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386B1 - 안티몬이 없는(antimony-free)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물품 - Google Patents

안티몬이 없는(antimony-free)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386B1
KR102191386B1 KR1020157033093A KR20157033093A KR102191386B1 KR 102191386 B1 KR102191386 B1 KR 102191386B1 KR 1020157033093 A KR1020157033093 A KR 1020157033093A KR 20157033093 A KR20157033093 A KR 20157033093A KR 102191386 B1 KR102191386 B1 KR 102191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flame retardant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217A (ko
Inventor
유첸 양
티앤후아 딩
Original Assignee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6001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05Salts of P-acids with N-b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L33/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30 내지 60 중량부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혼합물, (b) 0.25 내지 2.5 중량부의 적하 방지제, (c) 4 내지 18 중량부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이하 "MPP"), 및 (d) 12 내지 26 중량부의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이하 "PBBPA")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로서, MPP 및 PBBPA의 총량은 18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안티몬이 없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조성물 제조 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티몬이 없는(antimony-free)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물품{Antimony-free flame 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and article}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특히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는 전선(electrical wire) 및 다른 전자 부품(electronic component)을 덮는 절연체(insulator)로서 널리 사용되는 좋은 전기적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전자 장치(electronics)에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시 예상되는 하나의 기준은, V-0의 UL 94 시험 등급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불이 붙은(catching fire) 후에 자기 소화(self-extinguish)해야 하는 것이다. V-0 시험 등급은 시험 물질이 시험 화염(flame)의 적용 이후 10초를 초과하여 화염 연소를 하며 타오르지 않아야 하는 요건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심지어 난연제(fire retardant)(FR)의 첨가에도 상당히 가연성이기 때문에, 이들은 특히 얇은 벽으로 된 전기 커넥터와 같은 얇은 벽으로 된 용도에 대한 UL 94 V-0 등급 요건을 만족하지 않을 수 있다.
화염 독(flame poison)으로서 안티몬 화합물(통상적으로, 안티몬 트리옥사이드)와 유기 할라이드 난연제(바람직하게는 유기 브로마이드)의 첨가를 통해, 적절한 자기 소화성의 PBT 블렌드가 개발되어 왔다.
안티몬 트리옥사이드 그 자체로는 난연성이 아니고, 상기 유기 할라이드 난연제 그들 자체로는 PBT 배합물(formulation)의 기계적 특성을 저해하지(jeopardize) 않고 V-0 등급을 달성하기에 PBT 배합물이 통상적으로 불충분하다. 그러나, 합쳐지면, 이들은 시너지로(synergistically) 작용하여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위한 매우 효과적인 난연성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 시너지의 결과로서, 적은 양의 안티몬과 실질적으로 감소된 양의 유기 할라이드제로, 비슷하거나 더 좋은 난연성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V-0 등급을 달성하기 위하여, PBT 배합물은 주로 유기-브로모 FR제, 안티몬 FR 상승제(synergist) 및, UL 94 V-0 등급 적하 요건(drip requirement)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플루오로폴리머 적하방지 성분(antidrip component)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 비용의 상당한 증가 뿐만 아니라 일부 국가에서는 인간 건강 문제 때문에, PBT 배합물로부터 안티몬 트리옥사이드를 제거하려는 요구가 있어왔다. 일부 연구에서, 반복된 노출 이후에, 피부 자극(skin irritation), 폐 독성(lung toxicity), 최기성(teratogenicity) 및 폐 발암성(lung carcinogenicity)의 가능성 때문에, 안티몬 트리옥사이드는 인간 건강에 잠재적으로 위험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안티몬이 없지만, 얇은 벽으로 된 전자 장치 사용에 현재 이용 가능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성능 특성을 유지하거나 이를 능가하는 난연성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조성물에 대한 계속되는 요구가 있다.
이들 및 다른 요구들은 실질적으로 안티몬이 없는 난연성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조성물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해 충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 30 내지 60 중량부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혼합물, (b) 0.25 내지 2.5 중량부의 적하 방지제, (c) 4 내지 18 중량부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이하 "MPP"), 및 (d) 12 내지 26 중량부의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이하 "PBBPA")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로서, MPP 및 PBBPA의 총량은 18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안티몬이 없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조성물은 23℃ 및 50 % 상대 습도의 조건에서 48 시간 동안 0.71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V-0의 UL 94 등급; 또는 (ⅱ) 70℃의 조건에서 168 시간 동안 0.71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V-0의 UL 94 등급; 또는 (ⅲ) 둘 모두를 갖는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특히 특허청구범위의 문맥에 있어서) 단수 형태, "상기" 및 유사한 지시 대상 용어의 사용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하거나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임의의 순서, 양, 또는 중요성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는 것을 더 주목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안티몬이 없는(substantially antimony-free)" 은, 현재 이용 가능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조성물의 구성 요소의 합성에서 사용되는 경우 안티몬 촉매의 잔량 이외의 안티몬을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실질적으로 안티몬이 없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조성물은 0.001 중량부 미만의 안티몬 촉매를 함유한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또는 이것의 반응 유도체) 및 알칸디올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탄디올을 기반으로 함) 로부터 유래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내 포함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갖는 공중합된(copolymerized) 폴리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코-에틸렌 아디페이트("PET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PPT"),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1,4-사이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코-이소프탈레이트)("PCTA"), 글리콜 개질된(glycol modified)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G"), 글리콜-개질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또는 1종 이상의 각 유형의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BT는 테레프탈산으로부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재활용(recycled) PET로부터 및 PBT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물질로부터 제조된 PBT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PET, PBT, PBT들의 조합 또는 PBT 및 PET의 조합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PBT 또는 PET들의 조합이다.
특정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0.4 내지 1.4 cm3/g의 고유 점도를 갖는 PBT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고유 점도는 ASTM D 2857-70에 따라 25℃에서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 혼합물의 60:40 혼합물로, DIN 51562에 따른 점도계(viscometer)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0.8 초과 내지 1.4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0.4 내지 0.8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더욱 더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1.15 내지 1.25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PBT 5 내지 9 중량부 및 0.6 내지 0.7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PBT 28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2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PBT 6 내지 9 중량부 및 1.2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PBT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적하 방지제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에 더하여,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어, 피브릴(fibril)을 형성하는 또는 피브릴이 아닌 것(non-fibril)을 형성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같은 플루오로폴리머와 같은 적하 방지제를 함유한다. 상기 적하 방지제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단단한 코폴리머, 예를 들어 스티렌 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SAN)에 의해 캡슐화될 수 있다. SAN으로 캡슐화된 PTFE는 TSAN으로 알려져 있다. 캡슐화된 플루오로폴리머들은 플루오로 폴리머, 예를 들어 수성 분산액의 존재 하에서, 상기 캡슐화 폴리머를 중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적하 방지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 0.1 내지 5 중량부,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난연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적하 방지제에 더하여, 상기 조성물은 난연제를 함유한다. 상기 난연제는 안티몬이 없는 난연제이고, 포스페이트 난연제,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MPP)(CAS No. 218768-84-4) 및 브롬화된 난연제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의 조합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PBBPA)(CAS Reg. No. 59447-57-3)의 총 중량부는 18 내지 30 중량부이다. PBBPA는 Sigma Aldrich 및 ICL Industrial Products를 포함하는 다수의 판매 회사(vendor)들로부터 입수 가능하고, 이들에 의해 FR1025로 판매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4.25 내지 15.75 중량부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14.25 내지 25.75 중량부의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더 특정한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4.5 내지 15.5 중량부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14.5 내지 25.5 중량부의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강화 충전제(reinforcing filler)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본 기술 분야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으로 유리, 점토(clay), 실리카, 실리케이트, 알루미나, 보레이트 및 옥사이드와 같은 강화 충전제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강화 충전제는 단단한 섬유, 예를 들어, 유리, 탄소, 금속 및 세라믹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특정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강화 충전제는 유리 섬유이다. 유리 섬유는 통상적으로 약 6800 메가파스칼(megaPascals) 이상의 모듈러스를 갖고, 절단되거나(chopped) 연속적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는 다양한 단면, 예를 들어, 원형, 사다리꼴, 직사각형, 정사각형, 초승달형(crescent), 2엽형(bilobal), 3엽형(trilobal) 및 육각형을 가질 수 있다. 유리 섬유는 0.1 mm 내지 10 mm의 평균 길이를 갖고 2 내지 5의 평균 종횡비(aspect ratio)를 갖는 절단된 스트랜드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로부터 몰딩된 물품들에서, 컴파운딩하는(compounding) 동안 상당한 파쇄(fragmentation)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더 짧은 길이들이 발생될 것이다.
일부 사용을 위하여, 섬유(특히 유리 섬유)의 표면을 화학적 커플링제(chemical coupling agent)로 처리하여 조성물 내에 열가소성 수지의 접착성(adhesion)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유용한 커플링제의 예는 알콕시 실란 및 알콕시 지르코네이트이다. 아미노, 에폭시, 아마이드 또는 티오-기를 지닌(thio-functional) 알콕시 실란들이 유용하다. 높은 열적 안정성을 갖는 섬유 코팅들은 코팅의 분리(decomposition)를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고, 이는 몰딩된 부품으로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높은 용융 온도에서 가공하는 동안 거품 또는 가스 발생을 낳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전기적 사용을 위하여 이용되는 조성물에 대해, 통상적으로 "E-유리"라고 알려진, 상대적으로 소다가 없는(soda free) 라임-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를 포함하는 섬유질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섬유는 표준 방법들, 예를 들어 증기, 에어 블로잉(air blowing), 화염 블로잉(flame blowing) 및 기계적 풀링(mechanical pull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플라스틱 강화를 위한 바람직한 유리 섬유는 기계적 풀링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유리 섬유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약 50 마이크로미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0 마이크로미터이다. 더 짧은 직경의 섬유들은 일반적으로 더 비싸고, 현재 약 10 내지 약 20 마이크로 미터의 직경을 갖는 유리 섬유들이 비용 및 성능의 바람직한 균형을 제공한다. 몰딩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약 1/8 내지 약 2 인치 길이의 절단된 스트랜드 형태로 실 모양의(filamentous)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이는 일반적으로 몰딩된 화합물에서 약 0.0005 내지 약 0.25 인치의 필라멘트(filament) 길이를 낳는다. 이러한 유리 섬유들에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폴리머 성분과 양립할 수 있는 표면 처리, 예를 들어, 실록산, 티타네이트, 또는 폴리우레탄 사이징 등이 제조자에 의해 공급된다.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경우, 유리 섬유는 일반적으로 1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입자성 (비-섬유질(non-fibrous)) 충전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자성 충전제(particulate filler)들은 무기 충전제, 예를 들어, 알루미나, 비정질 실리카(amorphous silica),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운모, 점토, 활석, 유리 조각(glass flake), 유리 마이크로스피어(glass microspheres), 티타늄 디옥사이드와 같은 금속 옥사이드, 아연 설파이드, 미분 석영(ground quartz) 등이다.
일부 구현예들에 있어서, 강화 충전제, 예를 들어 유리 섬유는 평평한 판 모양의 충전제, 예를 들어 활석, 운모 또는 조각(flaked) 유리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평평한 판 모양의 충전제는 두께가 1 내지 약 1000 미크론이고 그 두께의 적어도 10 배 더 큰 길이 및 너비(width)를 갖는다. 단단한 섬유질 충전제들과 평평한 판 모양의 충전제의 조합이 몰딩된 물품의 구부러짐(warp)을 감소시킬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입자성 충전제는 0 초과 내지 3 중량부, 구체적으로 0 초과 내지 2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0.1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0.3 내지 약 0.7 중량부의 활석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0.4 내지 약 0.6 중량부의 활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선택적으로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것과 같은 조핵제(nucleating agent)를 함유할 수 있다. 조핵제는 블렌드의 결정화 속도를 더 가속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열적 안정성, 증가된 밀도, 및/또는 텍스쳐(texture)와 같은 조성물들의 추가적인 이로운 특성들을 부여할 수 있다. 조핵제의 예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입자성 (비-섬유질) 무기(non-organic) 화합물, 카복실기를 갖는 금속 염을 함유하는 유기 금속 화합물, 고분자 유기 화합물(polymeric organic compound), 포스페이트 및 포스파이트, 소르비톨 유도체 및 금속 염 이오노머를 포함한다.
입자성 (비-섬유질) 무기 화합물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카본 블랙, 칼슘 카보네이트, 합성 규산(silicic acid) 및 실리케이트 염, 아연 화이트, 하이-사이트 점토(high-sight clay), 고령토(kaolin), 염기성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운모, 활석, 규사(quartz powder), 규조토(diatomaceous earth), 돌로마이트 분말(dolomite powder), 티타늄 옥사이드, 아연 옥사이드, 바륨 설페이트, 칼슘 설페이트, 알루미나, 칼슘 실리케이트 및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한다.
PBT 조성물을 위한 구체적인 조핵제는 활석, 특히 0.9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평균 최대 직경을 갖는 활석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활석은 0.9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중간(median)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등가 구형 직경(equivalent spherical diameter)은 입자 크기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활석의 사용은 낮은 수축(low shrinkage)과 매끄러운 표면 마무리(smooth surface finish) 모두를 갖는 몰딩된 물품을 제공한다. 이런 유형의 활석의 사용은 또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결정화를 도울 수 있고 조성물의 열 저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활석은 상표명 ULTRATALC®609으로 Barretts Minerals Inc.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특정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3 내지 0.7 중량부의 활석을 함유한다. 더욱 특히, 상기 조성물은 0.4 내지 0.6 중량부의 활석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앞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특성들에 지장을 주지 않고 다른 유리한(favorable) 특성들을 강화시키는 다른 첨가제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인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로 컴파운딩되거나 블렌딩될 수 있는 선택적인 구성 요소 및 첨가제는 비활성 무기 안료, 염료(dyestuff), 윤활제(lubricant), 이형제(release agent, UV 흡수제(UV absorber), UV 안정화제(UV stabilizer), 산화 방지제(anti-oxidant), 오존 분해 방지제(anti-ozonant), 안정화제, 오염 방지제(stain-proofing agent), 정전기 방지 첨가제(anti-static additive), 항미생물제(anti-microbial agent), 용융 점도 증강제(melt viscosity enhancer), 충격 개질제(impact modifier), 소광제(quencher), 가공보조제(processing aid) 등을 포함한다. 본 조성물에 통합될 수 있는 다른 첨가제들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지고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첨가제들의 예시적 기술은 R. Gachter and H. Muller, Plastics Additives Handbook, 6th edition, 2009에서 찾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6-디-t-부틸-p-크레졸, 4-(하이드록시메틸)-2,6-디-t-부틸페놀, 2,6-디-t-부틸-4-sec-부틸페놀, 또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로부터 선택된 안정화제를 함유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안정화제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이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0.02 내지 약 0.06 중량부의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0.03 내지 약 0.05 중량부의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광제(quencher) 및 안정화제를 더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0.5 중량부 또는 0.2 내지 0.4 중량부의 아연 포스페이트인 소광제 및 0.02 내지 0.05 중량부 또는 0.03 내지 0.05 중량부의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인 안정화제를 함유한다.
구현예
본 발명은 하기 구현예들을 포함한다.
구현예 1.
(a) 30 내지 60 중량부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혼합물;
(b) 0.25 내지 2.5 중량부의 적하 방지제(antidrip agent);
(c) 4 내지 18 중량부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d) 12 내지 26 중량부의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로서,
(c) 및 (d)의 총량(combined amount)은 18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안티몬이 없고(antimony-free), 및
(ⅰ)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23℃/50% RH) 시험 등급을 갖거나; 또는
(ⅱ)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70℃) 시험 등급을 갖거나; 또는
(ⅲ)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23℃/50% RH) 시험 등급 및 V-0의 UL 94 (70℃) 시험 등급을 갖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2.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조합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3. 구현예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조합인,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4. 구현예 1 내지 3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0.4 내지 1.4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5. 구현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0.8 초과 내지 1.4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0.4 내지 0.8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6. 구현예 5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 5 내지 9 중량부의 상기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1.15 내지 1.25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상기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b) 28 내지 50 중량부의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0.6 내지 0.7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상기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7. 구현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하 방지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8. 구현예 7에 있어서, 0.25 내지 2 중량부의 스티렌 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로 캡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9. 구현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하 방지제는 0.25 내지 2 중량부의 스티렌 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로 캡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10. 구현예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 4.25 내지 15.75 중량부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d) 14.25 내지 25.75 중량부의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11. 구현예 8 또는 9에 있어서,
(c) 4.25 내지 15.75 중량부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d) 14.25 내지 25.75 중량부의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12. 구현예 11에 있어서,
(c) 4.5 내지 15.5 중량부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d) 14.5 내지 25.5 중량부의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c) 및 (d)의 총량은 18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미만이고, 및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23℃/50% RH) 시험 등급 및 V-0의 UL 94 (70℃) 시험 등급을 갖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13. 구현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1 내지 60 중량부의 강화제(reinforcing agent)를 더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14. 구현예 13에 있어서, 상기 강화제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15. 구현예 14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5 내지 35 중량부의 상기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16. 구현예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0.3 내지 0.7 중량부의 조핵제(nucleating agent)를 더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17. 구현예 16에 있어서, 상기 조핵제는 활석(talc)인,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18.
(a1) 5 내지 9 중량부의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1.15 내지 1.25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a2) 28 내지 50 중량부의 상기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0.6 내지 0.7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b) 0.5 내지 2 중량부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c) 4.25 내지 15.75 중량부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d) 14.25 내지 25.75 중량부의 상기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 및
(e) 25 내지 35 중량부의 상기 유리 섬유;를 포함하고,
(c) 및 (d)의 총량은 18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안티몬이 없고, 및
(ⅰ)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23℃/50% RH) 시험 등급을 갖거나; 또는
(ⅱ)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70℃) 시험 등급을 갖거나; 또는
(ⅲ)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23℃/50% RH) 시험 등급 및 V-0의 UL 94 (70℃) 시험 등급을 갖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18a.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혼합물은
1.15 내지 1.25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0.6 내지 0.7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하 방지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유리 섬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5 내지 9 중량부의 상기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28 내지 50 중량부의 상기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2 중량부의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4.25 내지 15.75 중량부의 상기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14.25 내지 25.75 중량부의 상기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 및
25 내지 35 중량부의 상기 유리 섬유; 를 포함하고,
상기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상기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의 총량은 18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미만이고,
상기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안티몬이 없고, 및
(ⅰ)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23℃/50% RH) 시험 등급을 갖거나; 또는
(ⅱ)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70℃) 시험 등급을 갖거나; 또는
(ⅲ)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23℃/50% RH) 시험 등급 및 V-0의 UL 94 (70℃) 시험 등급을 갖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19. 구현예 18 또는 18a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는 E-유리 섬유인,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20. 구현예 19에 있어서,
(a1) 6 내지 8 중량부의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a2) 30 내지 40 중량부의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b) 0.5 내지 2 중량부의 스티렌 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로 캡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c) 4.5 내지 15.5 중량부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d) 14.5 내지 25.5 중량부의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
(e) 25 내지 35 중량부의 E-유리 섬유; 및
(f) 0.4 내지 0.6 중량부의 활석;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23℃/50% RH) 시험 등급 및 V-0의 UL 94 (70℃) 시험 등급을 갖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구현예 21. 구현예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물품.
예증 (exemplification)
본 발명은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더 설명된다.
브롬계 난연제, 멜라민계 난연제 및 이들의 조합들을 함유하는 다양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배합물을 제조하여, 안티몬 트리옥사이드 및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BC-52)의 페녹시-말단 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시너지 조합(synergistic combination)을 이용하는 경우 얻어지는 것과 동등한 기계적 특성 및 난연성을 보여줄 수 있는 PBT 배합물을 얻었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 및 제조(preparation)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더욱 명백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고, 단지 이를 예시하고 대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시험 (Testing)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비교 화합물의 실시예들의 가연성(flammability) 시험을 UL 94 요건에 따라 수행하였고, 0.71 mm 두께 시험 시편들로 (ⅰ) 23℃ 및 50% 상대 습도(RH)의 조건에서 48 시간 후에 (이하 "UL 94 (23℃/50% RH)" 시험); 및 (ⅱ) 70℃의 조건에서 168 시간 후에 (이하 "UL 94 (70℃)" 시험); 수행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비교 화합물의 실시예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난 시험들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시험하였다.
  ASTM 표준
(ASTM Standards)
시험 조건
(Testing Conditions)
단위
(Units)
용융 부피 속도(Melt Volume Rate) (MVR) D 1238 - 2010 250 ℃, 5 Kg cm3/10 분
NII D 256 - 2010 23 ℃, 2lb/ft J/m
HDT D 648 - 2007 1.82 MPa
인장 모듈러스(Tensile Modulus) D 638 - 2010 5 mm/분, 23 ℃ MPa
절단시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 at Break) D 638 - 2010 5 mm/분, 23 ℃ MPa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비교 조성물의 실시예들을 표 2에 열거된 물질들로부터 제조하였다.
구성 요소 상표명 및 공급처
PBT I 60:40의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에서 측정된 1.2 cm3/g의 고유 점도를 갖는 VALOXTM 315로 SABIC Innovative Plastics에 의해 판매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PBT II 60:40의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에서 측정된 0.66 cm3/g의 고유 점도를 갖는 VALOXTM 195로 SABIC Innovative Plastics에 의해 판매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PBT 유리 Jushi 534A, E-유리: PBT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절단된 13 미크론 직경의 섬유유리(fiberglass), 절단 길이: 3.0 mm, Jushi로부터 입수.
MPP MELAPURTM 200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Melamine Polyphosphate), CAS Reg. No. 20208-95-1, BASF Corp.로부터 입수 가능.
MCA MELAPURTM MC25 멜라민 시라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CAS Reg. No. 37640-57-6, BASF Corp.로부터 입수 가능.
PBBPA 2-프로페노익산, (2,3,4,5,6-브로모페닐)메틸 에스테르, 호모폴리머, 폴리(펜타브로모벤질 아크릴레이트) CAS Reg. No. 59447-57-3, FR-1025로서 ICL Industrial Products로부터 입수.
BC-52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의 페녹시 말단 카보네트 올리고머, CAS Reg. No. 94334-64-2, 52 중량부의 브롬, GREAT LAKES Solutions, Chemtura Business로부터 입수.
ATO/BC-52 MB BC-52를 함유하는 난연성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CAS Reg. No. 94334-64-2, 및 3.1:1 비율의 안티몬 트리옥사이드(ATO), Industrial Plastics Group으로부터 입수.
아연 포스페이트
(Zinc Phosphate)
Zn3(PO4)2, CAS Reg. No. 7779-90-0, ICL Industrial Products로부터 입수 가능.
입체 장애있는 페놀 안정제(Hindered Phenol Stabilizer)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CAS Reg. No. 6683-19-8, BASF Corp.로부터 입수 가능.
TSAN 폴리(스티렌-아크릴로나이트릴)로 캡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SABIC Innovative Plastics로부터 입수 가능.
미세 활석(Fine Talc) 활석(Talcum), Mg3Si4O10(OH)2, CAS Reg. No. 14807-96-6 평균 입자 크기 0.90 마이크로미터 미만, Barretts로부터 입수 가능.
PETS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CAS Reg. No. 115-83-3, Faci SpA로부터 입수 가능.
컴파운딩 및 몰딩(Compounding and Molding)
컴파운딩 및 몰딩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배합물 구성 요소를 텀블(tumble) 블렌딩 하고, 그 후 240℃ 내지 265℃의 배럴 및 다이 헤드 온도에서 및 300 rpm의 스크류 속도(screw speed)로 진공 통기식 믹싱 스크류(vacuum vented mixing screw)가 구비된 27-mm 쌍축 압출기로 압출하였다. 압출물을 워터 배쓰를 통해 냉각시킨 후 펠렛화하였다. ASTM 아이조드 및 굴곡 바(flexural bar)를 약 240 내지 265℃의 설정 온도에서 반 돈 몰딩 기계(van Dorn molding machine)로 사출 몰딩하였다. 사출 몰딩하기 전에, 120℃의 강제 공기 순환 오븐(forced air-circulating oven) 내에서 3 내지 4 시간 동안 펠렛들을 건조시켰다.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실시예들(E1-E17) 및 비교 조성물(C1-C12)의 배합물들, 및 이들의 관찰된 물리적, 기계적 및 난연성 시험 결과들을 하기의 표 3 및 표 4에 제공하였다.
표 3은 안티몬 트리옥사이드 및 브롬화된 폴리카보네이트 (C1)의 시너지 조합을 함유하는 PBT 배합물에 대하여 얻은 UL 94 결과를 제공한다. 안티몬 옥사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심지어 PBT 조성물이 상당히 더 많은 양의 브롬화된 폴리카보네이트 (C2-C4)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PBT 조성물 난연성의 상당한 감소를 관찰하였다.
구성 요소(중량%) C1 C2 C3 C4
PBT Ⅰ 8.5 9.31 8.57 7.76
PBT Ⅱ 43.96 48.17 44.34 40.15
PBT 유리(PBT GLASS) 30 30 30 30
ATO/BC-52 MB 15.45 - - -
BC52, 브롬화된 PC - 10.43 15 20
아연 포스페이트(Zinc Phosphate) 0.3 0.3 0.3 0.3
입체 장애 있는 페놀 안정제(Hindered phenol stabilizer) 0.04 0.04 0.04 0.04
TSAN 1.05 1.05 1.05 1.05
미세 활석(Fine Talc) 0.5 0.5 0.5 0.5
PETS 0.2 0.2 0.2 0.2
시험 (성능 기준)
UL 94 (23℃/50% RH) (V-0) 합격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UL 94 (70℃) (V-0) 합격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SG (<1.8) 1.65 1.61 1.61 1.68
MVR @ 250℃, 5kg 10 분 (>20 cm3/10 분) 31.8 35.1 36.7 33.7
NII @ 23℃, 2 lbf/ft (>60 J/m) 75.9 68.3 65.7 65.1
HDT @ 1.82 MPa (>200 oC) 207 205.9 203.1 182.1
인장 모듈러스(Tensile Modulus) (>10000 MPa) 11060 10380 10225 10980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 절단(Break)
(>110 MPa)
130 127 127 128
Figure 112015112952910-pct00001
Figure 112015112952910-pct00002
Figure 112015112952910-pct00003

표 4는 MPP 또는 PBBPA 중 하나를 함유하는 PBT 배합물이 비교 화합물 C1에 보여지는 안티몬 트리옥사이드 및 브롬화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시너지 조합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동등한 난연성 함량을 제공하는데 실패하였음을 보여준다. 특히, 표 4는 10 중량부 이하의 MPP를 함유(C5-C6)하거나 또는 20 중량부 이하의 PBBPA를 함유(C7-C9 및 C11-C12)하는 PBT 배합물이, 48 시간 조건의 샘플 및 168 시간 조건의 샘플에 대하여 모두 UL 94 가연성 시험을 불합격하였음을 보여준다. 놀랍게도, PBT 배합물에서 4.5 중량부만큼 적은 MPP가 14.5 중량부만큼 적은 PBBPA와 결합될때, PBT 배합물(E6)이 바람직한 함량(110 MPa 초과)에서 배합물의 인장 강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48 시간 및 168 시간 UL 94 가연성 시험 모두에 합격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표 4는 또한 MPP 및 PBBPA의 총량이 30 중량부(10 중량부의 MPP 및 20 중량부의 PBBPA (E16))의 총량으로 증가하고, PBT 배합물의 인장 강도가 110 MPa 미만으로 감소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표 4는 심지어 5 중량부 이하의 MPP 및 12 중량부 이하의 PBBPA의 조합을 함유하는 PBT 배합물(C10)가 두 UL 94 시험 모두에서 여전히 불합격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4의 결과는 또한 MPP 및 PBBPA의 조합이 총 18 내지 30 중량부라는 가정하에, 배합물 내에 4 내지 18 중량부의 MPP와 12 내지 26 중량부의 PBBPA의 조합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PBT 제조 조성물은 23℃ 또는 70℃ 중 한 조건에서 샘플들에 대해 적어도 UL 94 요건을 충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4는 또한 MPP 및 PBBPA의 조합이 총 30 중량부 이하라는 가정하에, 배합물 내에 4.5 내지 15.5 중량부의 MPP와 14.5 내지 25.5 중량부의 PBBPA의 조합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PBT 제조 조성물은 모두 양호한 화염 특성을 보여주고, 0.71 mm 두께 시험 시편에 대하여 UL 94(23℃/50% RH) 및 UL 94(70℃) 시험 모두에서 UL 94 V-0 등급을 충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Claims (21)

  1. (a) 30 내지 60 중량부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조합인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b) 0.25 내지 2.5 중량부의 적하 방지제(antidrip agent);
    (c) 4 내지 18 중량부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d) 12 내지 26 중량부의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로서,
    (c) 및 (d)의 총량(combined amount)은 18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안티몬이 없고(antimony-free), 및
    (ⅰ)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23℃/50% RH) 시험 등급을 갖거나; 또는
    (ⅱ)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70℃) 시험 등급을 갖거나; 또는
    (ⅲ)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23℃/50% RH) 시험 등급 및 V-0의 UL 94 (70℃) 시험 등급을 갖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0.8 초과 내지 1.4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0.4 내지 0.8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인,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 5 내지 9 중량부의 상기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1.15 내지 1.25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상기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b) 28 내지 50 중량부의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0.6 내지 0.7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상기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 방지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c) 4.25 내지 15.75 중량부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d) 14.25 내지 25.75 중량부의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 내지 35 중량부의 유리 섬유(glass fiber)를 더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조합은
    1.15 내지 1.25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0.6 내지 0.7 cm3/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하 방지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유리 섬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5 내지 9 중량부의 상기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28 내지 50 중량부의 상기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2 중량부의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4.25 내지 15.75 중량부의 상기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14.25 내지 25.75 중량부의 상기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 및
    25 내지 35 중량부의 상기 유리 섬유; 를 포함하고,
    상기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상기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의 총량은 18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미만이고,
    상기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안티몬이 없고, 및
    (ⅰ)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23℃/50% RH) 시험 등급을 갖거나; 또는
    (ⅱ)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70℃) 시험 등급을 갖거나; 또는
    (ⅲ)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23℃/50% RH) 시험 등급 및 V-0의 UL 94 (70℃) 시험 등급을 갖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는 E-유리 섬유인,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a1) 6 내지 8 중량부의 제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a2) 30 내지 40 중량부의 제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b) 0.5 내지 2 중량부의 스티렌 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로 캡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c) 4.5 내지 15.5 중량부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d) 14.5 내지 25.5 중량부의 폴리(펜타브로모벤질아크릴레이트);
    (e) 25 내지 35 중량부의 E-유리 섬유; 및
    (f) 0.4 내지 0.6 중량부의 활석;를 포함하고,
    상기 (c) 및 (d)의 총량은 18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미만이고,
    상기 조성물은 V-0의 UL 94 (23℃/50% RH) 시험 등급 및 V-0의 UL 94 (70℃) 시험 등급을 갖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물품.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57033093A 2013-06-04 2014-06-03 안티몬이 없는(antimony-free)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물품 KR102191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09,495 US9670357B2 (en) 2013-06-04 2013-06-04 Antimony-free flame 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US13/909,495 2013-06-04
PCT/US2014/040614 WO2014197431A1 (en) 2013-06-04 2014-06-03 Antimony-free flame 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and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217A KR20160015217A (ko) 2016-02-12
KR102191386B1 true KR102191386B1 (ko) 2020-12-16

Family

ID=5198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093A KR102191386B1 (ko) 2013-06-04 2014-06-03 안티몬이 없는(antimony-free)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70357B2 (ko)
EP (1) EP3004243B1 (ko)
KR (1) KR102191386B1 (ko)
CN (1) CN105264015B (ko)
WO (1) WO20141974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4179A (zh) * 2018-09-25 2019-02-01 深圳市高科塑化有限公司 一种充电桩插头插座专用pe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819084B (zh) * 2019-11-12 2021-12-03 杭州本松新材料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导热阻燃聚酯复合材料及led灯用散热器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3211A (ja) * 2002-10-22 2004-05-20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ー
JP2011127048A (ja) * 2009-12-21 2011-06-30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6189A1 (de) 1993-05-14 1994-11-17 Bayer Ag Flammgeschützte thermoplastische Formkörper mit hoher Kriechstromfestigkeit
DE19643280A1 (de) * 1996-10-21 1998-04-23 Basf Ag Flammgeschützte Formmassen
US20020111403A1 (en) 2000-12-15 2002-08-15 Gosens Johannes Cornelis Flame 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s
US20030175497A1 (en) * 2002-02-04 2003-09-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me retardant foams, articles including same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TE364062T1 (de) 2004-07-07 2007-06-15 Mitsubishi Eng Plastics Corp Isolationsteile
CN101218305B (zh) 2005-07-08 2011-03-23 宝理塑料株式会社 阻燃性树脂组合物
JP5480500B2 (ja) 2006-07-14 2014-04-23 ウィンテックポリマー株式会社 絶縁部品用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US20090170985A1 (en) 2007-12-28 2009-07-02 Rina Ai Polyester-polyamide compositions, 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8138244B2 (en) * 2008-12-30 2012-03-20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Reinforced polyester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US7829614B2 (en) * 2008-12-30 2010-11-0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Reinforced polyester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US8686072B2 (en) * 2010-06-29 2014-04-0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sistant polyester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of
US8716378B2 (en) 2010-06-29 2014-05-06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sistant polyester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3211A (ja) * 2002-10-22 2004-05-20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ー
JP2011127048A (ja) * 2009-12-21 2011-06-30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57760A1 (en) 2014-12-04
CN105264015B (zh) 2017-04-26
CN105264015A (zh) 2016-01-20
US9670357B2 (en) 2017-06-06
EP3004243A1 (en) 2016-04-13
EP3004243A4 (en) 2017-01-04
WO2014197431A1 (en) 2014-12-11
KR20160015217A (ko) 2016-02-12
EP3004243B1 (en)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0680B2 (en) Polyester compositions flame retarded with halogen-free additives
JP5647076B2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773502A (en) Fire retardant blends
US4111892A (en) Reinforced fir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improved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WO2007037450A1 (ja)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KR20060063879A (ko) 난연화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WO2018042869A1 (ja) 難燃剤組成物及び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JP2004517994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TW201728672A (zh) 熱可塑性聚酯樹脂組成物及成形品
KR102191386B1 (ko) 안티몬이 없는(antimony-free)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물품
KR101632571B1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4504608A (en) Flame 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JP6456291B2 (ja)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WO2014069489A1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JP2015063645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
KR100796730B1 (ko) 내 블루밍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WO2018026621A1 (en) Flame-retarded polyester composition
JP3269271B2 (ja) 合成樹脂用難燃剤およびこれを配合してなる難燃性樹脂組成物
GB2508601A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JPWO2012049896A1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乳酸樹脂成形体
JPS5938266B2 (ja) ポリカ−ボネ−ト樹脂組成物
TW202112942A (zh) 添加劑組合物
TWI239982B (en) Flame-retradant polyester composition
JPH03100032A (ja) 高熱剛性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KR20110106075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