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600B1 -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600B1
KR102190600B1 KR1020190119981A KR20190119981A KR102190600B1 KR 102190600 B1 KR102190600 B1 KR 102190600B1 KR 1020190119981 A KR1020190119981 A KR 1020190119981A KR 20190119981 A KR20190119981 A KR 20190119981A KR 102190600 B1 KR102190600 B1 KR 102190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ibration
floor
detection unit
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헌
임영진
Original Assignee
윤상헌
임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헌, 임영진 filed Critical 윤상헌
Priority to KR1020190119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감지부 및 소음 감지부가 내장된 진동 및 소음 감지 모듈이 제1 하우징에 포함되고 상시 전원이 들어오는 화재감지부가 내장된 화재감지모듈이 제2 하우징에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어 실내 공간에 존재한다고 할 때,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통신부;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 감지부는 천정에 밀착되어 소음을 센싱하고 이로부터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진동 감지부는 상기 천정에 밀착되어 진동을 센싱하고 이로부터 진동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소음 데이터 및 상기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소음 정도를 측정하거나 측정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소음 측정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NOISE MEASURING APPARATUS COUPLED TO FIRE DETECTOR}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감지부 및 소음 감지부가 내장된 진동 및 소음 감지 모듈이 제1 하우징에 포함되고 상시 전원이 들어오는 화재감지부가 내장된 화재감지모듈이 제2 하우징에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어 실내 공간에 존재한다고 할 때,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통신부;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 감지부는 천정에 밀착되어 소음을 센싱하고 이로부터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진동 감지부는 상기 천정에 밀착되어 진동을 센싱하고 이로부터 진동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소음 데이터 및 상기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소음 정도를 측정하거나 측정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소음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많은 사람들이 현재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다. 벽 하나를 두고 위층과 아래층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위층의 소음이 아래층에 거주하는 입주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불편이 있었다.
이와 같이, 층간 소음이 심할 경우 아래층에 거주하는 입주자와 위층에 거주하는 입주자 간에 다툼이 발생하게 되고, 아래층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경우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소음 측정기를 통해 객관적인 소음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대두되었으나, 건물 내부에 소음 측정기를 설치하는 것에 대해 법률상 또는 미관상 반대가 존재하였다.
이때, 각종 건축물에 강제적으로 설치되며 상시 전원이 들어오고 있는 화재감지기와 소음 측정기를 결합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자는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와 소음 측정기를 결합하여 상시적으로 층간 소음을 측정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층간 소음의 정도를 객관적인 수치로 표시하여 이웃간의 분쟁을 예방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음 측정기와 화재감지기 중 어느 하나가 수명이 다하거나 작동이 되지 않는 고장상태인 경우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진동 감지부 및 소음 감지부가 내장된 진동 및 소음 감지 모듈이 제1 하우징에 포함되고 상시 전원이 들어오는 화재감지부가 내장된 화재감지모듈이 제2 하우징에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어 실내 공간에 존재한다고 할 때,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통신부;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 감지부는 천정에 밀착되어 소음을 센싱하고 이로부터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진동 감지부는 상기 천정에 밀착되어 진동을 센싱하고 이로부터 진동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소음 데이터 및 상기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소음 정도를 측정하거나 측정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소음 측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와 소음 측정기를 결합하여 상시적으로 층간 소음을 측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층간 소음의 정도를 객관적인 수치로 표시하여 이웃간의 분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음 측정기와 화재감지기 중 어느 하나가 수명이 다하거나 작동이 되지 않는 고장상태인 경우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실내소음 측정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소음 측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험레벨에 해당하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근원지를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폐캡이 포함된 실내소음 측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실내소음 측정기를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관련성이 있을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실내소음 측정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소음 측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콘크리트 및 석고보드로 이루어진 천장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제1 하우징(100-1) 및 제2 하우징(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하우징(100-1)은 진동 감지부 및 소음 감지부가 내장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100-2)는 상기 전원(ex 24V)이 들어오는 화재감지부가 내장된 화재감지모듈을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제1 하우징(100-1)과 상기 제2 하우징(100-2)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제1하우징(100-1)의 하부 외측면에 암나사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하우징(100-2)의 상부 내측면에 수나사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어 암나사 결합부와 수나사 결합부를 나사결합하여 쉽고 편리하게 진동 및 소음 감지 모듈을 화재감지모듈과 결합할 수 있으므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측정하는 기능과 화재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나의 기기(100)에서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진동 및 소음 감지 모듈과 화재감지 모듈을 분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1하우징(100-1)과 상기 제2하우징(100-2)은 서로간의 결합, 분리가 용이하므로, 그 내부에 포함된 진동 및 소음 감지 모듈 및 화재감지모듈에 대한 교체도 용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하우징(100-2)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기공을 통하여 연기 또는 열기가 화재감지부로 전달되어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감지모듈은 차동식, 정온식 및 광전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제어부, 통신부, 데이터베이스, 진동감지부, 소음감지부, 화재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데이터베이스는 도면과 달리 실내소음 측정기(100)에 포함되지 않고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건물관리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이용되는 것이 통신부이다.
상기 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진동감지부 및 소음감지부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에서는 상기 데이터 관련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상기 센싱되는 데이터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에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센싱되는 데이터를 무제한적으로 보관하기 보다는 일정 기간동안만 보관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함이다. 차량의 블랙박스 내 데이터베이스와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0-1) 및 제2 하우징(100-2)을 포함하는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실내 공간에 존재하며, 천장에 밀착되어 있다. 특히, 진동 및 소음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100-1)이 천장에 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 하우징(100-1)에 포함된 소음 감지부는 천정에 밀착되어 소음을 센싱하고 이로부터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하우징(100-1)에 포함된 진동 감지부도 천정에 밀착되어 진동을 센싱하고 이로부터 진동 데이터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상기 소음 데이터 및 상기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공간의 소음 정도를 제어부를 통해 직접 측정하거나, 외부기기(서버)에서 측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 데이터는 진동 감지부를 통해 센싱된 진동과 대응하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소음 데이터는 소음 감지부를 통해 센싱된 소음과 대응하는 시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오후 5시에 a HZ의 진동이 측정되고, 오전 4시에 b dB의 소음이 측정되었다고 할 때, 진동 데이터는 '오후 5시의 a HZ'이고, 소음 데이터는 '오전 4시의 b dB'에 해당할 것이다.
이때,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 또는 건물관리 서버(200)에 상기 진동 데이터 및 상기 소음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 또는 건물관리 서버(200)로 하여금 진동 데이터 및 소음 데이터를 기초로 실내 공간 주변에서 발생하는 특정 소음이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실내소음 측정기(100) 내부에 포함된 제어부에서 특정 소음이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치가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임계치가 제1 임계치, 제2 임계치를 포함한다고 상정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소음이 제1 특정 시간대에 발생한 경우 위험 레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치가 제1 임계치에 해당하고, 특정 소음이 제2 특정 시간대에 발생한 경우 위험 레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치가 제2 임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는, 저녁/밤 시간대에는 소음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어 저녁/밤 시간대의 임계치가 낮 시간대의 임계치보다 낮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오후 6시부터 오전 6시까지의 임계치는 45 dB에 해당하나, 오전 6시 이후부터 오후 6시전가지의 임계치는 55 dB에 해당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임계치는 소음 관련 수치만 고려할 수도 있고, 진동 관련 수치만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소음 관련 수치와 진동 관련 수치를 조합하여 임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위험레벨은 센싱된 진동 또는 소리가 상기 임계치를 넘어서는 경우의 특정 소음을 의미하며, 임계치를 넘어서지 않은 경우에는 안전레벨에 해당한다고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레벨에 대해 그 정도에 따라 제1 위험레벨, 제2 위험레벨, 제3 위험레벨 등 복수의 위험레벨로도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층간 소음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사람들에게 정보를 주거나 경고하기 위함이므로 소정 건물 내 모든 실내 공간의 소음 정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소정 건물에 제1 실내공간, 제2 실내공간이 포함되어 있다고 상정하고 아래에서 서술하겠다.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 또는 건물관리서버(200)에 진동 데이터 및 소음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 또는 건물관리서버(200)로 하여금 i) 제1 실내 공간 주변에서 발생하는 제1 특정 소음이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 여부, ii) 제2 실내 공간 주변에서 발생하는 제2 특정 소음이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공간에서 측정되는 소음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 내 여러 공간에서 측정되는 소음을 고려하여 특정 소음이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작은 소리라도 바로 옆에서 측정하게 되면 큰 소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판단을 위해 복수 개의 소음을 측정하고 고려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느 아파트의 501호에서 측정되는 제1 소음(601호에서 발생)이 위험레벨에 해당하고, 602호에서 측정되는 제2 소음(601호에서 발생)이 위험레벨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601호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해 위험레벨로 판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험레벨에 해당하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근원지를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건물관리서버(200)로 하여금 소정 건물에 포함된 복수의 실내 공간 각각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건물 전체 모습을 디스플레이하되,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 공간에만 별도의 표시를 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3층의 2가구, 5층의 2가구, 6층, 7층 각각 1가구에 해당하는 집들이 상기 아파트에서 위험레벨에 해당하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때, 특정 시간대에 발생 소음이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고, 하루의 평균을 고려하여 발생 소음이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서 실내소음 측정기(100)의 소음 감지부가 일정 수치 이상의 특정 소음을 센싱하는 경우에 진동 감지부가 소정 진동을 센싱하여 특정 소음의 근원지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반대로, 소음 감지부에서 센싱된 특정 소음이 일정 수치 미만인 경우에는 이미 위험 레벨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진동 감지부가 소정 진동을 센싱(근원지 방향을 측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소음 감지부에서 센싱된 특정 소음이 45dB에서 55dB에 해당할 경우에만 진동 감지부가 진동을 센싱하여 상기 특정 소음이 위집에서 오는 것인지, 아래집에서 오는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복수 개의 소음 감지부 및 복수 개의 진동 감지부가 존재한다면, 각 소음 감지부 내지 진동 감지부의 센싱을 통해 보다 정확한 소음의 근원지를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거주민들은 건물 내 소음뿐만 아니라 외부 소음(ex 아파트 건설 시 발생 소음 등)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히 파악하여, 소음 발생의 근거로 주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폐캡이 포함된 실내소음 측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폐캡에서 연장된 플랜지부가 포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할 때,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천정(10)에 밀착되어 위세대와 아래세대의 층간에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진동 감지부 내지 소음 감지부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진동 감지부 및 소음 감지부를 수용하는 중공부(113)가 형성된 차폐캡(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차폐캡(112)에 결합고정되어 있으며, 이의 결합고정 수단은 다양한 형태, 구조 및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차폐캡(112)에서 연장되어 돌출되어진 환상 형상의 가이드날개인 플랜지부(10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플랜지부(101)는 실내소음 측정기(100)가 천정(10)과 결합될 때 천정(10)에 밀착된다.
즉, 플랜지부(101)를 구비한 차폐캡(112)은 모자 형상이며 실내소음 측정기(100)가 천정(10)에 밀착되어 천정(1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할 때, 플랜지부(101)는 차폐캡(112)의 외부(천정(10)으로부터 이격된 하부, 즉 천정(10)에 실내소음 측정기(100)가 설치된 현재층(현세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고 실내소음 측정기(100)가 위층에서 천정(10)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만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플랜지부(101)는 차폐캡 (112)과 천정(10) 사이의 간극으로 침투하는 현재층에서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이 실내소음 측정기(100)로 이동하는 경로를 길게하고, 이동하는 경로에서 진동 및 소음을 흡수, 소멸, 차단한다.
따라서,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실질적으로 천정(10)에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만을 감지하여 감지효율은 향상된다.
여기서, 플랜지부(101)를 천정(10)에 접착제로 접착하면, 실내소음 측정기(100)가 천정(10)에 밀착되면서 진동 감지부 및 소음 감지부를 고정할 수 있다. 접착제는 플랜지부(101)와 천정(10) 사이의 간극으로 침투되는 아래층 세대(천정(10)에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현재층의 세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 소멸,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써, 플랜지부(101)에 의해 진동 감지부 및 소음 감지부는 천정(10)에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만을 감지하게 되어, 실내소음 측정기(100)가 밀착된 천정(10)의 단위 면적당 층간 진동 또는 층간 소음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폐캡 (112)의 중공부(113)의 내측벽에 진동 및 소음차폐물질을 코팅하여 진동 및 소음차폐층을 형성할 수 있고, 실내소음 측정기(100)와 진동 및 소음차폐층 사이에 진동 및 소음 흡수재(150)를 충진할 수 있다.
이로써, 실내소음 측정기(100)의 외주면에는 진동흡수재 및 소음흡수재, 진동차폐층 및 소음차폐층, 및 차폐캡(112)으로 이루어지는 삼중 차폐 구조가 구현됨으로써, 본 발명에 적용된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천정(10)에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만을 감지하여 감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진동 및 소음 흡수재(150)는 중공부에 충진된 탄성 수지로 구현할 수 있거나, 또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부직포는 기공을 포함하고 있고 이 기공으로 진동 및 소음을 포집하여 흡수할 수 있다.
부직포는 방염 물질이 포함된 고분자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직포의 평균기공크기는 100 ~ 500㎛이며, 전기방사된 섬유층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이때, 부직포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폴리아미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물질을 포함하며, 화재감지기 내에서 부직포의 난연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부직포의 전기방사된 섬유층의 전체조성에서 방염제가 30 ~ 50w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진동감지부, 소음감지부외 추가적으로 초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산출부, 시간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산출부, 일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은 실내소음 측정기(100)에 내장된다.
초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산출부는 진동감지부 및 소음감지부에서 감지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으로 초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초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의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건물관리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한다.
시간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산출부는 진동감지부 및 소음감지부에서 감지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으로 시간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을 산출하고, 일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산출부는 시간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시간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으로 일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시간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산출부는 진동감지부 및 소음감지부에서 감지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으로 건물 세대마다 하루 24시간 각각의 시간별로 산출한다.
그리고, 일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산출부는 시간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시간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중, 특정 시간대에 감지된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건물 세대의 일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대는 날이 어두어지는 오후 6시 ~ 오전 6시의 밤시간대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밤시간대에는 낮시간대보다 주변에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은 관계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이 더 증폭되어 아래층 세대에게 고통을 주게 된다.
또한, 세대의 구성원들이 낮시간대에 외출을 하고 밤시간대에 귀가해서 가정에 머무르는 시간이 월등히 많기 때문에, 세대 구성원들은 밤시간대의 특정 시간대에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낮시간대보다 더욱 민감하게 느끼게 된다.
산출된 시간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과, 일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에 대한 데이터는 건물 관리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건물 관리 서버(200)에서는 건물 세대별 감지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기초하여 기준 층간 진동값 및 소음값보다 큰 건물의 세대들을 추출하여 블랙 리스트를 생성하여 보관하고, 이 블랙 리스트로 건물의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건물 관리 서버(200)는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집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해당 건물로 전세 또는 월세로 전입하거나, 부동산을 매수하려는 사람의 고객단말에서 관심있는 건물의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발생원인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의 파형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맨발로 걸어다닐 때, 슬리퍼를 착용하고 걸어다닐 때, 청소기를 구동할 때, 큰소리로 말할 때, 피아노 및 기타 등 각종 악기를 연주할 때, 노래를 부를 때, TV 또는 오디오의 볼륨이 클 때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발생원인에 의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의 파형이 수록될 수 있다.
실내소음 측정기(100)의 제어부는 진동 감지부 및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의 센싱 파형과,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다수의 발생원인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의 기저장된 파형을 비교하여 파형의 일치도가 높은 발생원인을 추출하여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 발생원인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다수의 발생원인에 의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의 파형과, 감지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의 파형을 비교할 때, 파형의 특징인 피크의 수, 피크의 높이, 피크 사이의 거리, 파형의 전체적인 형태 등을 비교하여 파형의 일치도를 수득하고 수득된 파형의 일치도가 높은 발생원인을 추출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수의 발생원인에 의한 층간 진동 파형 및 층간 소음 파형 각각이 수록되어 있다.
여기서, 맨발로 걸어다닐 때, 슬리퍼를 착용하고 걸어다닐 때, 청소기 구동할 때, 큰소리로 말할 때, 피아노 및 기타 등 각종 악기 연주할 때, 노래 부를 때, TV 또는 오디오의 볼륨이 클 때 등과 같은 다수의 발생원인에 의한 층간 진동의 파형 및 층간 소음의 파형은 고유한 파형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의 파형으로부터 발생원인을 추출하여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 발생원인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내소음 측정기(100)에서 감지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으로부터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 발생원인을 결정하여 건물관리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위층 세대에 실시간 제공함으로써, 위층 세대에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이 발생되고 있다는 경고를 줄 수 있음과 동시에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의 발생원인을 위층 세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가 진동감지부, 소음감지부, 초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산출부, 시간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산출부, 일별 층간 진동값 및 층간 소음값 산출부, 데이터베이스의 구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실내소음 측정기(100)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환경에서 측정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사물인터넷 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실내소음 측정기를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내소음 측정기(100)를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제n층세대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제1전자기기들(510)을 제1홈네트워크망(미도시)을 통하여 제어하는 제1제어유닛기기(511); 상기 제n층세대 아래층인 제n-1층세대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제2전자기기들(520)을 제2홈네트워크망(미도시)을 통하여 제어하는 제2제어유닛기기(521); 및 상기 제n-1층세대 천정(10)에 설치되는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실내소음측정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런 실내소음측정기(100)를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실내소음측정기 (100)의 제어부에서 감지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이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감지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실내소음측정기 (100)의 제어부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제1제어유닛기기(511)로 제1데이터를 전송하고, 감지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이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감지된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실내소음측정기 (100)의 제어부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제2제어유닛기기(521)로 제2데이터를 전송한다.
제1데이터를 수신받은 제1제어유닛기기(511)는 제1홈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제n층세대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제1전자기기들(510)의 디스플레이에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이 발생되고 있다는 주의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다수의 제1전자기기들(510) 중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제1전자기기들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주의하기 위한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데이터를 수신받은 제2제어유닛기기(521)는 제2홈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제n-1층세대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제2전자기기들(520)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층간 진동 및 층간 소음이 발생되고 있지 않다는 안심상태를 의미하는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1 및 제2전자기기들(510,520)은 제1 및 제2홈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제1 및 제2제어유닛기기(511,521)에 연결되어 홈네트워킹할 수 있으며, 가정내에 사용되는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실내소음 측정기
100-1: 제1하우징
100-2: 제2하우징
101: 플랜지부
112: 진동차폐캡
510,520: 전자기기
511,521: 제1 및 제2제어유닛기기

Claims (9)

  1. 진동 감지부 및 소음 감지부가 내장된 진동 및 소음 감지 모듈이 제1 하우징에 포함되고 상시 전원이 들어오는 화재감지부가 내장된 화재감지모듈이 제2 하우징에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어 실내 공간에 존재한다고 할 때,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통신부;
    상기 진동 감지부 및 상기 소음 감지부를 수용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차폐캡;
    상기 차폐캡에서 연장되어 돌출되어진 환상 형상의 플랜지부;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 감지부는 천정에 밀착되어 소음을 센싱하고 이로부터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진동 감지부는 상기 천정에 밀착되어 진동을 센싱하고 이로부터 진동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소음 데이터 및 상기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소음 정도를 측정하거나 측정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천정에 접착되고, 상기 플랜지부를 구비한 상기 차폐캡은 모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차폐캡의 상기 중공부의 내측벽에는 진동 및 소음 차폐물질이 코팅되어 진동 및 소음차폐층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진동 및 소음차폐층 내측에는 진동 및 소음 흡수재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소음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감지부가 일정 수치 이상의 특정 소음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진동 감지부가 소정 진동을 센싱하여 상기 특정 소음의 근원지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소음 측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데이터는 상기 진동 감지부를 통해 센싱된 진동과 대응하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 데이터는 상기 소음 감지부를 통해 센싱된 소음과 대응하는 시각 정보를 포함한다고 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건물관리서버에 상기 진동 데이터 및 상기 소음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건물관리서버로 하여금 상기 진동 데이터 및 상기 소음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실내 공간 주변에서 발생하는 특정 소음이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소음 측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치가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임계치가 제1 임계치, 제2 임계치를 포함한다고 할 때,
    i) 상기 특정 소음이 제1 특정 시간대에 발생한 경우 상기 위험 레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치가 상기 제1 임계치에 해당하고, ii) 상기 특정 소음이 제2 특정 시간대에 발생한 경우 상기 위험 레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치가 상기 제2 임계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소음 측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이 적어도 제1 실내 공간, 제2 실내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내 공간 및 상기 제2 실내 공간을 포함하는 소정 건물이 존재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건물관리서버에 상기 진동 데이터 및 상기 소음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건물관리서버로 하여금 i) 상기 제1 실내 공간 주변에서 발생하는 제1 특정 소음이 상기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ii) 상기 제2 실내 공간 주변에서 발생하는 제2 특정 소음이 상기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소음 측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건물관리서버로 하여금 상기 소정 건물에 포함된 복수의 실내 공간 각각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상기 위험 레벨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소음 측정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발생원인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의 파형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다고 할 때,
    제어부는, 상기 진동 감지부 및 상기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진동 및 소음의 센싱 파형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다수의 발생원인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의 기저장된 파형을 비교하고, 파형의 일치도가 높은 발생원인을 추출하여 해당 진동 및 소음 발생원인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소음 측정기.
KR1020190119981A 2019-09-27 2019-09-27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 KR102190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981A KR102190600B1 (ko) 2019-09-27 2019-09-27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981A KR102190600B1 (ko) 2019-09-27 2019-09-27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600B1 true KR102190600B1 (ko) 2020-12-14

Family

ID=7377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981A KR102190600B1 (ko) 2019-09-27 2019-09-27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2719B1 (ja) 2023-04-27 2023-11-01 浩人 荻野 管理サーバおよび騒音防止アラート提供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603B1 (ko) * 2013-08-26 2013-12-27 주식회사 엘앤에스씨 층간진동감지소음분석장치를 이용한 층간소음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별 층간소음 업데이트정보 생성방법
KR101527809B1 (ko) * 2014-04-25 2015-06-11 주식회사 엘앤에스씨 층간소음측정장치
KR101563655B1 (ko) * 2015-03-18 2015-10-27 주식회사 하나비젼씨스템즈 다기능 화재감지기
KR20170111860A (ko) * 2016-03-30 2017-10-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603B1 (ko) * 2013-08-26 2013-12-27 주식회사 엘앤에스씨 층간진동감지소음분석장치를 이용한 층간소음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별 층간소음 업데이트정보 생성방법
KR101527809B1 (ko) * 2014-04-25 2015-06-11 주식회사 엘앤에스씨 층간소음측정장치
KR101563655B1 (ko) * 2015-03-18 2015-10-27 주식회사 하나비젼씨스템즈 다기능 화재감지기
KR20170111860A (ko) * 2016-03-30 2017-10-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2719B1 (ja) 2023-04-27 2023-11-01 浩人 荻野 管理サーバおよび騒音防止アラート提供方法
JP7478491B1 (ja) 2023-04-27 2024-05-07 浩人 荻野 管理サー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345B1 (ko) 층간소음민원 및 방범관리가 가능한 층간소음정보 생성시스템
JP4981784B2 (ja) 建物の部屋のレイアウトに従ったワイヤレス照明ノードのグループ化
KR101625133B1 (ko)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89061B1 (ko) 층간소음 발생근원지 판별 기능이 구비된 전등 스위치 및 층간소음 판별 시스템
KR101795765B1 (ko) 층간 소음 및 실내 소음의 자가 인지 모니터링시스템
KR101305138B1 (ko) 층간 소음 및 진동 경보시스템
KR102190600B1 (ko)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
KR101308338B1 (ko)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90006B1 (ko) 층간소음 및 층간진동 감지시스템
KR101268318B1 (ko) 층간 진동 및 소음 측정 경보 장치
KR20160085639A (ko) 공기질 센싱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57683B1 (ko) 층간소음진동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144456A (ko)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 관리 장치 및 방법
Kim Field-test of the new ASHRAE/CIBSE/USGBC performance measurement protocols: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protocols
JP5514094B2 (ja) 火災検知システム
EP2973461A1 (en) An emergency manager for a lighting device
KR200470830Y1 (ko) 센서통합보드가 내장된 천장형 센서케이스
KR101352384B1 (ko) 지능형 화재 알람 시스템
KR20160093333A (ko) 층간 소음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58642A (ko) 층간 소음 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15486A (ko)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JP2002312866A (ja) 音量調整システムおよびホーム端末装置
KR102123106B1 (ko) 가전제품을 활용한 지진 감지 서버 장치 및 지진 감지 서버 장치의 운영 방법
KR102250949B1 (ko) 조명의 디밍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510759B1 (ko) 층간소음 모니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