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674B1 - 농수산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674B1
KR101853674B1 KR1020170050716A KR20170050716A KR101853674B1 KR 101853674 B1 KR101853674 B1 KR 101853674B1 KR 1020170050716 A KR1020170050716 A KR 1020170050716A KR 20170050716 A KR20170050716 A KR 20170050716A KR 101853674 B1 KR101853674 B1 KR 101853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vaporator
pipe
drying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다성
Original Assignee
김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다성 filed Critical 김다성
Priority to KR1020170050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는 내부에 건조실(11)이 형성되고 둘레부에 급기구(12)와 배기구(13)가 형성된 건조케이스(A)와, 상기 급기구(12)와 배기구(13)에 연결되며 배기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 후 상기 급기구(12)를 통해 건조실(11)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기(B)로 구성되고, 상기 건조기(B)는 상기 배기구(13)에 연결되는 흡입구(21)와 상기 급기구(12)에 연결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를 연결하는 공기통로(25)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매관(41)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압축기(42)와 응축기(43)와 팽창밸브(44) 및 증발기(45)가 구비된 공조유닛(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증발기(45)는 흡입구(21)에 근접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43)는 상기 증발기(4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구(13)와 흡입구(21)를 통해 공기통로(25)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제습되고, 상기 응축기(43)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상기 배출구(22)와 급기구(12)를 통해 건조케이스(A)의 건조실(11)로 공급되어, 건조실(11)에 놓여진 김을 건조시킨다.
따라서, 단순히 건조실(11)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김을 건조시키는 종래의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비해 열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김이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농수산물 건조장치{dryer}
본 발명은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은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유통과 판매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김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되는 건조장치는 내부에 건조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는 김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건조대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대에 김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열풍기를 가동시키면, 상기 건조실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가 공급되어, 건조대에 올려진 김을 건조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대에 올려진 김이 건조되면서 다량의 습기가 발생됨으로, 상기 본체의 둘레부에 급기구와 배기구를 설치하여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열풍기를 이용하여 차가운 외부공기를 가열하여 본체의 내부로 공급하여야 함으로,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건조장치는 상기 열풍기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김을 건조시킴으로, 건조된 김의 품질이 자연건조된 김에 비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개특허 10-2013-0024715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냉각사이클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여 김을 건조시키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건조장치 역시 에너지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김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뿐 아니라, 김 이외의 해산물이나 기타 다양한 농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에도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건조실(11)이 형성되고 둘레부에 급기구(12)와 배기구(13)가 형성된 건조케이스(A)와, 상기 급기구(12)와 배기구(13)에 연결되며 배기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 후 상기 급기구(12)를 통해 건조실(11)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기(B)로 구성되며, 상기 건조기(B)는 상기 배기구(13)에 연결되는 흡입구(21)와 상기 급기구(12)에 연결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를 연결하는 공기통로(25)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매관(41)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압축기(42)와 응축기(43)와 팽창밸브(44) 및 증발기(45)가 구비된 공조유닛(40)과, 상기 공조유닛(40)의 냉매관(41)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 열교환기(50)와, 상기 건조실(11)의 내부 또는 상기 공기통로(25)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기(50)에 연결된 방열기(60)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45)는 흡입구(21)에 근접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43)는 상기 증발기(4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구(13)와 흡입구(21)를 통해 공기통로(25)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제습되고, 상기 응축기(43)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상기 배출구(22)와 급기구(12)를 통해 건조케이스(A)의 건조실(11)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매관(41)은 상기 압축기(42)와 응축기(43)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1a)와, 상기 응축기(43)와 팽창밸브(44)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1b)와, 상기 팽창밸브(44)와 증발기(45)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41c)와, 상기 증발기(45)와 압축기(42)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41d)로 구성되고,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제1 연결부(41a)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하는 열매체가 압축기(42)에 의해 고압으로 압축되어 고온으로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상기 제1 연결부(41a)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가열된 후, 상기 방열기(60)로 순환되어 상기 건조실(11) 내부의 공기 또는 건조실(11)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된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42)는 상기 증발기(45)와 응축기(4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압축기(42)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42)는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증발기(45)와 응축기(4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중간부에 구비된 가열관체(71)와, 상기 가열관체(71)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된 급기관(72) 및 배기관(73)과, 상기 급기관(72)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급기관(72)을 통해 가열관체(71)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기펌프(74)와, 상기 가열관체(71)에 구비되어 가열관체(71)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측정센서(75)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부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센서(76)와, 상기 제1 및 제2 온도측정센서(75,76)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기펌프(7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2)은 상기 제1 및 제2 온도측정센서(75,76)의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공기의 온도가 상기 가열관체(71)의 온도에 비해 높을 경우, 상기 급기펌프(74)를 구동시켜 상기 가열관체(71)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순환되어 상기 증발기(45)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증발기(45)의 하측에 구비되어 공기가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발생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집수통(77)과, 상기 집수통(77)에서 외부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된 배수관(78)과, 상기 배수관(78)의 내부에 구비되어 배수관(78)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수단(79)과, 상기 배수관(78)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통(77)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수관(78)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80)와, 상기 배수관(78)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78)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수단(81)과, 상기 수위측정수단(79)과 유량측정수단(81)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수펌프(80)와 공조유닛(40)의 작동을 제어하며 알람이 구비된 제어수단(82)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2)은 상기 수위측정수단(79)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집수통(77)의 내부에 일정수위 이상의 응축수가 저장되면 상기 배수펌프(80)를 구동시켜 상기 집수통(77)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유량측정수단(8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수관(78)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의 단위시간당 배출량이 미리 설정된 배출량 이하로 저하될 경우, 상기 알람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공조유닛(4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는 내부에 건조실(11)이 형성되고 둘레부에 급기구(12)와 배기구(13)가 형성된 건조케이스(A)와, 상기 급기구(12)와 배기구(13)에 연결되며 배기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 후 상기 급기구(12)를 통해 건조실(11)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기(B)로 구성되고, 상기 건조기(B)는 상기 배기구(13)에 연결되는 흡입구(21)와 상기 급기구(12)에 연결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를 연결하는 공기통로(25)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매관(41)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압축기(42)와 응축기(43)와 팽창밸브(44) 및 증발기(45)가 구비된 공조유닛(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증발기(45)는 흡입구(21)에 근접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43)는 상기 증발기(4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구(13)와 흡입구(21)를 통해 공기통로(25)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제습되고, 상기 응축기(43)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상기 배출구(22)와 급기구(12)를 통해 건조케이스(A)의 건조실(11)로 공급되어, 건조실(11)에 놓여진 김을 건조시킨다.
따라서, 단순히 건조실(11)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김을 건조시키는 종래의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비해 열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김이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김을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내부에 건조실(11)이 형성되고 둘레부에 급기구(12)와 배기구(13)가 형성된 건조케이스(A)와, 상기 급기구(12)와 배기구(13)에 연결되며 배기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 후 상기 급기구(12)를 통해 건조실(11)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기(B)로 구성된다.
상기 건조케이스(A)는 단열재 패널을 사각 박스형태로 조립하여 구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된 도어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김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건조대(14)가 구비된다.
상기 급기구(12)와 배기구(13)는 상기 건조케이스(A)의 일측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건조케이스(A)의 내부에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을 하는 전기히터(15)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전기히터(15)를 on시켜 건조케이스(A) 내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건조기(B)는 상기 배기구(13)에 연결되는 흡입구(21)와 상기 급기구(12)에 연결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를 연결하는 공기통로(25)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배기구(13)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케이스(A)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통로(25)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팬(30)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통로(25)를 통과하는 공기를 건조시킨 후 가열하는 공조유닛(40)과, 상기 공조유닛(40)의 냉매관(41)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 열교환기(50)와, 상기 건조실(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기(50)와 연결되어 상기 건조실(11)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방열기(6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은 금속판재질로 구성된 사각의 통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는 상호 상하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0)의 전면에 형성되어 연결관(23)을 통해 상기 배기구(13)와 급기구(12)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내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기통로(25)가 U자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격판(24)이 구비된다.
상기 순환팬(30)은 상기 하우징(20)의 배출구(22)에 구비되어, 구동되면 상기 공기통로(25)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22)와 급기구(12)를 통해 상기 건조케이스(A)의 내부로 배출함으로서, 상기 건조케이스(A)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13)와 흡입구(21)를 통해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로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 공조유닛(40)은 냉매관(41)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압축기(42)와 응축기(43)와 팽창밸브(44) 및 증발기(45)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관(41)은 상기 압축기(42)와 응축기(43)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1a)와, 상기 응축기(43)와 팽창밸브(44)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1b)와, 상기 팽창밸브(44)와 증발기(45)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41c)와, 상기 증발기(45)와 압축기(42)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41d)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42)와 응축기(43)와 팽창밸브(44) 및 증발기(45)는 일반적인 에어컨 등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42)를 구동시키면, 압축기(42)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응축기(43)를 통과하면서 열을 방출하여 냉각된 후, 상기 팽창밸브(44)를 통과한 후 증발기(45)의 내부에서 팽창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한 후, 상기 압축기(42)로 순환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43)의 주변은 응축기(43)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증발기(45)의 주변은 냉각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45)는 흡입구(21)에 근접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43)는 상기 증발기(4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발기(45)는 상기 격판(24)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43)는 상기 격판(24)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42)는 상기 증발기(45)와 응축기(4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중간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팬(30)과 공조유닛(40)을 구동시키면, 상기 건조케이스(A)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면서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응축되어 제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상기 압축기(42)의 주위를 통과하면서 압축기(42)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1차 가열됨과 동시에 압축기(42)를 냉각시키고, 다시 응축기(43)를 통과하면서 2차 가열된 후, 상기 건조케이스(A)의 내부로 공급되어, 건조케이스(A) 내부의 건조대(14)에 놓인 김이 건조되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기(50)는 내부에 열전도율이 높은 열매체가 저장된 것으로, 냉매관(41)의 제1 연결부(41a)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42)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제1 연결부(41a)를 통과해 응축기(43)로 공급되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내부에 저장된 열매체가 가열되도록 한다.
상기 열매체는 일반적인 물이나 기타 다양한 오일 등을 이용한다.
상기 방열기(60)는 순환관(61)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50)에 연결된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건조케이스(A)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방열기(60)를 통과하도록 하는 송풍팬(62)이 구비된다.
상기 순환관(61)은 중간부에 상기 열교환기(50)의 내부에서 가열된 열매체가 강제로 상기 방열기(60)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61a)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기(B)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순환펌프(61a)를 구동시키면, 상기 열교환기(5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열매체가 상기 방열기(60)로 공급되어 방열기(60)가 가열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송풍팬(62)을 구동시키면, 건조케이스(A)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방열기(6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건조케이스(A) 내부의 온도를 더욱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건조케이스(A)에 놓여진 김이 더욱 빨리 건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농수산물 건조기는 내부에 건조실(11)이 형성되고 둘레부에 급기구(12)와 배기구(13)가 형성된 건조케이스(A)와, 상기 급기구(12)와 배기구(13)에 연결되며 배기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 후 상기 급기구(12)를 통해 건조실(11)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기(B)로 구성되고, 상기 건조기(B)는 상기 배기구(13)에 연결되는 흡입구(21)와 상기 급기구(12)에 연결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를 연결하는 공기통로(25)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매관(41)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압축기(42)와 응축기(43)와 팽창밸브(44) 및 증발기(45)가 구비된 공조유닛(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증발기(45)는 흡입구(21)에 근접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43)는 상기 증발기(4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구(13)와 흡입구(21)를 통해 공기통로(25)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제습되고, 상기 응축기(43)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상기 배출구(22)와 급기구(12)를 통해 건조케이스(A)의 건조실(11)로 공급되어, 건조실(11)에 놓여진 김을 건조시킨다.
따라서, 단순히 건조실(11)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김을 건조시키는 종래의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비해 열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김이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냉매관(41)의 제1 연결부(41a)에는 열교환기(50)가 구비되고, 상기 건조실(11)의 내부에는 상기 열교환기(50)와 연결된 방열기(60)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부(41a)를 통과하는 고온의 냉매의 열을 이용하여 건조케이스(A) 내부의 공기를 추가적으로 가열함으로서, 상기 건조기(B)의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기히터(15)를 이용하여 건조케이스(A) 내부의 공기를 가열할 필요성을 감소시켜, 전기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열기(60)는 상기 건조케이스(A)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방열기(60)는 상기 하우징(20)의 공기통로(25)의 내부에 상기 배출구(22)에 근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건조케이스(A)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증발기(45)와 응축기(4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중간부에 구비된 가열관체(71)와, 상기 가열관체(71)와 연결되도록 외부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된 급기관(72) 및 배기관(73)과, 상기 급기관(72)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급기관(72)을 통해 가열관체(71)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기펌프(74)와, 상기 가열관체(71)에 구비되어 가열관체(71)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측정센서(75)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부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센서(76)와, 상기 증발기(45)의 하측에 구비되어 공기가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발생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집수통(77)과, 상기 집수통(77)에서 외부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된 배수관(78)과, 상기 배수관(78)의 내부에 구비되어 배수관(78)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수단(79)과, 상기 배수관(78)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통(77)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수관(78)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80)와, 상기 배수관(78)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78)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수단(81)과, 제1 및 제2 온도측정센서(75,76)와 상기 수위측정수단(79) 및 유량측정수단(81)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급기펌프(74)와 배수펌프(80)와 공조유닛(40)의 작동을 제어하며 알람이 구비된 제어수단(82)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열관체(71)는 일반적인 라디에이터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압축기(42)와 응축기(4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급기펌프(74)는 일반적인 피스톤펌프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작동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급기관(72)을 통해 상기 가열관체(71)의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는 상기 가열관체(71)의 온도와 외부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값을 상기 제어수단(82)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수통(77)은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증발기(45)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격판(24)에 구비된다.
상기 수위측정수단(79)은 상기 집수통(77)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통(77)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량측정수단(81)은 상기 배수관(78)의 중간부에 구비된 유량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펌프(80)가 구동되어 상기 집수통(77)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배수관(78)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때, 상기 배수관(78)을 통과하는 응축수의 배출량을 측정하도록 구성하고, 측정된 배출량의 값을 상기 제어수단(82)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배수관(78)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센서는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수단(82)은 제1 및 제2 온도측정센서(75,7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온도측정센서(75)에 의해 측정된 가열관체(71)의 온도에 비해 외부의 온도가 높을 경우, 상기 급기펌프(74)를 구동시켜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급기관(72)을 통해 가열관체(71)로 공급되어 상기 공기통로(25)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한 후 상기 배기관(73)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열관체(71)의 온도가 상기 공기통로(25)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에 비해 높게 상승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통로(25)를 따라 가열관체(71)의 둘레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외부공기의 온도로 상승된 후, 상기 응축기(43)를 통과하면서 재차 상승됨으로, 응축기(43)를 통과하여 건조케이스(A)의 내부로 상승되는 공기의 온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2)은 상기 수위측정수단(79)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집수통(77)의 내부에 일정수위 이상의 응축수가 저장되면 상기 배수펌프(80)를 일정시간동안 구동시켜 상기 집수통(77)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집수통(77)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낮아지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82)은 상기 유량측정수단(8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수관(78)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의 단위시간당 배출량이 미리 설정된 배출량 이하로 저하될 경우, 상기 알람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공조유닛(4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즉, 상기 응축수는 상기 건조케이스(A)의 내부에 있는 김에서 증발된 수분이 공기와 함께 상기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응축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김이 충분히 건조될 경우, 상기 증발기(45)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양이 줄어들게 됨으로, 상기 유량측정수단(81)을 이용하여 상기 배수관(78)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의 단위시간당 배출량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건조케이스(A)의 내부에 있는 김의 건조상태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82)은 상기 유량측정수단(81)의 신호를 수신하여, 응축수의 단위시간당 배출량이 미리 정해진 배출량 이하로 저하될 경우, 김이 충분히 냉각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람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김이 충분히 냉각된 것을 알려줌과 동시에, 상기 공조유닛(40)의 작동을 정지시켜 김을 건조시키는 장점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증발기(45)와 응축기(4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중간부에 구비된 가열관체(71)와, 상기 가열관체(71)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된 급기관(72) 및 배기관(73)과, 상기 급기관(72)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급기관(72)을 통해 가열관체(71)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기펌프(74)와, 상기 가열관체(71)에 구비되어 가열관체(71)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측정센서(75)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부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센서(76)와, 상기 제1 및 제2 온도측정센서(75,76)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기펌프(7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2)이 구비되어, 외부공기의 온도가 상기 가열관체(71)의 온도에 비해 높을 경우, 상기 급기펌프(74)를 구동시켜 상기 가열관체(71)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순환되어 상기 증발기(45)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를 가열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42)와 응축기(43)만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공기를 더욱 높은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여름철과 같이, 외부공기의 온도가 높은 경우, 건조케이스(A)의 내부에 구비된 전기히터(15)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45)의 하측에 구비되어 공기가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발생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집수통(77)과, 상기 집수통(77)에서 외부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된 배수관(78)과, 상기 배수관(78)의 내부에 구비되어 배수관(78)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수단(79)과, 상기 배수관(78)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통(77)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수관(78)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80)와, 상기 배수관(78)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78)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수단(81)과, 상기 수위측정수단(79)과 유량측정수단(81)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수펌프(80)와 공조유닛(40)의 작동을 제어하며 알람이 구비된 제어수단(82)을 이용하여, 상기 집수통(77)에 저장되어 배수관(78)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의 유량을 이용하여 건조케이스(A)에 배치된 김의 건조상태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김이 충분히 건조되면 상기 건조기(B)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킴으로,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즉, 이러한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경우, 상기 건조기(B)를 통과하여 건조된 공기가 상기 건조케이스(A)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 건조케이스(A)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것으로는 김의 건조상태를 감지할 수 없으며, 김의 건조상태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김의 건조상태를 직접 확인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수관(78)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의 유량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김의 건조상태를 자동으로 측정함으로써,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김의 건조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는 김의 건조에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농수산물 건조기는 김 이외에, 다양한 농수산물이 건조에 사용될 수 있다.
A. 건조케이스 B. 건조기
20. 하우징 30. 순환팬
40. 공조유닛 50. 열교환기
60. 방열기

Claims (4)

  1. 내부에 건조실(11)이 형성되고 둘레부에 급기구(12)와 배기구(13)가 형성된 건조케이스(A)와,
    상기 급기구(12)와 배기구(13)에 연결되며 배기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 후 상기 급기구(12)를 통해 건조실(11)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기(B)로 구성되며,
    상기 건조기(B)는
    상기 배기구(13)에 연결되는 흡입구(21)와 상기 급기구(12)에 연결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를 연결하는 공기통로(25)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매관(41)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압축기(42)와 응축기(43)와 팽창밸브(44) 및 증발기(45)가 구비된 공조유닛(40)과,
    상기 공조유닛(40)의 냉매관(41)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 열교환기(50)와,
    상기 건조실(11)의 내부 또는 상기 공기통로(25)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기(50)에 연결된 방열기(60)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45)는 흡입구(21)에 근접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43)는 상기 증발기(4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구(13)와 흡입구(21)를 통해 공기통로(25)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제습되고, 상기 응축기(43)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상기 배출구(22)와 급기구(12)를 통해 건조케이스(A)의 건조실(11)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매관(41)은
    상기 압축기(42)와 응축기(43)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1a)와,
    상기 응축기(43)와 팽창밸브(44)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1b)와,
    상기 팽창밸브(44)와 증발기(45)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41c)와,
    상기 증발기(45)와 압축기(42)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41d)로 구성되고,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제1 연결부(41a)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하는 열매체가 압축기(42)에 의해 고압으로 압축되어 고온으로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상기 제1 연결부(41a)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가열된 후, 상기 방열기(60)로 순환되어 상기 건조실(11) 내부의 공기 또는 건조실(11)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된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42)는 상기 증발기(45)와 응축기(4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압축기(42)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42)는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증발기(45)와 응축기(4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25)의 중간부에 구비된 가열관체(71)와,
    상기 가열관체(71)에 연결되도록 외부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된 급기관(72) 및 배기관(73)과,
    상기 급기관(72)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급기관(72)을 통해 가열관체(71)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기펌프(74)와,
    상기 가열관체(71)에 구비되어 가열관체(71)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측정센서(75)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부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센서(76)와,
    상기 제1 및 제2 온도측정센서(75,76)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기펌프(7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2)은 상기 제1 및 제2 온도측정센서(75,76)의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공기의 온도가 상기 가열관체(71)의 온도에 비해 높을 경우, 상기 급기펌프(74)를 구동시켜 상기 가열관체(71)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순환되어 상기 증발기(45)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45)의 하측에 구비되어 공기가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발생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집수통(77)과,
    상기 집수통(77)에서 외부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된 배수관(78)과,
    상기 배수관(78)의 내부에 구비되어 배수관(78)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수단(79)과,
    상기 배수관(78)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통(77)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수관(78)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80)와,
    상기 배수관(78)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78)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수단(81)과,
    상기 수위측정수단(79)과 유량측정수단(81)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수펌프(80)와 공조유닛(40)의 작동을 제어하며 알람이 구비된 제어수단(82)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2)은 상기 수위측정수단(79)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집수통(77)의 내부에 일정수위 이상의 응축수가 저장되면 상기 배수펌프(80)를 구동시켜 상기 집수통(77)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유량측정수단(8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수관(78)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의 단위시간당 배출량이 미리 설정된 배출량 이하로 저하될 경우, 상기 알람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공조유닛(4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20170050716A 2017-04-19 2017-04-19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853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716A KR101853674B1 (ko) 2017-04-19 2017-04-19 농수산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716A KR101853674B1 (ko) 2017-04-19 2017-04-19 농수산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674B1 true KR101853674B1 (ko) 2018-05-02

Family

ID=6218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716A KR101853674B1 (ko) 2017-04-19 2017-04-19 농수산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342B1 (ko) * 2022-02-28 2022-08-26 고용현 에너지절감형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278A (ja) 1999-06-18 2001-01-12 Shizuoka Gas Kk 乾燥装置及び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278A (ja) 1999-06-18 2001-01-12 Shizuoka Gas Kk 乾燥装置及び加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342B1 (ko) * 2022-02-28 2022-08-26 고용현 에너지절감형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75357B (zh) 干燥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洗衣干燥机
CN110055730B (zh) 一种热泵干衣机及控制方法
CN101302708B (zh) 衣物干燥机
US20100162584A1 (en)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CN110670322B (zh) 一种干衣机及其干衣方法
KR101095897B1 (ko) 저온 저장 가능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KR101200325B1 (ko) 폐열을 활용한 저에너지형 건조장치
CN103154353B (zh) 衣物处理设备及其操作方法
CN104619906A (zh) 具有装载求取装置的冷凝烘干机以及用于其运行的方法
KR20090037562A (ko) 농수축산물 건조 및 저온저장용 냉매장치
CN104437683B (zh) 高温高湿试验箱
KR101452466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온풍 건조시스템
KR101729581B1 (ko)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KR101853674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030026033A (ko) 히트 펌프식 건조기겸 냉장창고
KR20170089049A (ko) 에어컨장치
CN211476637U (zh) 能量回收型高温热泵烘干机
KR101756099B1 (ko) 지열원 열펌프열풍건조기
KR101060475B1 (ko) 자연제상을 이용한 농수산물용 냉난방시스템
CN209459374U (zh) 一种热泵和太阳能耦合的消防水带干燥装置
KR101122725B1 (ko) 히트펌프식 냉난방장치
KR102276068B1 (ko) 감압식 복합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 방법
KR20130024715A (ko) 에너지 절약형 김 건조기
CN208419395U (zh) 一种带有保鲜功能的烘干机系统
KR101126890B1 (ko) 건조기겸 냉?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