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860A -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860A
KR20170111860A KR1020160038067A KR20160038067A KR20170111860A KR 20170111860 A KR20170111860 A KR 20170111860A KR 1020160038067 A KR1020160038067 A KR 1020160038067A KR 20160038067 A KR20160038067 A KR 20160038067A KR 20170111860 A KR20170111860 A KR 20170111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alarm
notification system
vibration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욱
조진우
박선연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승욱
조진우
박선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승욱, 조진우, 박선연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3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860A/ko
Publication of KR2017011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은 바닥 내부에 설치되어 소음 및 진동을 감지하고 측정하는 측정부와,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이 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와,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을 화면으로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장치와, 측정부, 경보장치, 출력장치를 제어하며 통신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각 층에서 측정된 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Floor Noise Measurement and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측정하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소음이 발생한 경우 경고음이 발생하는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회가 발달하면서 도시집중화와 인구과밀에 따라 빌라, 아파트 등과 같이 여러 가구의 가족이 모여 사는 다층구조의 건축물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다층구조의 건축물은 다수의 세대가 한 겹의 벽과 바닥을 사이에 두고 생활하는 공통주택의 특성상 층간 소음으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층간소음 중에서도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에 직접 충격이 가해짐으로서 발생하는 충격음의 경우에는 인접 세대에 쉽게 전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소음으로 인해 인접한 세대 구성원들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이웃 간에 심각한 다툼을 초래하여 최근 들어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806728호는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에 바닥층을 시공하는 데 사용되는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에 있어서, 완충재는 폐타이어칩, 고무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칩 및 발포폴리스티렌 중 선택된 단독 또는 2이상의 혼합물 및 무기 또는 유기계 바인더를 포함하는 원료로부터 성형된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며, 그 하면에는 다수의 리브(rib)가 형성됨과 아울러 리브가 교차하는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는 돌출높이가 같은 돌기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하면의 돌기와 동일한 위치에 돌기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압입한 압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층간소음을 완화시키는 완충재만으로는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오히려 이러한 완충재로 인해 다층구조의 건물에 거주하는 상부층 거주자와 하부층 거주자가 체감하는 실제 층간소음의 세기에 큰 차이가 발생하여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분쟁을 심각하게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층간소음으로 인한 민원이 제기되는 경우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계량화된 자료가 없기 때문에 층간소음 유발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80672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층 세대에서 발생하는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측정하여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층간 소음 및 진동이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소음발생 세대가 알 수 있도록 경고음을 발생하는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간 또는 야간을 구별하여 층간 소음 및 진동 기준치를 달리하여 경고할 수 있는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은 바닥 내부에 설치되어 소음 및 진동을 감지하고 측정하는 측정부와,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이 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와,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을 화면으로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장치와, 측정부, 경보장치, 출력장치를 제어하며 통신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각 층에서 측정된 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의 제어부는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소음 및 진동에 대한 설정 값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여 경보장치에서 경보가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의 제어부는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층간소음이 발생한 상부층에 수동으로 경고음 또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의 제어부는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한 경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의 경보장치는 측정부에서 소음 및 진동이 설정된 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경보램프 또는 경보부저가 작동되어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의 서버는 각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 값이 모두 저장되며 서버에 저장된 값을 통해 각 세대의 경보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에 의하면 상부층 세대에서 발생하는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측정하여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에 의하면 층간 소음 및 진동이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소음발생 세대가 알 수 있도록 경고음을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에 의하면 주간 또는 야간을 구별하여 층간 소음 및 진동 기준치를 달리하여 경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측정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측정 시스템이 건물 내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측정하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소음이 발생한 경우 경고음이 발생하는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측정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측정 시스템은 도 2의 바닥(10) 내부에 설치되어 소음 및 진동을 감지하고 측정하는 측정부(100)와,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값이 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200)와,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값을 화면으로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장치(300)와, 측정부(100), 경보장치(200), 출력장치(300)를 제어하며 통신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어 각 층에서 측정된 값을 서버(400)로 전송하는 제어부(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부(100)는 도 2의 바닥(10)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 도 2의 상부층(1)에서 도 2의 하부층(2)으로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 마이크센서(110)와 진동센서(120)로 이루어지며 제어부(500)로 감지된 신호를 전송할 때 소음 및 진동을 수치화하여 제어부(500)에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값은 제어부(500)로 전송되며 제어부(500)는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값보다 측정된 값이 높은 경우 층간소음이 발생된 세대의 경보장치(200)를 작동시켜 층간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를 주게 된다.
이때 경보장치(200)는 측정부(100)에서 소음 및 진동이 설정된 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경보램프(220) 또는 경보부저(210)가 작동되어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경보부저(210)는 층간소음이 발생했다는 것을 인지하도록 소리로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형성되고 경보램프(220)는 다수의 각기 다른 LED로 형성된다.
이때 경보램프(220)는 소음의 크기에 따라 다수의 LED가 차례대로 점등되도록 구성되며, 각 LED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측정된 층간소음에 따라 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출력장치(300)는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값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각 세대의 도 2의 벽면(20)에 디스플레이(310)가 형성되거나 외부 단말기(320)와 연동되어 실내에서 발생한 층간소음 값을 확인하거나 도 2의 상부층(1)에서 발생한 층간소음 값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500)는 통신장치(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세대에 형성된 제어부(500)가 서로 연동되어 있어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500)는 상기 통신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층간소음이 발생한 도 2의 상부층(1)에 수동으로 경고음 또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500)가 통신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의 상부층(1)에서 발생한 층간소음을 도 2의 하부층(2)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층간소음이 발생한 도 2의 상부층(1)으로 메시지를 보내거나 경보장치(200)를 수동으로 작동시켜 주의를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500)는 통신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한 경우 외부 단말기(320)로 전송하여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500)에서 통신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외부 단말기(32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2의 벽면(2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310) 근처에 없더라도 실시간으로 층간소음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보음이 외부 단말기(320)에서 출력되어 주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단말기(320)를 통해 도 2의 상부층(1)에서 층간소음이 발생한 경우 손쉽게 도 2의 상부층(1)으로 메시지나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측정부(100)는 주간과 야간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도센서(13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조도센서(130)를 통해 제어부(500)는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소음 및 진동에 대한 설정 값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경보장치(200)에서 경보가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야간의 경우 야외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극히 적어지기 때문에 작은 소리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게 되므로 주간에 발생하는 소음이 야간에 동일한 크기로 발생하더라도 크게 들리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500)는 주간과 야간에 경보장치(200)가 동작되기 위한 층간소음 측정값을 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측정부(100)의 조도센서(130)는 야외에 설치되어 일몰 후 조도센서(130)에서 감지되는 빛의 양이 적은 경우 야간으로 간주하여 제어부(500)가 야간에 사용되는 층간소음 측정값을 사용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측정부(100)의 조도센서(130) 대신 GPS를 이용하여 GPS에 의해 현재 있는 건물의 위치를 파악한 후 기상청에서 일몰 시각에 대한 데이터를 받아오거나 현재의 기상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받아 층간소음 설정 값을 제어부(500)가 자동으로 선택하여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측정 시스템이 건물 내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측정 시스템의 서버(400)는 각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 값이 모두 저장되며 서버(400)에 저장된 값을 통해 각 세대의 경보장치(200)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세대의 도 2의 바닥(10)에는 측정부(100), 경보장치(200), 출력장치(30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세대에서 기준 설정 값 이상으로 측정된 층간소음 값은 도 1의 제어부(500)에 의해 경비실(3)에 형성된 서버(400)로 전송되게 된다.
서버(400)는 경비실(3)에 형성되어 있어 경비실(3)에서 층간소음이 발생한 시각과 소음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모든 데이터가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지나간 자료를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서버(400)에 의해 한 달 또는 일주일 간격으로 층간소음이 발생한 데이터를 종합하여 어느 세대에서 층간소음이 많이 발생하였는지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세대별로 주의를 요구하거나 층간소음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경비실(3)에서 수동으로 해당 세대의 경보장치(200)를 가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의 제어부(500)는 통신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 세대 간 통신 또한 가능하여 출력장치(30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대화를 하거나 경고메시지를 송출하여 보낼 수 있게 된다.
측정부(100)는 도 2의 바닥(10) 내부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어 소음을 광범위하게 측정할 수 있고 도 1의 마이크센서(110)와 진동센서(120)로 이루어져 있어 소음과 진동을 각각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마이크센서(110)는 소음이 발생하면 이를 측정한 후 측정값을 증폭시키고 증폭된 값을 저역통과필터를 사용하여 주파수 대역을 설계하고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게 된다.
해당 디지털 값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동하여 20log(디지털 값)를 취하여 측정된 소음의 dB값이 도 1의 제어부(500)에 설정된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 이를 출력장치(300)를 통해 값을 출력하고 경보장치(200)를 통해 사용자가 층간소음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하게 된다.
이때 경보장치(200)에 형성된 도 1의 경보램프(220)는 다수의 서로 다른 색깔을 가지는 LED로 형성되어 있어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dB의 크기에 따라 LED가 색깔별로 출력되도록 하며 도 1의 제어부(500)에 설정된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 경보부저(210)가 함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주간 또는 야간에는 서로 다른 기준 값을 설정하여 별도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주간일 때는 20dB, 30dB, 50dB에 따라 도 1의 경보램프(220)의 LED가 색깔별로 출력된 후 57dB이 되면 도 1의 경보부저(210)가 출력되게 된다.
또한 야간일 경우에는 15dB, 25dB, 45dB에 따라 도 1의 경보램프(220)의 LED가 색깔별로 출력되며 52dB이 되면 도 1의 경보부저(210)가 출력되어 주간과 야간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 값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에 의하면 상부층 세대에서 발생하는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측정하여 수치로 확인할 수 있고, 층간 소음 및 진동이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소음발생 세대가 알 수 있도록 경고음을 발생되며, 주간 또는 야간을 구별하여 층간 소음 및 진동 기준치를 달리하여 경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상부층
2 : 하부층
3: 경비실
10 : 바닥
20 : 벽체
100 : 측정부
110 : 마이크센서
120 : 진동센서
130 : 조도센서
200 : 경보장치
210 : 경보부저
220 : 경보램프
300 : 출력장치
310 : 디스플레이
320 : 외부 단말기
400 : 서버
500 : 제어부

Claims (6)

  1. 바닥 내부에 설치되어 소음 및 진동을 감지하고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이 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을 화면으로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장치와;
    상기 측정부, 경보장치, 출력장치를 제어하며 통신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각 층에서 측정된 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소음 및 진동에 대한 설정 값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경보장치에서 경보가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층간소음이 발생한 상부층에 수동으로 경고음 또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한 경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측정부에서 소음 및 진동이 설정된 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경보램프 또는 경보부저가 작동되어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각 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 값이 모두 저장되며 상기 서버에 저장된 값을 통해 각 세대의 경보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KR1020160038067A 2016-03-30 2016-03-30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KR20170111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67A KR20170111860A (ko) 2016-03-30 2016-03-30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67A KR20170111860A (ko) 2016-03-30 2016-03-30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860A true KR20170111860A (ko) 2017-10-12

Family

ID=6014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067A KR20170111860A (ko) 2016-03-30 2016-03-30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8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293A (ko) * 2018-03-29 2019-10-10 함나연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90600B1 (ko) * 2019-09-27 2020-12-14 윤상헌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
KR20230077914A (ko) 2021-11-26 2023-06-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층간소음 알림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293A (ko) * 2018-03-29 2019-10-10 함나연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90600B1 (ko) * 2019-09-27 2020-12-14 윤상헌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
KR20230077914A (ko) 2021-11-26 2023-06-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층간소음 알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345B1 (ko) 층간소음민원 및 방범관리가 가능한 층간소음정보 생성시스템
KR101630308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알림 장치
EP2008256B1 (en) Wireless linking of smoke/co detection units
KR101801813B1 (ko) 세대 간 소음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0006B1 (ko) 층간소음 및 층간진동 감지시스템
JP2009301567A (ja) 警報器
KR20170111860A (ko) 층간 소음 측정 및 통보 시스템
US11489298B2 (en) Electrical outlet cover with integrated lighting with connectivity
KR101625133B1 (ko)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32337B1 (ko)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101865552B1 (ko) 화재 경보 기능 내장 led 조명 시스템
JP5291743B2 (ja) 火災警報システム
CA2803125A1 (en) Carbon monoxide and smoke alarm device
JP6461710B2 (ja) 通知システム、及び空気清浄機
US20180025593A1 (en) Doorbell system and doorbell chime
US10019891B1 (en) Smoke detector for distinguishing between an alarm condition and a nuisance condition
KR101475261B1 (ko)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US103977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sound levels
KR101069754B1 (ko)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KR20160071972A (ko) 층간 소음 경보 장치
JP2013109558A (ja) 洪水発生警報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洪水発生警報システム
KR20160093448A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KR20150086940A (ko) 층간소음 알림장치
JP6552031B2 (ja) 警報システム
JP6593857B2 (ja) 警報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