한속도정보를 도출하여, 도로의 주행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은 나무에 의해 시야를 확보하지 못해,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도 9을 참조하면, 차량은 안개로 인해 시야를 확보하지 못해,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한 원인이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기 보다는 단순히 표지판의 미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은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표지판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은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520).
이에 따라, 차량은 판단 결과를 기초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그대로 표시할지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 속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510). 즉, 차량은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한 원인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 단순한 미인식/오인식인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분석 결과 도로의 주행환경에 변화가 발생되어,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은 지도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차량은 다양한 분석을 통해 제한속도정보를 인식하지 못한 원인을 분석하여,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을 확률이 높은지 또는 적은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보다 정확도가 높은 제한속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단순 미인식/오인식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은 클러스터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차량은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등과 같이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장치를 통해 제한속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스터(144)를 통해 현재 도로에서의 제한속도가 시속 60km임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현재 도로에서의 제한속도가 시속 60km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동작 흐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제한속도정보가 저장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한속도정보의 등록 또는 보정을 수행하는 차량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은 시동이 켜질 수 있다(1100). 전술한 바와 같이 이그니션 키의 위치에 따라 차량 내에 공급되는 전원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그니션 키를 돌려 차량의 시동을 건 경우, 내비게이션 단말, 및 카메라까지 동작할 수 있다.
차량은 주행경로 상에 위치한 도로들의 제한속도정보가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1105). 검색 결과 현재 주행중인 도로에 관한 제한속도정보가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차량은 카메라를 통해 제한속도정보를 도출하여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표시장치를 통해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1110).
검색 결과 현재 주행중인 도로에 관한 제한속도정보가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차량은 카메라를 통해 도로의 표지판을 인식할 수 있다(1115). 이때, 차량은 표지판으로부터 도출한 제한속도정보와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비교하여,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120).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으면, 차량은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갱신하여, 최신의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1125). 다만,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지 않았으면, 차량은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1130).
한편, 카메라를 통해 도로의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 차량은 단순 미인식 또는 오인식으로 인해 인식을 못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135). 차량은 차량 내 기기 또는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순 미인식 또는 오인식으로 인식을 못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은 날씨, 주행속도, 시간대, 시야 미확보 등과 같은 원인으로 인해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은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다기 보다는 단순 미인식으로 보고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1140). 또한, 카메라의 오작동으로 인해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도, 차량은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되었다기 보다는 단순 미인식으로 보고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순 미인식 또는 오인식으로 인식을 못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차량은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가 현재 도로의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1145).
즉,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제한속도정보를 저장해놓음으로써,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한속도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더라도, 이전에 저장해놓은 제한속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카메라를 통해 주행 중에 표지판을 지속적으로 인식하여, 제한속도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표지판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차량은 인식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여 카메라 데이터베이스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중 보다 정확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제한속도정보의 제공 정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차량, 10: 대시보드, 11: 센터페시아
12: 스티어링 휠, 13: 헤드라이닝
21: 운전석, 22: 조수석
40: 센터 콘솔, 41: 기어조작 레버
42: 트레이, 43: 센터 입력부
80: 차체, 81: 후드, 82: 프런트 휀더
84: 도어, 85: 트렁크 리드, 86: 쿼터 패널
87: 프런트 윈도, 88: 사이드 윈도
90: 리어 윈도, 91, 92: 사이드 미러
100: 내비게이션 단말, 101: 디스플레이, 102: 내비게이션 입력부
103: 키 홈, 110: 카메라
143: 스피커, 144: 클러스터, 153: 통풍구, 190: 음성 입력부

Claims (12)

  1.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저장된 카메라 데이터베이스;
    주행 중에 도로 주변에 위치한 표지판으로부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된 경우,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도출된 제한속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상기 도출된 제한속도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상기 도출된 제한속도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상기 도출된 제한속도정보로 갱신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를 획득할 때의 차량의 위치정보, 속도정보, 시간정보, 및 방향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도로 별 제한속도정보에 매핑되어 저장된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와이퍼의 동작, 레인센서를 통한 감지 결과, 및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헤드램프의 동작, 및 상기 도로 주변에 위치한 표지판으로부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았을 때의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주행 중인 도로 상에 위치한 대상체 및 상기 카메라의 오작동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기초로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시간정보와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을 때의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여 판단한 결과를 기초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및 클러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카메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차량.
  10.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를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주행 중에 도로 주변에 위치한 표지판으로부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된 경우,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도출된 제한속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상기 도출된 제한속도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상기 도출된 제한속도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저장된 제한속도정보를 상기 도출된 제한속도정보로 갱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경우, 주행 중인 차량의 주행속도를 기초로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간정보와 상기 표지판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을 때의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한속도정보가 정상적으로 도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와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한속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60135003A 2016-10-18 2016-10-18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194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003A KR102194882B1 (ko) 2016-10-18 2016-10-18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003A KR102194882B1 (ko) 2016-10-18 2016-10-18 차량,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475A Division KR101678095B1 (ko) 2015-07-10 2015-07-10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213A KR20170007213A (ko) 2017-01-18
KR102194882B1 true KR102194882B1 (ko) 2020-12-24

Family

ID=5799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003A KR102194882B1 (ko) 2016-10-18 2016-10-18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025B1 (ko) * 2017-02-23 2021-1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상정보 획득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2403A (ja) * 2008-10-10 2010-04-2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道路標示認識システム
JP2012062034A (ja) * 2010-09-20 2012-03-29 Denso Corp 車両用速度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168B1 (ko) * 2011-12-26 2013-10-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운행 보조 방법 및 차량 운행 보조 장치
KR20140052422A (ko) * 2012-10-24 2014-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교통 안내 표지판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KR102074209B1 (ko) * 2013-08-12 2020-0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 주의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2403A (ja) * 2008-10-10 2010-04-2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道路標示認識システム
JP2012062034A (ja) * 2010-09-20 2012-03-29 Denso Corp 車両用速度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213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09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31025B1 (ko) 영상정보 획득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9849837B2 (en) Vehicle capable of determining driving la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0889232B2 (en) Vehicle control method that compares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extracted from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with a reference light distribution pattern
US20190061780A1 (en) Driving assist system using navigation inform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147009B2 (en) Display-object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CN106373563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US20090005929A1 (en) Vehicle behavior learning apparatuses, methods, and programs
KR20190119502A (ko) 차량의 차로 변경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269063A1 (en)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s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US105731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sign validation
KR101976682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3167592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KR10207877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6171464A (zh) 信号灯识别装置、信号灯识别方法、车辆控制装置
KR20200046167A (ko) 가상 차량 경계를 결정하는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차량
US202002345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iver assistance
CN111873981A (zh) 自动驾驶控制装置和包括该装置的车辆以及控制车辆的方法
KR102194882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1640171B2 (en) Autonomous driving control apparatus
CN113954834A (zh) 变道规划方法及车载装置
US10410073B2 (en) Driver assistance of a motor vehicle
KR102030693B1 (ko) 차량 제어 방법
KR102229643B1 (ko) 내비게이션 단말,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20088604A (ja) 走行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