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240B1 -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240B1
KR102194240B1 KR1020200015538A KR20200015538A KR102194240B1 KR 102194240 B1 KR102194240 B1 KR 102194240B1 KR 1020200015538 A KR1020200015538 A KR 1020200015538A KR 20200015538 A KR20200015538 A KR 20200015538A KR 102194240 B1 KR102194240 B1 KR 102194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information
platform server
terminal
stu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석규
Original Assignee
(주)혜윰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혜윰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혜윰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20001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사단말기(100), 플랫폼서버(200) 및 수강생단말기(300)를 포함하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으로서, 강사단말기(100)는 강사정보 및 강의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전송하고 강의개설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며, 플랫폼서버(200)는 상기 강사정보 및 상기 강의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의의 개설 여부를 검토한 뒤 상기 강의의 개설을 승인하고 상기 강의의 강사와 수강생이 접속할 수 있는 가상강의실을 생성하고, 수강생단말기(300)는 수강생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강의의 수강을 신청하며, 플랫폼서버(200)는 상기 수강생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의의 수강 가부를 검토한 뒤 상기 강의의 수강을 승인하고, 강사단말기(100)는 상기 가상강의실에 접속하여 상기 강의에 대한 수업영상을 플랫폼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고, 플랫폼서버(200)는 강사단말기(1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수업영상을 수강생단말기(300)로 실시간 전송하며, 수강생단말기(300)는 상기 가상강의실에 접속하여 플랫폼서버(2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수업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고, 수강생단말기(300)는 상기 강의를 수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수강영상을 플랫폼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고, 플랫폼서버(200)는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수강영상을 강사단말기(100)로 실시간 전송하며, 강사단말기(100)는 플랫폼서버(2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수강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KNOWLEDGE TRADING PLATFORM SYSTEM THROUGH REAL-TIME INTERACTIVE VIDEO REMOTE TECHNOLOGY}
본 발명은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가 다양화되고, 복잡해지며, 정보의 양이 중가하고, 정보의 질이 고도화됨에 따라서 현대사회에서는 정보의 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사회의 이 같은 변화로 말미암아 최근 여러 분야에서는 통신 매체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열린 교육 사회와 평생교육 사회를 구현하기 위하여 통신 매체를 활용한 원격교육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세계 곳곳의 사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국가의 정보화를 위하여 공공기관, 산업체, 학교, 연구소, 가정 등 사회의 각 기관들을 연결하는 통신기반을 갖추고자 범국가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 중이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세계 각국은 교육훈련의 영역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양적 발전은 한편으로 그것을 상쇄할 정도의 많은 문제들을 야기하였다. 현재 세계의 많은 국가들은 그들의 아이들과 청소년들에게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중가하고 있는 교육적 요구들을 제대로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다. 양적 측면의 문제뿐만 아니라, 낮고 충분치 못한 교육의 질이나 부적절한 교육의 문제도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의 대부분은 현재와 미래에 있어 교육 발전을 위한 재정 확보의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원격교육이란 용어는 1982년 국제통신교육협회(International Council for Correspondence Education)의 명칭이 국제원격교육협회(International Council for Distance Education)로 바뀌면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원격교육은 교사와 학습자 사이에 공간적, 시간적 거리가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정보화 사회의 두 가지 기반인 컴퓨터와 웹을 활용한 원격교육연구체제는 이제까지의 원격교육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단방향 교육방법을 보완하여 양방향 커뮤니케 이션이 가능한 상호작용적 원격교육으로 발전되었다.
최근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원격교육에 대한 관심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높다. 그것은 컴퓨터 네트워크, 위성, 원격영상회의체제 등이 사회 전반에 확산되면서 그러한 첨단 매체의 주요한 응용 영역중의 하나를 "교육" 특히 원격교육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는 VOD(Video On Demand)를 이용한 비실시간 단방향 원격교육에 치중되어 있어, 학생이 편리한 시간에 학습할 수 있는 반면에 현장감 및 학습효과는 매우 떨어진다 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강사와 학생이 강의와 수업에 대한 강의 참여 현장감을 극대화하여, 탁월한 교육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원격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필요로 인해 실시간 원격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실시간 원격교육은 현장에 있어야 한다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 멀리 있는 학생도 원격으로 참여가 가능하고, 또한 강사와 원격 학생 간의 실시간 인터랙션으로 인해 수업의 참여나 토론 규모가 확장될 수 있다. 이처럼 실시간 원격교육방식은 전통적인 교육방식에 비해 교육을 받기위해 이동하는데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 할 수 있고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학생들이 함께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교육의 유용성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실시간 원격 강의는 개선될 여지가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441196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0649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96442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식을 거래할 수 있는 장터를 마련하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에어(On-Air) 방식과 VOD(Video On Demand) 방식 모두를 기반으로 하는 지식거래장터를 마련하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 시간대에 가상강의실을 무제한으로 개설할 수 있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강생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이 PC의 경우 800Kbps, 모바일의 경우 400Kbps만 지원된다면 HD(High Definition)급 교육영상이 제공될 수 있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강의의 제공 및 수강이 가능하고, 수화교육과 같은 특수교육이 실시간으로 제공되며,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생의 성적관리가 가능한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사단말기(100), 플랫폼서버(200) 및 수강생단말기(300)를 포함하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으로서, 강사단말기(100)는 강사정보 및 강의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전송하고 강의개설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며, 플랫폼서버(200)는 상기 강사정보 및 상기 강의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의의 개설 여부를 검토한 뒤 상기 강의의 개설을 승인하고 상기 강의의 강사와 수강생이 접속할 수 있는 가상강의실을 생성하고, 수강생단말기(300)는 수강생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강의의 수강을 신청하며, 플랫폼서버(200)는 상기 수강생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의의 수강 가부를 검토한 뒤 상기 강의의 수강을 승인하고, 강사단말기(100)는 상기 가상강의실에 접속하여 상기 강의에 대한 수업영상을 플랫폼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고, 플랫폼서버(200)는 강사단말기(1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수업영상을 수강생단말기(300)로 실시간 전송하며, 수강생단말기(300)는 상기 가상강의실에 접속하여 플랫폼서버(2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수업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고, 수강생단말기(300)는 상기 강의를 수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수강영상을 플랫폼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고, 플랫폼서버(200)는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수강영상을 강사단말기(100)로 실시간 전송하며, 강사단말기(100)는 플랫폼서버(2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수강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바람직하게는, 수강생단말기(300)는 원하는 강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요청강의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전송하고 강의의 개설을 요청하며, 플랫폼서버(200)는 상기 요청강의정보를 기초로 요청강의리스트를 생성한 뒤 상기 요청강의리스트를 상기 강사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상기 강사단말기(100)는 상기 요청강의리스트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강의정보를 플랫폼서버(200)에 전송하여 강의개설에 대한 승인을 요청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랫폼서버(200)는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관리모듈(210) 및 강의평가모듈(220)을 포함하고, VOD 서비스 관리모듈(210)은 강사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수업영상이 실시간 전송되면 상기 수업영상을 동시녹화하고, 강의평가모듈(220)은 상기 강의가 완료되면 상기 가상강의실에 접속된 수강생단말기(300)로 강의평가설문정보를 전송하고,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상기 강의평가설문정보에 대한 평가답변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평가답변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의를 평가하고, VOD 서비스 관리모듈(210)은 상기 강의를 수강한 모든 수강생이 상기 가상강의실에서 퇴장하면 상기 강의를 종료하고, 강의평가모듈(220)에 의한 강의평가결과를 기초로 상기 가상강의실을 폐쇄할 지 여부와 상기 수업영상을 저장할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수업영상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랫폼서버(200)는 수업진행관리모듈(240)을 포함하고, 수업진행관리모듈(240)은 강사단말기(100)로부터 조별토의지시정보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강의실에 참여 중인 수강생들을 복수 개의 그룹에 나누어 배정한 뒤, 그룹별 실시간 토의가 이뤄지도록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수강생의견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같은 그룹의 다른 수강생단말기(300)로 상기 수강생의견정보를 실시간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랫폼서버(200)는 개인정보보호모듈(250)을 포함하고, 개인정보보호모듈(250)은 강사단말기(100) 및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수업영상과 상기 수강영상에서 배경화면을 제거하고 배경화면이 제거된 상기 수업영상과 상기 수강영상을 강사단말기(100) 및 수강생단말기(300)로 실시간 전송한다.
본 발명은 지식을 거래할 수 있는 장터를 마련하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에어(On-Air) 방식과 VOD(Video On Demand) 방식 모두를 기반으로 하는 지식거래장터를 마련하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 시간대에 가상강의실을 무제한으로 개설할 수 있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강생단말기의 네트워크 대역폭이 PC의 경우 800Kbps, 모바일의 경우 400Kbps만 지원된다면 HD(High Definition)급 교육영상이 제공될 수 있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강의의 제공 및 수강이 가능하고, 수화교육과 같은 특수교육이 실시간으로 제공되며,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생의 성적관리가 가능한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수업진행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플랫폼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모듈을 더 포함하는 플랫폼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서버에 포함되는 해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이하, “본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이라 한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은 강사단말기(100), 플랫폼서버(200) 및/또는 수강생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본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은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교육시스템으로서 이용자(강사와 수강생)의 PC 또는 모바일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으면 전세계 언제, 어디에서든 실시간 대화형 영상수업이 가능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수업자료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강사단말기(100)는 강사가 소지하고 있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나타낸다. 강사단말기(100)는 강사정보 및 강의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플랫폼서버(200)에 강의개설에 대한 승인을 요청한다. 이때 강사정보는 강사의 인적사항에 대한 정보, 이력에 대한 정보, 학력에 대한 정보, 업력에 대한 정보, 강사의 본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을 통한 강의이력에 대한 정보, 강사의 본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 내 평가점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강의정보는 개설할 강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데 강의주제에 대한 정보, 강의과목에 대한 정보, 강의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플랫폼서버(200)는 강사단말기(100)로부터 강사정보 및 강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강사정보 및 강의정보를 기초로 강사단말기(100)에 의해 요청된 강의의 개설 여부를 검토한다. 이때 플랫폼서버(200)는 본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에 기 개설된 유사한 강의가 존재하는지 여부, 강사의 인성이나 업력에 문제가 있었는지 여부, 강의의 내용이 공서양속에 반하는지 여부 등을 검토하여 요청된 강의를 개설해도 될 지에 대해 결정한다. 플랫폼서버(200)는 강사 또는 강의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강사단말기(100)로부터의 강의개설 승인요청을 불승인하고,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강사단말기(100)로부터의 강의개설 승인요청을 승인하고 플랫폼서버(200) 내에 해당 강사와 수강생이 접속할 수 있는 가상강의실을 생성한다.
수강생단말기(300)는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생이 소지하고 있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나타낸다. 수강생단말기(300)는 수강생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플랫폼서버(200)에 개설된 강의의 수강을 신청한다. 이때 수강생정보는 수강생의 인적사항에 대한 정보, 수강생의 본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을 통한 수강이력에 대한 정보, 수강생의 본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 내 평가점수(수업태도점수 등)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플랫폼서버(200)는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수강생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수강생정보와 해당 수강생이 수강신청한 강의에 대한 강의정보를 기초로 수강생의 해당 강의에 대한 수강신청을 승인할 지 여부를 검토한다. 이때, 플랫폼서버(200)는 수강생의 나이에 신청한 강의가 적절한지 여부, 수강생의 종래 본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에서의 학습태도, 수강생이 해당 강의를 수강한 횟수 등을 고려하여 수강생의 수강신청의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플랫폼서버(200)는 해당 수강생의 해당 강의의 수강이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의 수강신청을 불승인하고,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의 수강신청을 승인하고 해당 수강생에게 해당 강의가 열리는 가상강의실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강사단말기(100)는 플랫폼서버(200)에 생성된 가상강의실에 접속하여 강의에 대한 수업영상을 플랫폼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고, 플랫폼서버(200)는 강사단말기(1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수업영상을 수강생단말기(300)로 실시간 전송한다. 그리고 수강생단말기(300)는 해당 가상강의실에 접속하여 플랫폼서버(2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수업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이때 수업영상은 강사단말기(100)에 구비된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될 수 있고, 강사가 강의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 강사가 사용하는 교육자료를 촬영한 영상, 강사단말기(100)에 저장된 자료를 촬영한 영상, 강사단말기(100)의 화면을 촬영한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강생단말기(300)는 해당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생 본인의 모습을 나타내는 수강영상을 플랫폼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고, 플랫폼서버(200)는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수강영상을 강사단말기(100)로 실시간 전송한다. 그리고 강사단말기(100)는 플랫폼서버(2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수강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이때 수강영상은 수강생단말기(300)에 구비된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될 수 있고, 수강생이 수업에 참여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 수강생이 공부하는 교재를 촬영한 영상, 수강생단말기(300)에 저장된 자료를 촬영한 영상, 수강생단말기(300)의 화면을 촬영한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강생단말기(300)는 개설을 원하는 강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요청강의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전송하면서 해당 강의의 개설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요청강의정보는 강의주제에 대한 정보, 강의과목에 대한 정보, 강사에 대한 정보, 강의규모에 대한 정보, 강의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서버(200)는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요청강의정보 수신하고 수신한 요청강의정보를 기초로 요청강의리스트를 생성한 뒤 생성된 요청강의리스트를 강사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요청강의리스트는 요청된 강의들을 나열한 강의목록을 나타낸다. 그리고 강사단말기(100)는 플랫폼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요청강의리스트를 기초로 전술한 강의정보를 생성하고 이 강의정보를 플랫폼서버(200)에 전송하여 해당 강의에 대한 강의개설의 승인을 요청함으로써 수강생이 원하는 강의가 개설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서버(200)는 VOD 서비스 관리모듈(210), 강의평가모듈(220) 및/또는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한다.
VOD 서비스 관리모듈(210)은 강사단말기(100)로부터 수업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한 수업영상을 동시녹화를 실시한다. 이때 동시녹화란 음성녹음과 영상녹화를 동시에 하는 것을 말한다.
강의평가모듈(220)은 강의시간이 완료되면 해당 가상강의실에 접속된 수강생단말기(300)로 강의에 대한 의견을 묻는 강의평가설문정보를 전송한다. 수강생은 강의평가설문정보에 대한 답변(평가답변정보)을 수강생단말기(300)에 입력하고, 수강생단말기(300)는 강의평가설문정보에 대한 수강생이 작성한 평가답변정보를 강의평가모듈(220)로 전송한다. 그러고 나서, 강의평가모듈(220)은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평가답변정보를 기초로 해당 강의를 평가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강사에 대한 평가도 이뤄질 수 있고, 강의평가결과 및 강사평가결과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다.
VOD 서비스 관리모듈(210)은 강의평가과정이 완료되고 강의를 수강한 모든 수강생이 해당 가상강의실에서 퇴장하면 해당 강의를 종료한다. 그리고 강의평가모듈(220)에 의한 강의평가결과를 기초로 가상강의실을 폐쇄할 지 여부와 해당 강의에 대한 수업영상을 저장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 강의평가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에 미치지 못한 경우, VOD 서비스 관리모듈(210)은 가상강의실을 폐쇄하고 해당 강의에 대한 수업영상은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지 않고 폐기한다. 또한 이 경우, VOD 서비스 관리모듈(210)은 해당 강의를 수업한 강사의 강사단말기(100)로 해당 강의평가결과에 대한 의견을 요청할 수 있다. 반면, 강의평가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VOD 서비스 관리모듈(210)은 가상강의실을 계속 유지하고 해당 강의에 대한 수업영상은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한다. 이때 수업영상을 카테고리별로 정리되어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다. 카테고리는 강사별, 강의주제별, 수강인원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강의평가모듈(220)은 강의시간이 완료되면 해당 강의를 수업한 강사의 강사단말기(100)로 수강생에 대한 의견(수강생의 수업태도에 대한 의견, 참여도에 대한 의견 등)을 묻는 수강생평가설문정보를 전송한다. 강사는 수강생평가설문정보에 대한 답변(평가답변정보)을 강사단말기(100)에 입력하고, 강사단말기(100)는 수강생평가설문정보에 대한 강사가 작성한 평가답변정보를 강의평가모듈(220)로 전송한다. 그러고 나서, 강의평가모듈(220)은 강사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평가답변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강생을 평가한다. 그리고 수강생평가결과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수업진행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플랫폼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랫폼서버(200)는 수업진행관리모듈(240)을 더 포함한다.
수업진행관리모듈(240)은 강사단말기(100)로부터 가상강의실 내에서 조별토의의 진행을 지시하는 조별토의지시정보를 수신하고 조별토의지시정보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그룹을 생성하고 가상강의실에 참여 중인 수강생들을 생성한 복수 개의 그룹에 나누어 배정한다. 이때 조별토의는 같은 그룹에 속한 수강생들이 서로의 의견을 나누는 강의방식을 나타낸다. 수업진행관리모듈(240)은 수강생정보에 포함된 수강생의 나이, 성별, 학습태도, 성향, 거주지역, 학력수준 등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그룹에 나누어 배정하거나 무작위로 배정한다.
수업진행관리모듈(240)은 조별토의가 시작되면, 어느 그룹 내 어느 수강생의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수강생의견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같은 그룹의 다른 수강생의 수강생단말기(300) 및/또는 강사단말기(100)로 수신한 수강생의견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로써, 그룹별 실시간 토의가 이뤄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모듈을 더 포함하는 플랫폼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랫폼서버(200)는 개인정보보호모듈(250)을 더 포함한다.
개인정보보호모듈(250)은 강사단말기(100) 및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수업영상 및 수강영상에서 배경화면을 제거한다. 그리고 배경화면이 제거된 수업영상과 수강영상을 강사단말기(100) 및 수강생단말기(300)로 실시간 전송한다. 즉, 강사나 수강생 개인의 사생활이 노출될 수 있는 영상의 배경화면을 제거하는 것이고 배경화면이 제거된 영상에는 오로지 수업을 위한 영상만이 포함된다. 이로써, 강사나 수강생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고, 원격수업 시 서로 다른 배경으로 인한 시각적 혼잡을 없애고 통일된 배경화면으로 강의에 대한 몰입도를 더 높을 수 있다. 이때, 원본 영상의 배경화면은 단색의 배경화면 등으로 대체된다.
한편, 강사단말기(100)가 플랫폼서버(200)에 전송하는 강의정보는 강의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때 강의형태는 개인과외방식과 교실수업방식을 포함한다. 플랫폼서버(200)는 해당 강의가 개인과외방식인 경우 개인 수강생만 접속이 되도록 가상강의실을 설정하고, 해당 강의가 교실수업방식인 경우 교실 수강생(학급 단위로 본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에 접속하는 수강생)만 접속이 되도록 해당 가상강의실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강의형태가 개인과외방식과 교실수업방식이 혼합된 형태에 해당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개인 수강생과 교실 수강생 모두 해당 강의에 대한 가상강의실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수강생단말기(300)는 강의의 수강 중 생기는 질문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고, 플랫폼서버(200)는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질문정보를 강사단말기(1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강사단말기(100)는 플랫폼서버(2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질문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질문정보에 대한 답변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고, 플랫폼서버(200)는 해당 답변정보를 수강생단말기(3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강사와 수강생이 대화하듯 실시간으로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으며 수업이 진행된다. 이때, 플랫폼서버(200)는 수강생단말기(300)와 강사단말기(100) 사이에서 질문정보와 답변정보를 단순히 전달만 하지 않고, 플랫폼서버(200)가 복수 개의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질문을 전송 받으면, 받은 질문들 중 중복된 질문을 제외하고 하나의 답변으로 해결될 수 있는 질문들을 추려서 별도의 질의시간에 강사단말기(100)에 일괄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실시간 질문 전송에 의해 강의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서버(200)는 강의가 종료되면 수강생단말기(300)로 해당 수강생이 수강한 강의내용에 따른 시험지를 전송하고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해당 시험지에 대한 답안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플랫폼서버(200)는 해당 시험지에 대한 채점결과를 수강생단말기(300)로 실시간 전송하고 채점결과는 수강생평가정보에 반영되어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서버에 포함되는 해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싱 장치(110)는, 프로세서(111), 캐시(112) 및 메모리(113)를 포함한다. 그리고, 해싱 장치(110)는 운행계획 관리서버(100) 및/또는 운행계획 수신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13)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메모리(113)는 파일 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3)는 디렉토리를 통해 참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켓이 포함된 세그먼트를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113)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 NVRAM) 또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일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230)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3)와 캐시(112)를 통해 연결된다. 프로세서(111)는 캐시(112)의 캐시라인을 통해 메모리의 파일 시스템에 있는 버켓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버켓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시 키(Hash key)의 제1 인덱스를 이용하여 디렉토리(Directory)를 통해 참조되는 세그먼트(Segment)를 확인하고, 해시 키의 제2 인덱스를 이용하여 그 확인된 세그먼트 내에서 접근하려는 버켓(Bucket)을 확인하고, 그 확인된 버켓에 해시 키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11)는 해시 키의 제2 인덱스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내 복수의 버켓 중 하나의 버켓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해시 키의 글로벌 깊이(Global depth) 비트값을 확인할 수 있다. 해시 키의 제1 인덱스는 해시 키의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를 포함할 수 있다. 해시 키의 제2 인덱스는 해시 키의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해시 키의 제1 인덱스에 대응되는 디렉토리 엔트리를 탐색하고, 탐색된 디렉토리 엔트리를 통해 참조되는 세그먼트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해시 키의 제2 인덱스를 이용하여 세그먼트에 접근하는 경우에 충돌이 발생하면 세그먼트를 분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로컬 깊이(Local depth)를 증가시킨 새로운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확인된 세그먼트의 데이터를 스캔하여 그 증가시킨 로컬 깊이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비트 값을 갖는 데이터를 그 생성된 새로운 세그먼트에 복사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1)는 증가시킨 로컬 깊이에 해당하는 제2 인덱스의 비트 값이 1인 데이터를 새로운 세그먼트에 복사하고 해당 디렉토리 엔트리의 포인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분할되는 세그먼트의 로컬 깊이(Local depth)를 증가시키고, 그 증가시킨 로컬 깊이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다른 비트 값을 갖는 데이터를 유효하지 않은 키로 지정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1)는 제2 인덱스의 증가시킨 로컬 깊이(Local depth)에 해당하는 비트 값이 0인 데이터를 분할되는 세그먼트에서 지우지 않고, 로컬 깊이만 8바이트 연산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지우지 않은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키가 되게 만들 수 있다. 즉, 지우지 않은 데이터는 유효하지 않은 키로 간주되고, 다른 데이터에 의해 덮어 써질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확인된 세그먼트의 로컬 깊이를 증가시키고, 디렉토리 엔트리(Directory entry)의 포인터(Pointer)를 갱신하고, 분할된 세그먼트의 로컬 깊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1)는 디렉토리 엔트리(Directory entry)의 포인터(Pointer) 중 업데이트되는 포인터(Pointer)를 제2 인덱스 값이 큰 포인터부터 제2 인덱스 값이 작은 포인터 순서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1)는 디렉토리 엔트리(Directory entry)의 포인터(Pointer) 중 업데이트되는 포인터(Pointer)를 제2 인덱스 값이 작은 포인터부터 제2 인덱스 값이 큰 포인터 순서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11)는 업데이트 하는 순서의 반대 방향으로 복구 동작을 수행하여 복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확인된 세그먼트가 분할되는 경우, 디렉토리를 갱신할 때 디렉토리 엔트리들을 버디(buddy)라는 쌍으로 묶을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세그먼트의 글로벌 깊이와 로컬 깊이를 사용하여 시스템 문제가 발생된 세그먼트를 확인하고, 버디를 이용하여 시스템 문제가 발생된 세그먼트의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바이트 단위 접근이 가능한 메모리와 CPU 간의 데이터 전송 단위는 최신 CPU에서 64 바이트의 캐시라인(Cacheline)이다. 만일 종래의 8KB 버켓을 사용한다면, 하나의 데이터를 찾기 위해 128개의 캐시라인으로 구성된 버켓을 읽어야 하므로, 총 128번 메모리에 접근하게 된다. 디스크 기반의 익스텐더블 해싱(Extendible Hashing)과 달리 인-메모리 해시 테이블은 버켓의 크기를 디스크 블록의 크기에 맞출 필요가 없다. 만일 버켓 크기를 64 바이트로 정하면, 하나의 버켓을 읽기 위해 하나의 캐시라인을 읽으면 되므로 총 한 번의 메모리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만일 버켓(Bucket)의 크기가 하나의 캐시라인(Cacheline)이라면, 64바이트 캐시라인마다 디렉토리 엔트리가 하나씩 필요한 익스텐더블 해싱(Extendible Hashing)의 특징으로 인해, 디렉토리의 크기가 매우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익스텐더블 해싱(Extendible Hashing) 방법을 변형하여 바이트 단위 접근이 가능한 메모리에 적합하게 캐시라인-컨시어스 익스텐더블 해싱(Cacheline-Conscious Extendible Hashing, CCEH)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싱 방법은 익스텐더블 해싱(Extendible Hashing)의 변형으로 종래의 익스텐더블 해싱(Extendible Hashing)이 비휘발성 메모리를 위해 제공하지 못하던 결함 원자성(Failure-atomicity)을 제공하고, 더 적은 캐시라인(Cacheline)의 접근으로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익스텐더블 해싱(Extendible Hashing) 방법이다. 본 해싱 방법은 종래의 디렉토리(Directory)와 버켓(Bucket)으로 이루어진 2단 구조에서 세그먼트(Segment)라는 계층을 두어 캐시라인(Cacheline)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싱 장치(110)가 비휘발성 메모리(Persistent Memory, PM) 기반 파일 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동작하는 예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싱 장치(110)는, CPU(111), CPU 캐시(CPU Cache)(112), 비휘발성 메모리(Persistent Memory, PM)(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113)는 PM 기반 파일 시스템(113a) 또는 PM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113) 대신에 DRAM(Dynamic random-access memory)이 사용될 수 있다.
CPU(111)는 CPU 캐시(112)의 캐시라인을 통해 해시 키의 인덱스가 참조하는 디렉토리 엔트리를 확인하고, 해당 디렉토리 엔트리가 가리키는 세그먼트 내에서의 버켓에 접근하고자 한다. CPU(111)는 해시 키(Hash key)의 제1 인덱스를 이용하여 디렉토리(Directory)를 통해 참조되는 세그먼트(Segment)를 확인할 수 있다. 즉, CPU(111)는 세그먼트 인덱스(Segment Index)를 사용하여 어느 디렉토리 엔트리(Directory Entry)를 참조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 인덱스(Segment Index)는 제1 인덱스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는 최상위 2비트에 해당하는 세그먼트 인덱스 10(2)를 사용하여 디렉토리 엔트리 010(2)를 참조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CPU(111)는 해시 키의 제2 인덱스를 이용하여 그 확인된 세그먼트 내에서 접근하려는 버켓(Bucket)을 확인할 수 있다. CPU(111)는 참조하는 세그먼트(Segment) 내에서 어느 버켓(Bucket)을 읽을지를 결정하기 위해, 해시 키(Hash Key)의 버켓 인덱스(Bucket Index)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버켓 인덱스(Bucket Index)는 제2 인덱스로 지칭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CPU(111)는 세그먼트 인덱스가 참조하는 디렉토리 엔트리를 통해 세그먼트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세그먼트 내에서 버켓 인덱스가 가리키는 버켓을 확인할 수 있다. 디렉토리[세그먼트 인덱스]+버켓 인덱스가 접근하려는 버켓(Bucket)의 주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CPU(111)는 확인된 버켓에서 해시 키에 대응되는 키 값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CPU는 확인된 버켓에서 해시 키에 대응되는 키 값 또는 데이터를 읽거나 쓸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 특징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특징들은 예컨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내의 저장장치 내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특징들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설명된 실시예들의 함수들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설명된 특징들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수신하기 위해, 및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전송하기 위해,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정 결과에 대해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시어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해석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어느 형태로 쓰여지고, 모듈, 소자, 서브루틴(subroutine), 또는 다른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을 위해 적합한 다른 유닛으로서, 또는 독립 조작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포함하는 어느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적합한 프로세서들은, 예를 들어, 범용 및 특수 용도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모두, 및 단독 프로세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터의 다중 프로세서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설명된 특징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지시어들 및 데이터를 구현하기 적합한 저장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제거 가능한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바이스들, 광자기 디스크들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모든 형태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ASIC들(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내에서 통합되거나 또는 ASIC들에 의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일련의 기능 블록들을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조합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구현 및/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강사단말기 200: 플랫폼서버 300: 수강생단말기
210: VOD 서비스 관리모듈 220: 강의평가모듈 230: 데이터베이스
240: 수업진행관리모듈 250: 개인정보보호모듈

Claims (5)

  1. 강사단말기(100), 플랫폼서버(200) 및 수강생단말기(300)를 포함하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으로서,
    강사단말기(100)는, 강사정보 및 강의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전송하고 강의의 개설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며,
    플랫폼서버(200)는, 상기 강사정보 및 상기 강의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의의 개설 여부를 검토한 뒤 상기 강의의 개설을 승인하고 상기 강의의 강사와 수강생이 접속할 수 있는 가상강의실을 생성하고,
    수강생단말기(300)는, 수강생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강의의 수강을 신청하며,
    플랫폼서버(200)는,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수강생정보와 상기 신청한 강의에 대한 강의정보를 기초로 해당 강의에 대한 수강신청을 승인할 지 여부를 검토하되, 해당 강의의 수강이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의 수강신청을 불승인하고,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의 수강신청을 승인하고 해당 강의가 열리는 가상강의실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며,
    강사단말기(100)는, 상기 가상강의실에 접속하여 상기 강의에 대한 수업영상을 플랫폼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고, 플랫폼서버(200)는 강사단말기(1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수업영상을 수강생단말기(300)로 실시간 전송하며, 수강생단말기(300)는, 상기 가상강의실에 접속하여 플랫폼서버(2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수업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고,
    수강생단말기(300)는 상기 강의를 수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수강영상을 플랫폼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고, 플랫폼서버(200)는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수강영상을 강사단말기(100)로 실시간 전송하며, 강사단말기(100)는 플랫폼서버(2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수강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고,
    수강생단말기(300)는, 개설을 원하는 강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요청강의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전송하면서 해당 강의의 개설을 요청하고,
    플랫폼서버(200)는,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요청강의정보를 기초로 요청된 강의들을 나열한 강의목록을 포함하는 요청강의리스트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요청강의리스트를 강사단말기(100)로 전송하고,
    강사단말기(100)는, 플랫폼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요청강의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강의목록 중 선택적으로 강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강의목록 중 선택적으로 생성된 강의정보를 플랫폼서버(200)에 전송하여 해당 강의에 대한 강의개설의 승인을 요청하며,
    플랫폼서버(200)는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관리모듈(210) 및 강의평가모듈(220)을 더 포함하고,
    강의평가모듈(220)은 상기 강의가 완료되면 상기 가상강의실에 접속된 수강생단말기(300)로 강의평가설문정보를 전송하고,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상기 강의평가설문정보에 대한 평가답변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평가답변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의를 평가한 강의평가결과를 생성하고,
    VOD 서비스 관리모듈(210)은, 상기 강의를 수강한 모든 수강생이 상기 가상강의실에서 퇴장하면 상기 강의를 종료하고, 상기 강의평가결과를 기초로 상기 가상강의실을 폐쇄할 지 여부와 상기 수업영상을 저장할 지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강의평가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에 미치지 못한 경우, 상기 가상강의실의 폐쇄 및 해당 강의에 대한 수업영상을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지 않고 폐기하고, 상기 강의평가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가상강의실을 계속 유지 및 해당 강의에 대한 수업영상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며,
    플랫폼서버(200)는, 수업진행관리모듈(240)을 더 포함하고,
    수업진행관리모듈(240)은, 강사단말기(100)로부터 조별토의지시정보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강의실에 참여 중인 수강생들을 복수 개의 그룹에 나누어 배정한 뒤, 그룹별 실시간 토의가 이뤄지도록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수강생의견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같은 그룹의 다른 수강생단말기(300)로 상기 수강생의견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되,
    상기 배정은, 상기 수강생정보를 기준으로 수업진행관리모듈(240)에 의해 자동적으로 배정되며,
    수강생단말기(300)는 강의의 수강 중 생기는 질문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고, 플랫폼서버(200)는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질문정보를 강사단말기(100)로 실시간 전송하며,
    강사단말기(100)는 플랫폼서버(2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상기 질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질문정보에 대한 답변정보를 플랫폼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며, 플랫폼서버(200)는 상기 답변정보를 수강생단말기(300)로 실시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VOD 서비스 관리모듈(210)은 강사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수업영상이 실시간 전송되면 상기 수업영상을 동시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랫폼서버(200)는 개인정보보호모듈(250)을 포함하고,
    개인정보보호모듈(250)은 강사단말기(100) 및 수강생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수업영상과 상기 수강영상에서 배경화면을 제거하고 배경화면이 제거된 상기 수업영상과 상기 수강영상을 강사단말기(100) 및 수강생단말기(300)로 실시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
KR1020200015538A 2020-02-10 2020-02-10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 KR102194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538A KR102194240B1 (ko) 2020-02-10 2020-02-10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538A KR102194240B1 (ko) 2020-02-10 2020-02-10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240B1 true KR102194240B1 (ko) 2020-12-23

Family

ID=7408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538A KR102194240B1 (ko) 2020-02-10 2020-02-10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24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4102A (zh) * 2020-12-29 2021-04-09 安徽鸿程光电有限公司 远程课堂系统、加入远程课堂的方法、电子设备及介质
KR102346484B1 (ko) 2021-06-29 2022-01-03 주식회사 버드비 다국적 온라인 외국어 수업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CN114267213A (zh) * 2021-12-16 2022-04-01 郑州捷安高科股份有限公司 实训的实时演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82385B1 (ko) * 2021-09-16 2022-04-08 우석규 통합 온라인 교육 플랫폼 시스템 및 통합 온라인 교육 방법
KR20220145095A (ko) * 2021-04-21 2022-10-28 (주)페르소나에이아이 영상 기반 온라인 행사 진행 시스템
KR20230009098A (ko) *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유비온 실시간 화상 교육 시스템에서의 소그룹 활동 운영 방법
KR102541558B1 (ko) * 2022-03-02 2023-06-13 라이트하우스(주) 문제 풀이 영상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89335A (ko) 2021-12-13 2023-06-20 (주)누리봄 취향별 도서 및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516A (ko) * 2000-09-15 2002-03-21 고영무 실시간 원격 공동 강의 시스템
KR20020096442A (ko) 2001-06-20 2002-12-31 (주)니트 젠 온라인 교육시스템 상에서의 사용자인증에 의한 출결관리방법
KR20090001801A (ko) * 2007-05-22 2009-01-09 시남근 교학 커뮤니티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50649A (ko) 2011-07-05 2014-04-29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가요성 기판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KR101441196B1 (ko) 2012-11-14 2014-09-1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습효과 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9725A (ko) * 2015-09-07 2017-03-16 주식회사 다림비젼 영상 합성을 이용한 강의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898103B1 (ko) * 2017-04-04 2018-09-14 공대선 온라인 그룹 과외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99921B1 (ko) * 2017-08-24 2018-11-05 최희정 온라인 한국어 학습 시스템 및 온라인 한국어 학습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516A (ko) * 2000-09-15 2002-03-21 고영무 실시간 원격 공동 강의 시스템
KR20020096442A (ko) 2001-06-20 2002-12-31 (주)니트 젠 온라인 교육시스템 상에서의 사용자인증에 의한 출결관리방법
KR20090001801A (ko) * 2007-05-22 2009-01-09 시남근 교학 커뮤니티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50649A (ko) 2011-07-05 2014-04-29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가요성 기판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KR101441196B1 (ko) 2012-11-14 2014-09-1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습효과 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9725A (ko) * 2015-09-07 2017-03-16 주식회사 다림비젼 영상 합성을 이용한 강의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898103B1 (ko) * 2017-04-04 2018-09-14 공대선 온라인 그룹 과외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99921B1 (ko) * 2017-08-24 2018-11-05 최희정 온라인 한국어 학습 시스템 및 온라인 한국어 학습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4102A (zh) * 2020-12-29 2021-04-09 安徽鸿程光电有限公司 远程课堂系统、加入远程课堂的方法、电子设备及介质
KR20220145095A (ko) * 2021-04-21 2022-10-28 (주)페르소나에이아이 영상 기반 온라인 행사 진행 시스템
KR102585299B1 (ko) * 2021-04-21 2023-10-06 (주)페르소나에이아이 영상 기반 온라인 행사 진행 시스템
KR102346484B1 (ko) 2021-06-29 2022-01-03 주식회사 버드비 다국적 온라인 외국어 수업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KR20230009098A (ko) *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유비온 실시간 화상 교육 시스템에서의 소그룹 활동 운영 방법
KR102645746B1 (ko) 2021-07-08 2024-03-08 주식회사 유비온 실시간 화상 교육 시스템에서의 소그룹 활동 운영 방법
KR102382385B1 (ko) * 2021-09-16 2022-04-08 우석규 통합 온라인 교육 플랫폼 시스템 및 통합 온라인 교육 방법
KR20230089335A (ko) 2021-12-13 2023-06-20 (주)누리봄 취향별 도서 및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4267213A (zh) * 2021-12-16 2022-04-01 郑州捷安高科股份有限公司 实训的实时演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541558B1 (ko) * 2022-03-02 2023-06-13 라이트하우스(주) 문제 풀이 영상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240B1 (ko)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
Tarus et al. Challenges of implementing e-learning in Kenya: A case of Kenyan public universities
Kasowitz et al. Quality standards for digital reference consortia
Ducate et al. Going mobile: Language learning with an iPod touch in intermediate French and German classes
WO2019075822A1 (zh) 一种远程教学培训系统及访问控制方法
Gayeski Predicting the Success of New Media for Organizational Learning: How Can We Avoid Costly Mistakes?
Lubua Exploring the Opportunities for Integrating New Digital Technologies in Tanzania’ s Classrooms
Pankomera et al. An ICT model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in a resource constrained setting: a case of Malawi
Hasanova et al.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Distance Education
Reimer Computer science in high school: Identifying and addressing common barriers
Adhola et al. Kenya’s Pre-Covid-19 Pandemic Online Education Development and Future Prospects
Forsythe The current state of MALL in Japanese universities
Kamati et al. Assessment of Instructors' Ability to Incorporate Technology into Physics Teaching in Namibia
Oyeboade et al. AVAILABILITY, ACCESS POINTS AND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BY SCIENCE STUDENTS IN SELECTED PRIVATE SECONDARY SCHOOLS IN IBADAN, OYO STATE, NIGERIA.
Dobransky Technology use and integration by Ohio's community college ESL instructors
Dukić et al. ICT in the Primary School: Practice and Attitudes of Informatics Teachers
Singh Impac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Online Classroom
Davenport Factors related to the Tennessee K-12 educators' implementation of the Internet into classroom activiti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Mugwisi22 et al.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ccess and use by staff and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Zululand between 2002 and 2009?
Antunes et al. MOBILE LEARNING CONTRIBUTIONS TO TEACHING AND LEARNING: THE CASE OF THE UNIVERSITY OF AVEIRO
Kumar et al. Awareness of Agricultural University Teachers regarding different ICT tools
Tumiwa et al. IMPLEMENTATION OF ONLINE LEARNING DURING COVID-19 ON STUDENTS IN ACCOUNTING DEPARTMENT POLIMDO
KR20020019290A (ko) 개인화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상의 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
Kharjul Study of ICT Implementation in Teaching Learning for MBA Students
Gocić et al. KNOWLEDGE BASE AND E-LEARN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