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190B1 -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190B1
KR102192190B1 KR1020190059741A KR20190059741A KR102192190B1 KR 102192190 B1 KR102192190 B1 KR 102192190B1 KR 1020190059741 A KR1020190059741 A KR 1020190059741A KR 20190059741 A KR20190059741 A KR 20190059741A KR 102192190 B1 KR102192190 B1 KR 102192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panel
forming
battery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108A (ko
Inventor
박기주
Original Assignee
(주)솔라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라플렉스 filed Critical (주)솔라플렉스
Priority to KR102019005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1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H01L27/322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2251/5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은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화소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는 표시패널의 제조단계; 상기 표시패널과 별도로 제작되고, 상기 부화소가 형성된 영역 외의 비화소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태양전지가 형성되는 전지패널의 제조단계; 및 상기 표시패널의 일면에 상기 전지패널을 부착하여 복합패널을 형성하는 복합패널 제조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Fabricating method for display pannel including solar-cell}
본 발명은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안 전력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된 전력에 의해 사용전력을 보조하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의 구동 가능시간을 증가시키도록 하며, 이러한 전력 생산을 위한 솔라셀을 패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휴대용 단말의 휴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와 같은 휴대용 단말에서 전력의 사용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 휴대용 단말은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전력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공간 활용을 통한 배터리 용량을 크게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조금이라도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휴대용 단말은 사용자에 의한 사용시간이 증가하고 있고,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상황이며, 이로 인해 더 많은 전력이 사용되고 있다. 때문에, 새로운 휴대용 단말이 생산될 때마다 배터리의 용량이 증가하고,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더 나은 기술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사용자가 체감하는 사용시간은 점점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추가배터리를 구성하여 교체가 가능하게 하거나, 보조배터리를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증가시킬 뿐 휴대용 단말의 전력소모 문제 자체를 해결하는 해결방법은 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추가 구성품은 휴대용 단말의 기본적인 특징인 휴대성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4238호(공개일 2017.11.10.)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안 전력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된 전력에 의해 사용전력을 보조하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의 구동 가능시간을 증가시키도록 하며, 이러한 전력 생산을 위한 솔라셀을 패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휴대용 단말의 휴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은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화소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는 표시패널의 제조단계; 상기 표시패널과 별도로 제작되고, 상기 부화소가 형성된 영역 외의 비화소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태양전지가 형성되는 전지패널의 제조단계; 및 상기 표시패널의 일면에 상기 전지패널을 부착하여 복합패널을 형성하는 복합패널 제조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안 전력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된 전력에 의해 사용전력을 보조하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의 구동 가능시간을 증가시키도록 하며, 이러한 전력 생산을 위한 솔라셀을 패널 일체형으로 용이하게 제작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의 휴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전면발광 방식의 표시패널로 구성되는 복합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배면발광방식의 표시패널로 구성되는 복합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표시패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전지패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표시패널과 전지패널을 결합하여 복합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은 표시패널(10)과 전지패널(50)이 결합되어 복합패널(100)이 구성된다.
표시패널(10)은 영상의 표시를 위한 화소(P)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표시패널에는 복수의 부화소(SP)를 포함하는 화소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된다. 부화소(SP: SPR, SPG, SPB)는 적(R), 녹(G), 청(B)과 같이 조합에 의해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부화소(SP)는 백색 부화소를 포함하거나, 적(R), 녹(G), 청(B) 외의 색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각 부화소(SP)의 수가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부화소(SP)는 표시패널(10)을 구성하는 기판(11) 상의 미리 지정된 영역에 형성된다. 일례로 도 1에서와 같이 부화소(SP)는 적색 부화소(SPR), 녹색 부화소(SPG) 및 청색 부화소(SPB)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3가지 부화소에 의해 하나의 화소(P)가 정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느 하나의 부화소(SP)와 이웃한 부화소는 미리 정해진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화소(SP)의 사이, 부화소(SP)와 기판 모서리 사이에는 비화소 영역(13)이 형성된다. 이외에도 삼각형 형태로 부화소(SP)를 배치하거나, 부화소(SP)의 형태를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각형 형태의 부화소가 형성되고, 이러하 부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이러한, 부화소(SP)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화소(SP)는 각각 부화소(SP) 영역에 발광층과 중첩되어 형성되고, 구동라인 및 스캔라인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부화소(SP)에 공급하는 구동회로가 마련된다. 이 구동회로는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회로와 부화소(SP)를 연결하는 양극(Anode)와, 부화소(SP) 영여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 및 유기발광층에 연결되는 음극(Cathode)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부화소(SP)는 봉지(Sealing) 층에 의해 봉지된다. 이러한 봉지층은 부화소(SP)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표시패널(10)을 구성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사이를 봉지함으로써 회로와 유기발광층이 형성된 기판(11) 사이의 전 공간을 봉지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표시패널(10)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판(11)이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onate), PET, 폴리에틸렌과 같은 유연한 합성수지, 스테인리스와 같은 얇은 금속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판(11)은 제시된 재질 외에도 유연하면 산소 및 수분의 투과율이 낮고 기계적 손상이 적은 등가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지패널(50)은 표시패널(10)과 결합되어 복합패널(100)을 구성한다. 이 전지패널(50)은 광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휴대용 단말에 마련되는 전원부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전지패널(50)은 폴리이미드, 폴리 카보네이트, PET, 폴리에틸렌과 같은 유연기판(51) 상에 태양전지가 형성되어 마련된다. 이 전지패널(50)도 합성수지 외에,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박판을 기판으로 하여 제조될 수도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솔라셀은 저조도에서 고효율 발전이 가능하고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CIGS(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 thin film solar cell)이나 이의 등가품일 수 있다.
전지패널(50)은 표시패널(10)의 광방출면에 부착되며, 부화소(SP)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즉, 비화소 영역(13)에 대응되는 영역에 셀영역(53)이 마련된다. 그리고 부화소(SP)에 대응되는 영역은 공백영역(55)으로 마련된다.
복합패널(100)은 전술한 표시패널(10)과 전지패널(50)이 결합되어 마련된다. 이 복합패널(100)은 표시패널(10)과 전지패널(50)이 각각 형성된 후, 이를 합착 또는 본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복합패널(100)은 합착된 패널들을 봉지하여 완성된다. 이를 위해 복합패널(100)은 무기물질층과 유기물질층을 교번하여 형성하고 이를 통해 봉지가 이루어지는 다층 박막 봉지(TFE: Thin Film encapulation)를 통해 봉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봉지층은 부화소(SP)와 전지패널(50)이 형성된 기판(101)의 상면을 덮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기판(101) 가장자리의 일부를 덮도록 하여 복합패널(100)의 측면도 함께 봉지하게 된다.
도 2와 도 3은 복합패널의 단면 예를 도시한 예시도로써, 도 2는 전면발광 방식의 표시패널로 구성되는 복합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배면발광방식의 표시패널로 구성되는 복합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OLED로 구성되는 표시패널(10)은 구동회로와 유기발광층의 배치에 따라 전면발광형과 배면발광형으로 구분된다. 도 2는 전면발광형인 경우의 복합패널(100a)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배면발광형인 경우의 복합패널(100b)을 나타낸 것이다.
표시패널 부분을 먼저 설명하면, 기판(11)의 상부에 OLED에 의해 형성되는 부화소(SP)가 다수 형성된다. 이 부화소(SP) 각각은 구동회로(27), 양극(25), 유기발광층(23) 및 음극(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전면발광형은 기판(11) 상에 구동회로(27), 양극(25), 유기발광층(23) 및 음극(2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며, 이 기판의 상부를 덮도록 봉지층(70)이 형성된다. 그리고, 광은 봉지층(70)의 방향으로 방출된다. 여기서, 유기발광층(25)은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주입층, 전자 수송층, 발광층, 전공수송층, 정공주입층의 다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봉지층은 TFE(Thin Film Encapsulation)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과 같은 배면 발광형은 기판(11) 상에 음극(21), 유기발광층(23), 양극(25) 및 구동회로(27)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전면발광형과 배면 발광형의 구성은 광의 방출 방향에 TFT를 포함하는 구동회로(27)가 배치되는지의 여부를 구분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한 때를 제외하고 배면발광형과 전면발광형을 구분하지 않고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이러한 부화소(SP)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이를 통해 부화소(SP) 사이에는 부화소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인 비화소 영역이 마련된다.
이 비화소 영역에는 전지패널(50)이 안착되어, 표시패널(10)에 결합된다. 전지패널(50)은 기판(51)의 비화소영역에 태양전지(53)가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표시패널(10)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기판(51) 상에 비화소영역에 대응되는 공백영역(55)이 형성되고, 이 공백 영역에 전지셀(53)이 형성된다. 이 공백영역(55)은 부화소(SP)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기판(11)과 전지셀(53)이 제거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표시패널(11)과 전지패널(50)이 각각 형성되고, 전지패널(50)이 표시패널(11)의 표시면방향에서 결합되어 복합패널(100)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복합패널(100)은 광 방출방향의 면 즉, 발광면에 부화소(SP)와 전지셀(53)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이 부화소(SP)와 전지셀(53)을 덮도록 봉지층(70)이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은 표시패널의 제조단계(S1: S10 내지 S40), 전지패널의 제조단계(S5: S15 내지 S55) 및 복합패널 제조단계(S0: S60 내지 S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패널의 제조단계(S1)는 도 4에서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도 4의 표시패널 제조 단계(S1)는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공지의 표시패널 제조 단계의 방법이나 기술일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를 통한 설명은 배면 발광형 표시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전면발광형의 경우 형태나 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S10 단계에서 유리기판(9)이 마련된다. 이 유리기판(9)은 실제 제조하고자 하는 표시패널(10)에 비해 큰 크기로 마련된다. 유리기판(9)은 표시패널(10)의 제조를 위한 베이스의 역할을 하며, 추후 공정의 종료시 제거된다.
S20 단계에서 유리기판(9) 상에 표시패널의 기판(11)이 형성된다. 표시패널의 기판(11)은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PET, 폴리에틸렌와 같은 투명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박판과 같은 금속박판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표시패널의 기판(11)은 재료물질을 유리기판(9)에 도포 후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조자가 원하는 두께로 균질한 막을 형성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전면기판(11) 상에 구동회로(27)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양극, 박막트랜지스터와 같은 회로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전극층 형성,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 패턴에 따른 식각, 절연층 형성과 같은 공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와 양극을 포함하는 구동회로(27)는 화소영역의 부화소의 형성위치에 형성되고, 비화소영역에는 부화소 영역에 형성되는 구동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라인 또는 스캔라인이 형성된다. 아울러, 데이터라인과 스캔라인을 덮도록 부화소 영역에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S40) 단계에서 구동회로(27) 상에 부화소(SP)가 형성된다. 부화소(SP)는 복수의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부화소(SP)의 형성을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 경화, 패터닝, 식각과 같은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부화소(SP)는 미리 정해진 위치와 크기로 형성된다.
부화소(SP)가 형성되면, 부화소(SP) 상에 음극이 형성되어 표시패널(10)의 제조공정이 마무리된다. 여기서, 부화소(SP) 상에 음극을 형성하고, 음극을 구동회로(27)와 연결하기 위한 비아홀의 형성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패널(10)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전지패널(50)과 결합되어 복합패널(100)을 구성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지패널(50)은 표시패널(10)의 제조방법과 유사하게 진행되며, 표시패널(10)과 별도로 제조된다.
S15 단계에서 전지패널의 기판(51)이 준비된다 전지패널의 기판(51)도 전술한 표시패널(10)과 마찬가지로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PET,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박판을 이용할 수 있다.
S25 단계에서 전지패널의 기판(8)의 상면에 전지셀층(53a)이 형성된다. 이 전지셀층(53a)는 CIGS 구조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 즉, 다층 금속 물질로 형성되는 태양전지 층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전지셀층(53a)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지셀층(53a)이 형성되는 것으로 간략화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아울러, CIGS와 같이 저조도에서 발전이 가능하고, 유연 특성을 가지는 물질이면 CIGS 외의 다른 태양전지 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CIGS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태양전지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S35 단계에서, 셀전지층(53a)과 전지패널의 기판(8)을 패터닝하여 부화소에 대응되는 부분의 셀전지층(53a)과 기판(8) 일부를 제거하게 된다. 이를 통해, 부화소(SP) 위치에 홀이 형성되며, 셀전지층(53a)의 식각을 통해 부화소(SP) 영역이 제거된 셀영역(53)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S35 단계는 포토레지스트의 도포단계,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의 감광단계, 포토레지스트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식각단계, 포토레지스트의 잔여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셀전지층(53a)을 형성한 후, 셀전지층(53a)과 기판(51)을 함께 식각하여 홀을 형성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기판(51)을 먼저 식각하여 홀을 형성하고, 홀을 제외한 위치에 셀전지층을 형성하여 셀 영역이 만들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전술한 S35 단계를 참조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45 단계에서, 셀영역(53) 상에 단자(55)가 형성된다. 이 단자(55)는 셀영역(53)에 형성된 전지셀들과 전원부의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며, 전지셀들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전원부에 공급하기 위해 셀 영역(53)에 형성된다. 이 단자(55)는 금속을 증착 또는 인쇄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 형성된다.
한편, S10 내지 S40, S15 내지 S45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서 표시패널(10)과 전지패널(50) 각각에는 상호 정렬을 위한 얼라인 마크가 형성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와 같이 표시패널(10)와 전지패널(50)이 형성되면, 표시패널(10)과 전지패널(50)을 결합하여 복합패널(100)을 제조하게 된다.
S60 단계에서는 표시패널(10)과 전지패널(50)의 중첩 및 합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S60단계에서 전지패널(50)과 표시패널(10)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를 일치시켜 전지패널(50)과 표시패널(10)의 위치를 일치시키게 된다. 이때 전지패널(50)은 표시패널(10)의 광 방출 방향에서 표시패널(10)에 결합되도록 배치되고, 정렬된 상태에서 표시패널(10) 상에 결합된다. 이때, 전지패널(50)에 형성된 홀을 통해 표시패널(10)의 부화소(SP)가 전지패널(50) 사이에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이 S60 단계에서 표시패널(10)의 비화소영역에는 전지패널(50)의 접착을 위한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접착층은 자외선과 같은 광에 의해 경화되거나, 도포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경과되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이 자외선과 같은 광에 의해 경화되는 물질인 경우 표시패널(10)의 유리기판(방향에서 광을 조사하여 접착층을 경화시킬 수 있다.
S70 단계에서 전지패널(50)과 표시패널(10)이 일치된 상태에서 합착 및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전지패널(50)이 표시패널(10) 상에 안착되면, 접착층에 광을 조사하거나, 시간의 경과를 기다려 접착층의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대기하는 과정이 수반될 수 있다. 한편, 접착층은 열에 의한 경화가 이루어지는 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접착층에 엑시머 레이저, IR레이저와 같은 열 에너지를 공급하는 수단을 유리기판(9) 방향에서 조사하여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S80 단게는 합착된 복합패널(100)을 봉지하는 단계이다. S80단계에서는 유리기판(9)의 배면에 표시패널(10)과 전지패널(50)을 덮도록 봉지층(70)이 형성된다. 이 봉지층(70)은 복합패널의(100)의 측면을 봉지할 수 있도록, 유리기판(9)의 가장자리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봉지층(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TFE와 같은 다층 박막 봉지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기물 봉지제와 무기물 봉지제를 층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교번하여 적측함으로써 봉지층(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봉지가 이루어지면 S90 단계에서 표시패널(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유리기판(9)을 제거하게 된다. 이를 통해 표시패널(10)과 전지패널(50)이 결합된 복합패널(100)이 형성된다. 이 복합패널(100)은 제조단계에서만 제조의 편의를 위해 유리기판과 같이 비유연 기판이 사용되고, 복합패널(100)의 제조 이후에는 유리기판이 제거된다. 이를 통해 복합패널(100)은 재료로 사용된 물질에 의해 결정되는 유연성을 가지는 유연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표시패널 11: 기판
50: 전지패널
53: 셀영역 55: 공백영역
57: 반사체 100: 복합패널
P: 화소 SP: 부화소

Claims (5)

  1.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화소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는 표시패널의 제조단계;
    상기 표시패널과 별도로 제작되고, 상기 부화소가 형성된 영역 외의 비화소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태양전지가 형성되는 전지패널의 제조단계; 및
    상기 표시패널의 일면에 상기 전지패널을 부착하여 복합패널을 형성하는 복합패널 제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패널 제조단계는
    상기 표시패널의 광방출 방향의 상기 전지패널을 배치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부화소와 상기 전지패널에 형성되는 홀이 일치되도록 정렬하는 단계;
    정렬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전지패널을 합착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제조단계는
    유리기판 준비단계;
    상기 유리기판의 일면에 상기 표시패널의 기판을 형성하는 기판 형성단계;
    상기 기판 상의 상기 부화소의 형성위치에 양극과 음극 중 어느 하나의 구동회로를 형성하는 구동회로 형성단계;
    상기 구동회로와 연결되는 유기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중 나머지 하나의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패널의 제조단계는
    상기 전지패널의 전면기판을 형성하는 전면기판 형성단계;
    상기 전면기판 상에 태양전지 층을 형성하는 태양전지 층 형성단계;
    상기 태양전지 층을 패터닝 하여 상기 부화소에 대응되는 위치의 태양전지 층 및 기판 일부를 제거하는 셀 영역 형성단계; 및
    상기 셀 영역을 셀을 외부와 연결하기 위한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전극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패널 제조단계는
    상기 전지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을 덮도록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유리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전지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결합을 위합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KR1020190059741A 2019-05-21 2019-05-21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KR102192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741A KR102192190B1 (ko) 2019-05-21 2019-05-21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741A KR102192190B1 (ko) 2019-05-21 2019-05-21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108A KR20200134108A (ko) 2020-12-01
KR102192190B1 true KR102192190B1 (ko) 2020-12-17

Family

ID=7379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741A KR102192190B1 (ko) 2019-05-21 2019-05-21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144B1 (ko) * 2020-12-18 2021-11-05 (주)솔라플렉스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356B1 (ko) * 2009-08-05 2011-05-23 한국과학기술원 태양전지를 구비한 투명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77403A (ko) * 2010-12-30 2012-07-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게터패턴이 형성된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4238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건강한우리 발효 숙성시킨 흑마늘이 포함된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108A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606B1 (ko)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90116B1 (ko) 유기발광장치 및 그것의 제조방법
US11362148B2 (en) Quantum dot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9561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29069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with uniform luminance
US20180047791A1 (en) Display device
US20060138941A1 (en) Electrolumen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8133951B (zh) 使用有机发光二极管的照明装置及其制造方法
US1130937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a power supply wire
JP2010134217A (ja)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光装置
US11335879B2 (en) Substr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11616107B2 (en)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JP2009139463A (ja) 有機el発光装置
JP2012190626A (ja)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18571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CN109244106B (zh) 照明面板及其制造方法、照明模块、照明装置和照明系统
KR10209688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192190B1 (ko) 태양전지가 결합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US2021039906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CN113035902A (zh) 显示装置
JP2011054424A (ja) トップエミッション型有機el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色フィルター
KR102467218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8065994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CN111261790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198665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