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587B1 -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587B1
KR102190587B1 KR1020180171656A KR20180171656A KR102190587B1 KR 102190587 B1 KR102190587 B1 KR 102190587B1 KR 1020180171656 A KR1020180171656 A KR 1020180171656A KR 20180171656 A KR20180171656 A KR 20180171656A KR 102190587 B1 KR102190587 B1 KR 102190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edal
driving
roller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791A (ko
Inventor
허동석
Original Assignee
허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동석 filed Critical 허동석
Priority to KR1020180171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5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61B3/02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spur g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unchangeable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의 링구조로 하단부에는 수평형 보강체(111)를 통해 강도를 보강함과 함께, 수평형 보강체(111)의 상단으로 좌석(120)이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 원형 구조체(110); 및 구동페달(130)에 연결되며, 원형 구조체(110)의 내측 일 측에 형성된 측부 기어 박스(150)를 통해 굽혀져 있는 구조로, 구동페달(130)을 밟을 경우 측부 기어 박스(150)의 구조에 의해 구동페달(130)에 의한 구동력을 상부의 기어트로리(160)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체인(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자전거와 같이 페달을 사용하여 공중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에 연결된 체인이 원 형태의 본체의 일 측에 기어를 이용하여 굽혀져 있는 구조를 통해 페달을 밟을 때 체인이 충분한 장력을 받아 페달의 힘을 상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동레일로 일자형의 레일이 아닌 H빔의 구조를 통해 페달을 밟을 때 본체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경사면을 오를 때에도 효율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Riding apparatus using pedal}
본 발명은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전거와 같이 페달을 사용하여 공중에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하늘을 나는 듯한 놀이기구가 개발되어 놀이시설 및 레저기구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놀이기구는 테마 파크, 유원지, 공원 및 위탁장소와 같이 수많은 사람들이 찾아 유흥 및 여가를 생활을 즐기기 위한 곳에 설치되어 사람들이 재미와 스릴을 즐길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이러한 놀이기구 중 하늘을 나는 듯한 놀이기구는 탑승자가 안전하게 앉아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석이 마련되며, 그 좌석이 마련된 본체를 모터 및 유압실린더 등을 이용해 승강, 회전 등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작동시키는 구조이고, 대표적으로 좌우스윙 방식의 바이킹 놀이기구, 승강 방식의 자이로드롭 및, 선로의 낙차를 이용한 청룡열차 등의 기구들을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놀이기구는 주로 고전력의 에너지가 필요하여 대형 놀이시설에서나 가능한 한계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0-0083856호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회전 및 시소운동 놀이기구(Ride capable of moving round and also up and down by self-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전거와 같이 페달을 사용하여 공중에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에 연결된 체인이 원 형태의 본체의 일 측에 기어를 이용하여 굽혀져 있는 구조를 통해 페달을 밟을 때 체인이 충분한 장력을 받아 페달의 힘을 상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레일로 일자형의 레일이 아닌 H빔의 구조를 통해 페달을 밟을 때 본체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경사면을 오를 때에도 효율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는, 원형의 링구조로 하단부에는 수평형 보강체(111)를 통해 강도를 보강함과 함께, 수평형 보강체(111)의 상단으로 좌석(120)이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 원형 구조체(110); 및 구동페달(130)에 연결되며, 원형 구조체(110)의 내측 일 측에 형성된 측부 기어 박스(150)를 통해 굽혀져 있는 구조로, 구동페달(130)을 밟을 경우 측부 기어 박스(150)의 구조에 의해 구동페달(130)에 의한 구동력을 상부의 기어트로리(160)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체인(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좌석(120)은, 원형 구조체(110)의 수평형 보강체(111)의 상단의 양측 중 제 1 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되어, 원형 구조체(110)의 수평형 보강체(111)의 상단의 양측 중 제 2 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구동페달(1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페달(130)은, 원형 구조체(110)의 수평형 보강체(111)의 상단의 제 2 측에 형성됨으로써, 측부 기어 박스(150), 그리고 기어트로리(160)와 구동체인(140)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체인(140)은, 한 단이 구동페달(130)의 페달 롤러에 연결되며, 다른 한 단이 기어트로리(160)의 롤러에 연결된 상태에서 측부 기어 박스(150)를 통해 굽혀져 있는 구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부 기어 박스(150)는, 원형 구조체(110)의 양측 중 제 1 측으로 편향된 위치의 중앙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어트로리(160)는, 원형 구조체(110)의 상단 끝 부분의 중앙에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상부 레일 구조에 해당하는 H빔(170)을 타고 원형 구조체(1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어트로리(160)는, 하단기어(162); 및 구동체인(140)과 한 단이 연결된 상태로 구동체인(140)의 다른 한 단이 연결된 구동페달(130)로부터의 구동력이 측부 기어 박스(150)를 통해 장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전달되면, 정방향의 구동력을 하단기어(162)로 전달하는 구동롤러(16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단기어(162)는, 정방향의 구동력을 상단에 위치하며 하단기어(162)와 함께 스퍼 기어(Spur gear) 타입을 형성하는 상단기어(163)로 역방향의 구동력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는, 자전거와 같이 페달을 사용하여 공중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는, 페달에 연결된 체인이 원 형태의 본체의 일 측에 기어를 이용하여 굽혀져 있는 구조를 통해 페달을 밟을 때 체인이 충분한 장력을 받아 페달의 힘을 상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는, 이동레일로 일자형의 레일이 아닌 H빔의 구조를 통해 페달을 밟을 때 본체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경사면을 오를 때에도 효율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 중 기어트로리(16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 중 기어트로리(16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 중 기어트로리(16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5의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의 사용되는 기어트로리(160)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빔(170)에 형성된 고정단(17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는 원형 구조체(110), 좌석(120), 구동페달(130), 구동체인(140), 측부 기어 박스(150), 기어트로리(160) 및 H빔(170)을 포함할 수 있다.
원형 구조체(110)는 원형의 링구조로 하단부에는 수평형 보강체(111)를 통해 강도를 보강함과 함께, 수평형 보강체(111)의 상단으로 좌석(120)이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원형 구조체(110)의 내부에 구동페달(130)과 함께 좌석(120)이 있으며, 원형 구조체(110)의 형태를 원형으로 제작한 것은 가장 안정적이고, 구동페달(130)을 밟을 때 충분히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동페달(130)에 연결된 구동체인(140)은 원형 구조체(110)의 내측 일 측에 형성된 측부 기어 박스(150)를 통해 굽혀져 있는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구동페달(130)을 밟을 경우 구동체인(140)이 충분한 장력을 받아 구동페달(130)에 의한 구동력을 상부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좌석(120)은 원형 구조체(110)의 수평형 보강체(111)의 상단의 양측 중 제 1 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원형 구조체(110)의 수평형 보강체(111)의 상단의 양측 중 제 2 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구동페달(1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동페달(130)은 원형 구조체(110)의 수평형 보강체(111)의 상단의 제 2 측에 형성됨으로써, 측부 기어 박스(150), 그리고 기어트로리(160)와 구동체인(140)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구동체인(140)은 한 단이 구동페달(130)의 페달 롤러에 연결되며, 다른 한 단이 기어트로리(160)의 롤러에 연결된 상태에서 측부 기어 박스(150)를 통해 굽혀져 있는 구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측부 기어 박스(150)는 원형 구조체(110)의 양측 중 제 1 측으로 편향된 위치의 중앙 높이에 형성된다.
기어트로리(160)는 원형 구조체(110)의 상단 끝 부분의 중앙에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상부 레일 구조에 해당하는 H빔(170)을 타고 원형 구조체(1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H빔(170)은 기어트로리(160)와 체결됨으로써, 원형 구조체(110)가 직선형 구조체이므로, 일반적인 일자형 빔을 사용하게 되면, 원형 구조체(110)가 이동시 좌우로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 중 기어트로리(16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 중 기어트로리(16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어트로리(160)는 구동롤러(161), 하단기어(162), 상단기어(163), 전달축(164), 구동기어(165), 휠롤러(16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롤러(161)는 구동체인(140)과 한 단이 연결된 상태로 구동체인(140)의 다른 한 단이 연결된 구동페달(130)로부터의 구동력이 측부 기어 박스(150)를 통해 장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전달되면, 정방향의 구동력을 하단기어(162)로 전달할 수 있다.
하단기어(162)는 정방향의 구동력을 그 상단에 위치하며, 하단기어(162)와 함께 스퍼 기어(Spur gear) 타입을 형성하는 상단기어(163)로 역방향의 구동력으로 전달한다.
상단기어(163)는 하단기어(162)로부터 전달된 역방향의 구동력을 중심부를 지나는 전달축(164)을 통해 기어트로리(160)을 중심으로 내측에 수평방향에 위치하며, 동일한 전달축(164)을 통해 구동되는 구동기어(165)로 역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전달축(164)은 상단기어(163)와 구동기어(165)를 양측에 이격시켜 형성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구동기어(165)는 상단기어(163)로부터 전달된 역방향의 구동력을 길이방향에서 전단과 후단에 각각 스퍼 기어(Spur gear) 타입으로 맞물려 형성되는 휠롤러(166)의 제 1 휠롤러(166a) 및 제 2 휠롤러(166b)로 정방향의 구동력으로 전달한다.
휠롤러(166)는 제 1 휠롤러(166a) 및 제 2 휠롤러(166b)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에서 제 1 휠롤러(166a) 및 제 2 휠롤러(166b) 사이에 형성된 구동기어(165)로부터 전달된 정방향의 구동력에 따라 도 3과 같이 H빔(170)의 하단 양측 패널의 상단을 타고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 중 기어트로리(16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어트로리(160)는 H빔(170)을 구성하는 하단 양측 패널과 상단 양측 패널 사이의 한 측뿐만 아니라 다른 측의 패널의 상단을 타고 이동하도록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구동체인(140)이 구동페달(130)의 페달의 양측으로 구성되는 회전축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으로 형성된 구동체인(140) 각각에 대해서 구동체인(140)의 다른 한 단이 연결된 구동페달(130)로부터의 구동력이 측부 기어 박스(150)를 통해 장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전달되면, 정방향의 구동력을 두 개의 하단기어(162)로 개별적으로 전달함으로써, 구동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부 기어 박스(150)도 양측으로 2개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경사면을 오를 때에는 기어구조가 구비된 경사면 레일이 하단기어(162)와 맞물리도록 구비되고, 이때, 경사면 레일과 하단기어(162)가 맞물리게 되면, 전달축(164)가 약간 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기어(165) 및 휠롤러(166)이 H빔(170)의 하단 양측 패널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본 발명의 놀이기구(100)는 경사로 레일(180)만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경사면을 오를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경사로 레일(180)은 래크 앤드 피니언 기어 또는 와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는 도 1의 원형 구조체(110), 좌석(120), 구동페달(130), 구동체인(140), 측부 기어 박스(150), 기어트로리(160) 및 H빔(170)의 구성요소 외에 경사로 레일(18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같이 구동페달(130)을 사용자가 밟을 때 본체에 해당하는 원형 구조체(11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H빔(170)의 내부로 측부 기어 박스(150)의 휠롤러(166)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H빔(170)의 상단 양측 패널의 적어도 일 측에서 상단 양측 패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향으로 형성되거나, 하단 양측 패널의 적어도 일 측에서 하단 양측 패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단(171)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의 사용되는 기어트로리(160)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어트로리(160)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구동롤러(161), 하단기어(162), 상단기어(163), 전달축(164), 구동기어(165), 휠롤러(166) 외에 확장기어(167)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구조의 기어트러리(160)를 활용하여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사진 곳을 오를 수 있으나, 어린아이등은 힘이 약하므로 쉽게 구동력을 주어 경사면을 그 구동력으로 올라가기에는 매우 힘이 든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하단기어(162)의 중심을 지나는 구동롤러(161)를 기어트로리(160)의 외주면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확장시킨 구조에, 확장된 구동롤러(161)의 연장 끝단에 확장기어(167)가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확장기어(167)의 구동력을 통해 경사진 곳을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확장기어(167)의 상단으로 경사로 레일(180)이 위치하며, 경사로 레일(180)의 높이는 도 6과 같이 휠롤러(166)를 구성하는 제 1 휠롤러(166a) 및 제 2 휠롤러(166b)와 H빔(170)이 맞물리는 위치보다 미리 설정된 높이 높게 형성됨으로써, 경사로 레일(180)을 상단 내측부로 수용하여 타고 올라가기 위한 확장기어(167)와 경사로 레일(180)이 맞물려서 결착하는 경우, 휠롤러(166)를 구성하는 제 1 휠롤러(166a) 및 제 2 휠롤러(166b)의 하부 표면이 H빔(170)과 접촉하는 면과 뜨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H빔(170)과 맞닿던 휠롤러(166)는 경사진 곳에서는 헛돌게 되고, 추가된 확장기어(167)의 구동력에 의하여만 기구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경사진 곳에서는 기어트로리(160)가 한쪽에만 구성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는 도 5의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100)의 사용되는 기어트로리(160)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6 및 도 7와 달리 확장기어(167)의 하단으로는 경사로 레일(180)이 위치하며, 경사로 레일(180)의 높이는 도 6과 같이 휠롤러(166)를 구성하는 제 1 휠롤러(166a) 및 제 2 휠롤러(166b)와 H빔(170)이 맞물리는 위치보다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낮게 형성됨으로써, 경사로 레일(180)을 확장기어(167)가 타고 올라가서 경사로 레일(180)이 맞물려서 결착하는 경우, 휠롤러(166)를 구성하는 제 1 휠롤러(166a) 및 제 2 휠롤러(166b)의 하부 표면이 H빔(170)과 접촉하는 면과 뜨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H빔(170)과 맞닿던 휠롤러(166)는 경사진 곳에서는 헛돌게 되고, 추가된 확장기어(167)의 구동력에 의하여만 기구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경사진 곳에서는 기어트로리(160)가 한쪽에만 구성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9와 같이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
110 : 원형 구조체
120 : 좌석
130 : 구동페달
140 : 구동체인
150 : 측부 기어 박스
160 : 기어트로리
170 : H빔
180 : 경사로 레일

Claims (8)

  1. 원형의 링구조로 하단부에는 수평형 보강체(111)를 통해 강도를 보강함과 함께, 수평형 보강체(111)의 상단으로 좌석(120)이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 원형 구조체(110); 및
    구동페달(130)에 연결되며, 원형 구조체(110)의 내측 일 측에 형성된 측부 기어 박스(150)를 통해 굽혀져 있는 구조로, 구동페달(130)을 밟을 경우 측부 기어 박스(150)의 구조에 의해 구동페달(130)에 의한 구동력을 상부의 기어트로리(160)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체인(140); 을 포함하고,
    좌석(120)은 원형 구조체(110)의 수평형 보강체(111)의 상단의 양측 중 제 1 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되어, 원형 구조체(110)의 수평형 보강체(111)의 상단의 양측 중 제 2 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구동페달(1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고,
    구동페달(130)은 원형 구조체(110)의 수평형 보강체(111)의 상단의 제 2 측에 형성됨으로써, 측부 기어 박스(150), 그리고 기어트로리(160)와 구동체인(140)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고,
    구동체인(140)은 한 단이 구동페달(130)의 페달 롤러에 연결되며, 다른 한 단이 기어트로리(160)의 롤러에 연결된 상태에서 측부 기어 박스(150)를 통해 굽혀져 있는 구조를 제공받고,
    측부 기어 박스(150)는 원형 구조체(110)의 양측 중 제 1 측으로 편향된 위치의 중앙 높이에 형성되고,
    기어트로리(160)는,
    구동롤러(161), 하단기어(162), 상단기어(163), 전달축(164), 구동기어(165), 휠롤러(166) 및 확장기어(167)를 포함하고,
    원형 구조체(110)의 상단 끝 부분의 중앙에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상부 레일 구조에 해당하는 H빔(170)을 타고 원형 구조체(110)가 이동할 수 있고,
    구동롤러(161)는 구동체인(140)과 한 단이 연결된 상태로 구동체인(140)의 다른 한 단이 연결된 구동페달(130)로부터의 구동력이 측부 기어 박스(150)를 통해 장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전달되면, 정방향의 구동력을 하단기어(162)로 전달하고,
    하단기어(162)는 정방향의 구동력을 상단에 위치하며 하단기어(162)와 함께 스퍼 기어(Spur gear) 타입을 형성하는 상단기어(163)로 역방향의 구동력으로 전달하고,
    하단기어(162)의 중심을 지나는 구동롤러(161)를 기어트로리(160)의 외주면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확장시킨 구조에, 확장된 구동롤러(161)의 연장 끝단에 확장기어(167)가 형성하여, 확장기어(167)의 구동력을 통해 경사진 곳을 올라갈 수 있도록 하고,
    확장기어(167)의 상단으로 경사로 레일(180)이 위치하며, 경사로 레일(180)의 높이는 휠롤러(166)를 구성하는 제 1 휠롤러(166a) 및 제 2 휠롤러(166b)와 H빔(170)이 맞물리는 위치보다 미리 설정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경사로 레일(180)을 상단 내측부로 수용하여 타고 올라가기 위한 확장기어(167)와 경사로 레일(180)이 맞물려서 결착하는 경우, 휠롤러(166)를 구성하는 제 1 휠롤러(166a) 및 제 2 휠롤러(166b)의 하부 표면이 H빔(170)과 접촉하는 면과 뜨도록 함으로써, H빔(170)과 맞닿던 휠롤러(166)는 경사진 곳에서는 헛돌게 되고, 확장기어(167)의 구동력에 의하여만 기구가 진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71656A 2018-12-28 2018-12-28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 KR102190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56A KR102190587B1 (ko) 2018-12-28 2018-12-28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56A KR102190587B1 (ko) 2018-12-28 2018-12-28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91A KR20200081791A (ko) 2020-07-08
KR102190587B1 true KR102190587B1 (ko) 2020-12-14

Family

ID=7160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656A KR102190587B1 (ko) 2018-12-28 2018-12-28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5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81B1 (ko) * 2015-02-04 2016-01-20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레저용 스카이 바이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8931B1 (en) * 2006-08-03 2015-10-27 Skyride Technology, Inc. Suspended recreational vehicle
KR101286611B1 (ko) * 2011-04-18 2013-07-22 (주)한국에이앤지 행거형 스카이 바이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81B1 (ko) * 2015-02-04 2016-01-20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레저용 스카이 바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91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7434B (zh) 轮毂乘坐者传送装置
KR101803597B1 (ko) 타워형 놀이기구
US7980181B2 (en) Drag racing roller coaster amusement ride and launch system
US7610859B1 (en) Carriage rotatable roller coaster tracks and vehicles
JP5411270B2 (ja) 乗用可能な遊具用大型二足歩行ロボットとそれを用いた遊園地システム
US10099148B2 (en) Amusement park ride with movable track section
CN1142807C (zh) 玩具车
KR102190587B1 (ko) 페달을 사용하는 놀이기구
KR101034352B1 (ko) 무한궤도용 트랙슈
CN107126705B (zh) 游乐场过山车
KR101034354B1 (ko) 무한궤도차량
EP3291902B1 (en) Amusement rides
KR102402956B1 (ko) 안장 회전 방향에 따라 주행방향이 선택되는 양방향 하늘 자전거
KR20060060383A (ko) 무동력 미니 바이크
KR20210012624A (ko) 레일 바이크
KR930002947Y1 (ko) 놀이용 기차
KR101471844B1 (ko) 2인승 자전거
CN216777896U (zh) 一种新型人力互动过山车
JPH05186A (ja) 軌道走行型模擬乗物装置
JP2002035436A (ja) 娯楽用乗物装置
KR102666957B1 (ko) 행거형 스카이바이크
KR102037799B1 (ko) 공중 이동용 전동식 놀이기구
US20030089265A1 (en) Fun vehicle and bob, toboggan or roller coaster run for using the same
KR101105781B1 (ko) 수륙양용 무한궤도
KR200262470Y1 (ko) 회전형 놀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