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938B1 - 식품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식품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938B1
KR102193938B1 KR1020200060068A KR20200060068A KR102193938B1 KR 102193938 B1 KR102193938 B1 KR 102193938B1 KR 1020200060068 A KR1020200060068 A KR 1020200060068A KR 20200060068 A KR20200060068 A KR 20200060068A KR 102193938 B1 KR102193938 B1 KR 102193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food
condenser
refrigerant
heating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보영
Original Assignee
(주)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성 filed Critical (주)명성
Priority to KR1020200060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식품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퍼(200)에서 컨베이어에 투입된 식품을 건조장치에 의해 건조하는 식품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송풍기와 열교환장치와 압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발명은 히팅콘덴서와 쿨링콘덴서가 설치되어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건조가 잘되어 건조후 장기간 보존해도 식품의 변질이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품건조방법{Food drying method}
본발명은 식품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팅콘덴서와 쿨링콘덴서가 설치되어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건조가 잘되어 건조후 장기간 보존해도 식품의 변질이 적은 식품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 등의 농산품은 부패하기 쉬으므로 건조를 하여 부패를 방지하고 식감을 보존한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04307호에는 건조케이스(10)와, 온수를 발생시키는 보일러(20)와, 제1 급수관(31) 및 제1 배수관(32)을 통해 상기 보일러(20)에 연결되어 보일러(20)에서 발생된 온수를 저장하는 축열탱크(30)와, 상기 건조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2 급수관(41) 및 제2 배수관(42)을 통해 상기 축열탱크(30)에 연결된 열교환기(40)를 포함하여, 상기 보일러(20)에서 발생되어 상기 축열탱크(30)에 저장된 온수를 상기 열교환기(40)로 순환시켜 건조케이스(10) 내부를 가열하거나,
상기 보일러(2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열탱크(30)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열교환기(40)로 순환시켜 건조케이스(10)의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기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50789호에는 히터의 설정 온도, 설정시간, 설정모드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설정온도, 설정모드 및 설정시간이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의하여 구동하는 팬 구동모터;
상기 팬 구동 모터의 축에 장착되어 공기를 송풍시켜 주는 팬;
상기 팬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주기적으로 단속(on/off) 운전을 하며 설정 온도까지 가열되는 히터;
상기 히터의 주위에 위치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히팅온도센서;
상기 히터 위에 설치되며 상기 팬과 히터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순환통공과 공급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히터덮개;
상기 히터덮개 상에 위치하는 건조대;
상기 공급통공을 통하여 건조대를 거쳐서 히터덮개의 상기 순환통공으로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순환온도센서; 및
상기 히팅온도센서 및 순환온도센서의 온도 데이터로부터 건조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모드는 시간을 설정하는 매뉴얼모드 및 상기 히팅온도센서 및 순환온도센서의 온도 데이터로부터 건조도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자동모드로 구성되며, 상기 매뉴얼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온도센서의 평균 온도값과 히터에서 실제로 설정한 설정온도와의 온도차이를 연산하여 발효모드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의 건조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건조시간이 길고 건조과정이 복잡하며, 건조후 보관시 식품이 변질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히팅콘덴서와 쿨링콘덴서가 설치되어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건조가 잘되어 건조후 장기간 보존해도 식품의 변질이 적은 식품건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식품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퍼(200)에서 컨베이어에 투입된 식품을 건조장치에 의해 건조하는 식품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송풍기와 열교환장치와 압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히팅콘덴서와 쿨링콘덴서가 설치되어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건조가 잘되어 건조후 장기간 보존해도 식품의 변질이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건조실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발명의 건조장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저면도
도 8은 도 4의 수평단면도
도 9는 본발명 건조장치 냉매흐름도
본발명은 식품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퍼(200)에서 컨베이어에 투입된 식품을 건조장치에 의해 건조하는 식품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송풍기와 열교환장치와 압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200)측면에는 공기구멍(2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대습도가 50%이상이면 호퍼 내부를 교반기 블레이드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 내부에 판형열교환기(101)가 설치되고, 판형열교환기(101) 좌측 상부에는 팬(109)이 설치되고, 판형열교환기(101) 좌측에는 히팅콘덴서(103)가 설치되고, 우측과 전면에는 쿨링콘덴서(10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히팅콘덴서와 쿨링콘덴서는 하부에 설치되는 수액기(104,리시버탱크), 압축기(103)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내부 하부 우측에는 공기 냉각 컨덴서(10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장치는 히팅콘덴서(103)에서 기화된 냉매를 압축기(103)에서 압축하여 액화상태로 바꾸고, 액화 변화시 냉매는 온도상승되며, 전자변(2)을 통해 히팅콘덴서(103)로 이동하고, 히팅콘덴서(103)를 통하여 냉매 온도를 대기온도수준으로 냉각하되, 이때 히팅콘덴서(103)를 통해 온도하강이 충분치 않을 시 보조냉각기가 가동되며, 온도가 중온으로 하강한 액화상태의 냉매는 수액기(140)로 이동하고, 상기 수액기(140)에 보관된 냉매는 필터(1), 전자변(2)을 거쳐 히팅콘덴서(103)의 팽창변(3)으로 이동하며, 팽창변(3)을 통하여 액화상태의 냉매는 기화되며, 히팅콘덴서(103)를 통해 열교환되고, 위 사이클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의 건조실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발명의 건조장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저면도, 도 8은 도 4의 수평단면도, 도 9는 본발명 건조장치 냉매흐름도이다.
본발명은 식품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조실내 호퍼(200)에서 컨베이어에 건조하고자 하는 식품, 특히 마늘을 투입하고 상기 식품은 건조장치에 의해 건조된다. 상기 건조실에 건조장치의 흡입구와 토출구가 연결된다.
상기 건조장치는 송풍기와 열교환장치와 압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200)측면에는 공기구멍(201)이 다수 개 형성되어 식품이 섞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대습도가 50%이상이면 호퍼 내부를 블레이드로 혼합한다.
본발명의 건조장치는 프레임 내부에 판형열교환기(101)가 설치되고, 판형열교환기(101) 좌측 상부에는 팬(109)이 설치되고, 판형열교환기(101) 좌측에는 히팅콘덴서(103)가 설치되고, 우측과 전면에는 쿨링콘덴서(10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히팅콘덴서와 쿨링콘덴서는 하부에 설치되는 수액기(104,리시버탱크), 압축기(103)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내부 하부 우측에는 공기 냉각 컨덴서(10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는 히팅콘덴서(103)에서 기화된 냉매를 압축기(103)에서 압축하여 액화상태로 바꾸고, 액화 변화시 냉매는 온도상승되며, 전자변(2)을 통해 히팅콘덴서(103)로 이동한다. 히팅콘덴서(103)를 통하여 냉매 온도를 대기온도수준으로 냉각하되, 이때 히팅콘덴서(103)를 통해 온도하강이 충분치 않을 시 보조냉각기가 가동된다.
온도가 중온으로 하강한 액화상태의 냉매는 수액기(140)로 이동하고, 상기 수액기(140)에 보관된 냉매는 필터(1), 전자변(2)을 거쳐 히팅콘덴서(103)의 팽창변(3)으로 이동하며, 팽창변(3)을 통하여 액화상태의 냉매는 기화되며, 히팅콘덴서(103)를 통해 열교환된다. 그리고 위 사이클이 반복된다.
따라서 본발명은 히팅콘덴서와 쿨링콘덴서가 설치되어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건조가 잘되어 건조후 장기간 보존해도 식품의 변질이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200 : 호퍼 201 : 공기구멍
101 : 판형열교환기 102 : 쿨링콘덴서
103 : 히팅콘덴서 104 : 수액기, 리시버탱크
109 : 팬
1 :필터 2 : 전자변
3 : 팽창변

Claims (3)

  1. 호퍼(200)에서 컨베이어에 투입된 식품을 건조장치에 의해 건조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장치는 송풍기와 열교환장치와 압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호퍼(200)측면에는 공기구멍(201)이 형성되며, 건조장치의 프레임 내부에 판형열교환기(101)가 설치되고, 판형열교환기(101) 좌측 상부에는 팬(109)이 설치되고, 판형열교환기(101) 좌측에는 히팅콘덴서(103)가 설치되고, 우측과 전면에는 쿨링콘덴서(10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히팅콘덴서와 쿨링콘덴서는 하부에 설치되는 수액기(104), 압축기(103)와 연결되는 식품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내부에 투입된 식품은 호퍼 내부 상대습도가 50%이상이면 호퍼 내부의 블레이드로 혼합하며,
    상기 열교환장치는 히팅콘덴서(103)에서 기화된 냉매를 압축기(103)에서 압축하여 액화상태로 바꾸고, 액화 변화시 냉매는 온도상승되며, 전자변(2)을 통해 히팅콘덴서(103)로 이동하고, 히팅콘덴서(103)를 통하여 냉매 온도를 대기온도수준으로 냉각하되, 이때 히팅콘덴서(103)를 통해 온도하강이 충분치 않을 시 보조냉각기가 가동되며, 온도가 중온으로 하강한 액화상태의 냉매는 수액기(140)로 이동하고, 상기 수액기(140)에 보관된 냉매는 필터(1), 전자변(2)을 거쳐 히팅콘덴서(103)의 팽창변(3)으로 이동하며, 팽창변(3)을 통하여 액화상태의 냉매는 기화되며, 히팅콘덴서(103)를 통해 열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00060068A 2020-05-20 2020-05-20 식품건조방법 KR102193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068A KR102193938B1 (ko) 2020-05-20 2020-05-20 식품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068A KR102193938B1 (ko) 2020-05-20 2020-05-20 식품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938B1 true KR102193938B1 (ko) 2020-12-22

Family

ID=7408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068A KR102193938B1 (ko) 2020-05-20 2020-05-20 식품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9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696Y1 (ko) * 1986-01-15 1989-04-07 주식회사삼건엔지니어링 냉각제습 건조장치
KR930019149A (ko) * 1992-03-23 1993-10-18 백성기 마늘껍질제거(除去)장치
KR20130030403A (ko) * 2011-09-19 2013-03-27 정천섭 다목적 고추건조기
KR20160020795A (ko) * 2014-08-14 2016-02-24 황호진 마늘 껍질 탈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696Y1 (ko) * 1986-01-15 1989-04-07 주식회사삼건엔지니어링 냉각제습 건조장치
KR930019149A (ko) * 1992-03-23 1993-10-18 백성기 마늘껍질제거(除去)장치
KR20130030403A (ko) * 2011-09-19 2013-03-27 정천섭 다목적 고추건조기
KR20160020795A (ko) * 2014-08-14 2016-02-24 황호진 마늘 껍질 탈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325B1 (ko) 폐열을 활용한 저에너지형 건조장치
KR101650788B1 (ko)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다목적 건조기
CN102788466B (zh) 一种带高湿度果蔬室风冷冷藏箱及其运行控制方法
TW201925704A (zh) 冷凍裝置的管理系統
KR102193938B1 (ko) 식품건조방법
KR100415684B1 (ko) 히트 펌프식 건조기겸 냉장창고
CN111473572B (zh) 冰箱的控制方法和冰箱
CN114746707A (zh) 食用肉熟化模块及冰箱
KR102276068B1 (ko) 감압식 복합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 방법
WO2020151593A1 (zh) 冰箱的控制方法和冰箱
JP4183451B2 (ja) 冷却システムの制御装置
KR200266901Y1 (ko) 저온창고
JPH0718630B2 (ja) 恒温恒湿装置
KR101853674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CN205641736U (zh) 制冷设备
JPH06101966A (ja) 低温減圧乾燥機
JP3131730B2 (ja) 冷却庫の食材冷却方法
JP2020098085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0162468B1 (ko) 냉장고
JPH05126458A (ja) 高湿冷却貯蔵庫
JP5431444B2 (ja) 冷蔵庫
KR20140028402A (ko)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건조기
KR20080013310A (ko) 직간냉식 혼합형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H0424382Y2 (ko)
JP2021124225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