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113B1 - 우수받이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우수받이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113B1
KR102192113B1 KR1020200050305A KR20200050305A KR102192113B1 KR 102192113 B1 KR102192113 B1 KR 102192113B1 KR 1020200050305 A KR1020200050305 A KR 1020200050305A KR 20200050305 A KR20200050305 A KR 20200050305A KR 102192113 B1 KR102192113 B1 KR 10219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device
rainwater
blocking member
blocking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정혜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정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정혜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200050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우수받이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는, 우수받이의 상부 또는 내측에 장착되어, 우수받이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악취차단장치로서, 우수받이의 상부 내측면 또는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외부면 형태를 가지는 차단장치 본체; 상기 차단장치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구; 상기 차단장치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구 방향으로 수렴되는 빗면구조; 및 상기 배수구의 상부에 거치되어 배수구를 밀폐시키고, 방사형 빗면구조에 빗물이 고일 경우 빗물에 의해 부유하여 배수구를 개방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받이의 상부 또는 내측에 장착되어, 우수를 우수받이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시킴과 동시에 우수받이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받이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Odor Blocking Equipment For Drain Street Inlet}
본 발명은 우수받이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받이의 상부 또는 내측에 장착되어, 우수를 우수받이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시킴과 동시에 우수받이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버려지는 생활하수나 공장에서 버려지는 폐수는 하수로를 따라 배출된다. 또한, 하수로는 우천 시 유입되는 빗물이 생활하수나 폐수와 함께 흘러 들어오도록 차도 및 인도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하수구 빗물받이와 연결된다.
종래의 하수구 빗물받이는 빗물이 하수로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유입구가 형성된 하수구 뚜껑으로 덮힌 채 개방된 형태를 유지하였다. 즉, 종래의 하수구 빗물받이는 하수로와 연결되었기 때문에 하수로를 흘러가는 생활하수나 폐수로 인한 악취가 상당했다.
종래의 하수구 빗물받이는 하수로를 흘러가는 생활하수나 폐수의 악취를 차단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구성을 포함하는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는, 빗물이 하수구 빗물받이를 통해 하수로로 유입될 때만 하수구를 개방하여 악취를 차단할 수는 있었지만, 계절의 특성 혹은 강수량에 따라 하수구의 개폐 강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는, 변형이 불가능하게 규격화된 제품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각양 각색의 하수구 빗물받이 형태에 대응하여 설치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2645호 (등록일자: 2012년09월1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받이의 상부 또는 내측에 장착되어, 우수를 우수받이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시킴과 동시에 우수받이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악취차단장치는, 우수받이의 상부 또는 내측에 장착되어, 우수받이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악취차단장치로서, 우수받이의 상부 내측면 또는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외부면 형태를 가지는 차단장치 본체; 상기 차단장치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구; 상기 차단장치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구 방향으로 수렴되는 빗면구조; 및 상기 배수구의 상부에 거치되어 배수구를 밀폐시키고, 방사형 빗면구조에 빗물이 고일 경우 빗물에 의해 부유하여 배수구를 개방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 본체는, 우수받이의 내측면과 대응되고, 내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블록구조 또는 링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장치 본체의 상부면의 테두리부분과 상기 빗면구조는 서로 실링되어 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형상은, 차단장치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수렴되는 빗면의 일단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의 형상은, 다각형 구조 또는 원형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빗면구조는, 차단장치 본체의 상부 내측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변으로부터 중앙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판상형 빗면이 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빗면구조는,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구 방향으로 수렴됨과 동시에 하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내입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빗면구조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다수의 판상형 빗면이 조합된 구조이고, 상기 빗면구조는,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방으로 유연하게 구조가 변경되어, 빗면구조가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토출되는 구조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면구조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차단부재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빗면구조가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토출 되도록 구조 변경될 경우, 상기 빗면구조의 상단 내측면에 형성된 결속구조가 차단부재와 결속되어 배수구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빗면구조의 일단부 내측면에 형성된 결속구조는, 벨크로 구조, 요철 구조 또는 점착성 부착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배수구의 형상과 대응되는 다면체 구조 또는 구형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배수구의 상부를 덮어 밀폐할 수 있는 크기의 구형 구조의 상부; 및 배수구와 인접하는 빗면구조와 대응되는 하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는, 배수구의 내측 하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내부에 압축공기가 주입된 구조이고, 일측면에 내부에 주입된 압축공기의 주입량 또는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부재가 장착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장치는, 차단장치 본체와 차단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차단부재 고정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부재 고정와이어는, 차단장치 본체의 내측 모서리 부분과 차단부재 측부면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 고정와이어에는 차단부재 고정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 고정와이어는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장치는, 상기 차단장치 본체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소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장치는, 상기 빗면구조의 상부면에 측방으로 연속적인 구조로 돌출 형성되고, 일정한 크기의 관통구 또는 갈퀴구조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거름돌기;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악취차단장치는, 상기 빗면구조의 거름돌기로부터 배수구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측방으로 연속적인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거름돌기에 형성된 관통구 또는 갈퀴구조의 크기보다 축소된 크기의 관통구 또는 갈퀴구조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추가 거름돌기;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악취차단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차단장치 본체, 배수구, 빗면구조 및 차단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우수받이의 상부 또는 내측에 장착되어, 우수를 우수받이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시킴과 동시에 우수받이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차단장치에 따르면, 차단장치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구 방향으로 수렴되는 빗면구조를 구비함과 동시에, 배수구의 상부에 거치되어 배수구를 밀폐시키고, 방사형 빗면구조에 빗물이 고일 경우 빗물에 의해 부유하여 배수구를 개방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우수를 우수받이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시킴과 동시에 우수받이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차단장치에 따르면, 차단장치 본체의 형상의 우수받이의 상부 내측면 또는 우수받이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외부면 형태로 구성하고, 차단장치 본체의 상부 내측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변으로부터 중앙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판상형 빗면이 조합된 구조의 빗면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우수를 우수받이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시킬 수 있는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차단장치에 따르면, 차단장치 본체의 형상의 우수받이의 상부 내측면 또는 우수받이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외부면 형태로 구성하고, 차단장치 본체의 상부 내측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변으로부터 중앙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판상형 빗면이 조합된 구조의 빗면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우수를 우수받이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시킬 수 있는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차단장치에 따르면, 빗면구조의 일단부 내측면에 차단부재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조를 형성하고, 빗면구조가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토출 되도록 구조 변경될 경우, 상기 빗면구조의 상단 내측면에 형성된 결속구조가 차단부재와 결속되어 배수구를 밀폐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우수받이를 사용하지 않고 차단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차단장치에 따르면, 차단부재의 구조를 대수구의 상부 구조 또는 배수구와 인접하는 빗면구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차단부재와 배수구의 밀착상태, 차단부재와 빗면의 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우수받이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차단장치에 따르면, 차단부재 내부에 주입된 압축공기의 주입량 또는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차단부재가 우수에 침수되다가 우수에 의해 떠올라 부유하게 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빗물이 방사형 빗면구조에 고이는 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악취차단장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차단장치에 따르면, 차단장치 본체와 차단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차단부재 고정와이어를 구비함으로써, 차단부재가 악취차단 장치로부터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차단장치에 따르면, 차단부재 고정와이어에 차단부재 고정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차단부재가 악취차단장치의 배수구에 놓여 거치되는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고, 차단부재가 우수에 의해 부유하는 상하 위치변경 거리를 제한할 수 있어, 악취차단장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차단장치에 따르면, 차단장치 본체의 상부면에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소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차단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악취차단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을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차단장치에 따르면, 빗면구조의 상부면에 측방으로 연속적인 구조로 거름돌기를 형성하고, 거름돌기에 일정한 크기의 관통구 또는 갈퀴구조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함으로써, 우수받이 내부로 인입되는 우수에 함유된 흙, 모래, 이물질 등이 거름돌기에 걸러질 수 있어, 우수받이 내부에 이물질 등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우수받이와 연통되는 하수배관의 막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받이의 거름돌기에 걸러진 이물질을 손쉽게 외부로 제거할 수 있어, 우수받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악취차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악취차단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악취차단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6은 악취차단장치의 빗면구조에 우수가 차올라 차단부재가 부유하게 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빗면구조를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토출되도록 구조 변경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재가 장착된 차단부재, 및 장력조절부재가 장착된 차단부재 고정와이어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름 돌기가 형성된 빗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악취차단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100)는, 우수받이(10)의 상부 또는 내측에 장착되어, 우수받이(10)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차단장치 본체(110), 배수구(120), 빗면구조(130) 및 차단부재(140)를 구비함으로써, 우수받이의 상부 또는 내측에 장착되어, 우수를 우수받이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시킴과 동시에 우수받이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단장치 본체(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받이(10)의 상부 내측면 또는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외부면 형태를 가지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차단장치 본체(110)는, 우수받이의 내측면과 대응되고, 내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블록구조 또는 링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단장치 본체(110)의 중앙부에는 배수구(120)가 형성되어 우수가 우수받이(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빗면구조(130)는, 차단장치 본체(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구(120) 방향으로 수렴되는 구조이다. 이때, 차단장치 본체(110)의 상부면의 테두리부분과 상기 빗면구조(130)는 서로 실링되어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빗면구조(130)는,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구(120) 방향으로 수렴됨과 동시에 하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내입되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빗면구조(13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장치 본체(110)의 상부 내측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변으로부터 중앙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판상형 빗면이 조합된 구조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수구(120)의 형상은, 차단장치 본체(110)의 내측 방향으로 수렴되는 빗면의 일단부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때, 배수구(120)의 형상은, 다각형 구조 또는 원형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차단장치 본체(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구(120) 방향으로 수렴되는 빗면구조(130)를 구비함과 동시에, 배수구(120)의 상부에 거치되어 배수구(120)를 밀폐시키고, 방사형 빗면구조(130)에 빗물이 고일 경우 빗물에 의해 부유하여 배수구(120)를 개방하는 차단부재(140)를 구비함으로써, 우수를 우수받이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시킴과 동시에 우수받이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단장치 본체(110)의 형상의 우수받이의 상부 내측면 또는 우수받이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외부면 형태로 구성하고, 차단장치 본체(110)의 상부 내측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변으로부터 중앙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판상형 빗면이 조합된 구조의 빗면구조(130)를 구비함으로써, 우수를 우수받이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시킬 수 있는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빗면구조(130)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다수의 판상형 빗면이 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면구조(130)는,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방으로 유연하게 구조가 변경되어, 빗면구조(130)가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토출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빗면구조(130)의 일단부 내측면(130a)에 차단부재(140)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조(131)를 형성시켜 차단부재(140)와 안정적인 결속구조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140)의 외부면에도 빗면구조(130)에 형성된 결속구조(131)와 대응되는 구조의 또 다른 결속구조(146)를 형성시켜, 차단부재(140)와 빗면구조의 내측면(130a)의 결속 관계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위 언급한 결속구조(131, 146)는 벨크로 구조, 요철 구조 또는 점착성 부착구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면구조(130)를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토출되는 구조로 변경한 후, 차단부재(140)로 배수구(120)를 밀폐시킬 경우, 해당 우수받이를 손쉽게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빗면구조(130)는 상방으로 토출됨과 동시에 완만한 경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빗물이나 이물질이 우수받이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게 한다.
이 경우, 빗면구조(130)의 일단부 내측면에 차단부재(140)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조(131)를 형성하고, 빗면구조(130)가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토출 되도록 구조 변경될 경우, 상기 빗면구조(130)의 상단 내측면에 형성된 결속구조(131)가 차단부재(140)와 결속되어 배수구(120)를 밀폐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우수받이를 사용하지 않고 차단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6에는 악취차단장치의 빗면구조에 우수가 차올라 차단부재가 부유하게 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140)는, 배수구(120)의 상부에 거치되어 배수구(120)를 밀폐시키는 구성으로서, 방사형 빗면구조(130)에 빗물이 고일 경우 빗물에 의해 부유하여 배수구(120)를 개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140)는, 배수구(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다면체 구조 또는 구형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140)는, 배수구(120)의 상부를 덮어 밀폐할 수 있는 크기의 구형 구조의 상부(141)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배수구(120)와 인접하는 빗면구조(130)와 대응되는 하부(142)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도 8의 (a), (b), (c), (d) 참조) 이때, 하부(142)는, 배수구(120)의 내측 하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도 8의 (a), (b), (c), (d) 참조)
이 경우, 차단부재(140)의 구조를 대수구의 상부 구조 또는 배수구(120)와 인접하는 빗면구조(1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차단부재(140)와 배수구(120)의 밀착상태, 차단부재(140)와 빗면의 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우수받이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재가 장착된 차단부재, 및 장력조절부재가 장착된 차단부재 고정와이어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100)는, 차단장치 본체(110)와 차단부재(140)를 서로 연결하는 차단부재 고정와이어(144)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차단장치 본체(110)와 차단부재(140)를 서로 연결하는 차단부재 고정와이어(144)를 구비함으로써, 차단부재(140)가 악취차단 장치로부터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 고정와이어(144)는, 차단장치 본체(110)의 내측 모서리 부분과 차단부재(140) 측부면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며, 이때,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차단부재 고정와이어(144)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 고정와이어(14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부재(145)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재 고정와이어(144)에 차단부재 고정와이어(14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부재(145)를 장착함으로써, 차단부재(140)가 악취차단장치의 배수구(120)에 놓여 거치되는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고, 차단부재(140)가 우수에 의해 부유하는 상하 위치변경 거리를 제한할 수 있어, 악취차단장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부재(1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압축공기가 주입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차단부재(140)의 일측면에 내부에 주입된 압축공기의 주입량 또는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부재(143)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재(140) 내부에 주입된 압축공기의 주입량 또는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부재(143)를 구비함으로써, 차단부재(140)가 우수에 침수되다가 우수에 의해 떠올라 부유하게 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빗물이 방사형 빗면구조(130)에 고이는 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악취차단장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름 돌기가 형성된 빗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100)는, 빗면구조(130)의 상부면에 측방으로 연속적인 구조로 돌출 형성된 거름돌기(132)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거름돌기(132)는, 일정한 크기의 관통구(133) 또는 갈퀴구조(134)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거름돌기(13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추가 거름돌기(135)는, 빗면구조(130)의 거름돌기(132)로부터 배수구(120)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측방으로 연속적인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추가 거름돌기(135)에는, 거름돌기(132)에 형성된 관통구(133) 또는 갈퀴구조(134)의 크기보다 축소된 크기의 관통구(133) 또는 갈퀴구조(134)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빗면구조(130)의 상부면에 측방으로 연속적인 구조로 거름돌기(132)를 형성하고, 거름돌기(132)에 일정한 크기의 관통구 또는 갈퀴구조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함으로써, 우수받이 내부로 인입되는 우수에 함유된 흙, 모래, 이물질 등이 거름돌기(132)에 걸러질 수 있어, 우수받이 내부에 이물질 등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우수받이와 연통되는 하수배관의 막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받이의 거름돌기(132)에 걸러진 이물질을 손쉽게 외부로 제거할 수 있어, 우수받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장치(100)는, 차단장치 본체(11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망사형 차단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망사형 차단부재(150)는,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소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차단장치 본체(110)의 상부면에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소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차단부재(150)를 장착함으로써, 악취차단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을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우수받이
11: 우수받이의 상부
12: 우수받이의 하부
21: 모래
22: 이물질
100: 악취차단장치
110: 차단장치 본체
120: 배수구
130: 빗면구조
130a: 빗면구조의 내측면
130b: 빗면구조의 외측면
131: 결속구조
132: 거름돌기
133: 관통구
134: 갈퀴구조
135: 추가 거름돌기
140: 차단부재
141: 차단부재의 상부
142: 차단부재의 하부
143: 압력조절부재
144: 차단부재 고정와이어
145: 장력조절부재
146: 결속구조
150: 망사형 차단부재

Claims (5)

  1. 우수받이(10)의 상부 또는 내측에 장착되어, 우수받이(10)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악취차단장치(100)로서,
    우수받이(10)의 상부 내측면 또는 내측면과 대응되는 구조의 외부면 형태를 가지는 차단장치 본체(110);
    상기 차단장치 본체(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구(120);
    상기 차단장치 본체(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구(120) 방향으로 수렴되는 빗면구조(130);
    상기 배수구(120)의 상부에 거치되어 배수구(120)를 밀폐시키고, 방사형 빗면구조(130)에 빗물이 고일 경우 빗물에 의해 부유하여 배수구(120)를 개방하는 차단부재(140);
    상기 차단부재(14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차단부재(140)의 내부에 주입된 압축공기의 주입량 또는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부재(143);
    차단장치 본체(110)의 내측 네 부분과 차단부재(140)의 외부면 사방을 평면상 점대칭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하는 차단부재 고정와이어(144); 및
    차단부재 고정와이어(144)에 장착되고, 차단부재 고정와이어(14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부재(1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면구조(130)는, 차단장치 본체(110)의 상부 내측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변으로부터 중앙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판상형 빗면이 조합된 구조로서,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구(120) 방향으로 수렴됨과 동시에 하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내입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40)는,
    배수구(120)의 상부를 덮어 밀폐할 수 있는 크기의 구형 구조의 상부(141); 및
    배수구(120)와 인접하는 빗면구조(130)와 대응되고, 배수구(120)의 내측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하부(1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장치(100)는,
    상기 차단장치 본체(110)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소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차단부재(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장치.
KR1020200050305A 2020-04-24 2020-04-24 우수받이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102192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305A KR102192113B1 (ko) 2020-04-24 2020-04-24 우수받이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305A KR102192113B1 (ko) 2020-04-24 2020-04-24 우수받이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113B1 true KR102192113B1 (ko) 2020-12-16

Family

ID=7404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305A KR102192113B1 (ko) 2020-04-24 2020-04-24 우수받이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1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089A (ko) * 2010-12-23 2012-07-03 하림 엔지니어링(주) 도로 빗물받이의 악취차단장치
KR101182645B1 (ko) 2010-03-08 2012-09-14 박종수 하수구용 악취차단 및 역류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645B1 (ko) 2010-03-08 2012-09-14 박종수 하수구용 악취차단 및 역류유도장치
KR20120072089A (ko) * 2010-12-23 2012-07-03 하림 엔지니어링(주) 도로 빗물받이의 악취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4237B2 (en) Backwashing filter basket
US20060096186A1 (en) Building drainage system
KR102192113B1 (ko) 우수받이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434066Y1 (ko) 차도 측구용 우수받이
KR101596785B1 (ko) 우수 저류용 역류방지 맨홀 덮개
KR20150091603A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101825822B1 (ko) 내부 강재를 구비한 저수지용 집수정
JPS5855298B2 (ja) マンホ−ル等の蓋の雨水流入防止構造
EP2443291B1 (en) Drainage system having vortex brake
KR101661624B1 (ko) 하수도 악취 차단 장치
KR200249093Y1 (ko) 배수구용 그릴에 장착하는 그물망커버
KR20020096223A (ko)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KR200255619Y1 (ko) 배수처리 집수조 구조
KR101047010B1 (ko) 빗물 배수구 덮개
JP3661150B2 (ja) 排水、換気用等の多孔蓋
JP3871397B2 (ja) 雨水マスシステム
KR102563950B1 (ko) 하수구 그레이팅 막힘 방지 장치
JP6001754B1 (ja) 側溝用雨水排水装置
KR200333410Y1 (ko) 빗물 오수 겸용받이
KR102466764B1 (ko) 악취저감 빗물받이
JP4596869B2 (ja) 耕作区の水位調節システム
CN220814172U (zh) 一种坡道雨水口防堵塞雨污分离井
KR101736091B1 (ko) 빗물받이용 덮개 구조체
KR102548347B1 (ko) 맨홀의 역류 방지 시스템
KR101178211B1 (ko) 경계석 측면 설치용 배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