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791B1 - 소결벤트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소결벤트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791B1
KR102191791B1 KR1020200076616A KR20200076616A KR102191791B1 KR 102191791 B1 KR102191791 B1 KR 102191791B1 KR 1020200076616 A KR1020200076616 A KR 1020200076616A KR 20200076616 A KR20200076616 A KR 20200076616A KR 102191791 B1 KR102191791 B1 KR 102191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ranching
molding
v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현
Original Assignee
대영소결금속 주식회사
권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소결금속 주식회사, 권영현 filed Critical 대영소결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7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by forging
    • B22F3/172Continuous compaction, e.g. rotary hamm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2Compacting only
    • B22F3/03Press-mould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4After-treatment of workpiece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5/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 B22F5/1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of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subgroups
    • B22F5/106Tube or 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3Cleaning or purging, e.g. of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4After-treatment of workpieces or articles
    • B22F2003/247Removing material: carving, cleaning, grinding, hobbing, honing, lapping, polishing, milling, shaving, skiving, turning th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를 순차적으로 공급 분기하고 일정량의 분말 원료를 투입 가압하는 반복적인 작업에 의해 미세하고도 일정한 크기의 다공성 벤트홀을 갖는 소결벤트를 성형하는 소결벤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결벤트의 벤트 홀을 형성하는 코어가 감겨진 코어롤이 권취되는 코어권취수단(110)과, 상기 코어권취수단(110)으로 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코어를 모아 엇갈리지 않도록 분기하는 제1코어분기수단(120)과, 상기 제1코어분기수단(120)을 통과한 코어를 피딩하는 제1, 2피딩수단(130)(140)과, 상기 제1, 2피딩수단을 통과한 코어를 상하 방향으로 분기하는 제2코어분기수단(150)과, 상기 제2코어분기수단(150)을 통과한 코어를 원주형으로 1차 분기하고, 1차 원형 보다 더 작은 원주형으로 2차 분기하는 제3코어분기수단(160)과, 상기 제3코어분기수단(160)에 의해 압축된 코어를 성형가압봉을 관통시켜 성형관으로 유입시킨 후, 호퍼를 통해 분말 원료를 일정량 투입하고 성형가압봉으로 가압하는 반복적인 작업에 의해 소결벤트를 성형하는 성형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결벤트 성형장치{forming machines for sintering vent}
본 발명은 코어를 순차적으로 공급 분기하고 일정량의 분말 원료를 투입 가압하는 반복적인 작업에 의해 미세하고도 일정한 크기의 다공성 벤트홀을 갖는 소결벤트를 성형하는 소결벤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은 가열에 의해 녹은 플라스틱 재료를 금형 속으로 사출시켜 고화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성형품을 만드는 가공방법이다.
압출성형과 함께 열가소성수지의 성형법 중 하나이며 열경화성수지에서도 압축성형에 비해 생산속도가 빨라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사출성형은, 성형재료가 사출성형기의 가열 실린더 속에서 스크류의 회전으로 균일한 용융체가 되어 스크류의 앞쪽 끝부분에 축적된다. 그리고 높은 압력으로 상기 용융체를 금형 속에 충전시킨 뒤 냉각시킴으로써 용융체가 굳어져 완성된다.
사출성형은 용융체를 금형 내부에 충전시키는 과정에서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지 않을 경우 성형물의 형상에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데, 금형에 가스배출을 위한 소결벤트를 구비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소결벤트는 제조방법에 있어 틈을 형성하기 위해 와이어 커팅, 밀링, 엠씨티, 성형연마와 같은 가공방법을 이용하나, 블록에 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가공하기 위해 시간 소요가 많고, 지출 비용이 큰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홈은 블록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블록을 반으로 쪼개어 홈을 가공한 뒤 이를 다시 합치는 등 부가적인 단계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공정으로는 대량생산이 어렵고, 블록을 일체형으로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1 : 공개특허 제10-2015-0133346호(2015.11.30공개)
본 발명은 소결벤트 성형장치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정밀하고도 세밀한 소결벤트를 성형제작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소결벤트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주물 성형, 다이케스팅 성형이 아닌 분말 원료를 투입하여 다수의 가압하는 방식에 의해 소결벤트를 제작함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생산성 향상, 저렴한 비용으로 소결벤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결벤트의 벤트 홀을 형성하는 코어가 감겨진 코어롤이 권취되는 코어권취수단과; 상기 코어권취수단으로 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코어를 모아 엇갈리지 않도록 분기하는 제1코어분기수단과; 상기 제1코어분기수단을 통과한 코어를 피딩하는 제1, 2피딩수단과; 상기 제1, 2피딩수단을 통과한 코어를 상하 방향으로 분기하는 제2코어분기수단과; 상기 제2코어분기수단을 통과한 코어를 원주형으로 1차 분기하고, 1차 원형 보다 더 작은 원주형으로 2차 분기하는 제3코어분기수단과; 상기 제3코어분기수단에 의해 압축된 코어를 성형가압봉을 관통시켜 성형관으로 유입시킨 후, 호퍼를 통해 분말 원료를 일정량 투입하고 성형가압봉으로 가압하는 반복적인 작업에 의해 소결벤트를 성형하는 성형수단;이 포함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코어권취수단은 지지체로 코어가 감겨진 코어롤을 권취하는 코어봉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롤이 위치되는 상단부로 코어를 안내하는 롤러가 구비된 롤러봉이 상기 코어롤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코어롤에서 인출되는 코어가 엇갈리지 않도록 분기하는 분기공을 갖는 분기판이 전면에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1코어분기수단은 코어권취수단에서 공급되는 코어을 상하 좌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분기시키되, 코어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기되도록 좌우 상하 등간격으로 분기된 분기공을 갖는 분기판과, 상기 분기판을 감싸 지지하는 플레이트판으로 구비되어 벽체에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2코어분기수단은 피딩수단으로 부터 공급되는 코어를 상하로 1/2 분할시키는 것으로, 상하 이격되게 분기판이 구비되되, 상기 분기판에는 코어가 진입되게 분기공을 갖는 부싱이 다수개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3코어분기수단은 제2코어분기수단으로 부터 분기되어 유입되는 코어를 원주형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상단에는 다수의 분기공을 갖는 원주형 분기판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상기 원주형 분기판으로 부터 원주형으로 분기된 코어를 더 작은 원주형으로 축소하는 원주형 분기공이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성형수단은 성형실린더의 승하강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여 투입된 분말 원료를 가압하여 압축하는 상부금형과, 베이스 상단에 구비되어 소결벤트 성형관을 지지하는 하부금형으로 구비되되, 상부금형은 성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 하는 금형판과, 상기 금형판의 하단에는 코어가 관통되며, 승하강 작동에 의해 성형관의 내부에 투입된 분말 원료를 가압하는 성형가압봉이 구비되고, 하부금형은 제1실린더의 전후 작동에 의해 락/해지블럭이 전후 이동되어 성형관을 락/해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성형관의 상하부에는 성형관을 진동시켜 내부에 투입된 분말 원료의 공기층을 제거하는 진동기가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금형의 하단에는 하부금형을 승하강 시키는 제2실린더가 더 구비되되, 소결벤트 성형 완료된 상태에서 성형관을 제거하고 하부금형을 상승시켜 절단된 코어를 압지하여 원상복귀 되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어홀을 형성하는 코어를 순차적으로 공급/분기하여 투입 후, 분말 원료를 투입하여 가압하는 방식에 의해 소결벤트를 제작함으로써, 세밀하고 정밀한 코어홀을 갖는 소결벤트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결벤트 성형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결벤트 성형장치 구조 중 코어권취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결벤트 성형장치 구조 중 제1코어분기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결벤트 성형장치 구조 중 제2코어분기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결벤트 성형장치 구조 중 제3코어분기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결벤트 성형장치 구조 중 성형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결벤트 성형장치에 의해 소결벤트 성형이 완료된 성형관의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결벤트 성형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먼저, 첨부 도면 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결벤트 성형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로서, 본 발명의 소결벤트 성형장치(100)는, 소결벤트의 벤트 홀을 형성하는 코어가 감겨진 코어롤이 권취되는 코어권취수단(110)과, 상기 코어권취수단(110)으로 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코어를 모아 엇갈리지 않도록 분기하는 제1코어분기수단(120)과, 상기 제1코어분기수단(120)을 통과한 코어를 피딩하는 제1, 2피딩수단(130)(140)과, 상기 제1, 2피딩수단을 통과한 코어를 상하 방향으로 분기하는 제2코어분기수단(150)과, 상기 제2코어분기수단(150)을 통과한 코어를 원주형으로 1차 분기하고, 1차 원형 보다 더 작은 원주형으로 2차 분기하는 제3코어분기수단(160)과, 상기 제3코어분기수단(160)에 의해 압축된 코어를 성형가압봉을 관통시켜 성형관으로 유입시킨 후, 호퍼를 통해 분말 원료를 일정량 투입하고 성형가압봉으로 가압하는 반복적인 작업에 의해 소결벤트를 성형하는 성형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권취수단(110)은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체(1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111)의 벽면에는 코어(C)가 감겨진 코어롤(115)을 권취하는 코어봉(112)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롤이 위치되는 상단부로 코어를 안내하는 롤러(113a)가 구비된 롤러봉(113)이 구비되며, 상기 코어봉(112)과 롤러봉(113)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코어롤(115)에는 코어가 감겨진 코어롤(115)이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코어롤(115)에서 인출되는 코어(C)가 엇갈리지 않도록 분기하는 분기공(114a)을 갖는 분기판(114)이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분기판(114)에 형성되는 분기공(114a)은 적어도 4개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으로 구비되는 코어봉(112)과 롤러봉(113)은 상단 후단으로 다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봉(113)에 구비된 롤러(113a)는 전방을 시작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맨 앞의 코어가 분기판(114)의 1번 분기공(114a)으로 유입시 맨 앞의 롤러봉(113)에 구비된 롤러(113a)는 1번 분기공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맨 뒤의 코어가 분기판(114)의 4번 분기공(114a)으로 유입시 4번 맨 뒤의 롤러봉(113)에 구비된 롤러(113a)는 4번 분기공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각 코어롤(115)의 코어는 분기판(114)의 각각 분기공(114a)으로 유입되어 공급되므로 코어의 엇갈림이 방지된다.
한편, 제1코어분기수단(120)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21)에 설치되어 코어권취 수단(110)에서 공급되는 코어를 확장 분기 시키는 것으로 다음과 같다.
다수의 코어를 확장 분기 시키기 위한 분기판(123)이 플레이드판(122)에 의해 벽체(121)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분기판(123)에는 코어권취 수단(110)으로 부터 공급되는 코어(C)를 확장 분기 시키기 위하여 분기공(123a)이 형성되며, 상기 분기공(123a)은 상하 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코어 권취수단(110)의 분기판(114)에서 조밀하게 분기된 코어(C)는 제1코어 분기수단(120)의 분기판(123)을 통과시 각각의 분기공(123a)으로 유입되며. 확장된 분기공(123a)을 통해 더욱 확장되어 엇갈림을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확장 분기되는 코어는 피딩수단을 통해 피딩되되, 상기 피딩수단은 제1피딩수단(130)과, 제2피딩수단(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피딩수단(130)은 코어를 피딩하기 위하여 상하로 한 쌍의 피딩롤러(131)가 브라켓(132)에 의해 지지되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132)의 하단에는 상기 피딩롤러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하강 실린더(133)가 구비된다.
이때, 승하강 실린더(133)의 승하강 조절에 의하여 피딩롤로(131)의 장력이 조절된다.
즉, 제1코어분기수단(120)을 통과한 코어(C)는 상기 한 쌍으로 구비된 피딩롤러(131) 사이를 통과하면서 1차 피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피딩수단(130)은 상,중,하로 이루어져 한 쌍을 이루는 피딩롤러(141)가 브라켓(142)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브라켓(142)의 하단에는 상기 피딩롤러를 승하강 시켜 장력조절을 하는 승하강 실린더(14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피딩수단(130)으로 부터 1차피딩된 코어(C)는 제2차피딩수단에 의해 2차피딩되되, 1차피딩후 2차에서 일부분 분할되어 피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피딩수단에 의해 피딩된 코어(C)는 제2코어분기수단(150)에 의해 또 다시 분기된다.
상기 제2코어분기수단(150)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코어분기수단(150)의 전면에 상하로 이중으로 구비되며, 상,하단의 분기판 구조는 동일하며, 제2피딩수단의 상단으로 분할된 코어는 상단 분기판으로, 하단으로 분환된 코어는 하단 분기판으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기판(151)에는 분기공(152a)을 갖는 부싱(152)이 다수개 구비되어 코어(C)를 분기하도록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 도 4는 제3코어분기수단(160)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2코어분기수단(160)으로 부터 분기되어 유입되는 코어(C)를 원주형으로 확장분기하되, 상단에는 다수의 분기공(162a)을 갖는 원주형 분기판(162)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상기 원주형 분기판(162)으로 부터 원주형으로 분기된 코어(C)를 더 작은 원주형으로 축소하는 원주형 분기공(163)이 구비된다.
즉, 상기 원주형 분기판(162)은 제2코어분기수단(150)을 통과한 코어(C)를 원형으로 형성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분기한다.
이렇게 원형으로 분기되는 코어는 하단에 형성된 원주형 분기공(163)을 통해 더욱 축소되어 성형가압봉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분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축소된 코어는 성형수단(200)으로 유입되며, 분말 원료를 투입시켜 가압하는 방식에의해 상기 코어에 의해 코어홀을 갖는 소결벤트가 성형된다.
상기한 성형수단은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실린더(S5)의 승하강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여 투입된 분말 원료를 가압하여 압축하는 상부금형(210)과, 베이스 상단에 구비되어 소결벤트 성형관(229)을 지지하는 하부금형(220)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금형(210)은 성형실린더(S5)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 하는 금형판(221)과, 상기 금형판의 하단에는 코어(C)가 관통되며, 승하강 작동에 의해 성형관(229)의 내부에 투입된 분말 원료를 가압하는 성형가압봉(22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금형(220)은 제1실린더(S3)의 전후 작동에 의해 락/해지블럭(222)이 전후 이동되어 성형관(229)을 락/해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성형관(229)의 상하부에는 성형관을 진동시켜 내부에 투입된 분말 원료의 공기층을 제거하는 진동기(2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220)의 하단에는 하부금형을 승하강 시키는 제2실린더(S4)가 더 구비되되, 소결벤트 성형 완료된 상태에서 성형관(229)을 제거하고 하부금형(220)을 상승시켜 절단된 코어(C)를 압지하여 원상복귀 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가압봉(223)은 축소된 코어(C)가 1가닥씩 분할 유입되도록 홀(223a)가 원주형으로 다수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각 코어분기수단을 거쳐 분기된 코어는 최종적으로 성형가압봉(223)의 홀(223a)로 유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호퍼(H)를 통해 분말 원료를 투입한 상태에서 성형가압봉(223)이 하강하여 성형관(229)으로 유입된 분말 원료를 가압하고 상승하며, 다시 작업자가 분말 원료를 투입하고 다시 가압하는 방식에 의해 코어홀을 갖는 소결 벤트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결벤트 성형장치의 작동관계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소결벤트의 코어홀을 형성하는 코어(C)는 코어권취수단(110)으로 부터 공급이 시작된다. 즉, 코어권취수단(110)에 권취된 코어(C)는 각 상단에 위치한 롤러(113a)를 따라 한 가닥씩 코어권취수단의 분기판(114)으로 유입되어 제1고어분기수단(120)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1코어분기수단(120)의 분기판(123) 분기공(123a)을 통해 유입된 코어는 더욱 확장되어 제1피딩수단(130)과 제2피딩수단(140)을 통해 피딩되어 제2코어분기수단(150)으로 유입되며, 유입된 코어(C)는 제2코어분기수단(150)을 통해 1/2로 분기된다.
이와 같이 분기된 코어(C)는 제3코어분기수단(160)을 통해 원주형의 형상으로 집진되며, 하단에 구비된 원주형 분기공(163)을 통해 더욱 축소되어 성형가압봉(223)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가압봉(223)을 통과한 코어(C)의 끝단은 잔재의 코어등으로 묶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묶어진 코어는 하부 금형의 하단까지 하강시키되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하강된다.
먼저, 소결벤트를 성형에 필요한 호퍼(H)와 성형관(229)을 묶어진 코어의 하단으로 끼운 다음, 호퍼(H)와, 성형관(229)을 성형가압봉(223)으로 상승시킨다.
이후, 제2실린더(S4)를 작동시켜 하부금형(220) 전체를 상승시키되 묶어진 코어 끝단이 하부 금형(220)에 구비된 압지부(228)로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그리고 압지부(228)를 통해 묶어진 코어의 끝단을 압지한 상태에서 제2실린더(S4)를 하강시키면, 코어가 압지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지하여 하강한 원상복귀된 상태에서 성형관(229)을 하강하고 제1실린더(S3)를 작동하여 락/해지블럭(222)이 성형관(229)을 견고히 잡아주도록 한다.
그리고 성형관(229)의 상단 및 하단 외주연에 진동기(224)를 설치하면 성형에 따른 기초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준비 완료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소결벤트 주 원료(분말원료)를 호퍼(H)로 일정부분 투입시킨후 성형실린더(S5)를 작동시키면, 상부금형의 하강과 함께 성형가압봉(223)이 성형관(229)의 상부로 유입되어 투입된 원료 분말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 완료 후 성형 가압봉(222)은 원상복귀되며, 작업자는 또 다시 호퍼를 통해 분말원료를 투입하고 재차 성형가압봉(223)이 하강하여 다시 가압을 행하는 방식에 의해 코어홀을 갖는 소결벤트가 제작된다.
한편, 성형관(229)으로 원료 분말 투입시 진동기(224)가 성형관에 계속적으로 진동을 가하기 때문에 투입된 분말층에 공기층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분말을 투입하고 반복적으로 가압해주므로써 세밀하고 정밀한 소결벤트의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투입된 코어(C)에 의해 일정하고도 균일한 지름을 갖는 코어홀의 형성이 가능하다.
한편, 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성형관의 상단부의 코어를 재차 묶어주고 코어를 절단한 후, 락/해지블럭을 해지하여 성형관(229)을 재거후 새로운 성형관을 상단에서 설명된 방법에 의해 재 설치하여 재 성형하면된다.
그리고 성형이 완료된 성형관(229)은 열처리실로 옮겨져 열처리되며, 고주파 내지 고온의 열을 가해 심지로 사용된 코어를 열로 녹여 제거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소결벤트 성형장치 110: 코어권취수단
113: 롤러봉 114: 분기판
114a: 분기공 115: 코어롤
120: 제1코어분기수단 123: 분기판
123a: 분기공 130: 제1피딩수단
131,141: 피딩롤러 140: 제2피딩수단
150: 제2코어분기수단 151: 분기판
160: 제3코어분기수단 162: 원주형 분기판
163: 원주형 분기공 200: 성형수단
222: 락/해지블럭 223: 성형가압봉
224: 진동기 228: 압지부
229: 성형관

Claims (7)

  1. 소결벤트의 벤트 홀을 형성하는 코어가 감겨진 코어롤이 권취되는 코어권취수단(110)과,
    상기 코어권취수단(110)으로 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코어를 모아 엇갈리지 않도록 분기하는 제1코어분기수단(120)과,
    상기 제1코어분기수단(120)을 통과한 코어를 피딩하는 제1, 2피딩수단(130)(140)과,
    상기 제1, 2피딩수단을 통과한 코어를 상하 방향으로 분기하는 제2코어분기수단(150)과,
    상기 제2코어분기수단(150)을 통과한 코어를 원주형으로 1차 분기하고, 1차 원형 보다 더 작은 원주형으로 2차 분기하는 제3코어분기수단(160)과,
    상기 제3코어분기수단(160)에 의해 압축된 코어를 성형가압봉을 관통시켜 성형관으로 유입시킨 후, 호퍼를 통해 분말 원료를 일정량 투입하고 성형가압봉으로 가압하는 반복적인 작업에 의해 소결벤트를 성형하는 성형수단(200);을 포함하되,
    상기 성형수단(200)은, 성형실린더(S5)의 승하강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여 투입된 분말 원료를 가압하여 압축하는 상부금형(210)과, 베이스 상단에 구비되어 소결벤트 성형관(229)을 지지하는 하부금형(220)으로 구비되되,
    상기 상부금형(210)은 성형실린더(S5)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 하는 금형판(221)과, 상기 금형판의 하단에는 코어(C)가 관통되며, 승하강 작동에 의해 성형관(229)의 내부에 투입된 분말 원료를 가압하는 성형가압봉(223)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금형(220)은 제1실린더(S3)의 전후 작동에 의해 락/해지블럭(222)이 전후 이동되어 성형관(229)을 락/해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성형관(229)의 상하부에는 성형관을 진동시켜 내부에 투입된 분말 원료의 공기층을 제거하는 진동기(2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벤트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권취수단(110)은
    지지체(111)와,
    상기 지지체(111)로 코어(C)가 감겨진 코어롤(115)을 권취하는 코어봉(112)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롤이 위치되는 상단부로 코어를 안내하는 롤러(113a)가 구비된 롤러봉(113)이 상기 코어롤(115)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코어롤(115)에서 인출되는 코어(C)가 엇갈리지 않도록 분기하는 분기공(114a)을 갖는 분기판(114)이 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벤트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분기수단(120)은,
    코어권취수단에서 공급되는 코어(C)을 상하 좌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분기시키되, 코어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기되도록 좌우 상하 등간격으로 분기된 분기공(123a)을 갖는 분기판(123)과, 상기 분기판(123)을 감싸 지지하는 플레이트판(122)으로 구비되어 벽체(121)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벤트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어분기수단(150)은,
    피딩수단으로 부터 공급되는 코어(C)를 상하로 1/2 분할시키는 것으로,
    상하 이격되게 분기판(151)이 구비되되, 상기 분기판(151)에는 코어가 진입되게 분기공(152a)을 갖는 부싱(152)이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벤트 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제3코어분기수단(160)은,
    제2코어분기수단(160)으로 부터 분기되어 유입되는 코어(C)를 원주형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상단에는 다수의 분기공(162a)을 갖는 원주형 분기판(162)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상기 원주형 분기판(162)으로 부터 원주형으로 분기된 코어(C)를 더 작은 원주형으로 축소하는 원주형 분기공(16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벤트 성형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20)의 하단에는 하부금형을 승하강 시키는 제2실린더(S4)가 더 구비되되, 소결벤트 성형 완료된 상태에서 성형관(229)을 제거하고 하부금형(220)을 상승시켜 절단된 코어(C)를 압지하여 원상복귀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벤트 성형장치.
KR1020200076616A 2020-06-23 2020-06-23 소결벤트 성형장치 KR102191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616A KR102191791B1 (ko) 2020-06-23 2020-06-23 소결벤트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616A KR102191791B1 (ko) 2020-06-23 2020-06-23 소결벤트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791B1 true KR102191791B1 (ko) 2020-12-16

Family

ID=7404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616A KR102191791B1 (ko) 2020-06-23 2020-06-23 소결벤트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79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2358B1 (ko) * 1995-04-26 1998-07-15 이재정 금속용기의 벌지성형방법 및 장치
KR19990063634A (ko) * 1995-09-21 1999-07-26 스케트 베르쌜마쉬넨바우 게엠베하 다중와이어(wire = 철사) 스풀(spool)을 다중 와이어로 동시에 감으며/또는 이렇게 감겨진 다중스풀(spool)로부터 그의 다음 합연기를 위하여 와이어를 동시에 풀어주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10076655A (ko) * 2000-01-27 2001-08-16 권혁주 스파이럴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06305610A (ja) * 2005-04-28 2006-11-09 Mitsubishi Materials Pmg Corp 粉末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89022B1 (ko) * 2005-12-29 2007-03-02 이성목 핀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절삭 팁의 성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57528B1 (ko) * 2007-07-31 2012-06-2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노즐 부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57436B1 (ko) * 2014-05-12 2015-10-12 홍성호 단열 테이프 권취장치와 그 방법
KR20150133346A (ko) 2014-05-19 2015-11-30 주식회사 에스제이씨 소결 벤트를 갖는 회전자용 원심 주조 금형
KR20170105698A (ko) * 2016-03-09 2017-09-20 윤정구 가스벤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2358B1 (ko) * 1995-04-26 1998-07-15 이재정 금속용기의 벌지성형방법 및 장치
KR19990063634A (ko) * 1995-09-21 1999-07-26 스케트 베르쌜마쉬넨바우 게엠베하 다중와이어(wire = 철사) 스풀(spool)을 다중 와이어로 동시에 감으며/또는 이렇게 감겨진 다중스풀(spool)로부터 그의 다음 합연기를 위하여 와이어를 동시에 풀어주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10076655A (ko) * 2000-01-27 2001-08-16 권혁주 스파이럴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06305610A (ja) * 2005-04-28 2006-11-09 Mitsubishi Materials Pmg Corp 粉末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89022B1 (ko) * 2005-12-29 2007-03-02 이성목 핀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절삭 팁의 성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57528B1 (ko) * 2007-07-31 2012-06-2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노즐 부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57436B1 (ko) * 2014-05-12 2015-10-12 홍성호 단열 테이프 권취장치와 그 방법
KR20150133346A (ko) 2014-05-19 2015-11-30 주식회사 에스제이씨 소결 벤트를 갖는 회전자용 원심 주조 금형
KR20170105698A (ko) * 2016-03-09 2017-09-20 윤정구 가스벤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85003027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ulding of pvc products
JPH05504520A (ja) 細長いビームを生産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191791B1 (ko) 소결벤트 성형장치
JP5578696B2 (ja) セラミック成形体の連続成形装置
US3303535A (en) Sand mold patterns formed of porous or permeable metal
US6845710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metallic powder into a compact
DE374455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ritzgiessen
KR950031417A (ko)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593445B1 (ko) 바란스 성형장치
US5258085A (en) Process for producing a layered material in sheet or membrane form from thermoplastic foam
CA2018683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injection molded parts from plastic material
US3660003A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hollow frangible pipes
JP2938676B2 (ja) 粉末材料の押し出し成形方法およびその成形装置
CN107428047A (zh) 射出发泡成型机
EP18438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sting a concrete product by slipform casting
KR20230056469A (ko) 압출성형장치로 성형된 성형품을 절단하기 위한 하향식 절단칼을 구비한 절단장치
CN103506622B (zh) 粉末烧结材料的等静压成型模具、成型方法及其附件
WO1990014185A1 (en) Connecting rod
KR101690149B1 (ko) 서포트 분리가 용이한 3차원 프린터
SU1258593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полых стержн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EP3610966B1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a mould portion
CN107399080A (zh) 一种选择性激光烧结快速成型技术
US2218767A (en) Concrete block making machine
JPH0633105A (ja) 粉末成形装置におけるシューボックス
US116352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rubber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