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824B1 -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824B1
KR102190824B1 KR1020157032641A KR20157032641A KR102190824B1 KR 102190824 B1 KR102190824 B1 KR 102190824B1 KR 1020157032641 A KR1020157032641 A KR 1020157032641A KR 20157032641 A KR20157032641 A KR 20157032641A KR 102190824 B1 KR102190824 B1 KR 102190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locking projection
elastic piece
locking
wip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716A (ko
Inventor
이사오 오타
타카오 요시모토
마사히로 오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와이퍼 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와이퍼 시스템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60048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the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pivot pin mounted between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6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the channel-shaped end being provided with protrusions on, or holes in, the side walls to create a piv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side walls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back part of the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와이퍼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러버와 홀더 본체와 클립을 포함한다. 클립은, 홀더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클립은, 탄성편부와 계지돌부를 갖는다. 계지돌부가 와이퍼 암에 설치되는 계지공에 계합한다. 탄성편부는, 장편부와 되접힘부와 제1휨축과 제2휨축을 갖는다. 장편부는, 계지돌부의 측방의 위치오 연장된다. 되접힘부는, 장편부의 선단을 계지돌부에 접속하기 위해 장편부의 방향을 바꾸도록 연장된다. 제1휨축 및 제2휨축은, 제1휨축 및 제2휨축의 사이에 계지돌부가 위치하도록 연장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WIPER BLADE AND WIPER}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용 와이퍼는, 와이퍼 암과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그 연결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중앙부에 설치되는 접속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접속장치는, 눌림가능한 텅(tongue)의 돌기부를 갖는다. 상기 돌기부가 와이퍼 암에 설치된 구멍에 맞게 끼워져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암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와이퍼는 이와 같은 접속장치로서 돌기부에 대하여 와이퍼 암의 제거방향 측 텅의 부위에 위치하는 힌지축(휨 축)을 갖는 텅을 구비한다. 이 와이퍼에서는, 돌기부에 대하여 와이퍼의 제거방향과 반대방향(즉, 돌기부보다도 와이퍼 암의 장착방향 측)의 텅 부위에 위치하는 힌지축을 갖는 텅을 구비하는 와이퍼에 비해, 텅의 돌기부에 와이퍼 암의 제거방향의 힘이 걸려도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암으로부터 제거되기 어렵게 되어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표특허 2008-509034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는, 예를 들면, 작업자가 텅의 돌기부를 누르면 돌기부가 힌지축(휨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움직임이 된다. 이 때문에, 돌기부가 기울어지게 되고, 예를 들면, 와이퍼 암의 구멍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어,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시나 제거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암에 연결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핑 면을 와이핑하기 위한 블레이드 러버, 상기 블레이드 러버를 지지하는 홀더 본체 및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하여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축선은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편부, 상기 탄성편부를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계지돌부를 갖는다. 상기 계지돌부가 상기 와이퍼 암에 설치되는 계지공에 끼워져 계합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와이퍼 암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편부는, 장편부, 되접힘부, 제1휨부 및 제2휨부를 갖는다. 상기 장편부는, 상기 계지돌부의 돌출 방향에서 보아 상기 계지돌부 측방의 위치로 연장된다. 상기 되접힘부는, 상기 장편부의 선단을 상기 계지돌부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장편부의 방향을 바꾸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1휨부 및 상기 제2휨부는, 상기 제1휨부 및 상기 제2휨부의 사이에 상기 계지돌부가 위치하도록 연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와이퍼 일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홀더 본체 및 클립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와이퍼의 일부 단면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일부 측면도.
도 6a~도 6c는, 도 2의 계지돌부가 눌려지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도 2의 계지돌부에 와이퍼 암의 제거방향의 힘이 걸렸을 때의 모식도.
도 8은,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차량용 와이퍼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와이퍼(1)는, 자동차의 와이핑 면으로의 앞 유리에 부착된 빗방울 등을 와이핑하기 위한 것이다. 와이퍼(1)는, 와이퍼 암(2), 상기 와이퍼 암(2)에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3)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 중, 와이퍼 암(2)은, 그 선단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와이퍼 암(2)은, 그 기단부가 와이퍼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으로 소정각도로 왕복회동하는 피벗축(미도시)에 고정되고, 상기 피벗축의 왕복회동에 따라 왕복요동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와이퍼 암(2)은, 도시하지 않은 가압기구에 의해 그 선단연결부(4)가 앞 유리(와이핑 면) 측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와이퍼 암(2)의 선단연결부(4)에는 와이퍼 블레이드(3)가 연결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3)는, 와이핑 면(앞 유리)을 와이핑하기 위한 세장 형태의 블레이드 러버(11), 블레이드 러버(11) 및 도시하지 않은 세장의 길이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의 스프링 판재로 이루어지는 받침부를 지지하는 홀더 본체(12), 홀더 본체(12)에 대하여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로서의 클립(13)을 구비한다. 상기 축선은 블레이드 러버(1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의 홀더 본체(12)는, 수지제이고, 블레이드 러버(11)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상부 및 받침부를 포위하여 상기 블레이드 러버(11) 및 받침부를 지지한다. 또한, 블레이드 러버(11)의 상부 측 및 받침부에 있어서 홀더 본체(12)의 양측은 한 쌍의 연질 케이스(14)로 덮이고, 양단부 또한 캡(15)으로 덮힌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 본체(12)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삽통공(12a)이 형성된다. 또한, 홀더 본체(12)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기부 측(피벗 축에 가까운 측)의 상면에는, 간격홈(12b)이 형성된다.
클립(13)은, 수지제이고, 상기 홀더 본체(12)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3a)과, 이들 한 쌍의 측벽(13a) 상단을 이으며 홀더 본체(12)의 상면을 라 연장되는 상벽(13b)을 갖는다.
이 클립(13)의 한 쌍 측벽(13a)에서 선단측의 내측면에는, 상기 축삽통공(12a)에 삽입됨으로써 홀더 본체(12)에 대하여 클립(13)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13c)이 형성된다.
또한, 클립(13)의 상기 상벽(13b)에서의 선단측, 즉, 상기 지지축(13c)에 가까운 부위에는, 스스로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절개부(13d)가 형성된다.
또한,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13)의 한 쌍 측벽(13a)에서 외측면에는, 상기 지지축(13c)과 반대측, 즉, 와이퍼 블레이드(3)의 폭 방향 외측에 돌출되는 계합돌부(20)가 형성된다. 계합돌부(20)는, 측벽(13a)에서 상하방향의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13)은, 탄성편부(13f), 상기 탄성편부(13f)를 통하여 클립(13)에 설치되는 계지돌부(13e)를 갖는다. 계지돌부(13e)는, 와이퍼 암(2)에 설치되는 후술할 계합공(4e)에 끼워져 와이퍼 암(2)의 착탈방향으로 계합되도록 상측에 돌출되어 설치된다. "와이퍼 암(2)의 착탈방향"은, 블레이드 러버(11) 등의 길이방향에 해당한다. 계지돌부(13e)는 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계지돌부(13e)는 돌출방향에서 보아 거의 정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돌출방향에서 보아"란 상측에서 보는 것에 해당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탄성편부(13f)는, 장편부(13g), 되접힘부(13h), 제1휨축(X1)(제1휨부), 제2휨축(X2)(제2휨부)을 갖는다. 탄성편부(13f)는, 상벽(13b)과 측벽(13a)와의 경계에 위치하는 절곡부(13k)를 갖는다. 장편부(13g)는, 계지돌부(13e)의 돌출방향에서 보아 상기 계지합부(13e)의 측방의 위치에 연장된다. 장편부(13g)는, 측벽(13a)에 접속되는 기단, 기단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자유단으로서의 선단을 갖는다. 되접힘부(13h)는, 상기 장편부(13g)의 선단을 계지돌부(13e)에 접속하기 위해 장편부(13g)의 방향을 바꾸도록 연장된다. 제1휨축(X1) 및 제2휨축(X2)은, 상기 제1휨축(X1) 및 제2휨축(X2)의 사이에 계지돌부(13e)가 위치하도록 연장된다. 제1휨축(X1)은, 장편부(13g)의 휨축이고, 제2휨축(X2)은, 제1휨축(X1)과 반대를 이루는 되접힘부(13h)의 휨축이다. 절곡부(13k)는, 제1휨축(X1)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의 클립(13)은, 대략 같은 형상인 한 쌍의 탄성편부(13f)를 갖는다. 한 쌍의 탄성편부(13f)는, 계지돌부(13e)의 돌출방향에서 보아, 상기 한 쌍의 탄성편부(13f)의 사이에 계지돌부(13e)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한 쌍의 탄성편부(13f)는, 계지돌부(13e)에 대하여 와이퍼 암(2)의 탈착방향의 양측에 설치된다. 또한, 장편부(13g)는 폭 방향을 따라, 즉, 제1측벽(13a)(도 3에서, 상측의 측벽(13a))으로부터 제2측벽(13a)(도 3에서, 하측의 측벽(13a))을 향하여 연장된다. "폭 방향"이란, 와이퍼 암(2)의 탈착방향과는 다른 방향이다. 계지돌부(13e)의 돌출방향에서 보아, 장편부(13g)의 선단부에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3i)가 형성된다. 또한, 되접힘부(13h)는, 상기 연결부(13i)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기단부, 장편부(13g)의 기단부(상기 일방의 측벽(13a) 측)을 향하여 약간 연장되어 계지돌부(13e)에 접속되는 선단부를 갖는다. "장편부(13g)의 기단측"이란 제1측벽(13a)에 가까운 장편부(13g)의 부위에 해당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돌부(13e)를 누르는 힘(도 6에서, 흰색 화살표 참조)에 대하여는, 장편부(13g)의 기단부에서 와이퍼 암(2)의 탈착방향을 따른 축이 제1휨축(X1)이 된다. 계지돌부(13e)를 누르는 힘에 대하여는, 장편부(13g)의 선단부에서 상기 탈착방향을 따른 축이 제2휨축(X2)이 된다. "장편부(13g)의 선단부"는, 연결부(13i) 및 되접힘부(13h)의 기단부에 해당한다. 즉, 계지돌부(13e)가 눌리면, 제1 및 제2휨축(X1, X2)을 각각 폭으로 하여 주로 회동하도록 하여 탄성편부(13f)가 휘고, 계지돌부(13e)가 경사지지 않고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6(a)~(c)는, (a)~(c)의 순으로 계지돌부(13e)가 점차 눌리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이 계지돌부(13e)는, 홀더 본체(12)의 간격홈(12b)(도 2참조)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간격홈(12b)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의 눌림이 허용된다. 바꿔 말하면, 간격홈(12b)은, 계지돌부(13e)에 대향하여 계지돌부(13e)의 휨 이동 즉, 계지돌부(13e)의 눌림을 허용한다.
또한,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13)은, 제1~제4규제부(21~24)를 갖는다. 제1~제4규제부(21~24)는,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도 3 및 도 7에서, 우방향)으로의 계지돌부(13e) 및 탄성편부(13f)의 이동을 규제한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계지돌부(13e) 및 탄성편부(13f)는, 상벽(13b)의 동일평면 상에 형성된다. 계지돌부(13e) 및 탄성편부(13f)는, 슬릿(13j)에 의해 나뉘어진다. 상기 제1~제4규제부(21~24)는, 계지돌부(13e), 탄성편부(13f) 및 상벽(13b)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계지돌부(13e) 또는 탄성편부(13f)가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당접하는 단면이 된다. 제1~제3규제부(21~23)는, 슬릿(13j)의 일부로서 돌출된 돌출부(25~27)로서, 상세하게는 그 선단면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규제부(21)는, 계지돌부(13e)에서 되접힘부(13h)로부터 가장 먼 단부에 대응한 위치에서,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도 3 및 도 7에서, 우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5)의 선단면이 된다. 또한, 제1규제부(21)(돌출부(25)의 선단면)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편부(13f)와 당접했을 때 상측에서 보아 선 접촉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또한, 제2규제부(22)는, 계지돌부(13e)에서 되접힘부(13h)로부터 가장 먼 단부에 대응한 위치에서, 상벽(13b)으로부터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도 3 및 도 7에서, 우방향)의 탄성편부(13f)(장편부(13g))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26)의 선단면이 된다. 또한, 제3규제부(23)는, 장편부(13g)의 선단부와 대응한 위치에서, 상벽(13b)으로부터 와이퍼 암(2)의 제거 반대방향(도 3 및 도 7에서, 좌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7)의 선단면이 된다. 또한, 제4규제부(24)는, 상기 장편부(13g)의 선단부(연결부(13i)) 사이에 상벽(13b)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출부(28)의 사면으로서, 와이퍼 암(2)의 제거 반대방향(도 3 및 도 7에서, 좌방향) 측의 측면이 된다.
즉, 제1규제부(21) 및 제2규제부(22)는, 제2위치에 형성되고, 제3규제부(23) 및 제4규제부(24)는, 제1위치에 형성된다. 제2위치는, 계지돌부(13e)의 선단부에 대응한 클립(13)의 위치이다. 계지돌부(13e)의 선단부는 계지돌부(13e)의 기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한다.계지돌부(13e)의 기단부는 되접힘부(13h)가 접속되는 계지돌부(13e)이 부위이다. 제1위치는, 장편부(13g)의 선단을 포함하는 장편부(13g)의 선단부에 대응한 클립(13)의 위치이다.
또한,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제4규제부(22~24)(도 8에서, 제3 및 제4규제부(23, 24)만 도시)는, 경사면을 갖는다. 경사면은 계지돌부(13e) 또는 탄성편부(13f)에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으로의 힘이 걸리면 계지돌부(13e)에 그 돌출방향(상측)으로의 분력이 작용하도록 경사를 이룬다. 즉, 제2~제4규제부(22, 24)는, 상측을 향하여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다. "상측을 향하여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은, 계지돌부(13e)가 계지공(4e)에 끼워지는 방향을 따라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해당한다. 또한, 도 8에서는, 계지돌부(13e)에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으로의 힘이 걸리고, 제3 및 제4규제부(23, 24)에 탄성편부(13f)(장편부(13g)의 선단의 연결부(13i))가 당접한 상태를 2점쇄선으로 도시하였다. "제3 및 제4규제부(23, 24)에 탄성편부(13f)가 당접한 상태"는, 제3 및 제4규제부(23, 24)에 장편부(13g)의 선단의 연결부(13i)가 당접한 상태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와이퍼 블레이드(3)는, 그 클립(13)이 와이퍼 암(2)의 선단연결부(4)에 연결고정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퍼 암(2)의 선단연결부(4)에는 상기 클립(13)(상벽(13b))의 상면을 대략 덮는 상피복벽(4a)과 클립(13)(양 측벽(13a))의 외측면을 대략 덮는 양측피복벽(4b)가 형성된다. 그리고, 양측피복벽(4b)에는, 클립(13)과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됨으로써 클립(13)의 상기 계합돌부(20)와 상하방향으로 계합하는 계합요부(4c)가 형성된다. 이 계합요부(4c)는, 양측피복벽(4b)에서 상하방향의 중앙부분에 길이방향 선단측(일단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로부터 계합돌부(20)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계합돌부(20)와 상하방향으로 계합된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연결부(4)의 상피복벽(4a)에는 클립(13)에 결합된 상태(도 4 참조)로 상기 계지돌부(13e)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계지돌부(13e)가 감합되어 상기 계지돌부(13e)와 착탈방향(길이방향)으로 계합하는 계지공(4e)이 형성된다. 이로써, 계지돌부(13e)가 눌리는 어떤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선단연결부(4)와 클립(13)이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즉, 와이퍼 암(2)과 와이퍼 블레이드(3)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와이퍼(1)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와이퍼(1)는, 작업자가 계지돌부(13e)를 누르면서 클립(13)과 와이퍼 암(2)의 선단연결부(4)를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시켜 계합요부(4c)에 계합돌부(20)를 삽입함으로써 와이퍼 암(2)에 와이퍼 블레이드(3)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계지돌부(13e)를 누르면서 클립(13)과 와이퍼 암(2)의 선단연결부(4)를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시켜 계합요부(4c)로부터 계합돌부(20)를 빼냄으로써 와이퍼 암(2)으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3)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된 와이퍼(1)에서는, 와이퍼 암(2)과 그 선단연결부(4)에 고정된 클립(13)에 대하여 와이퍼 블레이드(3)가 회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와이퍼 암(2)의 선단연결부(4)가 도시하지 않은 가압기구에 의해 앞 유리(와이핑 면) 측에 가압됨으로써, 그 가압력이 클립(13), 홀더 본체(12), 받침부를 통하여 블레이드 러버(11)에 전달되어, 블레이드 러버(11) 하단의 와이핑부(11a)가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앞 유리(와이핑 면)에 가압접촉된다. 이로써, 와이퍼 암(2)이 피벗축 중심으로 왕복회동되면, 양호한 와이핑 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이점을 이하에 기재한다.
(1) 탄성편부(13f)는, 장편부(13g), 되접힘부(13h), 제1휨축(X1), 제2휨축(X2)을 갖는다. 제1휨축(X1) 및 제2휨축(X2)은, 제1휨축(X1) 및 제2휨축(X2)의 사이에 계지돌부(13e)가 위치하도록 연장된다. 이때문에, 계지돌부(13e)가 기울지 않도록 용이하게 눌릴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경사자세로 눌리는 경우에 비해 계지돌부(13e)의 눌림 변위량을 전체로서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작업자가 와이퍼 암(2)의 계지공(4e)과의 계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에 의한 장착시나 제거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한 쌍의 탄성편부(13f)는, 계지돌부(13e)의 돌출방향에서 보아, 한 쌍의 탄성편부(13f) 사이에 계지돌부(13e)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문에, 한 쪽만 설치되는 것에 기인한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와이퍼 암(2)의 계지공(4e)과의 계합을 보다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3) 장편부(13g)는, 와이퍼 암(2)의 탈착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문에, 와이퍼 암(12)의 제거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여도 탄성편부(13f)는 계지돌부(13e)의 눌림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휜다. 즉, 탄성편부(13f)의 휨은 계지돌부(13e)와 계지공(4e)과의 계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는 발생하기 어렵다. 이로써, 와이퍼 암(2)과 와이퍼 블레이드(3)과의 연결이 의도치 않게 해제되기 어렵고, 그 연결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클립(13)은, 제1~제4규제부(21~24)을 갖는다. 제1~제4규제부(21~24)는,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으로의 계지돌부(13e) 및 탄성편부(13f)의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때문에, 계지돌부(13e)에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의 힘이 걸려도, 제1~제4규제부(21~24)와 당접한 위치로부터 같은방향으로 계지돌부(13e) 또는 탄성편부(13f)가 추가로 이동하는 것은 규제된다. 즉, 클립(13)은, 계지돌부(13e)에 와이퍼 암(12)의 제거방향의 힘이 걸리면, 탄성편부(13f)가 변형되어 계지돌부(13e)가 상기 제거방향으로 이동하려 한다. 그러나, 그 힘은 제1~제4규제부(21~24)에서 받아내고, 탄성편부(13f)의 눌림방향으로의 휨이 방지된다. 따라서, 와이퍼 암(2)과 와이퍼 블레이드(3)와의 연결을 강하게 하면서도 탄성편부(13f)를 눌림방향으로 휘기 쉽게 하여, 계지돌부(13e)를 작업자가 누르기 쉽게 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에 의한 장착시나 제거시의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탄성편부(13f)를 눌림방향으로 휘기 쉽게 하여 계지돌부(13e)을 작업자가 누르기 쉽게 하면, 제1~제4규제부(21~24)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계지돌부(13e)에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의 힘이 걸릴 때 탄성편부(13f)가 크게 변형되어 와이퍼 암(2)과 와이퍼 블레이드(3)와의 연결이 해제될 염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부(13f)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4) 계지돌부(13e) 및 탄성편부(13f)는, 클립(13)의 상벽(13b)의 동일평면 상에 형성된다, 계지돌부(13e) 및 탄성편부(13f)는, 슬릿(13j)에 의해 나뉜다. 제1~제3규제부(21~23)는, 슬릿(13j)의 일부로서 슬릿(13j) 내로 돌출된 돌출부(25~27)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제3규제부(21~23)는 돌출부(25~27)의 선단면이다. 이때문에, 슬릿(13j)의 형상을 설정하는 것만으로 이들을 용이하게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5~27)는 슬릿(13j)의 일부로서 돌출되기 때문에, 계지돌부(13e)나 탄성편부(13f)의 규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폭, 즉, 휨 폭을 작게하면서, 제조하는 금형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계지돌부(13e)나 탄성편부(13f)의 규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폭을 작게 하기 위해 슬릿의 연장되는 방향의 영역에서 슬릿의 폭을 작게하면, 제조하는 금형의 얇은 부분이 길게 형성되게 되어 금형이 파손되기 쉬워지나, 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계지돌부(13e)나 탄성편부(13f)의 규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폭을 작게 하는 것은, 탄성편부(13f)의 규제방향으로 휘는 량을 억제하게 되고 상기 탄성편부(13f)에 걸리는 응력을 억제하여 그 파손을 방지하는 데에 기여한다. "탄성편부(13f)의 규제방향으로의 휘는 양"은, 탄성편부(13f)의 규제방향으로의 변화량에 해당한다.
(5) 제1~제4규제부(21~24)는, 제1위치 및 제2위치에 형성된다. 제1위치는, 장편부(13g)의 선단을 포함하는 장편부(13g)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클립(13)의 위치이다. 제2위치는, 계지돌부(13e)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클립(13)의 위치이다. 계지돌부(13e)의 선단부는 계지돌부(13e)의 기단부 반대측에 위치한다. 계지돌부(13e)의 기단부는 되접힘부(13h)가 접속되는 계지돌부(13e)의 부위이다. 이때문에, 슬릿의 폭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여도 계지돌부(13e)나 탄성편부(13f)의 규제방향으로의 이동가능한 폭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즉, 장편부(13g)의 선단부나 계지돌부(13e)의 선단부는, 계지돌부(13e)에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의 힘이 걸릴 때 각 휨축(X1 ,X2)을 기점으로 하여 규제방향으로 가장 크게 흔들리는 부분이다. 이때문에,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슬릿의 폭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여도 상기 힘이 걸릴 대 계지돌부(13e)나 탄성편부(13f)가 이동하는 폭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6) 제2~제4규제부(22~24)는 경사면을 갖는다. 경사면은 계지돌부(13e) 및 탄성편부(13f)의 적어도 일방에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으로의 힘이 걸렸을 때 계지돌부(13e)의 돌출방향(상측)으로 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사이다. 이때문에,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할 경우, 이 경사면에 의해 계지돌부(13e)와 계지공(4e)이 끼워지려는 방향으로 분력이 한층 더 작용하기 때문에, 계지돌부(13e)와 계지공(4e)과의 계합이 해제되기 어렵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탄성편부(13f)는 계지돌부(13e)의 돌출방향에서 보아, 한 쌍의 탄성편부(13f)의 사이에 계지돌부(13e)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편부(13f)는 하나만 설치될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편부(13f)의 장편부(13g)는, 와이퍼 암(2)의 착탈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서, 클립(13)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계지돌부(13e) 및 탄성편부(13f)는, 클립(13)의 상벽(13b)의 동일평면상에 슬릿(13j)로서 구획되어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측벽(13a)의 동일평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제3규제부(21~23)는, 슬릿(13j)의 일부로 돌출된 돌출부(25~27)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돌출부(25~27)를 형성하지 않고 대향하는 단면의 모든 면을 규제부로 할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제4규제부(21~24)는, 제1위치 및 제2위치에 형성된다. 제1위치는, 장편부(13g)의 선단을 포함하는 장편부(13g)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클립(13)의 위치이다. 제2위치는, 계지돌부(13e)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클립(13)의 위치이다. 계지돌부(13e)의 선단부는 계지돌부(13e)의 기단부 반대측에 위치한다. 계지돌부(13e)의 기단부는 되접힘부(13h)가 접속되는 계지돌부(13e)의 부위이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규제부는, 제1위치 및 제2위치 이외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제4규제부(22~24)는 경사면을 갖는다. 경사면은 계지돌부(13e) 및 탄성편부(13f)의 적어도 일방에 와이퍼 암(2)의 제거방향으로의 힘이 걸렸을 때 계지돌부(13e)의 돌출방향(상측)으로 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경사져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분력이 발생하지 않는 면일 수 있다. 또한, 클립(13)은, 제2~제4규제부(22~24)와 대향하는 대향부를 가질 수 있다. 대향부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분력을 발생하는 경사면일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본체(12)는 블레이드 러버(11)를 직접 지지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블레이드 러버를 지지하는 홀더 본체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9)

  1.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와이핑면을 와이핑하기 위한 블레이드 러버;
    상기 블레이드 러버를 지지하는 홀더 본체; 및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하여 축선 주위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로서, 상기 축선은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벽과 상기 상벽의 상기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과, 탄성편부, 및 계지돌부(locking projection)를 가지며, 상기 계지돌부는 상기 탄성편부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계지돌부는, 상기 와이퍼 암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퍼 암에 설치되는 계지공(locking hole)에 끼워져 계합되고,
    상기 탄성편부는, 절곡부와, 장편부, 되접힘부, 제1휨부, 제2휨부를 가지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상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한 쪽 측벽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장편부는,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한쪽의 측벽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자유단으로서의 선단을 가지고, 상기 계지돌부의 돌출방향에서 보아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한 쪽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계지돌부의 측방의 위치를 지나서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다른 쪽의 측벽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되접힘부는, 상기 장편부의 상기 선단으로부터 상기 장편부의 기단부 측을 향하여 되접혀져 연장되고, 상기 계지돌부에 상기 되접힘부의 선단부가 접속되며,
    상기 제1휨부 및 상기 제2휨부는, 상기 제1휨부 및 상기 제2휨부의 사이에 상기 계지돌부가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부는, 한 쌍의 탄성편부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한 쌍의 탄성편부는, 상기 계지돌부의 돌출방향에서 보아, 각각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한 쌍의 탄성편부의 사이에 상기 계지돌부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편부는, 상기 와이퍼 암의 길이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규제부를 더 가지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와이퍼 암의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계지돌부 및 상기 탄성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을 규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돌부 및 상기 탄성편부는, 상기 상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계지돌부 및 상기 탄성편부는, 슬릿에 의해 나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슬릿의 일부에 돌출된 돌출부인,
    와이퍼 블레이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제1위치와 제2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장편부의 상기 선단을 포함하는 상기 장편부의 선단부(distal end portion)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위치이며,
    상기 제2위치는, 상기 계지돌부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위치로서, 상기 계지돌부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계지돌부의 기단부(basal end portion)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계지돌부의 상기 기단부는 상기 되접힘부가 접속되는 상기 계지돌부의 부위인,
    와이퍼 블레이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규제부와 대향하는 대향부를 더 가지며,
    상기 규제부 및 상기 대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계지돌부 및 상기 탄성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와이퍼 암의 길이방향으로의 힘이 걸릴 때 상기 계지돌부의 돌출방향으로 분력을 발생시키도록 경사진,
    와이퍼 블레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휨부는, 상기 장편부의 상기 기단부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길이방향을 따른 제1휨축을 가지고,
    상기 제2휨부는, 상기 장편부의 상기 선단을 포함하는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길이방향을 따른 제2휨축을 가지며,
    상기 제1휨축은, 상기 장편부에 있어서의 휨축이고,
    상기 제2휨축은, 상기 제1휨축과 쌍을 이루는 상기 되접힘부에 있어서의 휨축인,
    와이퍼 블레이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와이퍼 암;을 구비하는,
    와이퍼.
KR1020157032641A 2013-09-05 2014-06-11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 KR102190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84131A JP6293441B2 (ja) 2013-09-05 2013-09-05 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
JPJP-P-2013-184131 2013-09-05
PCT/JP2014/065506 WO2015033641A1 (ja) 2013-09-05 2014-06-11 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716A KR20160048716A (ko) 2016-05-04
KR102190824B1 true KR102190824B1 (ko) 2020-12-14

Family

ID=5262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641A KR102190824B1 (ko) 2013-09-05 2014-06-11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99657B2 (ko)
JP (1) JP6293441B2 (ko)
KR (1) KR102190824B1 (ko)
CN (1) CN105452069B (ko)
DE (1) DE112014004067T5 (ko)
WO (1) WO2015033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0730B2 (ja) * 2017-03-23 2019-03-27 日本ワイパブレード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用結合部材
JP6359141B1 (ja) * 2017-03-23 2018-07-18 日本ワイパブレード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の結合構造及びワイパーブレード
FR3066457B1 (fr) * 2017-05-19 2019-07-12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destine a relier un balai d'essuyage a un bras d'entrainement d'un systeme d'essuyage
US10836360B2 (en) * 2017-11-03 2020-11-17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device
US11027705B2 (en) * 2017-11-03 2021-06-08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2175470B1 (ko) 2018-10-18 2020-11-06 (주)아모레퍼시픽 노화 모델 피부세포주의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부세포주 및 그 피부세포주를 이용한 항노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2117392B1 (ko) 2019-06-17 2020-06-03 한경건설(주)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CN113291254B (zh) * 2021-06-30 2022-04-29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旋转雨刮片夹持结构及具有该结构的雨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4479A (ja) * 2009-09-15 2013-02-07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接続装置
WO2013030130A1 (en) * 2011-08-29 2013-03-07 Valeo Wischersysteme Gmbh Wiper blade for a wiper unit of a motor vehicle and wiper uni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1741B1 (fr) * 1998-07-31 2000-09-22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comprenant au moins un premier et un second element relies par l'intermediaire d'une piece de liaison
FR2782043B1 (fr) * 1998-08-07 2000-09-15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articulation et de verrouillage d'un balai d'essuie-glace sur un bras d'essuie-glace
ES2298684T3 (es) 2004-08-03 2008-05-16 Federal-Mogul S.A. Un dispositivo limpiaparabrisas.
DE102005016486A1 (de) 2005-04-08 2006-10-1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arm eines Scheibenwischers
ES2403059T3 (es) 2008-09-13 2013-05-13 Robert Bosch Gmbh Dispositivo de conexión para la conexión articulada de una escobilla del limpiaparabrisas con un brazo del limpiaparabrisas
FR2958242B1 (fr) 2010-03-31 2014-09-12 Valeo Systemes Dessuyage Bras et balai d'essuie-glace a detrompeurs
DE102011053090A1 (de) * 2011-08-29 2013-02-28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blatt für eine Wisch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JP2014088143A (ja) * 2012-10-31 2014-05-15 Asmo Co Ltd 車両用リヤワイパ
JP6013174B2 (ja) * 2012-12-21 2016-10-25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4479A (ja) * 2009-09-15 2013-02-07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接続装置
WO2013030130A1 (en) * 2011-08-29 2013-03-07 Valeo Wischersysteme Gmbh Wiper blade for a wiper unit of a motor vehicle and wipe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93441B2 (ja) 2018-03-14
WO2015033641A1 (ja) 2015-03-12
US20160264101A1 (en) 2016-09-15
US10099657B2 (en) 2018-10-16
CN105452069A (zh) 2016-03-30
DE112014004067T5 (de) 2016-06-02
JP2015051654A (ja) 2015-03-19
KR20160048716A (ko) 2016-05-04
CN105452069B (zh)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82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
KR101386917B1 (ko) 와이퍼 블레이드
JP5765723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US9714008B2 (en) Flat wiper blad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US9073518B2 (en) Vehicle wiper
JP2014509985A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装置
JP6833464B2 (ja) 風防ガラスワイパーブレードホルダを駆動アームに接続するためのシステム用要素
JP5833389B2 (ja) ワイパブレード及び車両用ワイパ
KR101969616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아암
US20140082877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CN104379415A (zh) 一种风挡雨刮臂及其制造方法
WO2015037309A1 (ja) 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ブレードの製造方法
JP5554532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アーム
JP6177979B2 (ja) 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
JP5940927B2 (ja) ワイパブレード
WO2014002863A1 (ja) ワイパブレード
JP6013174B2 (ja) 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
JP6104343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2021030858A (ja) ワイパブレード
US9032586B2 (en) Wiper blade
US10246057B2 (en) Adaptor for connecting a windscreen wiper unit to a driving arm
JP4862732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CN111845641A (zh) 车辆及其刮水器及刮水臂
JP2018008701A (ja) ワイパケース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2017196964A (ja) ワイパ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