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760B1 - 리니어 가이드웨이 - Google Patents

리니어 가이드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760B1
KR102194760B1 KR1020190057256A KR20190057256A KR102194760B1 KR 102194760 B1 KR102194760 B1 KR 102194760B1 KR 1020190057256 A KR1020190057256 A KR 1020190057256A KR 20190057256 A KR20190057256 A KR 20190057256A KR 102194760 B1 KR102194760 B1 KR 10219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sliding block
cover body
groov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069A (ko
Inventor
렁유 창
예웨이 린
신이 첸
치아유 린
핀주 후앙
스테파니 천밍 양
징핑 류
Original Assignee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05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7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16C29/0604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the load bearing section
    • F16C29/0607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the load bearing section of parts or members for retaining the rolling elements, i.e. members to prevent the rolling elements from falling out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16C29/0609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the end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where the rolling elements change direction, e.g. end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35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 F16C29/0638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with balls
    • F16C29/064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with balls with two rows of balls, one on each side of the ra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리니어 가이드웨이는, 회로의 개방 또는 폐쇄에 기초하여 비정상 변위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회로가 개방될 때 즉시 비정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구성에 비해, 본 발명은 활주 블록의 하나의 단부에만 배치되기 때문에, 구성요소의 개수와 조립 시간 모두가 감소될 수 있고, 정밀하고 신속한 검진이 고도의 알고리즘 없이 수행될 수 있고, 이는 리니어 가이드웨이가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기 전에, 즉각적으로 상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리니어 가이드웨이의 수명이 셧다운에 의해 야기되는 손실을 피하도록 일찍 알려질 수 있다.

Description

리니어 가이드웨이{LINEAR GUIDEWAY}
본 발명은 리니어 가이드웨이, 특히 회로의 개방 또는 폐쇄에 기초하여 비정상 변위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리니어 가이드웨이에 관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도 1a는 미국 특허(미국 특허 제7,178,981 B2호)의 리니어 가이드웨이의 도면들 중 하나의 도면이고, 여기서 리니어 가이드웨이는 레일(1), 레일(1) 상에 배치되는 활주 블록(2), 활주 블록(2)의 두 개의 단부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단부 커버(3)(활주 블록의 하나의 단부만 도시됨), 및 각각의 단부 커버(3)에 배치된 센서(4)를 갖는다. 상기 설계는 리니어 가이드웨이의 이동 중 단부 커버의 비정상 상태를 방지하도록 변위 저항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센서가 각각의 단부 커버(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부 커버(3) 양자 모두가 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보속품의 개수가 증가되고, 이에 의해 복잡한 조립 공정과 증가된 유지보수 비용이 강조되어, 더 많은 비용이 리니어 가이드웨이에 소요된다. 또한, 종래의 리니어 가이드웨이의 단부 커버(3)는 높은 강성을 갖고, 이는 즉각적인 검진을 제공할 수 없고, 심지어 고장과 같은 문제점을 가져서, 센서(4)의 기능이 약화된다. 리니어 가이드웨이가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기 전에, 판독이 부정확해지기 쉽고 즉시 검진될 수 없고, 단부 커버(3)의 손상이 계속 발생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단점들을 없애고 그리고/또는 완화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정확도 및 신속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동시에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니어 가이드웨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가이드웨이는,
외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외부 롤링 홈을 갖는 레일;
제1 단부면, 상기 제1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2 단부면, 및 상기 제1 및 제2 단부면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홈을 갖는, 활주 블록으로서, 상기 활주 블록은 상기 활주 홈을 통해 상기 레일 상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활주 홈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내부 롤링 홈을 갖고, 상기 활주 블록의 상기 내부 롤링 홈은 상기 레일의 상기 외부 롤링 홈에 정렬되고 그와 협동하여 로드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활주 블록은 두 개의 대향하는 비로드 채널을 더 갖고, 상기 각각의 비로드 채널은 상기 활주 블록의 상기 제1 및 제2 단부면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블록;
상기 활주 블록의 상기 제1 단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로드 채널의 일 단부와 상기 비로드 채널 중 대응하는 하나의 일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제1 복귀 홈을 갖는, 제1 단부 커버;
상기 활주 블록의 상기 제2 단부면 상에 배치되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 상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두 개의 대향하는 제2 복귀 홈을 갖는 복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복귀 부재와 활주 블록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단부 커버로서, 상기 두 개의 제2 복귀 홈은 상기 로드 채널의 다른 단부와 상기 비로드 채널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다른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로드 채널, 상기 비로드 채널, 상기 제1 복귀 홈 중 하나, 및 상기 제2 복귀 홈 중 하나가 함께 순환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본체는 두 개의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1 전극부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1 연결부를 갖고, 상기 복귀 부재는 제1 전극부와 각각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폐쇄 회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제2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2 연결부를 더 갖는, 제2 단부 커버;
두 개의 순환 경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링 요소; 및
상기 제2 단부 커버의 상기 커버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한 처리 모듈을 갖는 회로 기판으로서, 상기 복귀 부재가 커버 본체에 대응하여 이동해서 상기 제2 전극부가 상기 제1 전극부로부터 분리되어 개방 회로를 형성할 때,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처리 모듈은 비정상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 기판
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리니어 가이드웨이이며,
외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외부 롤링 홈을 갖는 레일;
제1 단부면, 상기 제1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2 단부면, 및 상기 제1 및 제2 단부면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홈을 갖는, 활주 블록으로서, 상기 활주 블록은 상기 활주 홈을 통해 상기 레일 상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활주 홈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내부 롤링 홈을 갖고, 상기 활주 블록의 상기 내부 롤링 홈은 상기 레일의 상기 외부 롤링 홈에 정렬되고 그와 협동하여 로드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활주 블록은 두 개의 대향하는 비로드 채널을 더 갖고, 상기 각각의 비로드 채널은 상기 활주 블록의 상기 제1 및 제2 단부면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블록;
상기 활주 블록의 상기 제1 단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로드 채널의 일 단부와 상기 비로드 채널 중 대응하는 하나의 일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제1 복귀 홈을 갖는, 제1 단부 커버;
상기 활주 블록의 상기 제2 단부면 상에 배치되는 단부 커버 본체, 상기 단부 커버 본체가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 상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두 개의 대향하는 제2 복귀 홈을 갖는 복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복귀 부재와 활주 블록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단부 커버로서, 상기 두 개의 제2 복귀 홈은 상기 로드 채널의 다른 단부와 상기 비로드 채널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다른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로드 채널, 상기 비로드 채널, 상기 제1 복귀 홈 중 하나, 및 상기 제2 복귀 홈 중 하나가 순환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단부 커버 본체는 두 개의 제3 전극부 및 상기 제3 전극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커버 본체를 관통하는 두 개의 제3 연결부를 갖고, 상기 복귀 부재는 제3 전극부와 각각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폐쇄 회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제2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2 연결부를 더 갖는, 제2 단부 커버;
두 개의 순환 경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링 요소; 및
상기 제2 단부 커버의 상기 커버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한 처리 모듈을 갖는 회로 기판으로서, 상기 복귀 부재가 커버 본체에 대응하여 이동해서 상기 제2 전극부가 상기 제3 전극부로부터 분리되어 개방 회로를 형성할 때,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처리 모듈은 비정상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 기판
을 포함하는, 리니어 가이드웨이 더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리니어 가이드웨이이며,
리니어 가이드웨이이며,
외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외부 롤링 홈을 갖는 레일;
제1 단부면, 상기 제1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2 단부면, 및 상기 제1 및 제2 단부면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홈을 갖는, 활주 블록으로서, 상기 활주 블록은 상기 활주 홈을 통해 상기 레일 상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활주 홈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내부 롤링 홈을 갖고, 상기 활주 블록의 상기 내부 롤링 홈은 상기 레일의 상기 외부 롤링 홈에 정렬되고 그와 협동하여 로드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활주 블록은 두 개의 대향하는 비로드 채널을 더 갖고, 상기 각각의 비로드 채널은 상기 활주 블록의 상기 제1 및 제2 단부면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블록;
상기 비로드 채널에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복귀 파이프 조립체로서, 상기 각각의 복귀 파이프 조립체의 일 단부는 상기 활주 블록의 상기 제2 단부면에 인접한 제4 전극부, 상기 제4 전극부에 연결되는 제4 연결부, 및 상기 각각의 복귀 파이프 조립체의 두 개의 단부를 통해 연장되는 복귀 채널을 갖는, 두 개의 복귀 파이프 조립체;
상기 활주 블록의 상기 제1 단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로드 채널의 일 단부와 상기 비로드 채널 중 대응하는 하나의 일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제1 복귀 홈을 갖는, 제1 단부 커버;
상기 활주 블록의 상기 제2 단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연결부가 관통 삽입하기 위해 제공되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에 배치되고 두 개의 대향하는 제2 복귀 홈을 갖는 복귀 부재를 포함하는 제2 단부 커버로서, 상기 두 개의 제2 복귀 홈은 상기 로드 채널의 다른 단부와 상기 복귀 채널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다른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로드 채널, 상기 복귀 채널, 상기 제1 복귀 홈 중 하나, 및 상기 제2 복귀 홈 중 하나가 함께 순환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복귀 부재는 상기 두 개의 제4 전극부와 각각 전기 접촉하여 폐쇄 회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제2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2 연결부를 더 갖는, 제2 단부 커버;
두 개의 복귀 채널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링 요소; 및
상기 제2 단부 커버의 상기 커버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제4 연결부 및 상기 두 개의 제2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한 처리 모듈을 갖는 회로 기판으로서, 상기 제2 전극부가 상기 제4 전극부로부터 분리되어 개방 회로를 형성할 때,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처리 모듈은 비정상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 기판
을 포함하는, 리니어 가이드웨이를 더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회로의 개방 또는 폐쇄에 기초하여 비정상 변위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회로가 개방될 때 즉시 비정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종래의 구성에 비해, 본 발명은 활주 블록의 하나의 단부에만 배치되기 때문에, 구성요소의 개수와 조립 시간 모두가 감소될 수 있고, 정밀하고 신속한 검진이 고도의 알고리즘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니어 가이드웨이가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기 전에, 즉각적으로 상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리니어 가이드웨이의 수명이 셧다운에 의해 야기되는 손실을 피하도록 일찍 알려질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함께, 본 발명을 특징짓는 신규한 다양한 특징들과 함께, 본 명세서에 후속되어 그 일부를 형성하는 청구범위에서 특히 지적될 것이다. 본 발명, 그 작동 장점 및 그 사용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 목적들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위해서는, 첨부 도면과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해 기술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도 및 신속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동시에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니어 가이드웨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미국 특허 제7,178,981 B2호의 리니어 가이드웨이를 도시하는 도면들 중 하나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폐쇄 회로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용 상태의 확대도.
도 6은 개방 회로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용 상태의 다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도시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보았을 때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가이드웨이는 레일(20), 활주 블록(30), 제1 단부 커버(50), 제2 단부 커버(60), 복수의 롤링 요소(80), 및 회로 기판(90)을 포함한다.
레일(20)은 강성이고 그 외주연면 상에 제공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외부 롤링 요소(21)를 갖는다.
활주 블록(30)은 제1 단부면(31), 제1 단부면(31)에 대향하는 제2 단부면(32), 및 제1 및 제2 단부면(31, 32)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홈(33)을 갖는다. 활주 블록(30)은 활주 홈(33)을 통해 레일(20) 상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활주 홈(33)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내부 롤링 홈(34)을 갖는다. 활주 블록(30)의 내부 롤링 홈(34)은 레일(20)의 외부 롤링 홈(21)에 정렬되고 그와 협동하여 로드 채널(40)을 형성한다. 활주 블록(30)은 두 개의 대향하는 비로드 채널(35)을 더 갖고, 각각의 비로드 채널(35)은 활주 블록(30)의 제1 및 제2 단부면(31, 32)을 통해 연장된다.
제1 단부 커버(50)는 활주 블록(30)의 제1 단부면(31) 상에 배치되고, 로드 채널(40)의 일 단부와 비로드 채널(35) 중 대응하는 하나의 일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제1 복귀 홈(51)을 갖는다.
레일(20), 활주 블록(30), 및 제1 단부 커버(50)는 종래의 방식으로 조립되고, 그 작동 방식은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고,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키가 아니기 때문에, 구성요소(레일(20), 활주 블록(30), 및 제1 단부 커버(50))의 작동 및 조립 방식은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제2 단부 커버(60)는 활주 블록(30)의 제2 단부면(32) 상에 배치되는 커버 본체(61), 커버 본체(61)에 배치되고 두 개의 대향하는 제2 복귀 홈(621)을 갖는 복귀 부재(62), 및 복귀 부재(62)를 덮고 활주 블록(30)으로 부터 멀리 지향하는 커버 본체(61)의 일 표면 상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63)를 포함한다. 커버 본체(61)는 두 개의 제2 복귀 홈(621)이 로드 채널(40)의 다른 단부와 상기 비로드 채널(35)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다른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로드 채널(40), 비로드 채널(35), 제1 복귀 홈(51) 중 하나, 및 제2 복귀 홈(621) 중 하나가 함께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복귀 부재(62)와 제2 단부면(32) 사이에 위치된다. 커버 본체(61)는 두 개의 제1 전극부(611) 및 제1 전극부(611)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1 연결부(612)를 갖는다. 각각의 제1 전극부(611)는 제1 전기 접촉면(6111)을 갖고, 복귀 부재(62)는 제1 전극부(611)와 각각 전기 접촉하여 폐쇄 회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제2 전극부(622), 및 제2 전극부(622)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2 연결부(623)를 더 갖는다. 각각의 제2 전극부(622)는 제1 전기 접촉면(6111) 중 대응하는 하나와 점접촉하는 제2 전기 접촉점(6221)을 포함한다.
복수의 롤링 요소(80)는 두 개의 순환 경로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롤링 요소(80)는 볼로 예시된다.
회로 기판(90)은 제2 단부 커버(60)의 커버 본체(61)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연결부(612, 623)를 연결하기 위한 처리 모듈(91)을 갖는다. 롤링 요소(80)가 두 개의 제2 복귀 홈(621)을 타격하여 제2 전극부(622)가 제1 전극부(611)로부터 분리되게 만들어 개방 회로를 형성할 때, 회로 기판(90)의 처리 모듈(91)은 비정상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90)의 처리 모듈(91)은 두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911), 두 개의 신호 전송 유닛(912), 및 파워 모듈(913)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911)는 두 개의 신호 전송 유닛(912), 두 개의 제1 연결부(612) 및 두 개의 제2 연결부(623)에 각각 연결되고, 파워 모듈(913)은 신호 전송 유닛(912) 중 하나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로프로세서(911)는 중앙 처리 장치(CPU), 메모리 유닛(RAM 또는 ROM), 및 아날로그 대 디지털 유닛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 전송 유닛(912)은 유선으로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Wi-Fi 칩 또는 블루투스 칩과 같은 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주요 구성요소의 구성 및 조립 방식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용 상태의 제1 확대도이다. 정상 상태에서, 각각의 제2 전기 접촉점(6221)은 제1 전기 접촉면(6111) 중 대응하는 하나와 점접촉하여 폐쇄 회로를 유지하고, 이는 리니어 가이드웨이가 우수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용 상태의 제2 확대도이다. 복귀 부재(62)가 리니어 가이드웨이의 작동 중에, 예를 들어 활주 블록(30)이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와 같은, 비정상 저항에 직면했을 때, 롤링 요소(80)는 원활하게 롤링할 수 없고, 가압 및 충돌을 야기할 수 있고, 그 결과, 제2 전극부(622)는 제1 전극부(611)로부터 분리되어 개방 회로를 형성하고, 이는 리니어 가이드웨이가 비정상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로의 개방 또는 폐쇄에 기초하여 복귀 부재(62)의 제2 전극부(622)의 비정상 변위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회로가 개방될 때 즉시 비정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종래의 구성에 비해, 본 발명은 활주 블록(30)의 하나의 단부에만 배치되기 때문에, 구성요소의 개수와 조립 시간 모두가 감소될 수 있고, 정밀하고 신속한 검진이 고도의 알고리즘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니어 가이드웨이가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기 전에, 즉각적으로 상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리니어 가이드웨이의 수명이 셧다운에 의해 야기되는 손실을 피하도록 일찍 알려질 수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가이드웨이는 또한 레일(20), 활주 블록(30), 제1 단부 커버(50), 및 롤링 요소(80)를 포함하고,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제2 단부 커버(100)가 활주 블록(30)의 제2 단부면(32) 상에 배치되는 단부 커버 본체(101), 단부 커버 본체(101)가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본체(102), 커버 본체(102)에 배치되고 두 개의 대향하는 제2 복귀 홈(1031)을 갖는 복귀 부재(103), 및 복귀 부재(103)를 덮고 활주 블록(30)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커버 본체(102)의 일 표면 상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104)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부 커버 본체(101)는 커버 본체(102)와 제2 단부면(32) 사이에 위치된다. 커버 본체(102)는 복귀 부재(103)와 단부 커버 본체(101) 사이에 위치되고, 두 개의 제2 복귀 홈(1031)은 로드 채널(40)의 다른 단부와 비로드 채널(35)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다른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로드 채널(40), 비로드 채널(35), 제1 복귀 홈(51) 중 하나 및 제2 복귀 홈(1031) 중 하나가 순환 경로를 형성한다. 단부 커버 본체(101)는 두 개의 제3 전극부(1011), 및 제3 전극부(1011)에 각각 연결되고 커버 본체(102)를 관통하는 두 개의 제3 연결부(1012)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3 전극부(1011)는 제3 전기 접촉면(1013)을 갖고, 복귀 부재(103)는 제3 전극부(1011)와 각각 전기 접촉하여 폐쇄 회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제2 전극부(1032) 및 제2 전극부(1032)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2 연결부(1033)를 더 갖는다. 각각의 제2 전극부(1032)는 제3 전기 접촉면(1013) 중 대응하는 하나와 면접촉하는 제2 전기 접촉면(1034)을 갖는다. 회로 기판(110)이 제2 단부 커버(100)의 커버 본체(102)에 배치되고 제3 연결부(1012) 및 제2 연결부(1033)를 연결하기 위한 처리 모듈(111)을 갖는다. 롤링 요소(80)가 복귀 부재(103)의 제2 복귀 홈(1031)을 타격하여, 제2 전극부(1032)가 제3 전극부(1011)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개방 회로를 형성할 때, 회로 기판(110)의 처리 모듈(111)은 비정상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110)의 처리 모듈(111)은 두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2), 두 개의 신호 전송 유닛(113), 및 파워 모듈(114)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2)는 두 개의 신호 전송 유닛(113), 두 개의 제3 연결부(1012), 및 두 개의 제2 연결부(1033)에 각각 연결되고, 파워 모듈(114)은 신호 전송 유닛(113)에 연결되어, 상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가 또한 달성된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가이드웨이는 또한 레일(20), 활주 블록(30), 제1 단부 커버(50), 및 롤링 요소(80)를 포함하고,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두 개의 복귀 파이프 조립체(120)가 비로드 채널(35)에 각각 삽입되고, 각각의 복귀 파이프 조립체(120)의 일 단부는 활주 블록(30)의 제2 단부면(32)에 인접한 제4 전극부(121), 제4 전극부(121)에 연결되는 제4 연결부(122), 및 각각의 복귀 파이프 조립체(120)의 두 개의 단부를 통해 연장되는 복귀 채널(123)을 갖는다. 각각의 제4 전극부(121)는 제4 전기 접촉면(1211)을 갖는다. 각각의 복귀 파이프 조립체(120)는 제4 연결부(122)를 갖는 제1 복귀 파이프(124), 및 제1 복귀 파이프(124)에 연결되는 제2 복귀 파이프(125)를 포함한다. 제2 단부 커버(130)가 활주 블록(30)의 제2 단부면(32) 상에 배치되고 제4 연결부(122)가 관통 삽입하기 위해 제공되는 커버 본체(131), 커버 본체(131)에 배치되고 두 개의 대향하는 제2 복귀 홈(1321)을 갖는 복귀 부재(132), 및 복귀 부재(132)를 덮고 활주 블록(30)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커버 본체(131)의 일 표면 상에 배치되는 밀봉 부재(133)를 포함한다. 두 개의 제2 복귀 홈(1321)은 로드 채널(40)의 다른 단부와 복귀 채널(123)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다른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로드 채널(40), 복귀 채널(123), 제1 복귀 홈(51) 중 하나 및 제2 복귀 홈(1321) 중 하나가 함께 순환 경로를 형성한다. 복귀 부재(132)는 두 개의 제4 전극부(121)와 각각 전기 접촉하여 폐쇄 회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제2 전극부(1322), 및 제2 전극부(1322)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2 연결부(1323)를 더 갖는다. 각각의 제2 전극부(1322)는 제4 전기 접촉면(1211) 중 대응하는 하나와 면접촉하는 제2 전기 접촉면(1324)을 포함한다. 복수의 롤링 요소(80)는 두 개의 복귀 채널(123)에 배치된다. 회로 기판(140)은 제2 단부 커버(130)의 커버 본체(131)에 배치되고 두 개의 제4 연결부(122) 및 두 개의 제2 연결부(1323)를 연결하기 위한 처리 모듈(141)을 갖는다. 롤링 요소(80)가 복귀 부재(123)의 제2 복귀 홈(1321)을 타격하여, 제2 전극부(1322)가 제4 전극부(121)로부터 분리되게 만들어 개방 회로를 형성할 때, 회로 기판(140)의 처리 모듈(141)은 비정상 신호를 출력한다. 회로 기판(140)의 처리 모듈(141)은 두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142), 두 개의 신호 전송 유닛(143), 및 파워 모듈(144)을 포함한다. 두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142)는 제2 신호 전송 유닛(143), 두 개의 제4 연결부(122), 및 두 개의 제2 연결부(1323)에 각각 연결되고, 이어서 파워 모듈(144)은 신호 전송 유닛(143) 중 하나에 연결되어, 상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가 또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추가의 실시예들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20 : 레일 30 : 활주 블록
50 : 제1 단부 커버 60 : 제2 단부 커버
80 : 롤링 요소 90 : 회로 기판

Claims (3)

  1. 리니어 가이드웨이이며
    외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외부 롤링 홈(21)을 갖는 레일(20);
    제1 단부면(31), 상기 제1 단부면(31)에 대향하는 제2 단부면(32), 및 상기 제1 및 제2 단부면(31, 32)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홈(33)을 갖는, 활주 블록(30)으로서, 상기 활주 블록(30)은 상기 활주 홈(33)을 통해 상기 레일(20) 상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활주 홈(33)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내부 롤링 홈(34)을 갖고, 상기 활주 블록(30)의 상기 내부 롤링 홈(34)은 상기 레일(20)의 상기 외부 롤링 홈(21)에 정렬되고 그와 협동하여 로드 채널(40)을 형성하고, 상기 활주 블록(30)은 두 개의 대향하는 비로드 채널(35)을 더 갖고, 상기 각각의 비로드 채널(35)은 상기 활주 블록(30)의 상기 제1 및 제2 단부면(31, 32)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블록(30);
    상기 활주 블록(30)의 상기 제1 단부면(31) 상에 배치되고, 상기 로드 채널(40)의 일 단부와 상기 비로드 채널(35) 중 대응하는 하나의 일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제1 복귀 홈(51)을 갖는, 제1 단부 커버(50);
    상기 활주 블록(30)의 상기 제2 단부면(32) 상에 배치되는 커버 본체(61), 및 상기 커버 본체(61) 상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두 개의 대향하는 제2 복귀 홈(621)을 갖는 복귀 부재(62)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본체(61)는 상기 복귀 부재(62)와 활주 블록(30)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단부 커버(60)로서, 상기 두 개의 제2 복귀 홈(621)은 상기 로드 채널(40)의 다른 단부와 상기 비로드 채널(35)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다른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로드 채널(40), 상기 비로드 채널(35), 상기 제1 복귀 홈(51) 중 하나, 및 상기 제2 복귀 홈(621) 중 하나가 함께 순환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본체(61)는 두 개의 제1 전극부(611) 및 상기 제1 전극부(611)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1 연결부(612)를 갖고, 상기 복귀 부재(62)는 제1 전극부(611)와 각각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폐쇄 회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제2 전극부(622), 및 상기 제2 전극부(622)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2 연결부(623)를 더 갖는, 제2 단부 커버(60);
    두 개의 순환 경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링 요소(80); 및
    상기 제2 단부 커버(60)의 상기 커버 본체(61)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612, 623)를 연결하기 위한 처리 모듈(91)을 갖는 회로 기판(90)으로서, 상기 복귀 부재(62)가 커버 본체(61)에 대응하여 이동해서 상기 제2 전극부(622)가 상기 제1 전극부(611)로부터 분리되어 개방 회로를 형성할 때, 상기 회로 기판(90)의 상기 처리 모듈(91)은 비정상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 기판(90)
    을 포함하는, 리니어 가이드웨이.
  2. 리니어 가이드웨이이며
    외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외부 롤링 홈(21)을 갖는 레일(20);
    제1 단부면(31), 상기 제1 단부면(31)에 대향하는 제2 단부면(32), 및 상기 제1 및 제2 단부면(31, 32)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홈(33)을 갖는, 활주 블록(30)으로서, 상기 활주 블록(30)은 상기 활주 홈(33)을 통해 상기 레일(20) 상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활주 홈(33)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내부 롤링 홈(34)을 갖고, 상기 활주 블록(30)의 상기 내부 롤링 홈(34)은 상기 레일(20)의 상기 외부 롤링 홈(21)에 정렬되고 그와 협동하여 로드 채널(40)을 형성하고, 상기 활주 블록(30)은 두 개의 대향하는 비로드 채널(35)을 더 갖고, 상기 각각의 비로드 채널(35)은 상기 활주 블록(30)의 상기 제1 및 제2 단부면(31, 32)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블록(30);
    상기 활주 블록(30)의 상기 제1 단부면(31) 상에 배치되고, 상기 로드 채널(40)의 일 단부와 상기 비로드 채널(35) 중 대응하는 하나의 일 단부에 각각 결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제1 복귀 홈(51)을 갖는, 제1 단부 커버(50);
    상기 활주 블록(30)의 상기 제2 단부면(32) 상에 배치되는 단부 커버 본체(101), 상기 단부 커버 본체(101)가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본체(102), 및 상기 커버 본체(102) 상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두 개의 대향하는 제2 복귀 홈(1031)을 갖는 복귀 부재(103)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본체(102)는 상기 복귀 부재(103)와 활주 블록(30)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단부 커버(100)로서, 상기 두 개의 제2 복귀 홈(1031)은 상기 로드 채널(40)의 다른 단부와 상기 비로드 채널(35)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다른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로드 채널(40), 상기 비로드 채널(35), 상기 제1 복귀 홈(51) 중 하나, 및 상기 제2 복귀 홈(1031) 중 하나가 순환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단부 커버 본체(101)는 두 개의 제3 전극부(1011) 및 상기 제3 전극부(1011)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커버 본체(102)를 관통하는 두 개의 제3 연결부(1012)를 갖고, 상기 복귀 부재(103)는 제3 전극부(1011)와 각각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폐쇄 회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제2 전극부(1032), 및 상기 제2 전극부(1032)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2 연결부(1033)를 더 갖는, 제2 단부 커버(100);
    두 개의 순환 경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링 요소(80); 및
    상기 제2 단부 커버(100)의 상기 커버 본체(102)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연결부(1012) 및 상기 제2 연결부(1033)를 연결하기 위한 처리 모듈(111)을 갖는 회로 기판(110)으로서, 상기 복귀 부재(103)가 커버 본체(102)에 대응하여 이동해서 상기 제2 전극부(1032)가 상기 제3 전극부(1011)로부터 분리되어 개방 회로를 형성할 때, 상기 회로 기판(110)의 상기 처리 모듈(111)은 비정상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 기판(110)
    을 포함하는, 리니어 가이드웨이.
  3. 리니어 가이드웨이이며
    외주연면 상에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외부 롤링 홈(21)을 갖는 레일(20);
    제1 단부면(31), 상기 제1 단부면(31)에 대향하는 제2 단부면(32), 및 상기 제1 및 제2 단부면(31, 32)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홈(33)을 갖는, 활주 블록(30)으로서, 상기 활주 블록(30)은 상기 활주 홈(33)을 통해 상기 레일(20) 상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활주 홈(33)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내부 롤링 홈(34)을 갖고, 상기 활주 블록(30)의 상기 내부 롤링 홈(34)은 상기 레일(20)의 상기 외부 롤링 홈(21)에 정렬되고 그와 협동하여 로드 채널(40)을 형성하고, 상기 활주 블록(30)은 두 개의 대향하는 비로드 채널(35)을 더 갖고, 상기 각각의 비로드 채널(35)은 상기 활주 블록(30)의 상기 제1 및 제2 단부면(31, 32)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블록(30);
    상기 비로드 채널(35)에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복귀 파이프 조립체(120)로서, 상기 각각의 복귀 파이프 조립체(120)의 일 단부는 상기 활주 블록(30)의 상기 제2 단부면(32)에 인접한 제4 전극부(121), 상기 제4 전극부(121)에 연결되는 제4 연결부(122), 및 상기 각각의 복귀 파이프 조립체(120)의 두 개의 단부를 통해 연장되는 복귀 채널(123)을 갖는, 두 개의 복귀 파이프 조립체(120);
    상기 활주 블록(30)의 상기 제1 단부면(31) 상에 배치되고, 상기 로드 채널(40)의 일 단부와 상기 비로드 채널(35) 중 대응하는 하나의 일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제1 복귀 홈(51)을 갖는, 제1 단부 커버(50);
    상기 활주 블록(30)의 상기 제2 단부면(32)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연결부(122)가 관통 삽입하기 위해 제공되는 커버 본체(131), 및 상기 커버 본체(131)에 배치되고 두 개의 대향하는 제2 복귀 홈(1321)을 갖는 복귀 부재(132)를 포함하는 제2 단부 커버(130)로서, 상기 두 개의 제2 복귀 홈(1321)은 상기 로드 채널(40)의 다른 단부와 상기 복귀 채널(123)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다른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로드 채널(40), 상기 복귀 채널(123), 상기 제1 복귀 홈(51) 중 하나, 및 상기 제2 복귀 홈(1321) 중 하나가 함께 순환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복귀 부재(132)는 상기 두 개의 제4 전극부(121)와 각각 전기 접촉하여 폐쇄 회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제2 전극부(1322), 및 상기 제2 전극부(1322)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2 연결부(1323)를 더 갖는, 제2 단부 커버(130);
    두 개의 복귀 채널(123)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링 요소(80); 및
    상기 제2 단부 커버(130)의 상기 커버 본체(131)에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제4 연결부(122) 및 상기 두 개의 제2 연결부(1323)를 연결하기 위한 처리 모듈(141)을 갖는 회로 기판(140)으로서, 상기 제2 전극부(1322)가 상기 제4 전극부(121)로부터 분리되어 개방 회로를 형성할 때, 상기 회로 기판(140)의 상기 처리 모듈(141)은 비정상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 기판(140)
    을 포함하는, 리니어 가이드웨이.
KR1020190057256A 2019-05-16 2019-05-16 리니어 가이드웨이 KR102194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256A KR102194760B1 (ko) 2019-05-16 2019-05-16 리니어 가이드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256A KR102194760B1 (ko) 2019-05-16 2019-05-16 리니어 가이드웨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069A KR20200133069A (ko) 2020-11-26
KR102194760B1 true KR102194760B1 (ko) 2020-12-24

Family

ID=7367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256A KR102194760B1 (ko) 2019-05-16 2019-05-16 리니어 가이드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7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053B1 (ko) * 2013-12-24 2015-06-03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이상 감지 모듈이 구비된 베어링
JP6283127B2 (ja) * 2015-01-27 2018-02-21 株式会社フジクラ 荷重検知センサ及び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053B1 (ko) * 2013-12-24 2015-06-03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이상 감지 모듈이 구비된 베어링
JP6283127B2 (ja) * 2015-01-27 2018-02-21 株式会社フジクラ 荷重検知センサ及び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069A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434B2 (en) Ball screw device
US20060023980A1 (en) Rolling guide unit
CN103732930B (zh) 引导装置
JP2013200032A (ja) ボールねじ装置
US10508691B1 (en) Linear guideway
KR102194760B1 (ko) 리니어 가이드웨이
EP2604875B1 (en) Linear motion guide device
US10436254B1 (en) Linear guideway capable of detecting abnormal circulation state
KR20090007747A (ko) 차량용 조인트 장치
US20150303435A1 (en) Battery connection body and battery pack provided with the battery connection body
US10704598B1 (en) Hydrostatic linear guideway
US10557504B1 (en) Linear guideway capable of detecting abnormal circulation state
JP6734427B1 (ja) リニアスライドレール
US6376790B1 (en) Slide switch
JP2010033800A (ja) ヒューズブロック
CN111720436B (zh) 线性滑轨
JP5668752B2 (ja) 直動案内装置
JP7255367B2 (ja) 直動案内装置
KR101331282B1 (ko) 차량용 조인트 어셈블리
TW202032031A (zh) 線性滑軌
JP6619109B1 (ja) 回流の異常な状況を検知できるリニアレール
CN111288079B (zh) 可侦测回流异常状况的线性滑轨
JP2020112195A (ja) 回流の異常な状況を検知できるリニアレール
KR101336491B1 (ko) 제어 장치용 밀봉부
JP2008002660A (ja) 直動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