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719B1 - 트위스트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트위스트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719B1
KR102191719B1 KR1020200087767A KR20200087767A KR102191719B1 KR 102191719 B1 KR102191719 B1 KR 102191719B1 KR 1020200087767 A KR1020200087767 A KR 1020200087767A KR 20200087767 A KR20200087767 A KR 20200087767A KR 102191719 B1 KR102191719 B1 KR 102191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orsion spring
bearing
center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요한
Original Assignee
문요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요한 filed Critical 문요한
Priority to KR1020200087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4Platforms for reciprocating rotating motion about a vertic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63B23/03541Moving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나 다리의 좌우 회전동작으로 비틀림 운동을 유도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바닥에 선택적으로 고정 배치되는 받침대(10); 상기 받침대(1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돌출 장착되는 샤프트(20); 상기 샤프트(2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고, 두발이나 한발을 딛고 선 상태로 비틀림 운동되게 지지하는 돌림판(30); 상기 샤프트(20)의 외면에 개재되고, 상기 돌림판(30)으로 일방향의 회전탄성을 부가하는 토션스프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대에서 두 발을 올려 딛고 선 상태로 하체를 돌리는 허리운동과 더불어 두 대에서 각 발을 나눠 올려 딛고 선 상태로 다리를 안쪽과 바깥쪽으로 돌리는 다리운동을 동반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일방향의 회전탄성을 부가해주는 토션스프링을 채택함으로써, 근육이나 인대를 늘리는 스트레칭은 물론 근육의 부하로 인해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면서도 제한된 회전각도와 회전저항으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위스트 운동기구{Twist exercise machine}
본 발명은 허리나 다리의 좌우 회전동작으로 비틀림 운동을 유도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한 대에서 두 발을 올려 딛고 선 상태로 하체를 돌리는 허리운동과 더불어 두 대에서 각 발을 나눠 올려 딛고 선 상태로 다리를 안쪽과 바깥쪽으로 돌리는 다리운동을 동반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일방향의 회전탄성을 부가해주는 토션스프링을 채택함으로써, 근육이나 인대를 늘리는 스트레칭은 물론 근육의 부하로 인해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면서도 제한된 회전각도와 회전저항으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장시간 의자에 앉아 업무를 보는 경우 하체 운동량이 줄어 상체에 비해 근육발달이 떨어지고, 식생활의 발달로 인해 섭취하는 영양에 비해서 소비되는 열량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상체의 비대화가 가속됨에 따라 이를 지탱하는 허리나 다리에 스트레스가 과중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한 생활을 누리기 위해 실내외에서 다양한 운동을 병행하는 사람들이 나날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에 힘입어 끊임없이 다양한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실내운동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러닝머신을 들 수 있다. 그런데, 러닝머신은 비교적 고가이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가정에서 구입해서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다른 예로 러닝머신 보다 콤팩트하면서도 쉽고 간편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트위스트 운동기구가 있다.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회전발판에 양발을 딛고 선 상태에서 벽이나 별도의 손잡이를 잡고 허리를 좌우로 비틀리게 해준다.
이와 함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917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260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발판에 각 발을 딛고 선 상태에서 각 다리를 안쪽과 바깥쪽으로 비틀리게 해주는 것도 있다.
그러나 단순히 사용자의 다리를 회전 가능하게만 구현해줌으로써, 근육이나 인대를 늘리는 스트레칭 정도에 그치게 되고, 무한 회전하는 구조임에 따라 잘못된 회전각으로 인해 근육이나 인대를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두 발을 회전발판에 올라서는 과정에서 급격한 회전이 작용됨에 따라 균형을 잃고 넘어져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9178호 (발명의 명칭: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2607호 (발명의 명칭: 아이들링 기어 이동 방식의 치차 제어 기구와 이를 이용한 트위스터 운동 기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비교적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대에서 두 발을 올려 딛고 선 상태로 하체를 돌리는 허리운동과 더불어 두 대에서 각 발을 나눠 올려 딛고 선 상태로 다리를 안쪽과 바깥쪽으로 돌리는 다리운동을 동반 수행할 수 있는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방향의 회전탄성을 부가해주는 토션스프링을 채택함으로써, 근육이나 인대를 늘리는 스트레칭은 물론 근육의 부하로 인해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면서도 제한된 회전각도와 회전저항으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대에 방진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운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바닥의 손상이나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기구의 높낮이를 최소화하여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션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돌림판의 복귀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조절유닛을 구성함으로써, 급격한 복귀회전으로 인한 근육이나 인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허리나 다리의 좌우 회전동작으로 비틀림 운동을 유도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바닥에 선택적으로 고정 배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돌출 장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고, 두발이나 한발을 딛고 선 상태로 비틀림 운동되게 지지하는 돌림판;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개재되고, 상기 돌림판으로 일방향의 회전탄성을 부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돌림판보다 큰 너비를 가진 원형 또는 각형 윤곽형상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중앙에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홀; 상기 받침판의 상면 중앙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원형의 베어링홈; 상기 베어링홈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레이디얼 또는 트러스트타입의 베어링; 상기 받침판의 상면 중앙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을 회전 가능하게 구속하는 관형의 베어링하우징; 상기 받침판의 밑면과 테두리를 감싸지게 장착되어 바닥으로부터 슬립을 방지하며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완충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돌림판의 저면 중앙에 고정 장착되는 샤프트몸체; 상기 샤프트몸체의 하단 중앙으로 베어링에 삽입 통과하는 직경과 길이로 연장 돌출되는 회전보스; 상기 회전보스의 단부에 끼움 장착되어 베어링으로부터 이탈이 저지되게 결속해주는 스냅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몸체의 외면 중단으로 토션스프링이 안치되도록 중앙을 향해 소정 직경으로 단차진 스프링수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몸체의 외면에 스프링수납홈까지 삽입 장착되어 베어링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싱;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돌림판은, 상면에 사용자의 발바닥과 마찰을 증대시켜 슬립을 방지하며, 발바닥에 자극을 주어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복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지압돌기는, 반원 단면형상의 돔형 또는 위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원뿔 또는 각뿔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상기 받침판의 상면과 돌림판의 저면에 각각 돌출 장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과 맞물려 회전탄성을 유발하는 한 쌍의 스프링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스프링홀더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다리부를 설정 위치에 구속되도록 서로 간섭하는 위치에 구속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한 돌림판의 복귀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받침판의 상면으로 샤프트를 감싸지게 고정 장착되는 조절케이스;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돌림판과 동반 회전하는 조절캠; 상기 조절케이스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조절캠과 상시 맞물려 돌림판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유동하는 조절볼; 상기 조절케이스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장착되고, 상기 조절볼로 일방향의 압축탄성을 부가하는 조절스프링; 상기 조절케이스의 내외부로 관통 체결되고, 조임과 풀림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조절스프링의 압축탄성력을 가변시키는 조절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비교적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한 대에서 사용자가 두 발을 올려 딛고 선 상태로 하체를 돌리는 허리운동과 더불어 두 대에서 각 발을 나눠 올려 딛고 선 상태로 다리를 안쪽과 바깥쪽으로 돌리는 다리운동을 동반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일방향의 회전탄성을 부가해주는 토션스프링을 채택함으로써, 근육이나 인대를 늘리는 스트레칭은 물론 근육의 부하로 인해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면서도 제한된 회전각도와 회전저항으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받침대에 방진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운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바닥의 손상이나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기구의 높낮이를 최소화하여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토션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돌림판의 복귀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조절유닛을 구성함으로써, 급격한 복귀회전으로 인한 근육이나 인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정면과 측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a-a선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샤프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허리운동을 실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다리운동을 실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조절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허리나 다리의 좌우 회전동작으로 비틀림 운동을 유도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받침대(10), 샤프트(20), 돌림판(30), 토션스프링(4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10)는 도 1 및 도 2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바닥에 선택적으로 고정 배치되어 돌림판(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받침대(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1), 베어링(12), 베어링하우징(13), 완충패드(14)로 구성된다.
받침판(11)은 경질의 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돌림판(30)보다 큰 너비를 가진 원형 또는 각형의 윤곽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판(11)의 중앙에는 샤프트(2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홀(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판(11)의 상면 중앙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원형의 베어링홈(11b)이 형성된다.
베어링(12)은 레이디얼 또는 트러스트타입으로 이루어지고, 베어링홈(11b)에 삽입 장착되어 샤프트(2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다.
베어링하우징(13)은 받침판(11)의 상면 중앙에 고정 장착되고, 베어링(12)을 회전 가능하게 구속한다.
이러한 베어링하우징(13)은 샤프트(2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관형으로 형성되고, 받침판(11)의 상면에 용접 또는 볼트로 고정 장착된다.
완충패드(14)는 연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받침판(11)의 밑면과 테두리를 감싸지게 장착된다.
이러한 완충패드(14)는 바닥으로부터 슬립을 방지함과 함께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면서도 회전홀(11a)을 마감해준다.
여기서 완충패드(14)는 저면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완충다리(14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완충다리(14a)는 완충패드(14)의 저면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줌으로써, 고르지 못한 바닥에도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게 해준다.
이때, 받침판(11)의 상면 일측에는 도 4와 같이 토션스프링(40)의 다리부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는 스프링홀더(50)가 장착된다.
여기서 스프링홀더(50)에는 토션스프링(40)의 다리부와 간섭하는 위치에 구속홈(50a)이 형성된다.
즉, 구속홈(50a)은 토션스프링(40)의 다리부를 정 위치에 구속시켜 상시 동일한 회전탄성이 작용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받침대(10)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받침판(11)에 장착되고, 돌림판(30)을 제외한 샤프트(20)와 토션스프링(40)이 은폐되게 감싸는 원형 또는 각형 윤각형상의 커버를 구성함이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20)는 도 1 내지 도 5처럼 받침대(1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돌출 장착된다.
이러한 샤프트(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몸체(21)와 회전보스(22) 및 스냅링(23)으로 구성된다.
샤프트몸체(21)는 돌림판(30)의 저면 중앙에 고정 장착되어 받침판(11)으로부터 돌림판(30)을 회전되게 지지한다.
회전보스(22)는 샤프트몸체(21)의 하단 중앙으로 베어링(12)에 삽입 통과하는 직경과 길이로 연장 돌출된다.
스냅링(23)은 회전홀(11a)의 저부로 노출되는 회전보스(22)의 단부에 끼움 장착되어 베어링(12)으로부터 이탈이 저지되게 결속해준다.
이때, 샤프트몸체(21)는 도 6a처럼 외면 중단으로 토션스프링(40)이 안치되도록 중앙을 향해 소정 직경으로 단차진 스프링수납홈(21a)이 형성된다.
여기서 토션스프링(40)은 탄성에너지가 저장된 코일부와, 코일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로 이루어진다.
즉, 스프링수납홈(21a)은 토션스프링(40)의 코일부를 수납하여 상시 동일한 위치에 가둬준다.
그런데, 토션스프링(40)의 코일부는 내경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스프링수납홈(21a)에 안치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샤프트(20)는 도 6b와 같이 샤프트몸체(21)의 외면에 스프링수납홈(21a)까지 삽입 장착되는 관형의 회전부싱(24)이 더 구성된다.
즉, 토션스프링(40)의 코일부를 스프링수납홈(21a)에 선 삽입 장착한 이후 회전부싱(24)을 회전보스(22)에 후 삽입 장착하면 된다.
이러한 회전부싱(24)은 도 3처럼 밑면이 베어링(12)의 외륜과 맞물리게 되어 샤프트몸체(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돌림판(30)은 도 1 및 도 2처럼 샤프트(2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어 두발이나 한발을 딛고 선 상태로 비틀림 운동되게 지지한다.
즉, 돌림판(30)은 경질의 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가지런히 모은 두발을 딛고 설 수 있는 너비 또는 한발만을 딛고 설 수 있는 너비를 가진 원형 또는 각형의 윤곽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돌림판(3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발바닥과 마찰을 증대시켜 슬립을 방지하며, 발바닥에 자극을 주어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복수의 지압돌기(31)가 형성된다.
지압돌기(31)는 반원 단면형상의 돔형 또는 위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원뿔 또는 각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압돌기(31)는 도 1처럼 길이방향과 함께 위로 갈수록 도드라지게 라운드진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단면형상의 돔형 또는 원뿔 또는 각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압돌기(31)는 돌림판(30)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완충패드(14)와 같이 돌림판(30)의 윗면과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분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지압돌기(31)의 표면에는 복수의 모헤어가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헤어는 자유롭게 굽힘이 가능한 연질재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맨발로 딛고 설 경우 이질감을 최소화하면서도 슬립을 방지해준다.
이때, 돌림판(30)의 저면 일측에는 도 6과 같이 토션스프링(40)의 다리부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는 스프링홀더(55)가 장착된다.
여기서 스프링홀더(55)에는 토션스프링(40)의 다리부와 간섭하는 위치에 구속홈(55a)이 형성된다.
즉, 구속홈(50a)은 토션스프링(40)의 다리부를 정 위치에 구속시켜 상시 동일한 회전탄성이 작용되게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토션스프링(40)은 도 1 내지 도 3처럼 샤프트(20)의 외면에 개재되어 돌림판(30)으로 일방향의 회전탄성을 부가한다.
이러한 토션스프링(40)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탄성에너지가 저장된 코일부와, 코일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로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다리부 중 어느 하나는 받침판(11)에 장착된 스프링홀더(50)에 구속되고, 다른 하나는 돌림판(30)에 장착된 스프링홀더(55)에 구속된다.
따라서 돌림판(30)은 일방향의 회전탄성을 받게 됨에 따라 타 방향으로의 회전저항이 발생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본래의 위치로 회전 복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비틀림 동작으로 허리운동과 다리운동을 실시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허리운동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일의 운동기구를 바닥에 고정 설치한 다음 두발을 가지런히 모은 상태로 돌림판(30) 위에 딛고 올라선다.
이 상태에서 주변의 벽체나 가구 등을 손으로 쥐어 신체의 균형을 잡은 상태에서 허리근육을 이용하여 하체를 좌측으로 비틀어 준다.
여기서 하체를 비트는 과정에서 토션스프링(40)에 의한 탄성이 작용하게 되어 허리근육에 부하를 받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비틀 수 있는 최대 각도에서 허리근육에 힘을 서서히 풀면, 토션스프링(40)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즉, 허리를 비트는 과정에서는 탄성부하로 인해 근육이 긴장되고, 반대로 복귀하는 과정에서는 근육이 서서히 이완됨에 따라 스트레칭은 물론 허리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다리운동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두 대의 운동기구를 어깨 넓이만큼 바닥에 이격 설치한 다음 각 발을 돌림판(30) 위에 순차적으로 딛고 올라선다.
이때, 돌림판(30)은 토션스프링(40)에 의해 회전저항이 작용됨에 따라 딛고 올라서는 과정에서 회전이 최소화되어 기존에 보다 안정적으로 올라설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주변의 벽체나 가구 등을 손으로 쥐어 신체의 균형을 잡은 상태에서 허벅지, 종아리, 발목근육을 이용하여 각 다리를 안쪽으로 비틀어 준다.
여기서 다리를 비트는 과정에서 토션스프링(40)에 의한 탄성이 작용하게 되어 다리근육에 부하를 받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비틀 수 있는 최대 각도에서 다리근육에 힘을 서서히 풀면, 토션스프링(40)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마찬가지로 다리를 비트는 과정에서는 탄성부하로 인해 근육이 긴장되고, 반대로 복귀하는 과정에서는 근육이 서서히 이완됨에 따라 스트레칭은 물론 다리의 전반적인 근력을 강화시킬 수가 있다.
이때, 두 대의 운동기구를 좌우 측 반대로 설치하거나 각 돌림판(30)에 처음과 반대되는 발로 딛고 서게 되면, 다리를 바깥쪽으로 비트는 과정에서 토션스프링(40)의 회전탄성이 작용된다.
또한, 굳이 두 대의 운동기구를 동시에 사용하지 않고 높이가 비슷한 물체위에 한 발을 올려놓고 나머지 발을 운동기구에 딛고 올라서 운동하면 된다. 즉, 한 대의 운동기구에 양다리를 교번시켜 운동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두 발을 올려 딛고 선 상태로 하체를 돌리는 허리운동과 더불어 각 발을 순차 올려 딛고 선 상태로 다리를 안쪽과 바깥쪽으로 돌리는 다리운동을 동반 수행할 수가 있음은 물론 토션스프링이 일방향의 탄성회전력을 부가해줌에 따라 근육이나 인대를 늘리는 스트레칭은 물론 근육의 부하로 인해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면서도 제한된 회전각도와 회전저항으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도 9처럼 받침판(11)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어 토션스프링(40)에 의한 돌림판(30)의 복귀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조절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조절유닛(60)은 현관문의 도어클로저와 같이 돌림판(30)을 서서히 복귀 회전되게 작용시켜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게 도모한다.
이러한 조절유닛(60)은 크게 조절케이스(61), 조절캠(62), 조절볼(63), 조절스프링(64), 조절노브(65)로 구성된다.
조절케이스(61)는 조절볼(63) 내지 조절노브(65)를 수납하는 함체로, 받침판(11)의 상면으로 샤프트(20)를 감싸지게 고정 장착된다.
조절캠(62)은 샤프트(20)의 외면 즉, 회전부싱(24)의 외면에 고정 장착되어 돌림판(30)과 같이 동반 회전한다.
조절볼(63)은 조절케이스(61)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조절캠(62)과 상시 맞물려 돌림판(30)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유동한다.
조절스프링(64)은 조절케이스(61)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장착되고, 조절볼(63)로 일방향의 압축탄성을 부가한다.
조절노브(65)는 조절케이스(61)의 내외부로 관통 체결되고, 조임과 풀림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조절스프링(64)의 압축탄성력을 가변시켜 준다.
즉, 사용자에 의해 회전된 돌림판(30)이 복귀 회전하면, 조절캠(62)이 조절볼(63)을 우측으로 밀어내고, 이 과정에서 조절스프링(64)이 압축된다.
따라서 토션스프링(40)의 회전탄성이 조절스프링(64)의 압축탄성만큼 소멸됨에 따라 돌림판(30)이 서서히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조절노브(65)를 죄면, 조절스프링(64)이 압축되면서 조절볼(63)로 부가하는 탄성력이 높아져 돌림판(30)의 복귀 회전속도가 늦춰진다.
반대로 조절노브(65)를 풀면, 조절스프링(64)이 인장되면서 조절볼(63)로 부가하는 탄성력이 낮아져 돌림판(30)의 복귀 회전속도가 빨라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스트레칭과 근력운동을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근육이나 인대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받침대
11: 받침판
11a: 회전홀
11b: 베어링홈
12: 베어링
13: 베어링하우징
14: 완충패드
14a: 완충다리
20: 샤프트
21: 샤프트몸체
22: 회전보스
22a: 스프링수납홈
23: 스냅링
24: 회전부싱
30: 돌림판
31: 지압돌기
40: 토션스프링
50, 55: 스프링홀더
50a, 55a: 구속홈
60: 조절유닛
61: 조절케이스
62: 조절캠
63: 조절볼
64: 조절스프링
65: 조절노브

Claims (6)

  1. 허리나 다리의 좌우 회전동작으로 비틀림 운동을 유도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바닥에 선택적으로 고정 배치되는 받침대(10);
    상기 받침대(1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돌출 장착되는 샤프트(20);
    상기 샤프트(2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고, 두발이나 한발을 딛고 선 상태로 비틀림 운동되게 지지하는 돌림판(30);
    상기 샤프트(20)의 외면에 개재되고, 상기 돌림판(30)으로 일방향의 회전탄성을 부가하는 토션스프링(40);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10)는,
    상기 돌림판(30)보다 큰 너비를 가진 원형 또는 각형 윤곽형상의 받침판(11);
    상기 받침판(11)의 중앙에 샤프트(2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홀(11a);
    상기 받침판(11)의 상면 중앙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원형의 베어링홈(11b);
    상기 베어링홈(11b)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2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레이디얼 또는 트러스트타입의 베어링(12);
    상기 받침판(11)의 상면 중앙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12)을 회전 가능하게 구속하는 관형의 베어링하우징(13);
    상기 받침판(11)의 밑면과 테두리를 감싸지게 장착되어 바닥으로부터 슬립을 방지하며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는 완충패드(14);로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20)는,
    상기 돌림판(30)의 저면 중앙에 고정 장착되는 샤프트몸체(21);
    상기 샤프트몸체(21)의 하단 중앙으로 베어링(12)에 삽입 통과하는 직경과 길이로 연장 돌출되는 회전보스(22);
    상기 회전보스(22)의 단부에 끼움 장착되어 베어링(12)으로부터 이탈이 저지되게 결속해주는 스냅링(23);으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20)는,
    상기 샤프트몸체(21)의 외면 중단으로 토션스프링(40)이 안치되도록 중앙을 향해 소정 직경으로 단차진 스프링수납홈(21a);
    상기 샤프트몸체(21)의 외면에 스프링수납홈(21a)까지 삽입 장착되어 베어링(12)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싱(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림판(30)은,
    상면에 사용자의 발바닥과 마찰을 증대시켜 슬립을 방지하며, 발바닥에 자극을 주어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복수의 지압돌기(31);
    가 형성되되,
    상기 지압돌기(31)는,
    반원 단면형상의 돔형 또는 위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원뿔 또는 각뿔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상기 받침판(11)의 상면과 돌림판(30)의 저면에 각각 돌출 장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40)과 맞물려 회전탄성을 유발하는 한 쌍의 스프링홀더(50)(5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홀더(50)(55)는
    상기 토션스프링(40)의 다리부를 설정 위치에 구속되도록 서로 간섭하는 위치에 구속홈(50a)(55b);
    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20200087767A 2020-07-15 2020-07-15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2191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767A KR102191719B1 (ko) 2020-07-15 2020-07-15 트위스트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767A KR102191719B1 (ko) 2020-07-15 2020-07-15 트위스트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719B1 true KR102191719B1 (ko) 2020-12-16

Family

ID=7404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767A KR102191719B1 (ko) 2020-07-15 2020-07-15 트위스트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7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7102A (zh) * 2021-12-23 2022-03-29 黄尾莲 一种康复科用手臂肌肉拉力训练装置
KR102396397B1 (ko) * 2021-07-21 2022-05-10 지현 허리돌리기 운동기구
WO2023076158A1 (en) * 2021-11-01 2023-05-04 Perform Stoic LLC Pivoting board exercise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695Y1 (ko) * 2007-01-26 2007-10-04 주식회사 리디자인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0438233Y1 (ko) * 2007-03-19 2008-01-29 김정학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080022607A (ko) 2006-09-07 2008-03-12 구미경 아이들링 기어 이동 방식의 치차 제어 기구와 이를 이용한 트위스터 운동 기기
KR100869178B1 (ko) 2001-12-31 2008-11-21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KR20100138231A (ko) * 2009-06-24 2010-12-31 김재영 허리운동용 회전판
KR20190049900A (ko) * 2016-11-03 2019-05-09 밸런스드 바디, 인크. 회전가능한 디스크 운동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178B1 (ko) 2001-12-31 2008-11-21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KR20080022607A (ko) 2006-09-07 2008-03-12 구미경 아이들링 기어 이동 방식의 치차 제어 기구와 이를 이용한 트위스터 운동 기기
KR200436695Y1 (ko) * 2007-01-26 2007-10-04 주식회사 리디자인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0438233Y1 (ko) * 2007-03-19 2008-01-29 김정학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100138231A (ko) * 2009-06-24 2010-12-31 김재영 허리운동용 회전판
KR20190049900A (ko) * 2016-11-03 2019-05-09 밸런스드 바디, 인크. 회전가능한 디스크 운동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397B1 (ko) * 2021-07-21 2022-05-10 지현 허리돌리기 운동기구
WO2023076158A1 (en) * 2021-11-01 2023-05-04 Perform Stoic LLC Pivoting board exercise device
US11957957B2 (en) 2021-11-01 2024-04-16 Perform Stoic LLC Pivoting board exercise device
CN114247102A (zh) * 2021-12-23 2022-03-29 黄尾莲 一种康复科用手臂肌肉拉力训练装置
CN114247102B (zh) * 2021-12-23 2023-08-08 南京市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康复科用手臂肌肉拉力训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719B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US5279533A (en) Swivel platform with detachable backrest and resilient exercise cords
US20100234192A1 (en) Portable and adjustable stretching device
US8202205B2 (en) Omni-directional exercise device
US20070197360A1 (en) Machine for improved curve and stretching device
WO2014099181A1 (en) Total body exercise device
EA021697B1 (ru) Устройство-тренажер изменения направления и способ тренировки для него
US10780315B2 (en) Body-building device and fitness method
JP2017528297A (ja) 身体運動のための装置
RU104472U1 (ru) Тренировоч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брюа" для развития гибкости суставов и выполнения пластичных этюдов и публичных выступлений в жанрах "каучук" и "клишник"
KR20130005354A (ko) 스텝형 운동기구
US8328702B2 (en) Lower back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CN107998611A (zh) 一种坐式摆腿健身器械
KR102016857B1 (ko) 균형운동기구
US11058911B2 (en) Ankle and foot therapy device and method
GB2482136A (en) A portable exercise device with a rotatable lever or leg support
US20150258367A1 (en) Personal portable exercising device
CA2528548C (en) Wheeled exercise device
KR200478393Y1 (ko) 복합 운동기구
KR101668041B1 (ko) 괄약근 운동기구
KR102106968B1 (ko)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기구
KR100582108B1 (ko) 하체 운동기구
RU2531880C2 (ru) Тренажёр "балатрон"
KR20210001936U (ko) 종아리 근육 강화용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2615718B1 (ko) 운동용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