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730B1 -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rh-ob)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rh-ob)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730B1
KR102191730B1 KR1020200148248A KR20200148248A KR102191730B1 KR 102191730 B1 KR102191730 B1 KR 102191730B1 KR 1020200148248 A KR1020200148248 A KR 1020200148248A KR 20200148248 A KR20200148248 A KR 20200148248A KR 102191730 B1 KR102191730 B1 KR 102191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ersion pipe
lower block
flange
immersion
vacuum deg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조선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선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8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2Treatment with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9/00General processes of refining or remelting of metals; Apparatus for electroslag or arc remelting of metals
    • C22B9/04Refining by applying a vacu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철공정 중 용강 내 침적관을 유입시켜 상기 용강을 정련하는 진공탈가스 설비(RH-OB)는 상기 침적관 상부는 복수의 브릭(정형 내화 벽돌), 철피 및 아르곤 파이프로 마련되고, 하부는 캐스터블(부정형 내화물)로 마련되되 상기 캐스터블을 침적관 하부 블록으로 미리 제작(Precasting)하여 상기 침적관 상부 또는 브릭과 연결하며,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은 성형(Casting)) 시 몰드 내에 플랜지 및 앵커를 마련하여 성형 한 후, 복수의 홀(hole)을 통해 상기 플랜지와 상기 철피 또는 침적관 상부를 체결시키고, 체결 후 상기 홀 내부를 래밍재로 채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RH-OB) 및 이의 시공방법{RH-OB facility with improve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철 및 제강 공정의 정련과정에 사용되는 진공탈가스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적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단축시키고 관리 및 사용이 용이한 진공탈가스 설비(RH-OB)에 관한 것이다.
제강 조업 시 제강로에서 출탕 된 용강은 래들에 받아져 용강 중에 포함된 황, 인, 탄소, 망간 등 대부분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련 처리작업을 거친 후 턴디쉬로 보내지며, 턴디쉬에서 다시 몰드로 주입되어 원하는 형태의 중간제품인 슬라브, 블룸, 빌렛트 등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은 용강의 연속주조 공정 중 RH 진공탈가스 설비는 2차 정련용 설비중의 하나로 장치 내부를 진공화 시킴으로써 래들의 용강 중에 포함된 C, N2, O2, S, P, H 등 기타 용강 속에서 불순물로 작용하는 원소를 분압차를 이용하여 탈가스화 시켜 용강 품질을 향상 시킨다.
이와 같은 RH-OB 설비는 탈가스 장치 중의 하나로서 래들 내 용강으로의 산소 취입 방식에 따라 RH, RH-OB, RH-TOB, RH-KTB, RH-POSB 등의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취지에 맞도록 진공탈가스 설비, RH 설비 또는 RH-OB 설비 등으로 호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RH-OB 설비는 그 하부에 래들을 위치시키고, 래들 내 용강을 향하여 침적관(130)을 침적시킨다. 이후, RH-OB 설비 내부를 0 Torr까지 진공 상태로 만든 후 침적관(130)에 형성된 아르곤 파이프(분사공, 135)를 통해 아르곤 가스(Ar Gas)를 공급하게 되면 해당 침적관(130)이 용강의 상승관으로 작용함으로써 RH-OB 설비 내부에서 용강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용강은 타측의 침적관(하강관)을 통하여 다시 RH-OB 설비로부터 래들로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용강의 흐름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용강 중의 불순물이 가스화하여 제거되는 것이다.
이러한 RH-OB 설비에서 탈가스를 실시하기 위하여 용강을 담고 있는 래들(Ladle)에 침적되어 용강의 와류를 통한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종래의 침적관(Snorkel)(130)은 그 내부가 다양한 재질의 정형 내화물 브릭(131, brick) 구조를 채용하고, 외부는 구조 특성상 다양한 재질의 부정형(Castable) 내화물(133)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즉, 철피(137)를 중심으로 내측에는 정형 내화물 브릭(131)을 사용하고, 외측에는 부정형 내화물(133)을 사용하는 구조다.
따라서, 부정형 내화물인 캐스터블을 시공하는데 혼련, 양생, 경화 등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사용 특성 상 침적관의 균열, 탈락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상기 침적관의 교체나 수리 비용이 많이 발생하므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철피의 열 팽창 등에 의한 침적관의 균열 및 탈락의 문제도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공개특허 10-2004-0093513호(2004.11.06.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작업 공정이 단축되고 기능이 개선되며 사용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침적관을 사용한 진공탈가스 설비를 제공하려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탈가스 설비(RH-OB)는 제철공정 중 용강 내 침적관을 유입시켜 상기 용강을 정련하는 설비로서, 상기 침적관 상부는 복수의 브릭(정형 내화 벽돌), 철피 및 아르곤 파이프로 마련되고, 하부는 캐스터블(부정형 내화물)로 마련되되 상기 캐스터블을 침적관 하부 블록으로 미리 제작(Precasting)하여 상기 침적관 상부 또는 브릭과 연결하며,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은 성형(Casting)) 시 몰드 내에 플랜지 및 앵커를 마련하여 성형 한 후, 복수의 홀(hole)을 통해 상기 플랜지와 상기 철피 또는 침적관 상부를 체결시키고, 체결 후 상기 홀 내부를 래밍재로 채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플랜지와 상기 철피의 체결 방법은 볼트 또는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되, 상기 볼트 또는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 방지 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래밍재는 상기 홀의 크기에 맞도록 미리 제작하여 끼워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플랜지와 상기 철피의 연결 방법은 용접으로 체결하며, 상기 앵커는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의 가지 형태 또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각각의 물성을 상이하게 마련함으로써 현장 상황, 요구 조건에 따라 설치 시 일체형 또는 분리형을 선택하거나 유닛의 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은 하나 이상의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센싱부가 마련되며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온도, 기공율, 균열, 두께, 통기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상기 침적관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상기 센싱부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 및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를 갖는 진공탈가스 설비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성형을 위한 몰드 준비단계, 캐스터블 혼련 및 혼련한 상기 캐스터블을 상기 몰드 내에 주입하는 단계, 20 내지 26 시간 양생 후 탈형하는 단계,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을 상기 침적관의 상부 또는 브릭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에 마련된 복수의 홀을 통해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플랜지와 상기 철피 또는 상기 침적관 상부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홀을 래밍재로 채움하는 단계 및 시공 완료된 상기 침적관을 기 설정 조건에 만족하는지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몰드 내부에 앵커 및 플랜지를 마련한 후 캐스팅하며,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 또는 플랜지와 상기 침적관 상부 또는 철피와의 체결은 용접, 볼팅, 너트 및 복수의 체결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체결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탈가스 설비는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작업 공정이 단축되고 기능이 개선되며 사용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침적관의 손상 및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및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구조의 침적관 하부 블록이 마련된 침적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적관 하부 블록 및 플랜지에 관한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체결된 침적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구조의 침적관 하부 블록을 이용한 진공탈가스 설비의 시공방법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적관 하부 블록의 구조 및 개념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탈가스 설비의 침적관 시공 방법의 사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시공되는 침적관의 순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탈가스 설비(RH-OB)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탈가스 설비는 RH-OB로 표현될 수 있으며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의 여러 표현으로 기재될 수 있고 표현에 한정하여 해석하지 않으며 발명의 취지에 맞게 해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제작된 침적관(130) 및 이를 사용한 진공탈가스 설비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적관 특성 상 부정형의 캐스터블(133)을 사용한 경우 사용 후 균열, 탈락, 철피(137)의 변형 등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브릭(131), 캐스터블(133) 및 이를 포함하는 침적관(130)과 침적관 하부에 크랙과 탈락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침적관을 사용한 진공탈가스 설비의 경우 시공 시 캐스터블의 혼련, 양생, 굳기 등 작업의 기간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 중 작업자의 숙련도나 기술에 따라 일률적인 결과물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침적관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등이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철피의 열 변형 등에 대한 방안이 준비되어 있지 않고 철피가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균열과 탈락 등의 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캐스터블을 블록의 형상으로 미리 제작(프리캐스팅)하여 현장에서 시공함으로써 작업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키고, 일률적인 품질과 우수한 물성을 확보하며, 진공탈가스 설비의 사용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브릭이나 철피 등 침적관 각각의 구성을 견고하게 체결(용접, 볼팅 등) 함으로써 그 물리적인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탈가스 설비에 사용되는 침적관(130)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적관의 하부를 시공 현장에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제작된 일체형 또는 경우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하나의 침적관 하부 블록(130a)을 이용하여 침적관의 상부와 연결하여 시공하게 된다.
도 2에서 원형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130a)이 본 발명에 따른 침적관 하부 블록이며, 상부에는 철피(137)와 이로 둘러 쌓인 복수의 브릭(131)과 아르곤 파이프(분사공, 135)가 마련되며, 하부의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과 연결된다. 이때, 견고한 체결을 위해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130a)의 내부에 플랜지(132) 및 앵커 등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철피 등이 다양한 체결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즉, 프리캐스팅 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130a)은 내부에 플랜지(130)를 마련하여 제작하고 이를 상기 침적관의 상부 또는 철피(137) 등과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침적관의 물성을 증대시키고 내구성을 향상 시키며, 나아가 상기 철피(137)의 열 팽창으로 인한 변형에 대응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상기 플랜지(132)와 이를 포함하는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130a)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그 위치나 직경 등은 다양하게 변경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홀의 개수나 크기도 변경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철공정 중 용강 내 침적관을 유입시켜 상기 용강을 정련하는 진공탈가스 설비(RH-OB)의 상기 침적관 상부는 복수의 브릭(131, 정형 내화 벽돌), 철피(137) 및 아르곤 파이프(135, 분사공)로 마련된다.
상기 침적관 하부는 캐스터블(133, 부정형 내화물)로 마련되되 상기 캐스터블을 침적관 하부 블록(130a)으로 미리 제작(Precasting)하여 상기 침적관 상부 또는 브릭과 연결한다. 특히,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은 성형(Casting) 시 몰드(130b) 내에 플랜지(132) 및 앵커(134)를 마련하여 성형한다.
성형 후, 복수의 홀(hole)을 통해 상기 플랜지(132)와 상기 철피(137) 또는 침적관 상부를 체결시키고, 체결 후 상기 홀 내부를 래밍재로 채움하는 것이다. 즉, 홀 내부를 채움으로써 체결을 견고하게 하고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래밍재(래밍 내화물)는 점토, 타르, 페놀 수지 등을 혼합한 뒤 다져서 높은 온도에 견디도록 한 것으로 그 성분이나 물성은 선택하고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130a)의 플랜지(132)와 상기 철피(137)의 체결 방법은 볼트 또는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되, 상기 볼트 또는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 방지 수단(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즉, 체결 부위의 이격을 방지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격의 정도를 센싱하는 수단이 더 마련되어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래밍재는 재료를 혼합하여 상기 홀에 유입 후 양생하지 않고 상기 홀의 크기에 맞도록 미리 제작하여 끼워 맞출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에 맞도록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끼워 맞추는 경우 내구성 및 견고한 체결을 위해 밀봉, 실링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체결 방법은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플랜지(132)와 상기 철피(137)의 연결 방법은 용접으로 체결할 수 있으며 용접에 의해 두 모재인 플랜지(132)와 철피(137)가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앞서 설명했던 침적관의 내부 철피의 변형에 의한 이격과 탈락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침적관(130)을 구성하는 구성부분의 물성을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마련하여 열에 의한 변형의 정도를 일치시킴으로써 탈락이나 균열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 각각의 구성이 연결되는 부위에 별도의 완충수단(미도시), 완충재를 더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앵커(134)는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의 가지 형태 또는 복수의 돌기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즉, 침적관 하부 블록의 프리캐스팅 시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이후, 침적관의 시공 시 우수한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돌기부(미도시)는 그 형태에 제한이 없이 크기, 직경, 높이, 개수 등을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를 규칙적, 패턴화 함으로써 제작하려는 침적관 하부 블록의 정보 제공, 알람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앵커 이외에도 이후,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과 상기 침적관 상부, 브릭 또는 철피와의 견고한 체결을 위한 다양한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 수단은 동시에 또는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적관 하부 블록의 연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철피(137)와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130a)의 플랜지(132) 내지 앵커 등을 측면에서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볼트의 체결 부위나 갯수는 가감하고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적관 하부 블록의 연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피(137)가 플랜지 또는 하부 블록으로 인입되고 돌출된 부분을 너트로 체결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상기 너트의 체결 부위나 개수는 가감하고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도 4 및 도 5의 볼트 및 너트 체결 방식 이외에 보다 바람직한 방법은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체결하는 것이고 이후 래밍재 등으로 홀을 채워 마감하는 것이다. 즉, 용접으로 두 부재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상기 침적관을 완성하는 경우 내구성이 보다 우수하다.
또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130a)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각각의 물성을 상이하게 마련함으로써 현장 상황, 요구 조건에 따라 설치 시 일체형 또는 분리형을 선택하거나 유닛의 형태로 시공할 수도 있다.
즉, 처음부터 하나의 일체형 블록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분리, 결합이 가능하고, 나아가 분리 결합을 위한 각각의 부분이 그 물성이나 성질을 상이하게 제작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침적관을 제공하거나 유닛으로 마련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이 사용되는 환경 및 사용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상기 그 구성을 조합하거나 결합할 수 있으며, 물성을 변경하거나 조합하여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130a)은 하나 이상의 감지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센싱부가 마련되며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온도, 기공율, 균열, 두께, 통기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상기 침적관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싱수단을 통해 사용 중인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 내지 침적관의 상태를 감지하여 유지보수 준비, 교환 등의 사용, 유지에 대한 예상 및 진행이 가능하며, 상기 센싱부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 및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 및 활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감지된 정보가 사용자에게 알람 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를 활용하여 흠결이나 하자를 예측할 수 있으며 물성의 개선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침적관의 상태를 감지하고 사용상태 균열 등의 하자를 예측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조업의 생산효율을 증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간 상태 체크 정보는 더욱 우수한 물성의 침적관 하부 블록을 제조할 경우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구조를 갖는 진공탈가스 설비의 침적관 시공 방법에 관한 순서도로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성형을 위한 몰드 준비단계(S100), 캐스터블의 재료를 선정하고 혼련 및 혼련한 상기 캐스터블을 상기 몰드 내에 주입하고 양생하는 단계(S200, S300), 탈형 및 검사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또한, 탈형 후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을 상기 침적관의 상부 또는 브릭과 연결하는 단계(S500),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에 마련된 복수의 홀을 통해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플랜지와 상기 철피 또는 상기 침적관 상부를 체결하는 단계(S600), 상기 복수의 홀을 래밍재로 채움하는 단계(S700) 및 시공 완료된 상기 침적관을 기 설정 조건에 만족하는지 검사하는 단계(S8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탈가스 설비의 시공 방법은 침적관의 하부 블록을 현장에서 캐스터블을 양생하거나 경화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쉽게 조립하거나 연결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구조를 개선하려는 것이다.
도 8은 이와 같은 시공 방법에 관한 현장 사진으로서 몰드(130b)를 마련하고, 상기 몰드 내에 플랜지와 앵커가 마련되며, 캐스터블 재료를 선정 및 혼련하여 상기 몰드를 이용하여 캐스팅함으로써 침적관 하부 블록의 형태를 제작한 후 침적관 상부의 브릭, 철피 등과 연결하게 된다.
상기 몰드 내부에 앵커 및 플랜지를 마련한 후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 또는 플랜지와 상기 침적관 상부 또는 철피와의 체결은 용접, 볼팅, 너트 및 복수의 체결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체결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도 9 및 도 10은 앞서 설명한 도 4, 도 5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플랜지)과 상부(철피 내지 브릭)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 설명도로서 용접 이외에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체결방법이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 및 이의 시공방법은 다양한 규격, 모양 및 기준에 적용될 수 있도록 변경 및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침적관 하부 블록은 작업 공정이 간단하고 고 사용 및 유지가 용이한 진공탈가스 설비에 이용될 수 있다.
100: 진공탈가스 설비(RH-OB) 110: 래들
111: 용강 130: 침적관
130a: 침적관 하부 블록 130b: 몰드
130: 브릭(brick, 정형 내화물) 133: 캐스터블(부정형 내화물)
135: 아르곤 파이브(분사공) 137: 철피
132: 플랜지 134: 앵커
140: 체결부 141: 볼트
142: 너트 143 : 용접부

S100: 침적관 하부 블록 몰드 세팅
S200: 캐스터블 재료선정 및 혼련
S300: 몰드 내 캐스팅 및 양생
S400: 탈형 및 기 설정 기준 만족 검사
S500: 브릭과 하부블록 체결
S600: 철피와 플랜지 체결
S700: 홀 내부 래밍재 채움
S800: 마무리 검사

Claims (7)

  1. 제철공정 중 용강 내 침적관을 유입시켜 상기 용강을 정련하는 진공탈가스 설비(RH-OB)에 있어서,
    상기 침적관 상부는 복수의 브릭(정형 내화 벽돌), 철피 및 아르곤 파이프로 마련되고, 하부는 캐스터블(부정형 내화물)로 마련되되 상기 캐스터블을 침적관 하부 블록으로 미리 제작(Precasting)하여 상기 침적관 상부 또는 브릭과 연결하며,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은 성형(Casting)) 시 몰드 내에 플랜지 및 앵커를 마련하여 성형 한 후, 복수의 홀(hole)을 통해 상기 플랜지와 상기 철피 또는 침적관 상부를 체결시키고, 체결 후 상기 홀 내부를 래밍재로 채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플랜지와 상기 철피의 체결 방법은 볼트 또는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되, 상기 볼트 또는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 방지 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래밍재는 상기 홀의 크기에 맞도록 미리 제작하여 끼워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플랜지와 상기 철피의 연결 방법은 용접으로 체결하며, 상기 앵커는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의 가지 형태 또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각각의 물성을 상이하게 마련함으로써 현장 상황, 요구 조건에 따라 설치 시 일체형 또는 분리형을 선택하거나 유닛의 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은 하나 이상의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센싱부가 마련되며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온도, 기공율, 균열, 두께, 통기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상기 침적관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상기 센싱부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 및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공탈가스 설비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성형을 위한 몰드 준비단계:
    캐스터블 혼련 및 혼련한 상기 캐스터블을 상기 몰드 내에 주입하는 단계;
    20 내지 26 시간 양생 후 탈형하는 단계;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을 상기 침적관의 상부 또는 브릭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에 마련된 복수의 홀을 통해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의 플랜지와 상기 철피 또는 상기 침적관 상부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홀을 래밍재로 채움하는 단계; 및
    시공 완료된 상기 침적관을 기 설정 조건에 만족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의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내부에 앵커 및 플랜지를 마련한 후 캐스팅하며, 상기 침적관 하부 블록 또는 플랜지와 상기 침적관 상부 또는 철피와의 체결은 용접, 볼팅, 너트 및 복수의 체결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체결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의 시공방법.
KR1020200148248A 2020-11-09 2020-11-09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rh-ob)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91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248A KR102191730B1 (ko) 2020-11-09 2020-11-09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rh-ob)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248A KR102191730B1 (ko) 2020-11-09 2020-11-09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rh-ob)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730B1 true KR102191730B1 (ko) 2020-12-16

Family

ID=7404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248A KR102191730B1 (ko) 2020-11-09 2020-11-09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rh-ob)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7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3823A (ja) * 1996-03-27 1997-10-07 Nippon Steel Corp 浸漬管用耐火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耐火物を施工した浸漬管及びその施工方法
KR19990023255U (ko) * 1997-12-04 1999-07-05 이구택 진공탈가스처리 설비의 침적관용 프리캐스트 블록
KR20040093513A (ko) 2003-04-30 2004-11-06 주식회사 포스렉 Rh―ob침적관의 내화물 축조구조
KR20130132927A (ko) * 2010-12-17 2013-12-05 풀 부르스 에스.에이. 용광로 노상의 세라믹 바닥 라이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3823A (ja) * 1996-03-27 1997-10-07 Nippon Steel Corp 浸漬管用耐火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耐火物を施工した浸漬管及びその施工方法
KR19990023255U (ko) * 1997-12-04 1999-07-05 이구택 진공탈가스처리 설비의 침적관용 프리캐스트 블록
KR20040093513A (ko) 2003-04-30 2004-11-06 주식회사 포스렉 Rh―ob침적관의 내화물 축조구조
KR20130132927A (ko) * 2010-12-17 2013-12-05 풀 부르스 에스.에이. 용광로 노상의 세라믹 바닥 라이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70453A (zh) 齿轮箱铸件的铸造方法
KR102191730B1 (ko) 개선된 구조의 진공탈가스 설비(rh-ob) 및 이의 시공방법
CA1284014C (en)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ollow cast product with bottom
CN101332635B (zh) 一种喷煤管浇筑模具及浇筑工艺
CN111618246B (zh) 一种带腔室的大型球墨铸铁磨盘的铸造生产方法
CN110014123B (zh) 一种百吨级乏燃料贮运一体化金属容器的铸造方法
CN113337657B (zh) 高炉出铁沟运维方法及出铁沟
JP5491815B2 (ja) 精錬装置用浸漬管
CN111361004A (zh) 一种墩柱预制件的制造方法及桥墩
CN111822686B (zh) 一种连铸中间包包盖的模铸方法及其制作模具
CN212578850U (zh) 一种圆筒形三通耐火浇注预制件用模具
CN113680967A (zh) 一种百吨级乏燃料容器的铸造成型方法
JP5729642B2 (ja) 柱状インゴットの鋳造装置
RU2469101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футеровки патрубка вакууматора
JP5883704B2 (ja) フルモールド鋳造装置
JP3769256B2 (ja) Rh脱ガス槽底、rh脱ガス槽及び耐火物ブロックの製造方法
CN210521919U (zh) 整体滤板及包括其的滤池
CN215434184U (zh) 一种砌筑铁水包耐火内衬的模具
CN114807476B (zh) 一种高炉炉缸用的修复工艺
CN114800788B (zh) 一种撇渣器快换模胎及通铁铁沟的制备方法
CN109916175B (zh) 一种减少钢坯黑印的支撑梁包扎方法
CN220959619U (zh) 一种电炉砌筑型溜槽
KR102244725B1 (ko) 동 용해 성형장치 및 방법
SU1014632A1 (ru) Опока
KR100827792B1 (ko) 주조용 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