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338B1 -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338B1
KR102193338B1 KR1020200060973A KR20200060973A KR102193338B1 KR 102193338 B1 KR102193338 B1 KR 102193338B1 KR 1020200060973 A KR1020200060973 A KR 1020200060973A KR 20200060973 A KR20200060973 A KR 20200060973A KR 102193338 B1 KR102193338 B1 KR 102193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shielding plate
opening
plat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동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텍 filed Critical (주)케이지텍
Priority to KR102020006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시공시 외벽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개방부 차폐판을 슬라이드 개폐부재로 간단히 개폐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개방부 차폐판을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개방부 차폐판은 상부 차폐판과 하부 차폐판으로 분리 구성하고, 수평 보강대에 의해 일측 단부가 지지되어 고정되고 다른측 단부는 하부 차폐판을 지지하는 하부 세로보의 정면부 일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되 건축물 외벽의 개방부 외측에서 개방부 쪽으로 전/후진하도록 설치되어 전/후진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하부 세로보를 건축물 외벽의 개방부 외측에서 밀거나 당겨 건축물 외벽의 개방부에 설치된 하부 차폐판을 개폐하는 차폐판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ㅡ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를 제공하여, 갱폼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시공 과정에서 거푸집 해체 작업시 개방부를 차폐하여 소음이나 분진 등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고 필요에 따라 개방부를 개방하여 환기나 채광 등을 통해 공사 현장 내부의 작업 환경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hielding plate installed in the open section of the bulding by sli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을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갱폼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시공 과정에서 건축물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개방부 차폐판을 단순한 전/후진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푸집 해체 작업시 개방부 차폐판으로 건축물의 개방부를 차폐함으로써 소음이나 분진 등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개방부 차폐판을 임의로 개방하여 건축물의 개방부를 통해 환기나 채광 등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내부 작업 환경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또는 상가 등과 같은 건축물은 대부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외벽의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건축물의 외벽 시공에는 대형 철제로 이루어진 외벽 거푸집, 즉 갱폼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갱폼은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 정해진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고 콘크리트가 굳기 전까지 수분의 누출 방지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외벽 보호 역할을 수행하며,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해체 후 인양되어 상층부의 외벽 시공에 재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건축물의 외벽에는 다양한 크기의 창을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개방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개방부를 통해 거푸집(유로폼, 알루미늄폼 등) 해체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분진 등이 그대로 외부로 방출되기도 하며, 특히, 건축물의 천장부에 설치된 중량의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낙하하는 거푸집의 바닥면 충돌에 기인한 소음과 분진은 주변 거주민들에게 상당한 양의 피해를 주어 각종 민원의 주원인이 됨에 따라 건축 공사 현장에서의 소음 진동 및 비산 먼지방지 등과 같은 관련된 법적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6464호(2012.02.07.등록, 명칭: 개방 벽체 차단시스템, 이하 '특허문헌1'이라 약칭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6054호(2014.04.10.등록, 명칭: 건축 공사용 거푸집 차폐장치, 이하 '특허문헌2'라 약칭함),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79596호(2016.02.06. 등록, 명칭: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이하 '특허문헌3'이라 약칭함) 등에서는 갱폼에 고정되고, 건축물의 외벽 시공시 건축물의 개방부를 차폐하여 개방부를 통해 소음과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거푸집 해체 후에는 갱폼과 함께 인양하여 그 상층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차폐하도록 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차폐판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갱폼에는 복수 개의 세로보를 보강하기 위해 세로보들의 하단부에 수평 보강대가 설치되고, 이러한 수평 보강대는 갱폼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보통 건축물의 개방부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이러한 구조에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 3에서 제안된 일체형 사각판 형상의 차폐판을 세로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평 보강대를 절단하여 제거한 후 차폐판을 고정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그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83370호(2017.04.27. 등록, 명칭: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이하 '특허문헌4'라 약칭함)에는 갱폼의 수평 보강대를 경계로 상하로 분할된 차폐판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를 제안하여, 수평 보강대를 절단하여 제거하지 않고 존치된 상태에서 분할 차폐판을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89664호(2019.07.12. 등록, 명칭: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이하 '특허문헌5'라 약칭함)에는 분할 차폐판의 간격유지 및 틈새 차폐용 차폐부재를 구비하여 건축물의 외벽과 분할 차폐판 간의 간격으로 인한 틈새를 통해 소음이나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의 분할 차폐판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갱폼의 수평 보강대(4c)를 경계로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11)과, 수평 보강대(4c)를 경계로 하부에 설치되는 하판(12)으로 분할되어 수평 보강대가 존치된 상태에서 분할 차폐판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분할 차폐판의 경우 한번 설치되고 나면 해체작업을 통해서 분리 가능하므로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거푸집 해체시에 분리하게 되며, 여름철 등과 같이 기온 상승 또는 기타의 이유로 인한 작업 환경 등의 개선을 위해 통풍 또는 환기 또는 채광 등이 필요한 경우 쉽게 차폐판을 개방하지 못하게 되어 공사 현장 내부의 환경 개선에 많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116464 B1 2012.02.07. 등록 KR 10-1386054 B1 2014.04.10. 등록 KR 20-0479596 Y1 2016.02.06. 등록 KR 20-0483370 Y1 2017.04.27. 등록 KR 20-0489664 Y1 2019.07.12.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갱폼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시공 과정에서 건축물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개방부 차폐판을 전/후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단지 손잡이만을 당기거나 회전시겨 조작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개방부 차폐판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푸집 해체 작업시 개방부 차폐판으로 건축물의 개방부를 차폐하여 소음이나 분진 등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개방부 차폐판을 용이하게 개방하여 건축물의 개방부를 통해 환기나 채광 등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사 현장 내부의 작업 환경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건축물 시공시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갱폼, 발판대 또는 케이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부에 고정되어 건축물 외벽의 개방부를 차폐하고 상기 갱폼 또는 케이지와 함께 인양되는 개방부 차폐판을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 차폐판은 상기 갱폼의 수평 보강대를 경계로 상측에 설치되되 상부 세로보에 의해 지지되어 건축물 외벽의 개방부 일부를 차폐하는 상부 차폐판과, 상기 갱폼의 수평 보강대를 경계로 하측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세로보와 분리되는 별도의 하부 세로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상부 차폐판에 의해 밀폐되지 않고 개방되는 상기 건축물 외벽의 개방부 나머지 부위를 차폐하는 하부 차폐판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수평 보강대에 의해 일측 단부가 지지되어 고정되고 다른측 단부는 상기 하부 차폐판을 지지하는 하부 세로보의 정면부 일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되 건축물 외벽의 개방부 외측에서 개방부 쪽으로 전/후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후진 동작에 의해 하부 세로보를 건축물 외벽의 개방부 외측에서 밀거나 당겨 건축물 외벽의 개방부에 설치된 하부 차폐판을 개폐하는 차폐판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는, 상부 차폐판 또는 하부 차폐판 중 어느 하나와 건축물 외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차폐판 또는 하부 차폐판 중 어느 하나와 건축물의 외벽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부 차폐판 또는 하부 차폐판 중 어느 하나와 건축물의 외벽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형성된 틈새를 메우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여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갱폼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시공시 거푸집 해체 작업과정에서 건축물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개방부 차폐판을 단지 손잡이만을 당기거나 회전시켜 조작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전/후진 슬라이드시켜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되므로 거푸집 해체 작업시 개방부 차폐판으로 건축물의 개방부를 차폐하여 소음이나 분진 등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개방부 차폐판을 용이하게 개방하여 건축물 개방부를 통해 환기나 채광 등이 이루어지게 하여 공사 현장 내부의 작업 환경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가 건축물 외벽의 개방부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에서 차폐판 슬라이드부재를 발췌하여 예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차폐판 슬라이드부재의 전/후진 동작 상태를 예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가 건축물 외벽의 개방부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에서 차폐판 슬라이드부재를 발췌하여 예시한 조립사시도이며,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차폐판 슬라이드부재의 전/후진 동작 상태를 예시한 작동 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는, 상부 차폐판(11)과 하부 차폐판(12)으로 분리 구성되는 개방부 차폐판(10), 및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 외측에서 개방부 쪽으로 전진 또는 반대로 후진하는 동작에 의해 하부 차폐판(12)을 개폐하여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를 개폐하는 차폐판 슬라이드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는 상부 차폐판(11) 또는 하부 차폐판(12) 중 어느 하나와 건축물 외벽(1) 사이의 간격 유지 또는 틈새 메움을 위한 밀폐부재(30)를 더 포함하여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는 건축물 시공시 건축물의 외벽(1)에 설치되는 갱폼, 발판대(5) 또는 케이지(2)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부에 고정되어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를 차폐하고 갱폼 또는 케이지(2)와 함께 인양되는 개방부 차폐판(10)을 구비한 장치에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갱폼은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 대형 철제로 이루어진 외부 거푸집으로서, 그 크기, 구조 및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으며, 건축물의 외벽(1)에 대면하는 플레이트(4a), 플레이트(4a)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보(미도시), 가로보와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세로보(4b), 세로보(4b)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세로보(4b)의 하단부를 보강하는 수평 보강대(4c)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보(4b)는 하단부가 플레이트(4a)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건축물의 개방부(1a)의 일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내측면(건축물의 외벽방향)에 수평 보강대(4c)가 직교하는 방향(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보강되고, 수평 보강대(4c)는 최하측 가로보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개방부 차폐판(10)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 차폐판(11)과 하부 차폐판(12)으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부 차폐판(11)은 갱폼의 수평 보강대(4c)를 경계로 상측에 설치되어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 일부를 차폐하며, 상부 세로보(13) 또는 가로보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거나, 또는 갱폼이나 케이지(2)의 일측부에 별도의 지지부재, 예를 들면, 막대 형상의 지지대 또는 고정 브라켓 등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하부 차폐판(12)은 갱폼의 수평 보강대(4c)를 경계로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 차폐판(11)에 의해 밀폐되지 않고 개방되는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의 나머지 부위를 차폐하며, 상부 세로보(13)와 분리되는 별도의 하부 세로보(14)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차폐판(11)과 하부 차폐판(12)은 빛을 투과하여 채광성을 개선하기 위해 아크릴, 렉산(Lexan, 제품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투명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는 진공층 혹은 공기층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진공층과 공기층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부 차폐판(11)과 하부 차폐판(12)은 단일 낱장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복수 개가 서로 분할된 분할판으로 제작된 후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접착부재를 통해 상호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차폐판(11)과 하부 차폐판(12)은 방음시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흡음재 또는 차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열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음재는 소음을 흡음할 수 있는 재질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음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기공이 형성된 재질을 사용한다. 일례로, 폴리프로필렌(Polyprofylene, PP), 부직포, 스펀지, 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글라스 울(Glass wool), 계란판형 스펀지, 펠트(Felt), 발포성 폴리스틸렌(Expandable Polystyrene, EPS), 패브릭(Fabric), 코르크, 유리섬유(Glass fiber)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이 적어도 2종 이상 혼합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차음재는 차음성 재질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 고무, 염화비닐수지(Polyvinyl chloride, PVC), 발포성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비닐리덴(Polyvinylidene), 폴리프로필렌 (Polyprofylene, PP),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단독, 혹은 이들이 적어도 2종 이상 혼합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단열재는 건축물의 개방부의 보온을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뽁뽁이, 스티로폼, 암면, 드라이비트, 유리섬유, 혹은 알루미늄 박판,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발포폴리스티렌(EPS)(비드법보호판 포함), 압출발포폴리스티렌(압출법보호판 포함), 발포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폴리에틸렌(PE), 발포폴리우레탄(PU), 부직포(PET)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 차폐판(10)은 건축물의 개방부(1a)를 차폐하여 갱폼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시공시 거푸집 해체 작업과정에서 건축물의 개방부(1a)를 통해 소음과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거푸집 해체 후에는 갱폼과 함께 인양된다.
차폐판 슬라이드부재(20)는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갱폼의 수평 보강대(4c)에 의해 일측 단부가 지지되어 고정되고 다른측 단부는 하부 차폐판(12)을 지지하는 하부 세로보(14)의 정면부 일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되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 외측에서 개방부 쪽으로 전진 또는 그 반대로 후진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전/후진 동작에 의해 하부 세로보(14)를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 외측에서 개방부 쪽으로 밀거나 또는 반대로 당겨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에 설치된 하부 차폐판(12)을 개폐하고, 하부 차폐판(12)의 전/후진 슬라이드동작에 의해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차폐판 슬라이드부재(2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안내부(21), 슬라이드부(22), 고정판(23), 차폐판 후진부(24), 및 차폐판 복귀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드 안내부(21)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갱폼의 수평 보강대(4c)에 의해 일측부가 지지되어 고정되되 수평 보강대(4c)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며 슬라이드부(22)의 수평 이동을 위한 일정 길이를 갖고 내부가 빈 직사각형 단면의 몸체로 형성되어 몸체의 길이 이내에서 슬라이드부(22)의 전/후진 수평 이동을 안내한다.
슬라이드부(22)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안내부(21)의 둘레 전체를 감싸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안내부(21)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단면을 갖고 내부가 빈 중공형 몸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안내부(21)의 외측에 설치되며, 슬라이드부(22)의 몸체 하부 일측에는 하부 세로보(14)의 상단부가 수직하게 고정되어 하부 세로보(14)가 슬라이드부(22)와 일체로 슬라이드 안내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수평이동되게 형성된다.
고정판(23)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안내부(21)의 다른 일측부에 설치되되 하부 세로보(14)와 평행하도록 슬라이드 안내부(21)에 수직하게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슬라이드부(22)의 전후진 슬라이드 동작시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차폐판 후진부(24)와 차폐판 복귀부(25)의 체결을 위한 후진부 체결홈(231)과 복귀부 체결홈(232)이 각각 형성되어 각 체결홈(231,232)에 조립되는 차폐판 후진부(24)와 차폐판 복귀부(25)를 각각 지지 및 고정한다. 특히 이러한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에는 후술될 스토퍼 너트(242)의 왕래 및 걸림이 가능하도록 스토퍼 너트(242)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판 후진부(24)는 선단부가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관통하여 하부 세로보(14)의 정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고정되고 후단부에 파지를 위한 손잡이(241)가 형성되는 원통형 볼트몸체로서, 고정판(23)에 거치되는 상태로 지지 및 안내되어 전/후진 또는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하부 세로보(14)와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차폐판(12)을 전체적으로 전/후진 이동시키거나 후진 이동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차폐판 후진부(24)는 손잡이(241)와 이격되는 위치의 볼트몸체 중간부에 스토퍼 너트(242)가 볼트 결합으로 체결되어 필요에 따라 손잡이(241)와 스토퍼 너트(242)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토퍼 너트(242)에는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통해 왕래와 걸림이 둘 다 가능하도록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인 걸림돌기(24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에도 이러한 걸림돌기(242a)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걸림돌기(242a)에 대응하는 형상의 요홈(231a)이 형성되어 스토퍼 너트(242)가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판 복귀부(25)는 몸체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탄성스프링(251)이 끼움 조립된 상태로 선단부가 하부 세로보(14)의 정면부 일측에 고정되고 후단부는 고정판(23)의 복귀부 체결홈(232)을 관통하여 복귀부 체결홈(232)의 후방쪽에서 고정용 너트(252)에 의해 조립 및 고정되는 원통형 볼트몸체로서, 상기 차폐판 후진부(24)와 상호 작용하여 스프링 압축력에 의해 상기 차폐판 후진부(24)의 후진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상기 차폐판 후진부(24)를 전진 이동시켜 하부 차폐판(12)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차폐판 복귀부(25)는 차폐판 후진부(24)의 손잡이(241)를 당기는 힘에 의해 탄성스프링(251)이 압축되면서 차폐판 후진부(24)에 의한 하부 세로보(14)와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차폐판(12)의 후진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하부 세로보(14)와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차폐판(12)의 후진 이동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차폐판 후진부(24)의 손잡이(241)를 회전시켜 스토퍼 너트(24b)의 방향과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의 방향을 일치시키게 되면 탄성스프링(251)의 복원력이 하부 세로보(14)를 밀어내 하부 세로보(14)와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차폐판(12)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폐판 복귀부(25)는 슬라이드부(22)에 의한 하부 세로보(14)의 전/후진 동작시 하부 세로보(14)와 고정판(23) 간의 간격 및 평형 유지를 위한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안내부(21)와 차폐판 후진부(24) 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차폐판 후진부(24) 및 차폐판 복귀부(25)에 의하면, 도 4의 (a) 및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먼저 차폐판 후진부(24)의 손잡이(241)를 당기는 경우 차폐판 복귀부(25)의 탄성스프링(251)이 압축되면서 하부 세로보(14)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당겨지게 되어 슬라이드부(22)가 슬라이드 안내부(2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손잡이(241)를 회전시켜 스토퍼 너트(242)의 걸림돌기(242a)의 방향을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의 요홈(231a)의 방향과 일치시켜 손잡이(241)를 계속해서 당기게 되면 스토퍼 너트(242)가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통과하게 되어 하부 세로보(14)와 하부 차폐판(12)을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로부터 후진 이동시켜 개방부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 너트(242)가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통과하게 되면 그 상태에서 다시 손잡이(241)를 회전시켜 스토퍼 너트(242)의 걸림돌기(242a) 방향이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의 요홈(231a)의 방향과 엇갈리게 하여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의 후방쪽에서 스토퍼 너트(242)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하부 세로보(14)와 하부 차폐판(12) 및 슬라이드부(22)의 후진 상태, 하부 차폐판(12)이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작업장의 환기 또는 채광 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후 손잡이(241)를 다시 회전시켜 스토퍼 너트(242)의 걸림돌기(242a)의 방향이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의 요홈(231a)의 방향과 일치되게 하여 손잡이(241)를 당기고 있던 힘을 해제시키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스프링(251)의 복원력에 의해 차폐판 복귀부(25)가 하부 세로보(14)를 밀어낼 수 있게 되고, 스토퍼 너트(242)가 후단부 쪽에서 선단부 쪽으로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통과하여 하부 세로보(14) 및 슬라이드부(2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따라서 하부 차폐판(12)이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를 폐쇄시킴으로써 작업장의 소음 또는 분진 등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밀폐부재(30)는 상부 차폐판(11) 또는 하부 차폐판(12) 중 어느 하나와 건축물의 외벽(1)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차폐판(11) 또는 하부 차폐판(12) 중 어느 하나와 건축물의 외벽(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부 차폐판(11) 또는 하부 차폐판(12) 중 어느 하나와 건축물의 외벽(1)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형성된 틈새를 메우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밀폐부재(30)는 차음재 또는 흡음재, 또는 기밀성과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축과 복원력을 갖는 신축성 또는 탄성재질의 방음판(31)과, 방음판(31)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부 차폐판(11) 또는 하부 차폐판(12)에 부착되는 접착층(32)을 포함하고, 방음판(31)은 건축물의 외벽(1)에 밀착되는 일면에 다수 개의 요철(31a)이 형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방부 차폐판(10)을 상부 차폐판(11)과 하부 차폐판(12)으로 분리시켜, 상부 차폐판(11)은 갱폼의 수평 보강대(4c)를 경계로 상측에 상부 세로보(13)에 의해 지지되게 하여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 일부(상부)를 차폐하도록 설치하고, 하부 차폐판(12)은 갱폼의 수평 보강대(4c)를 경계로 하측에 설치하되 상부 세로보(13)와 분리되는 별도의 하부 세로보(14)에 의해 지지되게 하여 상부 차폐판(11)에 의해 밀폐되지 않고 개방되는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의 나머지 부위를 차폐하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 세로보(13)와 하부 세로보(14)에 의해 각각 지지하여 상부 차폐판(11)과 하부 차폐판(12)이 설치되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폐판 슬라이드부재(20)의 슬라이드 안내부(21)를 갱폼의 수평 보강대(4c)의 일측 단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한다. 이때 슬라이드 안내부(21)는 수평 보강대(4c)와 수직하면서 하부 세로보(14)와도 수직하도록 수평으로 배치하여 고정한다.
슬라이드 안내부(21)가 고정되면, 그 둘레 전체를 감싸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안내부(21)의 외측에 슬라이드부(22)를 끼워 조립하여 슬라이드부(22)가 슬라이드 안내부(21)의 외측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아울러 슬라이드부(22)의 하부 일측에 하부 세로보(14)의 상단면부를 용접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슬라이드부(22)가 슬라이드 안내부(21)를 따라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하게 될때 하부 세로보(14)도 슬라이드부(22)와 함께 슬라이드 안내부(21)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부(22)와 하부 세로보(14)가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안내부(21)의 다른측 단부(후단부)에는 용접에 의해 고정판(23)을 설치한다. 이때 고정판(23)은 슬라이드 안내부(21)의 단부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되 하부 세로보(14)와 평행하도록 배치하고 슬라이드 안내부(21)와 맞닿는 부분을 용접시켜 고정한다.
이후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과 복귀부 체결홈(232)에 각각 차폐판 후진부(24)와 차폐판 복귀부(25)를 각각 관통시켜 체결한다.
이때 차폐판 후진부(24)는 볼트 몸체의 선단부를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스토퍼 너트(242)를 볼트 몸체에 조립하여 체결하되 후단부의 손잡이(241)와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의 볼트몸체 중간부에 스토퍼 너트(242)가 위치되도록 체결하고, 그 선단부는 하부 세로보(14)의 정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스토퍼 너트(242)는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통해 왕래와 걸림이 둘 다 가능하도록 상하(또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인 걸림돌기(242a)가 돌출 형성되므로,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에도 걸림돌기(242a)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걸림돌기(242a)에 대응하는 형상의 요홈(231a)을 형성하여, 스토퍼 너트(242)가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용이하게 관통 또는 걸릴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차폐판 후진부(24)는 후단부의 손잡이(241)를 파지하여 당기거나 회전시키는 동작, 및 손잡이(241)와 이격되어 볼트몸체의 중간부에 체결된 스토퍼 너트(242)가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통해(즉, 스토퍼 너트(242)의 걸림돌기(242a)가 후진부 체결홈(231)의 요홈(231a)을 통해) 왕래하거나 걸리는 동작에 의해 하부 세로보(14)와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차폐판(12)을 전체적으로 후진 또는 전진 이동시키거나 후진 이동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차폐판 후진부(24)는 볼트몸체의 중간부에 체결되는 스토퍼 너트(242)의 체결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후단부 손잡이(241)와 스토퍼 너트(242)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슬라이드 안내부를 타고 전후진 수평이동하는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세로보(14)와 하부 차폐판(12)의 전후진 수평이동거리, 차폐판 복귀부(25)의 스프링 압축력에 의한 탄성적인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차폐판 복귀부(25)는 볼트 몸체의 선단부를 고정판(23)의 복귀부 체결홈(232)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볼트 몸체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탄성스프링(251)을 끼워 넣고 그 상태로 선단부를 하부 세로보(14)의 정면부 일측에 고정하고, 후단부는 고정판(23)의 복귀부 체결홈(232)의 후방쪽에서 고정용 너트(252)에 의해 조립하여 고정한다.
이로써 차폐판 복귀부(25)는 차폐판 후진부(24)의 손잡이(241)를 당겨 스토퍼 너트(242)가 후진부 체결홈(231)을 지나 후단부 쪽으로 후진 이동하게 될 때 탄성스프링(251)이 압축되면서 그 스프링 압축력에 의해 차폐판 후진부(24)의 후진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차폐판 후진부(24)의 손잡이(241)를 회전시켜 밀어 주어 스토퍼 너트(242)가 후진부 체결홈(231)을 지나 선단부 쪽으로 전진 이동하게 될 때 탄성스프링(251)이 압축 상태에서 복원되면서 그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차폐판 후진부(24)를 전진 이동시켜 하부 차폐판(12)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이러한 차폐판 복귀부(25)는 차폐판 후진부(24)의 손잡이(241)를 당기는 힘에 의해 탄성스프링(251)이 압축되면서 차폐판 후진부(24)에 의한 하부 세로보(14)와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차폐판(12)의 후진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차폐판 후진부(24)의 손잡이(241)를 회전시켜 스토퍼 너트(242)의 걸림돌기(242a) 방향과 후진부 체결홈(231)의 요홈(231a) 방향을 일치시키게 되면 탄성스프링(251)의 복원력이 하부 세로보(14)를 전방으로 밀어 주어 하부 세로보(14)와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차폐판(12)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차폐판 후진부(24) 및 차폐판 복귀부(25)의 상호작용에 의한 하부 세로보(14)와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차폐판(12)의 전후진 슬라이드 동작은, 먼저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에 하부 차폐판(12)이 닫힌 상태에서 하부 차폐판(12)을 열기 위해 차폐판 후진부(24)의 손잡이(241)를 당기게 되면 차폐판 후진부(24)의 선단부에 결합된 하부 세로보(14)가 후진하게 되면서 차폐판 복귀부(25)의 탄성스프링(251)이 압축되고, 스프링 압축력이 선단부 쪽으로 작용하게 되어 하부 세로보(14)가 탄성스프링(251)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하부 세로보(14)와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차폐판(12)이 슬라이드 안내부(21)를 따라 후단부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차폐판 후진부(24)의 손잡이(241)의 당김이 계속되어 스토퍼 너트(242)가 고정판(23)에 근접하게 되면 손잡이(241)를 회전시켜 스토퍼 너트(242)의 걸림돌기(242a) 방향이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의 요홈(231a) 방향과 일치되게 하고, 그 상태에서 손잡이(241)를 계속해서 당기게 되면 스토퍼 너트(242)가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통과하게 되어 하부 세로보(14)와 하부 차폐판(12)을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로부터 후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 너트(242)가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통과하게 되면 그 상태에서 다시 손잡이(241)를 회전시켜 스토퍼 너트(242)의 걸림돌기(242a) 방향이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의 요홈(231a)의 방향과 엇갈리게 하여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의 후방쪽에서 스토퍼 너트(242)가 걸리게 한다. 이로써 하부 세로보(14)와 하부 차폐판(12) 및 슬라이드부(22)의 후진 이동 상태, 즉 하부 차폐판(12)이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에서 이격되어 개방부가 열려 있도록 하여 작업장의 환기 또는 채광 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후 상기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 후방쪽에 스토퍼 너트(242)가 걸린 상태에서, 하부 차폐판(12)을 닫기 위해 손잡이(241)를 다시 회전시켜 스토퍼 너트(242)의 걸림돌기(242a)의 방향이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의 요홈(231a)의 방향과 일치되게 하고 손잡이(241)를 당기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차폐판 복귀부(25)의 탄성스프링(251)의 복원력이 하부 세로보(14)에 작용하게 되어 하부 세로보(14)를 밀어낼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슬라이드부(22)가 슬라이드 안내부(21)를 따라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 쪽으로 전진 이동하게 되면서 스토퍼 너트(242)가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통과하여 고정판(23)과 하부 세로보(14) 사이로 이동하고 하부 세로보(14)와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차폐판(12)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하부 차폐판(12)이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를 폐쇄시켜 작업장의 소음 또는 분진 등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회전 개폐장치에서, 상부 차폐판(11) 또는 하부 차폐판(12) 중 어느 하나와 건축물의 외벽(1) 사이에는 다수 개의 요철(31a)이 형성된 신축성 또는 탄성재질의 방음판(31)이 접착층(32)에 의해 밀폐부재(30)로서 상부 차폐판(11) 또는 하부 차폐판(12)에 부착되어 있게 되므로, 이러한 밀폐부재(30)에 의한 상부 차폐판(11) 또는 하부 차폐판(12) 중 어느 하나와 건축물의 외벽(1) 사이의 간격 유지 및 틈새 메움 역할을 통해 기밀성과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갱폼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시공시 거푸집 해체 작업과정에서 건축물의 개방부를 통해 소음과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축물의 개방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되는 차폐판을 간단한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되므로 거푸집 해체 작업시에는 차폐판을 폐쇄시켜 개방부를 차폐함으로써 소음이나 분진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차폐판을 임의로 개방하여 개방부를 통해 환기나 채광 등이 가능하게 하므로 내부 작업 환경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한다.
1 : 외벽 1a : 개방부
2 : 케이지 3 : 발판
4a : 플레이트 4b : 세로보
4c : 수평보강대 5 : 발판대
10 : 개방부 차폐판 11 : 상부 차폐판
12 : 하부 차폐판 13 : 상부 세로보
14 : 하부 세로보 20 : 차폐판 슬라이드부재
21 : 슬라이드 안내부 22 : 슬라이드부
23 : 고정판 231 : 후진부 체결홈
231a : 요홈 232 : 복귀부 체결홈
24 : 차폐판 후진부 241 : 손잡이
242 : 스토퍼 너트 242a : 걸림돌기
25 : 차폐판 복귀부 30 : 밀폐부재
31 : 방음판 31a : 요철
32 : 접착층

Claims (8)

  1. 건축물 시공시 건축물의 외벽(1)에 설치되는 갱폼, 발판대(5) 또는 케이지(2)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부에 고정되어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를 차폐하고 상기 갱폼 또는 케이지(2)와 함께 인양되는 개방부 차폐판(10)을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 차폐판(10)은,
    상기 갱폼의 수평 보강대(4c)를 경계로 상측에 설치되되 상부 세로보(1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 일부를 차폐하는 상부 차폐판(11)과, 상기 갱폼의 수평 보강대(4c)를 경계로 하측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세로보(13)와 분리되는 별도의 하부 세로보(14)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상부 차폐판(11)에 의해 밀폐되지 않고 개방되는 상기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의 나머지 부위를 차폐하는 하부 차폐판(12)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수평 보강대(4c)에 의해 일측 단부가 지지되어 고정되고 다른측 단부는 상기 하부 차폐판(12)을 지지하는 상기 하부 세로보(14)의 정면부 일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되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 외측에서 개방부 쪽으로 전진 또는 그 반대로 후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후진 동작에 의해 상기 하부 세로보(14)를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 외측에서 개방부 쪽으로 밀거나 당겨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에 설치된 하부 차폐판(12)을 개폐하는 차폐판 슬라이드부재(20);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차폐판(12)의 전/후진 슬라이드동작에 의해 건축물 외벽(1)의 개방부(1a)가 개폐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차폐판 슬라이드부재(20)는,
    상기 수평 보강대(4c)에 의해 일측부가 지지되어 고정되되 상기 수평 보강대(4c)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고 내부가 빈 직사각형 단면의 몸체로 형성되어 몸체의 길이 이내에서 슬라이드부(22)의 전/후진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안내부(21);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21)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단면을 갖고 내부가 빈 중공형 몸체로서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21)의 둘레 전체를 감싸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하부 세로보(14)의 상단부가 수직하게 고정되어 하부 세로보(14)와 일체로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수평이동하는 슬라이드부(22);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21)의 다른 일측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되 하부 세로보(14)와 평행하도록 슬라이드 안내부(21)에 수직하게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차폐판 후진부(24)와 차폐판 복귀부(25)의 체결을 위한 후진부 체결홈(231)과 복귀부 체결홈(232)이 형성되어 각 체결홈(231,232)에 체결되는 차폐판 후진부(24)와 차폐판 복귀부(25)를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판(23);
    선단부가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관통하여 하부 세로보(14)의 정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고정되고 후단부에 파지를 위한 손잡이(241)가 형성되는 원통형 볼트몸체로서, 고정판(23)에 거치되는 상태로 지지 및 안내되어 전/후진 또는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하부 세로보(14)와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차폐판(12)을 전체적으로 전/후진 이동시키거나 후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차폐판 후진부(24); 및
    몸체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탄성스프링(251)이 끼움 조립된 상태로 선단부가 하부 세로보(14)의 정면부 일측에 고정되고 후단부는 고정판(23)의 복귀부 체결홈(232)을 관통하여 복귀부 체결홈(232)의 후방쪽에서 고정용 너트(252)에 의해 조립 및 고정되는 원통형 볼트몸체로서,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차폐판 후진부(24)의 후진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차폐판 후진부(24)를 전진 이동시켜 하부 세로보(14)와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차폐판(12)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차폐판 복귀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 후진부(24)는,
    상기 손잡이(241)와 이격되는 위치의 원통형 볼트몸체의 중간부에 상기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을 통해 왕래 및 걸림 가능한 스토퍼 너트(242)가 설치되어, 스토퍼 너트(242)가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에 걸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 하부 세로보(14)와 슬라이드부(22) 및 하부 차폐판(12)의 후진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 후진부(24)는,
    상기 스토퍼 너트(242)가 볼트결합에 의해 원통형 볼트몸체에 조립되어 상기 손잡이(241)와의 이격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너트(242)는,
    상기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에 걸려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걸림돌기(242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23)의 후진부 체결홈(231)은,
    상기 걸림돌기(242a)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상기 걸림돌기(242a)에 대응하는 요홈(23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 복귀부(25)는,
    상기 슬라이드부(22)에 의한 상기 하부 세로보(14)의 전/후진 동작시 상기 하부 세로보(14)와 고정판(23) 간의 간격 및 평형 유지를 위한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21)와 상기 차폐판 후진부(24) 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차폐판(11) 또는 상기 하부 차폐판(1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건축물의 외벽(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차폐판(11) 또는 상기 하부 차폐판(1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건축물의 외벽(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부 차폐판(11) 또는 상기 하부 차폐판(1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건축물의 외벽(1)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형성된 틈새를 메우는 밀폐부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30)는,
    신축성 또는 탄성을 갖는 방음판(31)과, 상기 방음판(31)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차폐판(11) 또는 상기 하부 차폐판(12)에 부착되는 접착층(32)을 포함하고, 상기 방음판(31)은 상기 건축물의 외벽(1)에 밀착되는 일면에 다수 개의 요철(3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20200060973A 2020-05-21 2020-05-21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2193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973A KR102193338B1 (ko) 2020-05-21 2020-05-21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973A KR102193338B1 (ko) 2020-05-21 2020-05-21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338B1 true KR102193338B1 (ko) 2020-12-21

Family

ID=7409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973A KR102193338B1 (ko) 2020-05-21 2020-05-21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2103A (zh) * 2022-03-16 2022-05-31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铝模板装配用底角板及其使用方法
KR20230017656A (ko) *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복귀가능한 승하강 장치를 가지는 건설용 클라이밍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464B1 (ko) 2010-11-23 2012-03-07 (주)대우건설 개방 벽체 차단 시스템
KR101386054B1 (ko) 2013-04-17 2014-04-16 김중영 건축 공사용 거푸집 차폐 장치
KR200479596Y1 (ko) 2015-11-19 2016-02-16 김두진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0483370Y1 (ko) 2016-12-01 2017-05-08 김두진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0489664Y1 (ko) 2019-01-22 2019-07-18 김두진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464B1 (ko) 2010-11-23 2012-03-07 (주)대우건설 개방 벽체 차단 시스템
KR101386054B1 (ko) 2013-04-17 2014-04-16 김중영 건축 공사용 거푸집 차폐 장치
KR200479596Y1 (ko) 2015-11-19 2016-02-16 김두진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0483370Y1 (ko) 2016-12-01 2017-05-08 김두진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0489664Y1 (ko) 2019-01-22 2019-07-18 김두진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656A (ko) *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복귀가능한 승하강 장치를 가지는 건설용 클라이밍 시스템
KR102599079B1 (ko) * 2021-07-28 2023-11-07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복귀가능한 승하강 장치를 가지는 건설용 클라이밍 시스템
CN114562103A (zh) * 2022-03-16 2022-05-31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铝模板装配用底角板及其使用方法
CN114562103B (zh) * 2022-03-16 2023-09-19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铝模板装配用底角板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338B1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1116464B1 (ko) 개방 벽체 차단 시스템
KR200479596Y1 (ko)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0491614Y1 (ko)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1932573B1 (ko) 진동 흡수형 단열 창호 시스템
KR20150144247A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형 바닥구조
US8495843B1 (en) Buck system
KR200489664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KR101203130B1 (ko) 터널 입구에 설치되는 방음장치
KR101869237B1 (ko) 시공중 벽체 개구부 차단장치
KR200496431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200484798Y1 (ko)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US10233635B2 (en) Temporary wall element
KR101562672B1 (ko) 가설용 조립식 창호 갱폼
KR102193339B1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회전 개폐장치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200489824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101953406B1 (ko)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KR101670794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JP5075694B2 (ja) 建物の構造
CN213653827U (zh) 一种隔音材料的固定装置
KR200473378Y1 (ko)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다기능 핸드레일
JP6982903B2 (ja) 中間階免震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