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149B1 - 에어방음벽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방음벽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149B1
KR102192149B1 KR1020180099294A KR20180099294A KR102192149B1 KR 102192149 B1 KR102192149 B1 KR 102192149B1 KR 1020180099294 A KR1020180099294 A KR 1020180099294A KR 20180099294 A KR20180099294 A KR 20180099294A KR 102192149 B1 KR102192149 B1 KR 10219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radle
soundproof wall
vertical
suppor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988A (ko
Inventor
임성범
Original Assignee
임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범 filed Critical 임성범
Priority to KR1020180099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1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6Strutting means for wall parts; Supports or the like, e.g. for holding in position prefabricated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27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creens ; Arrangements of sound-absorbing elements, e.g. baff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30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mechanical damage or dirt, e.g. guard covers of stai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63Mounting of acoustical elements on supporting structure, e.g. framework or wal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방음벽의 하단과 상부를 안정되게 잡아주어 외력에 의하여 유동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분해와 조립을 통하여 설치와 해체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운반과 보관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직경에 비하여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여러개의 튜브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에어방음벽의 아랫부분을 수용하여 잡아주는 하부거치대와; 상기 하부거치대와 분해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에어방음벽의 수직부분을 잡아주는 수직거치대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거치대는, 수평재와 수직재를 서로 연결하여 상부와 좌,우측이 개방되게 구비하는 거치바디와; 상기 거치바디의 전방에 수직거치대(130)를 결합할 수 있게 더 구비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거치대는, 하부거치대의 결합수단에 결합되어 에어방음벽의 상부까지 위치하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의 배면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에어방음벽의 전방 상측에 고정되는 걸고리를 걸어서 유지함으로서 하부거치대에 수용된 에어방음벽이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면 자연스럽게 상,하 이동할 수 있게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에어방음벽 거치장치{MOUNTING DEVICE FOR AIR BALLON NOISE BARRIER}
본 발명은 에어방음벽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토목이나 건축 및 구조물 공사현장에 설치하여 소음과 먼지 등이 공사현장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방음벽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거치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토목공사, 건축공사 또는 구조물공사 현장에서 터파기작업이나 파일박기작업 및 발파작업 등과 같이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많은 소음과 비산먼지 등이 발생하게 된다.
공사 현장이 주택이나 상업지역 또는 공장지역을 벗어나 외진 곳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공사 현상의 특성상 인근에 일반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은 주거지역과 상가 등이 밀집된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공사현상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비산먼지 등이 공사 현상을 벗어나 유입되므로 많은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음벽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물을 뿌리고 있으나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에는 미비한 실정이며, 근자에 들어서는 튜브 형태의 구조물에 공기를 주입(충진)하여 공사 현장 외벽에 높게 설치하여 소음과 비산먼지 등이 공사현상을 벗어나는 것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에어방음벽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기존의 에어 튜브 방음막에 있어서;
에어 튜브 방음막에는 송풍기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구(51)가 설치되고; 위 에어 튜브의 안과 밖의 방음막에 노즐(10, 20)이 설치되며; 위노즐(10)은 고무호스(70)를 통하여 물 배관(72)과 결합되며; 물 배관에는 물 주입구(71)가 형성되고; 고무 호스와 물 배관 사이에는 밸브(73)가 설치되고; 또한 위 노즐(20)은 고무호스(70’)를 통하여 물 배관(72’)과 결합되며; 물 배관에는 물 주입구(71’)가 형성되고; 고무 호스와 물 배관사이에는 밸브(73’)가 설치되며; 위와 같은 에어튜브가 여러 개 엮어져 하나의 커다란 방음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공사 현장의 소음이 주변부로 전파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가설용 방음벽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자립하여 소음을 차단하고 공기가 배출되면 축소되는 방음벽 본체와; 방음벽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방음벽 본체의 하단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 물이 주입되면 중량체가 되어 방음벽 본체를 지지하고 물이 배출되면 축소되도록 하나 이상의 물 주입구가 형성된 한 쌍의 워터백과; 일단은 방음벽 본체의 하단 부분에 형성된 고정 고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워터백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한편, 와이어가 결합되도록 워터백에 형성된 복수 개의 인양 고리를 통해 자립 상태의 방음벽 본체와 물이 주입된 워터백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도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방음벽 본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송풍기가 방음벽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방음벽 본체의 측부에 송풍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출원 제 10 - 2016 - 0135759 호 특허 제 10 - 1858111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이 적용되는 에어방음벽은, 소음과 비산먼지가 공사현장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상 10미터 정도의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하게 되는 데 이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힘들게 된다.
문헌 2의 경우에는 에어방음벽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단에 워터백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워터백의 중량에 의하여 에어방음벽의 하단부는 잡아줄 수 있으나 바람이 불 경우에는 강한 풍력에 의하여 에어방음벽의 중,상부가 흔들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에어방음벽이 쉽게 넘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목적하는 소음 및 비산먼지의 유출을 차단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풍력과 같은 강한 외력에 의하여 큰 에어방음벽이 흔들리거나 손상되어 공사현상을 벗어나게 될 경우에는 보행중인 보행자, 주행중인 자동차는 물론 주변의 건물이나 간판 등과 부딪치면서 많은 물리적인 손상을 입히고 안전사고의 우려를 높이게 되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방음벽의 상단에 와이어로프를 연결하여 에어방음벽의 전방 또는 후방의 지면과 연결하여 지탱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와이어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지면 확보를 위하여 필요공간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사현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힘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에어방음벽을 유지하고 있으나 강풍이 불거나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 또는 자재 등과 접촉할 경우에는 와이어로프가 끊어지는 사고가 발생하고, 이 경우에는 에어방음벽이 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쓰러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직경에 비하여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여러개의 튜브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에어방음벽(101)의 아랫부분을 수용하여 잡아주는 하부거치대(110)와;
상기 하부거치대(110)와 분해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에어방음벽(101)의 수직부분을 잡아주는 수직거치대(130)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거치대(110)는, 수평재(111)와 수직재(112)를 서로 연결하여 상부와 좌,우측이 개방되게 구비하는 거치바디(113)와;
상기 거치바디(113)의 전방에 수직거치대(130)를 결합할 수 있게 더 구비하는 결합수단(114)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거치대(130)는, 하부거치대(110)의 결합수단(114)에 결합되어 에어방음벽(101)의 상부까지 위치하는 지지파이프(131)와;
상기 지지파이프(131)의 배면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에어방음벽(101)의 전방 상측에 고정되는 걸고리(133)를 걸어서 유지함으로서 하부거치대(110)에 수용된 에어방음벽(101)이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면 자연스럽게 상,하 이동할 수 있게하는 레일(132)을 포함하여;
에어방음벽의 하단과 상부를 안정되게 잡아주어 외력에 의하여 유동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분해와 조립을 통하여 설치와 해체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운반과 보관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에어방음벽을 하단에 위치하여 에어방음벽의 아랫부분을 잡아주는 하부거치대와, 하부거치대에 구비되어 에어방음벽의 수직부분을 잡아주는 수직거치대로 구성하여 에어방음벽 전체를 안정되게 잡아주어 외력에 의하여 유동하는 현상을 배제하면서 에어방음벽을 지지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하여 공사현장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에어방음벽을 안전하게 잡아주기 위한 하부거치대와 수직거치대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구성하여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면서 다른 공사현장으로의 이동을 소형트럭으로도 가능하게 함으로서 에어방음벽을 공사시작 전에 펼치고 공사종료 시점에 접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방음벽 거치장치를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방음벽 거치장치의 하부거치대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방음벽 거치장치의 수직거치대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방음벽 거치장치의 수직거치대를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방음벽 거치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방음벽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방음벽 거치장치를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방음벽 거치장치의 하부거치대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방음벽 거치장치의 수직거치대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방음벽 거치장치의 수직거치대를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방음벽 거치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방음벽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에어방음벽 거치장치(100)는, 직경에 비하여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여러개의 튜브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에어방음벽(101)의 아랫부분을 수용하여 잡아주는 하부거치대(110)와, 상기 하부거치대(110)와 분해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에어방음벽(101)의 수직부분을 잡아주는 수직거치대(130)로 구성한다.
상기 하부거치대(110)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금속파이프로 구성되는 수평재(111)와 수직재(112)를 서로 연결하여 상부와 좌,우측이 개방된 ∪형상의 거치바디(113)를 구비한다.
상기 거치바디(113)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구비하여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여 에어방음벽(101)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며, 하나의 거치바디(113)는 소형트럭의 적재함에 적재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운반과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므로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거치바디(113)의 전방에는 수직거치대(130)를 결합할 수 있도록 관체 또는 브라켓 형태의 결합수단(114)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수단(114)에는 결합괸 수직거치대(130)의 유동과 탈락을 배제할 수 있도록 볼트와 너트 또는 핀으로 유지하기 위한 단속공(115)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직거치대(130)는, 하부거치대(110)의 결합수단(114)에 결합되고 에어방음벽(101)의 상부까지 위치할 수 있는 지지파이프(131)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파이프(131)는 단일체로 구성하여도 되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운반과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단체로 구성하여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파이프(131)의 배면 위치에는 수직방향으로 레일(132)을 설치하여 에어방음벽(101)의 전방 상측에 고정되는 걸고리(133)를 걸어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에어방음벽(101)과 지지파이프(131)가 분리 또는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레일(132)에 걸고리(133)를 걸어서 유지함으로서 에어방음벽(101)의 공기를 제거하면 레일(132)을 따라 자연스럽게 에어방음벽(101)이 하부거치대(110)에 수용되도록 하고, 에어방음벽(101)에 공기를 주입하면 팽창하면서 레일(132)을 따라 자연스럽세 상승하여 직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일(132)은, 지지파이프(131)의 하부와 상부위치에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고정하는 하부브라켓(133)과 상부브라켓(134) 사이를 파이프 또는 바 타입의 레일로드(135)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파이프(131)와 레일로드(135)는 걸고리(133)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데 지장이 없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로드(135)를 파이프 또는 바 타입으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와이어 또는 로프를 연결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와이어 또는 로프를 사용할 경우 팽팽하게 장력을 유지한다 하여도 외력에 의하여 늘어짐이 발생하여 에어방음벽(101)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므로 바람직하지는 않다.
부수적으로 상기 지지파이프(131)의 상단부와 중간위치에는 가로바(136)를 더 구비하여 지지파이프(131)의 유동을 촤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지지파이프(131)의 상단에는 지면에 고정되어 지지파이프(131)를 받쳐주어 외력에 의하여 에어방음벽(101)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바(137)를 더 연결하여도 된다.
상기 가로바(136)와 경사바(137) 역시 단일체로 구성하여도 되나 분해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단체로 구성하여도 되며, 가로바(136) 및 경사바(137)가 분해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에어방음벽 거치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에어방음벽(101)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하부거치대(110)를 단독 또는 에어방음벽(101)의 크기(길이)에 따라 여러개를 연결하여 지면에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지면에 유지된 하부거치대(110)에 수직거치대(130)를 설치한 후 에어방음벽(101)을 연결한 후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방음벽(101)을 유지하거나 공기를 배출시켜 에어방음벽(101)을 해제하는 형태로 사용한다.
하부거치대(110)에 수직거치대(130)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부거치대(110)에 구비되는 결합수단(114)에 수직파이프(131)의 하단을 결합한 후 단속공(115)을 통하여 볼트와 너트 또는 핀으로 단속하면 완료 된다.
그리고, 수직파이프(131)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132)에 에어방음벽(101)의 상측에 고정된 걸고리(133)를 걸어주고, 수직파이프(131)의 중간위치와 상단에 가로바(136)를 클램프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수직파이프(131)의 상단에는 경사바(137)를 연결한 후 경사바(137)의 하단은 지면과 밀착되도록 한 후 고정시키면 준비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에어방음벽(101)에 공기를 주입하면 튜브가 팽창하면서 부풀어 오르는 데, 에어방음벽(101)의 하측은 하부거치대(110)에 로프 등으로 묶어두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탈이나 유동이 방지되고, 걸고리(133)와 레일(132)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에어방음벽(101)은 자연스럽게 상방으로 팽창되어 펼쳐지면서 제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에어방음벽(101)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공기를 배출하게 됨으로서 에어방음벽(101)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여 하부거치대(110)에 수납되는 형태가 되는 데, 이 때에도 걸고리(133)가 레일(132)을 따라 하강하게 되므로 에어방음벽(101)이 하부거치대(110)를 인위적으로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공사 매일 시작 전에 에어방음벽(101)을 설치한 후 공사가 끝나는 시기에 다시 공기를 배출시켜 부피를 축소시키면 되며, 해당 공사가 완전히 끝난 경우에는 하부거치대(110)에 에어방음벽(101)이 수납되도록 한 후 상부거치대(130)를 분리시킨 후 보관하거나 다른 공사현상으로 운반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에어방음벽의 하단과 상부를 안정되게 잡아주어 외력에 의하여 유동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분해와 조립을 통하여 설치와 해체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운반과 보관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100; 에어방음벽 거치장치
101; 에어방음벽
110; 하부거치대
113; 거치바디
114; 결합수단
115; 단속공
130; 수직거치대
131; 지지파이프
132; 레일
133; 걸고리
135; 레일로드
136; 가로바
137; 경사바

Claims (3)

  1. 수평재(111)와 수직재(112)를 서로 연결하여 상부와 좌,우측이 개방되게 구비하는 거치바디(113)와, 상기 거치바디(113)의 전방에 수직거치대(130)를 결합할 수 있게 더 구비하는 결합수단(114)을 포함하여 직경에 비하여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여러개의 튜브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에어방음벽(101)의 아랫부분을 수용하여 잡아주는 하부거치대(110)와;
    상기 하부거치대(110)의 결합수단(114)에 결합되어 에어방음벽(101)의 상부까지 위치하는 지지파이프(131)와, 상기 지지파이프(131)의 상단부와 중간위치에 설치하여 지지파이프(131)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로바(136)와, 상기 지지파이프(131)의 상단에 설치하여 지면에 고정되어 지지파이프(131)를 받쳐주는 경사바(137)를 포함하는 수직거치대(130)로 구성하고;
    상기 수직거치대(130)를 구성하는 지지파이프(131)의 배면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에어방음벽(101)의 전방 상측에 고정되는 걸고리(133)를 걸어서 유지함으로서 하부거치대(110)에 수용된 에어방음벽(101)이 공기 주입과 배출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상,하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레일(1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132)은, 지지파이프(131)의 하부와 상부위치에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고정하는 하부브라켓(133) 및 상부브라켓(134)과, 상기 하부브라켓(133) 및 상부브라켓(134) 사이를 연결하는 레일로드(13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파이프(131)와 레일로드(135)는 걸고리(133)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데 지장이 없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방음벽 거치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99294A 2018-08-24 2018-08-24 에어방음벽 거치장치 KR10219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294A KR102192149B1 (ko) 2018-08-24 2018-08-24 에어방음벽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294A KR102192149B1 (ko) 2018-08-24 2018-08-24 에어방음벽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988A KR20200022988A (ko) 2020-03-04
KR102192149B1 true KR102192149B1 (ko) 2020-12-16

Family

ID=6978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294A KR102192149B1 (ko) 2018-08-24 2018-08-24 에어방음벽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2708B (zh) * 2021-10-13 2022-09-30 浙江城颐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建筑加固结构及其加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866Y1 (ko) * 2002-01-26 2002-05-13 최유식 가설방음벽 구조
KR100543479B1 (ko) * 2005-06-07 2006-01-20 이희석 보조 방음벽의 설치구조
KR100704344B1 (ko) 2005-03-02 2007-04-05 주식회사 타이가 에어를 이용한 펜스장치
KR101002516B1 (ko) * 2010-03-19 2010-12-17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가설용 에어방음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869B1 (ko) 2014-04-25 2018-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링크 실패 선언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1858111B1 (ko) 2017-10-25 2018-05-15 박원석 가설용 에어 방음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866Y1 (ko) * 2002-01-26 2002-05-13 최유식 가설방음벽 구조
KR100704344B1 (ko) 2005-03-02 2007-04-05 주식회사 타이가 에어를 이용한 펜스장치
KR100543479B1 (ko) * 2005-06-07 2006-01-20 이희석 보조 방음벽의 설치구조
KR101002516B1 (ko) * 2010-03-19 2010-12-17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가설용 에어방음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988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2411B1 (en) Anchors
KR102192149B1 (ko) 에어방음벽 거치장치
KR101858111B1 (ko) 가설용 에어 방음벽
JP2018040159A (ja) 移動式ユニットハウス
CN114562302A (zh) 一种用于地下结构安全施工的施工装置及实施方法
KR200494594Y1 (ko) 지주 설치용 구조물
JP201018985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
KR200436224Y1 (ko) 낙하방지망 고정구조
US67487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emplacing prefabricated buildings
KR101002516B1 (ko) 가설용 에어방음벽
JP3076826B2 (ja) イベント施設
EP2341186A1 (en) Free-standing acoustic screening system
JP2014173305A (ja) 円弧型枠と擁壁の構造
CN110965808A (zh) 装配式建筑外挂式楼梯马道施工方法
JPH0813425A (ja) 落石,土砂,流木,雪崩,雪圧等の防止施設
JP2779893B2 (ja) ビル構築工法およびビル構築装置
KR102579544B1 (ko) 하수암거 보수작업용 자립식 안전장치
KR100447270B1 (ko) 에어매트 동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철거 해체공법
WO2015190176A1 (ja) 橋梁補修用吊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101392905B1 (ko) 복공판용 안전난간대
CN105971261A (zh) 井形施工爬梯搭架
AU2021221817B1 (en) Site Camera Stand
KR101926911B1 (ko) 필름의 교체가 용이한 에어하우스
KR200249900Y1 (ko) 에어매트 동바리
KR20200058233A (ko) 이동형 방음벽 모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