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123B1 - 얼음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얼음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123B1
KR102190123B1 KR1020130109118A KR20130109118A KR102190123B1 KR 102190123 B1 KR102190123 B1 KR 102190123B1 KR 1020130109118 A KR1020130109118 A KR 1020130109118A KR 20130109118 A KR20130109118 A KR 20130109118A KR 102190123 B1 KR102190123 B1 KR 102190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weight
uni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978A (ko
Inventor
박수용
정진규
김종완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1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Abstract

본 출원은 얼음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장치는, 공급되는 유체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생성부, 상기 얼음생성부가 생성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 및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토출구로 이송하는 얼음이송부를 포함하는 얼음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토출구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가 제공하는 얼음을 공급받는 얼음전용트레이; 상기 얼음전용트레이 및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에 공급된 얼음의 무게에 대응하는 무게신호를 생성하는 무게감지부; 및 상기 무게신호에 따라 상기 얼음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에 공급하는 얼음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얼음추출장치 {Apparatus for ice extraction}
본 출원은 얼음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얼음전용트레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양의 얼음을 추출할 수 있는 얼음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음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필터로 여과하여 생성한 정수와,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생성한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얼음정수기는 통상적으로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부,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얼음을 만드는 얼음생성부 및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를 구비하며, 정수를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얼음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얼음저장부에 구비된 회전 스크류를 회전시켜 얼음을 토출한다. 즉, 회전 스크류의 날개면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이 회전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얼음토출구로 이송되며, 상기 얼음토출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얼음정수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시간만큼 상기 회전스크류를 회전시켜 얼음을 공급하므로, 얼음이 뭉쳐 있는 경우 등에는 얼음이 안나오다가 갑자기 추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갑자기 제공되는 얼음에 의하여, 얼음이 컵 이상으로 넘치거나, 컵에 있는 음료가 튀면서 얼음토출구나 주변이 오염되어 위생상의 문제를 야기하였으며,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출원은 얼음전용트레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양의 얼음을 추출할 수 있는 얼음추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장치는, 공급되는 유체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생성부, 상기 얼음생성부가 생성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 및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토출구로 이송하는 얼음이송부를 포함하는 얼음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토출구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가 제공하는 얼음을 공급받는 얼음전용트레이; 상기 얼음전용트레이 및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에 공급된 얼음의 무게에 대응하는 무게신호를 생성하는 무게감지부; 및 상기 무게신호에 따라 상기 얼음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에 공급하는 얼음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추출장치는, 상기 얼음전용트레이를 보관하는 대기공간; 및 상기 대기공간에서 상기 토출구 하부까지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게감지부는, 상기 얼음전용트레이 및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에 공급되는 얼음의 무게에 의하여 압축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는 압축량을 감지하여, 상기 무게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량에 따라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이동하여, 상기 이동경로 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이동접점; 상기 이동경로 상의 기 설정된 고정위치에 구비되는 고정접점; 및 상기 이동접점과 접촉하는 상기 고정접점에 대응하는 무게신호를 출력하는 신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나선형상의 날개면를 가지는 회전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날개면을 따라 상기 얼음을 상기 토출구로 이송하는 상기 얼음이송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부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부가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하면, 상기 얼음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에 대한 얼음 공급을 시작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장치는 얼음 토출을 위한 얼음전용트레이를 포함하므로, 뭉쳐있던 얼음이 갑작스럽게 토출되는 경우에도 얼음이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장치는, 얼음전용트레이 및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에 공급되는 얼음의 무게를 측정하여 제공되는 얼음의 양을 판별하므로, 정확한 양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장치에서의 얼음량측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장치는 얼음전용트레이(10), 무게감지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장치는, 공급되는 유체를 냉각하여 얼음(i)을 생성하는 얼음생성부(1), 상기 얼음생성부가 생성한 얼음(i)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2) 및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i)을 토출구(4)로 이송하는 얼음이송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얼음추출장치에서의 얼음 생성, 저장 및 이송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얼음추출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유입된 유체는 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한 유체는 필터부(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오염물질 등을 여과하여 깨끗한 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포스트 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및 나노필터(nano filter)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필터부에 구비되는 필터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얼음추출장치의 여과방식 또는 얼음추출장치에 요구되는 여과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탱크(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는 얼음생성부(1)로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얼음추출장치는 별도의 정수탱크를 구비하지 않는 직수식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는 직접 필터부에서 얼음생성부(1)로 공급될 수 있다.
얼음생성부(1)는, 상기 공급되는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i)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스 트레이(미도시)에 상기 정수를 공급받은 후,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냉각기를 침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침지된 냉각기를 냉각하여 상기 냉각기 표면에 얼음(i)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얼음(i)이 생성되면, 상기 냉각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탈빙히터(미도시)를 동작시켜 얼음(i)을 얼음저장부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켜 상기 얼음(i)의 낙하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얼음저장부(2)는 상기 얼음(i)을 저장할 수 있으며, 얼음(i)의 추출이 요청되면 얼음이송부(3)가 상기 저장된 얼음(i)을 토출구(4)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i)의 추출이 요청되면, 상기 얼음이송부(3)가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회전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얼음(i)을 토출구(4)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스크류는 나선형상의 날개면을 가지는 회전축일 수 있으며, 상기 회전스크류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얼음(i)은 상기 회전스크류의 날개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날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i)의 토출량은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얼음전용트레이(10)는 상기 토출구(4)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4)가 제공하는 얼음(i)을 공급받을 수 있다. 얼음저장부(2)에 저장된 얼음(i)이 토출구(4)를 통하여 외부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얼음을 공급받을 용기(容器)가 필요하며, 이때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는 상기 토출구(4)의 크기나 얼음제공속도 등을 고려한 형상으로 디자인되어, 얼음이 갑작스럽게 한꺼번에 토출되는 등의 경우에도 얼음이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는 상기 얼음추출장치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일 수 있으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를 대기공간(11) 내부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얼음제공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대기공간(11)에 위치하는 얼음전용트레이(10)를 상기 토출구(4)의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 내부로 얼음(i)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의 무게, 형상 등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의 무게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통하여 상기 토출구(4) 하부에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의 존재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기공간(11) 내부에 구비되는 얼음전용트레이(10)가 상기 토출구(4)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이를 사용자의 얼음제공요청으로 보아 얼음토출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구(4) 하부에 구비된 무게감지부(20)에서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에 해당하는 무게가 감지되면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에 대한 얼음토출을 시작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기공간(11)은 상기 토출구(4) 하부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는 서랍형식으로 상기 대기공간(11)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를 상기 대기공간(11)에서 빼내면,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는 상기 토출구(4)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 또는 상기 대기공간(11) 내부에는 가이드부(12)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대기공간(11)에서 상기 토출구(4) 하부까지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2)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기공간(11) 내부의 양 측벽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는 상기 가이드부(12)에 의하여 상기 토출구(4) 하부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12)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부(12)가 도2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가이드부(12)의 위치나 크기, 형상, 재질 등을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기공간(11) 내부에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가 안착되면,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가 상기 대기공간(11) 내부에 고정되도록 걸림쇠 등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무게감지부(20)는,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 및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에 공급된 얼음(i)의 무게에 대응하는 무게신호(sig_w)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부(20)는 상기 토출구(4)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 등의 용기가 상기 무게감지부(20) 위에 놓일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부(20)는, 상기 무게감지부(20) 위에 놓여지는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를 비롯하여 다양한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용기의 무게에 대응하는 무게신호(sig_w)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무게신호(sig_w)는 상기 제어부(3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게감지부(20)는 상기 용기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무게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게감지부(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1) 및 신호발생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1)는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 및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에 공급되는 얼음(i)의 무게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1)는 링 스프링 등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21)에 가해지는 압력에 비례하는 양만큼 압축된 후, 상기 압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1)가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 및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에 공급되는 얼음(i)의 무게에 의하여 압축되는 양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의 존재여부 및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 내부에 공급된 얼음(i)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신호발생부(22)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부재(21)가 압축되는 압축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발생부(22)는 상기 압축량에 대응하는 무게신호(sig_w)를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1)의 압축량은 상기 얼음(i)의 무게에 비례하므로, 상기 압축량을 통하여 상기 얼음(i)의 무게를 파악한 후, 상기 무게에 대응하는 크기의 무게신호(sig_w)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호발생부(22)는 고정접점(a1, a2, a3)과 이동접점(b) 및 신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접점(b)은 상기 탄성부재(21)의 압축량에 따라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이동할 수 있으며, 고정접점(a1, a2, a3)은 상기 이동경로 상의 기 설정된 고정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의 B영역(절반)까지 얼음이 저장된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21)의 압축에 의하여 상기 이동접점 b가 상기 고정접점 중에서 a2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접점 a2의 위치에서 상기 이동접점 b와 고정접점 a2가 접촉하며, 이 경우 신호기는 신호2에 대응하는 무게신호(sig_w)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게신호(sig_w)에 의하여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에는 현재 B영역(절반)까지 얼음이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의 A영역(만빙)까지 얼음이 저장된 경우에는,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 및 얼음의 무게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21)의 압축에 의하여, 이동접점 b는 상기 고정접점 a3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접점 a3의 위치에서 상기 이동접점 b와 고정접점 a3가 접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신호기는 신호3에 대응하는 무게신호(sig_w)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게신호(sig_w)에 의하여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에는 현재 A영역(만빙)까지 얼음이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얼음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의 얼음전용트레이(10)가 상기 무게감지부(20)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21)가 압축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접점 b는 상기 고정접점 a1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정접점 a1의 위치에서 상기 이동접점 b과 고정접점 a1이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기는 신호1에 대응하는 무게신호(sig_w)를 출력하여,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가 상기 토출구(4)의 하부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상기 무게신호(sig_w)에 따라 상기 얼음이송부(3)를 제어하여,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에 공급하는 얼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얼음추출량이 저장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얼음추출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상기 얼음추출장치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장치 등을 통하여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의 절반에 해당하는 얼음의 양을 상기 얼음추출량으로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무게신호(sig_w)에서 상기 신호2에 해당하는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얼음이송부(3)가 얼음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신호2에 해당하는 무게신호(sig_w)가 입력되면, 상기 얼음이송부(3)에 대한 제어신호(sig_a)를 출력하여 상기 얼음이송부(3)의 동작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상기 설정된 얼음추출량에 해당하는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얼음이송부(3)는 나선형상의 날개면을 가지는 회전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스크류의 날개면을 따라 얼음이 상기 토출구(4)로 이송되어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회전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부의 회전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얼음추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무게감지부(20)는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가 상기 토출구(4)의 하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무게감지부(20)가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의 무게를 감지하면, 상기 얼음이송부(3)를 제어하여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에 대한 얼음공급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에 저장된 얼음의 양에 따라 자동추출과 수동추출을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에 이미 얼음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 내부에 얼음이 기 설정된 양(예를들어, 전체 얼음전용트레이 용량의 1/2) 이상 저장된 경우에는 수동으로 사용자가 추출버튼을 누르는 시간동안 상기 얼음을 추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양 미만이 저장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상기 무게신호(sig_w)에 대응하여 상기 얼음이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얼음추출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수처리장치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처리장치는 정수기, 기능수기, 온수기, 냉수기, 제빙기 등과 이들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복합적으로 지닌 장치를 총칭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얼음추출장치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를 제공하는 출수코크의 하부에 형성된 트레이와 상기 얼음전용트레이(10)는 서로 분리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무게감지부(20)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 얼음생성부 2: 얼음저장부
3: 얼음이송부 4: 토출구
10: 얼음전용트레이 11: 대기공간
12: 가이드부 20: 무게감지부
30: 제어부

Claims (6)

  1. 공급되는 유체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생성부, 상기 얼음생성부가 생성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 및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토출구로 이송하는 얼음이송부를 포함하는 얼음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가 제공하는 얼음을 공급받는 얼음전용트레이;
    상기 얼음전용트레이 및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에 공급된 얼음의 무게에 대응하는 무게신호를 생성하는 무게감지부; 및
    상기 무게신호에 따라 상기 얼음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에 공급하는 얼음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전용트레이는 상기 토출구 하부의 내측에 구비된 대기공간에 서랍형식으로 보관되고,
    상기 얼음전용트레이가 상기 대기공간에서 인출될 때 상기 무게감지부 상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얼음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공간에서 상기 토출구 하부까지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얼음추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감지부는
    상기 얼음전용트레이 및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에 공급되는 얼음의 무게에 의하여 압축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는 압축량을 감지하여, 상기 무게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얼음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량에 따라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이동하여, 상기 이동경로 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이동접점;
    상기 이동경로 상의 기 설정된 고정위치에 구비되는 고정접점; 및
    상기 이동접점과 접촉하는 상기 고정접점에 대응하는 무게신호를 출력하는 신호기를 포함하는 얼음추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나선형상의 날개면를 가지는 회전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날개면을 따라 상기 얼음을 상기 토출구로 이송하는 상기 얼음이송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부의 회전량을 조절하는 얼음추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부가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의 무게를 감지하면, 상기 얼음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얼음전용트레이에 대한 얼음 공급을 시작하는 얼음추출장치.
KR1020130109118A 2013-09-11 2013-09-11 얼음추출장치 KR102190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118A KR102190123B1 (ko) 2013-09-11 2013-09-11 얼음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118A KR102190123B1 (ko) 2013-09-11 2013-09-11 얼음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978A KR20150029978A (ko) 2015-03-19
KR102190123B1 true KR102190123B1 (ko) 2020-12-11

Family

ID=5302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118A KR102190123B1 (ko) 2013-09-11 2013-09-11 얼음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2224B (zh) * 2021-08-24 2023-12-22 昆明弘承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控制咖啡因含量的咖啡豆烘焙系统及其烘焙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7240A1 (en) 2005-12-16 2007-06-2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070B1 (ko) * 2000-07-10 2003-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얼음잔량 표시장치 및 제어방법
KR20050041753A (ko) * 2003-10-31 200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만빙 감지장치
KR101322118B1 (ko) * 2006-08-17 2013-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7240A1 (en) 2005-12-16 2007-06-2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978A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8352B1 (en) Fuel filter assembly and method for draining water from a fuel filter assembly
US10206533B2 (en) Additivation device for beverages and method thereof
KR20110109088A (ko) 물 저장 및 배출장치
KR101897572B1 (ko)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제어방법
US20150143830A1 (en)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water filter assembly within the same
KR102190123B1 (ko) 얼음추출장치
DK3076834T3 (en) BEVERAGE PREPARING MACHINE AND PROCEDURE FOR OPERATING A BEVERAGE PREPARING MACHINE
KR102441652B1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KR20160031689A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RU2016116995A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бреющего узла
US20110174839A1 (en) Under counter drinking fountain
KR20120004114A (ko) 정수기
JP2012510362A (ja) 液体を殺菌する方法と液体殺菌装置
KR20180055511A (ko) 추출량 가변 정수기
KR101947999B1 (ko)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
KR200438854Y1 (ko) 차량용 냉, 온수 겸용 커피 자판기
KR20120038142A (ko) 취수량 조절기능이 구비된 정수기
CN105214500A (zh) 净水机、净水机滴漏保护装置和控制方法
CN105487565B (zh) 净水系统制水控制方法和装置以及净水系统
KR20150104378A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42477A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KR102156143B1 (ko) 출수온도제어장치 및 출수온도제어방법
KR100623671B1 (ko)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방법
KR101586319B1 (ko)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방법
US20210170086A1 (en) Method For Regulating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A Fluid For A Dialysis Fluid Circuity, Control Device And Blood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