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689A -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689A
KR20160031689A KR1020140121401A KR20140121401A KR20160031689A KR 20160031689 A KR20160031689 A KR 20160031689A KR 1020140121401 A KR1020140121401 A KR 1020140121401A KR 20140121401 A KR20140121401 A KR 20140121401A KR 20160031689 A KR20160031689 A KR 20160031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water
unit
flow rat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401B1 (ko
Inventor
정희도
홍영훈
송민섭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4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47J31/605Wate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5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분말상의 커피, 코코아, 차 등으로부터 음료를 우려내어 공급할 수 있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상기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는 원수를 공급받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음료를 생성하며, 음료 추출유닛을 구비하는 음료 공급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정수 추출부로 공급하는 직수식 정수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에 의하면, 정수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탱크 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Water Purifier Capable of Offering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상의 커피, 코코아, 차 등으로부터 음료를 우려내어 공급할 수 있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 및 사회 생활이 진보 발전하여 전문화되면서 생활에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사용 및 활용할 수 있는 장치들이 무수히 개발되고 있으며, 커피 메이커 등과 같은 커피 추출장치는 생활에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장치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커피 추출장치는 커피를 비롯하여 홍차 및 코코아 등의 분말이 수용된 캡슐로부터 액상의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고온 고압의 물(스팀)을 캡슐 추출유닛(커피 추출유닛)에 장전된 캡슐에 공급하여 액상의 음료를 추출하게 된다.
최근에는 정수기에 커피 추출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정수뿐만 아니라 커피와 같은 음료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일명, 커피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커피 정수기는 정수기에 설치되는 온수탱크에 수용된 온수를 커피 추출유닛에 공급하여 커피를 제공하고 있다.
커피 추출유닛에서 추출되는 커피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일정한 압력(예를 들어, 7 ~ 10Bar)과 적당한 온도(예를 들어, 90~95℃)이지만, 종래의 커피 정수기는 온수탱크에 수용된 온수를 공급하므로 커피 추출유닛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온수탱크에 수용된 온수의 온도에 의해 좌우되므로 그 맛과 향이 일정치 않고 최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커피 정수기는 대용량의 저장탱크가 구비되어 소형화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의 온도유지에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캡슐을 이용하는 종래의 커피 정수기는 캡슐에 수용된 커피분말에 고압의 물(스팀)을 공급하는 경우 분말이 높은 압력으로 압축되는 블럭화 현상이 발생하여 커피 추출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즉, 커피캡슐에 수용된 커피분말이 추출시의 높은 압력에서 블럭화되어 추출경로를 차단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블럭화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고압펌프가 작동됨에도 불구하고 커피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블럭화 상황에서는 고압펌프에 무리한 부하가 가해져 고압펌프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출이 안 되는 커피캡슐(캡슐커피)을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5025호(2013.08.2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원수압에 의해 정수의 추출이 가능하여 소형화 및 전력 효율면에서 우수한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커피 등의 음료 공급을 위한 유로가 정수 공급유로와 분리되어 커피 등의 음료의 맛과 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커피 등의 음료 추출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고압에서도 안정적인 히터 구동이 가능한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커피캡슐 등의 음료용 캡슐 내부에 수용된 음료 분말에 블럭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음료 추출이 가능한,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순간 가열유닛에서 발생한 스팀을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원수를 공급받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음료를 생성하며, 음료 추출유닛을 구비하는 음료 공급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정수 추출부로 공급하는 직수식 정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음료 공급부를 구성하는 유로와 상기 직수식 정수 공급부를 구성하는 유로는 음료용 유로전환밸브에 의해 분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음료 공급부를 구성하는 유로와 상기 직수식 정수 공급부를 구성하는 유로가 별개의 유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수식 정수 공급부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음료용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음료 공급부를 구성하는 유로와 상기 온수 공급부를 구성하는 유로 사이에서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는,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유량센서와, 상기 음료추출유닛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유량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량센서는 상기 제1 유량센서보다 미세한 유량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 공급부는, 음료를 생성하는 상기 음료 추출유닛과, 상기 음료 추출유닛에 정수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음료 추출유닛에 정수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히터와, 상기 음료 추출유닛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터는 7 bar 이상의 압력에서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한 고압용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는 발열체와 물이 유동하는 유동관이 열전도체 내에 함께 구비되며 발열체로부터 유동관으로 열이 전달되어 유동관을 유동하는 물이 가열되도록 구성된 다이캐스팅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는, 상기 음료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되는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유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펌프를 정지하였다가 상기 펌프를 재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재구동시 전압인가 시간 중 적어도 일부의 시간 동안, 상기 펌프의 초기 구동시 상기 펌프에 인가되는 제1 전압보다 더 높은 제2 전압을 상기 펌프에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재구동시에 상기 펌프에 상기 제2 전압을 설정시간 동안 인가한 후 상기 제2 전압보다 낮은 제3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재구동시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유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펌프를 설정시간 동안 정지한 후 상기 펌프를 재구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재구동 횟수가 설정횟수 이상인 경우 커피의 추출기능에 이상이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음료 추출유닛은 음료분말이 수용된 음료 캡슐을 수용하며, 상기 펌프와 히터에 의해 가압된 고온의 온수가 상기 음료 캡슐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음료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음료의 종류에 따라 추출되는 설정 추출량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수식 정수 공급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상온으로 공급하는 상온수 공급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냉각하여 공급하는 냉수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수 공급부는 유입된 정수를 순간 가열하여 배출하는 순간 가열유닛과, 상기 순간 가열유닛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 공급부는 상기 순간 가열유닛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 될 때 스팀 배출을 위하여 개방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체크밸브가 설치된 스팀 배출유로는 상기 음료 공급부에 구비된 물받이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공급부는, 냉각유닛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정수를 냉각하며, 유입된 정수의 압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냉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직수식 냉수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는 분기용 유로전환밸브에 의하여 상기 상온수 공급부, 온수 공급부 또는 냉수 공급부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원수압에 의해 정수의 추출이 가능하여 대용량의 탱크가 필요치 않으므로 정수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탱크 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정수탱크나 온수탱크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탱크 내에 수용된 물에 세균이 증식함으로써 오염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위생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피 등의 음료 공급을 위한 음료 공급유로가 정수 공급유로와 분리되어 구성됨으로써 음료 추출유닛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와 압력을 최적화할 수 있어 커피 등의 음료의 맛과 향이 뛰어나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유량(예를 들어, 0.1 ~ 0.6 LPM)의 측정이 가능한 제2 유량센서를 음료 공급부에 설치함으로써 음료의 추출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압용 히터 또는 다이캐스팅 히터를 사용함으로써 음료 추출유닛에 고압이 인가되어도 안정적인 히터 구동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피캡슐 등의 음료용 캡슐에 공급되는 물(스팀)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음료용 캡슐 내부에 수용된 음료 분말에 블럭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음료 추출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펌프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음료용 캡슐에 공급되는 물(스팀)의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음료 분말에 블럭화 현상이 발생한 경우라도 음료의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량센서를 통한 유량감지를 통해 음료용 캡슐에서 블럭화 현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러한 블럭화 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펌프의 구동을 정지한 후 펌프를 재구동함으로써 블럭화 현상을 해소하거나 블럭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영역으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음료 추출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순간 가열유닛에서 발생한 스팀을 음료 공급부에 구비되는 물받이 부재를 통해 정수기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정수기 내부 부품에 부식이 발생하거나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료 추출이 가능한 정수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커피(음료) 추출시의 물의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온수, 냉수, 정수 추출시의 물의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이 가능한 정수기의 음료 추출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이 가능한 정수기에서 펌프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를 여러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는 커피를 비롯하여 홍차 및 코코아 등의 다양한 음료의 추출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피를 비롯하여 홍차 및 코코아 등의 다양한 음료용 분말이 수용된 각종 캡슐로부터 액상의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서는 커피분말로부터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거나, 커피캡슐로부터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 사용되는 음료의 종류는 커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분말로부터 음료 추출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음료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에 대해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100)는, 원수를 공급받아 여과하는 필터부(120)와, 상기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정수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공급부(150)와, 상기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정수 추출부(191)로 공급하는 직수식 정수 공급부(WP)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120)는 원수를 순차적으로 여과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세디먼트 필터, 프리 카본필터, 역삼투막 필터나 중공사막 필터, 포스트카본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필터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정수기에 요구되는 여과성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120)를 구성하는 필터들은 독립적인 카트리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제1 필터(121)와 제2 필터(122)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원수 유입유로(L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부 유로(L2)에 설치된 필터부(120)를 거치면서 여과된다.
한편, 원수 유입유로(L1)에는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을 일정 수준 이하로 감압하는 감압밸브(111)와 평상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시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NOS) 밸브(1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제1 유량센서(115)를 거쳐 분기용 유로전환밸브(V1)에서 분기되어 정수 공급부(WP)에 구비되는 유로(L3, L4, L5, L6, L7) 또는 음료 공급부(150)에 구비되는 유로(L8)로 공급된다.
이때, 제1 유량센서(115)는 정수 공급부(WP)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며, 후술하는 제어부(170)는 제1 유량센서(1150에서 감지된 유량에 의해 상온수, 냉수, 온수 등의 정수 추출량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유량센서(115)에서 감지된 통수량을 기초로 필터부(120)에 구비되는 필터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수 공급부(WP)는 상기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정수 추출부(191)로 공급하는 직수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직수식 정수 공급부(WP)의 경우에는 대용량의 탱크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정수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탱크 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정수탱크나 온수탱크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탱크 내에 수용된 물에 세균이 증식함으로써 오염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위생적인 이점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수 공급부(WP)는 상기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정수를 상온으로 공급하는 상온수 공급부와, 상기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정수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와, 상기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정수를 냉각하여 공급하는 냉수 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정수는 분기용 유로전환밸브(V1)에 의하여 상기 상온수 공급부, 온수 공급부 또는 냉수 공급부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의 정수추출시의 화살표를 참조하면, 상기 상온수 공급부는 분기용 유로전환밸브(V1)에서 공급된 정수가 상온수 공급유로(L5), 피드밸브(116), 상온수 추출유로(LM)를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정수 추출부(191)와 연결된다.
또한, 도 3의 온수추출시의 화살표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 공급부는 분기용 유로전환밸브(V1)에서 공급된 정수가 온수 분기유로(L6), 음료용 유로전환밸브(V2), 온수공급유로(L7)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유량조절밸브(141), 순간 가열유닛(140), 온수 추출밸브(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수 추출밸브(142)의 개방에 의해 온수가 온수 추출유로(LH)를 통해 정수 추출부(191)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순간 가열유닛(140)은 온수 추출밸브(142)의 개방에 의해 유입된 정수가 순간 가열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순간 가열유닛(140)은 종래의 온수탱크와는 달리 온수를 일정 온도로 수용하는 구성이 아니고 온수 추출이 이루어질 때에만 가동되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순간 가열유닛(140)에 장착된 온도센서(미도시)로부터 감지된 물의 온도와 제1 유량센서(115)에서 감지된 유량을 통하여 유량조절밸브(141)에서 물의 유량이 조절되고, 이에 따라 필요한 온도의 온수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순간 가열유닛(140)은 루테녹스 히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순간 가열유닛(140)은 고압에서 견디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므로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게 상승하는 경우 안전을 위하여 스팀 배출유로(L9)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팀 배출유로(L9)에는 외부 공기가 순간 가열유닛(1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순간 가열유닛(140)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 될 때 스팀 배출을 위해 개방되는 체크밸브(14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팀 배출유로(L9)는 후술하는 음료 공급부(150)의 물받이 부재(157)와 연결되어 스팀 배출유로(L9)로 배출되는 스팀이 정수기 내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의 냉수추출시의 화살표를 참조하면, 상기 냉수 공급부는 분기용 유로전환밸브(V1)에서 공급된 정수가 냉수 분기유로(L3), 피드밸브(113), 냉수공급유로(114)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냉수탱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수탱크(130)는 냉각유닛(미도시)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정수를 냉각하도록 구성되며, 유입된 정수의 압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냉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직수식 냉수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직수식 냉수탱크(130)는 상온의 정수가 유입되면 미리 냉각된 냉수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직수식 냉수탱크(130)에 의해 냉각된 냉수는 냉수 추출유로(LC)를 통해 정수 추출부(191)로 공급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냉수탱크(130)에는 드레인관(131)이 설치되어 청소 등을 위해 필요한 경우 냉수탱크(130)에 수용된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음료 공급부(150)에 대해 살펴본다.
도 2를 참조하면,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정수는 온수 분기유로(L6)로 유입된 후 음료용 유로전환밸브(V2)에 의해 음료 공급부(150)를 구성하는 음료 공급유로(L8)와 정수 공급부(WP)를 구성하는 온수 공급유로(L7)로 분기된다.
따라서, 상기 음료 공급부(150)는 상기 필터부(120)에서 여과되어 음료용 유로전환밸브(V2)에서 분기된 정수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음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음료 공급부(150)는,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추출유닛(160)과, 상기 음료 추출유닛(160)에 정수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펌프(154)와, 상기 음료 추출유닛(160)에 정수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히터(155)와, 상기 음료 추출유닛(160)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유량센서(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 공급부(150)는 음료 공급유로(L8)에 유입된 정수를 정유량으로 통과시키는 정유량 피팅부재(151)와, 음료 추출시 ON 되는 피드밸브(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량센서(153)는 음료 추출유닛(160) 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유량센서(153)는 음료 추출유닛(160)의 적은 추출량을 고려하여 저유량(일 예로서, 0.1 ~ 0.6 LPM)에서도 유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유량센서(115)는 고유량(예를 들어, 대략 0.4 ~ 2.0 LPM)의 측정만 가능하므로 음료 공급부(150)의 저유량을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1 유량센서(115)와는 별도로 저유량의 감지가 가능한 제2 유량센서(153)를 설치함으로써 음료 공급부(150)에서 추출되는 음료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펌프(154)는 상기 추출유닛에 고압(예를 들어, 7 ~ 10bar)으로 공급하도록 고압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압펌프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155)는 상기 추출유닛에 고온(예를 들어, 90~95℃)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유입된 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히터(155)는 전술한 펌프(154)에 의한 고압을 견딜 수 있도록 7 bar 이상의 압력(예를 들어, 7 ~ 10bar)에서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한 고압용 핌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히터(155)의 일 예로서 다이캐스팅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이캐스팅 히터는 발열체와 물이 유동하는 유동관이 열전도체 내에 함께 구비되며 발열체로부터 유동관으로 열이 전달되어 유동관을 유동하는 물이 가열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열전도체는 알루미늄 등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발열체와 유동관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다이캐스팅 히터는 다이캐스팅된 금속(열전도체) 내부에 유동관이 장착되므로 고압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히터(155)는 전술한 다이캐스팅 히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압(예를 들어, 7 ~ 10bar)의 환경에서 사용가능하다면 공지의 다양한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료 추출유닛은 커피 분말 등과 같은 음료용 분말에 상기 펌프(154)와 히터(155)에 의한 고온 고압의 온수를 공급하여 액상의 음료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음료 추출유닛(160)은 음료용 분말로부터 직접 음료를 추출할 수도 있지만, 음료용 분말이 수용된 음료용 캡슐(165)을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음료 추출유닛(160)은 커피캡슐과 같은 음료용 캡슐(165)이 장착되는 캡슐 장착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커피캡슐(165)에 고압의 물(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음료 추출유닛(160)에 '물'이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히터(155)에서 가열된 물이 고압으로 공급될 때 스팀으로 변화하여 음료 추출유닛(160)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서 음료 추출유닛(160)에 공급되는 '물'은 스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팀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커피캡슐(165)의 상측에는 커피캡슐(165)의 상측을 천공하는 상측 천공기구(161)가 구비되어 상기 펌프(154)로부터 가압된 물이 커피캡슐(16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피캡슐(165)의 하측에는 커피캡슐(165)의 하측을 천공하는 하측 천공기구(162)가 구비되어 커피캡슐(165) 내부의 커피분말(169) 등의 음료용 분말과 고압의 물이 접촉하여 액상의 커피가 천공된 부분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피캡슐(165)은 도 4에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몸체(166) 내부에 커피 분말(169)이 수용된 구조를 가지며, 상측과 하측에 각각 내부에 수용된 커피 분말(169)을 보호하기 위한 상부 덮개(167)와 하부 덮개(168)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커피캡슐(165)은 도 4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커피 분말(169)이 수용되는 공지의 캡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료 추출유닛(160)에서 생성된 커피 등의 음료는 음료 추출유로(LCF)를 통해 음료 추출부(19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음료 추출유닛(160)의 하부에는 음료 추출유닛(160)에서 발생한 잔수나 세척용수를 배출하는 배수구(158)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158)에서 낙하한 물은 물받이 부재(157)에 수용된다.
한편, 전술한 정수 추출부(191)와 음료 추출부(192)를 구비하는 추출부(1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으나, 하나로 합쳐져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100)는 음료 공급부(1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2 유량센서(153)에서 감지되는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154)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유량센서(153)에서 감지되는 유량이 설정유량보다 적은 경우 음료 추출유닛(160)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극히 적거나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고압의 물에 의하여 커피캡슐(165) 내부에서 블럭화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2 유량센서(153)에서 감지되는 유량이 설정유량보다 적은 경우 블럭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펌프(154)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2 유량센서(153)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유량보다 적은 경우 펌프(154)를 정지하였다가 펌프(154)를 재구동시킬 수 있다.
즉, 펌프(154)의 구동을 일정시간 동안 정지하면 커피캡슐(165)에 가해지는 압력이 펌프(154)의 정지 전 압력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펌프(154)를 재구동하게 되면 커피 분말(169)에 가해지는 압력에 변동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분말의 압력분포나 배치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펌프(154) 정지 후 재구동으로 인하여 블럭화 현상을 해소하거나 블럭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영역으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54)의 재구동시 전압인가 시간(t2a ~ t2c) 중 적어도 일부의 시간(t2a ~ t2b) 동안, 펌프(154)의 초기 구동시 펌프(154)에 인가되는 제1 전압(V1)보다 더 높은 제2 전압(V2)을 상기 펌프(154)에 인가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펌프(154)의 초기 구동시(t0 ~ t1) 펌프(15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1 전압(V1)이라 할 때, 일정시간(t1 ~ t2a) 펌프(154)의 정지 후 재구동시의 제2 전압(V2)을 제1 전압(V1)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전압(V2)을 제1 전압(V1)보다 크게 하는 경우 제1 전압(V1)을 펌프(154)에 인가하는 경우보다 더 높은 압력이 커피캡슐(165)에 가해지므로 커피 분말(169)의 블럭화 현상을 해소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펌프(154)의 재구동시에 펌프(154)에 상기 제2 전압(V2)을 설정시간(t2a ~ t2b) 동안 인가한 후 상기 제2 전압(V2)보다 낮은 제3 전압(V3)을 나머지 시간(t2b ~ t2c) 동안 인가할 수 있다. 즉, 제1 전압(V1)보다 큰 제2 전압(V2)을 펌프(154)에 인가함으로써 블럭화 현상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제2 전압(V2)을 계속 유지할 필요가 없고, 설정시간(t2a ~ t2b) 이후에 제2 전압(V2)보다 낮은 제3 전압(V3)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전압(V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압(V1)과 동일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압(V1)보다 높게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펌프(154) 정지 후 재구동에도 불구하고 블럭화 현상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펌프(154) 재구동 후에도 블럭화 현상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유량센서(153)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유량보다 적게 된다.
이와 같이, 펌프(154)의 재구동시 상기 제2 유량센서(153)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유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펌프(154)를 설정시간 동안 정지한 후 펌프(154)를 재구동할 수도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시간(t2c ~ t3a) 경과 후 펌프(154)를 재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펌프(154)에 제2 전압(V2)을 설정시간(t3a ~ t3b) 동안 인가한 후 나머지 시간(t3b ~ t3c) 동안 제2 전압(V2)보다 낮은 제3 전압(V3)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펌프(154)의 재구동 이후에도 상기 제2 유량센서(153)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유량보다 계속하여 적은 경우, 펌프(154) 정지 후 재구동 과정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도 있으나, 일정횟수(예를 들어, 3회) 이상 펌프(154)의 재구동에도 설정유량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사용자 대기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방법만으로는 커피 분말(169)의 블럭화 현상을 해소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펌프(154)의 재구동 횟수가 설정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표시부(180)를 통해 커피의 추출기능에 이상이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추출이 안 되는 커피캡슐(165)을 음료 추출유닛(160)으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커피캡슐(165)을 음료 추출유닛(160)에 장착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펌프(154)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커피캡슐(165)에 잔압이 존재하여 사용자가 음료 추출유닛(160)을 개방할 때 물 튀김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추출기능 이상을 알리는 경우 음료 추출유닛(160)과 연결된 유로 개방 등을 통하여 커피캡슐(165) 내부의 잔압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피캡슐(165)과 같은 음료용 캡슐의 종류는 다양하며, 이때 추출되는 추출량도 캡슐의 종류마다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캡슐(165)에서도 에스프레소의 경우 35cc, 룽고의 경우 65cc, 아메리카노의 경우 120cc 등과 같이 추출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185)를 통하여 추출하고자 하는 음료의 종류를 선택하면 이를 통하여 추출량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170)는 제2 유량센서(153)를 통해 감지된 추출량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음료의 종류에 따라 추출되는 설정 추출량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펌프(154)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수 공급부(WP)의 유로와 분리된 음료 공급유로(L8)를 통해서 음료 추출유닛(160)에 물이 공급되므로 음료 추출유닛(160)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와 압력을 최적화할 수 있어 커피 등의 음료의 맛과 향이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정수기 111... 감압밸브
112... 상시 오픈 솔레노이드(NOS) 밸브 113... 피드밸브
115... 제1 유량센서 116... 피드밸브
120... 필터부 121... 제1 필터
122... 제2 필터 130... 냉수탱크
131... 드레인관 140... 순간 가열유닛
141... 유량조절밸브 142... 온수추출밸브
143... 체크밸브 150... 음료 공급부
151... 정유량 피팅부재 152... 피드밸브
153... 제2 유량센서 154... 펌프
155... 히터 157...물받이 부재
158... 배수구 160... 음료 추출유닛
161... 상측 천공기구 162... 하측 천공기구
165... 커피캡슐 166... 캡슐 몸체
167... 상부 덮개 168... 하부 덮개
169... 커피 분말 170... 제어부
180... 표시부 185... 조작부
190... 추출부 191... 정수 추출부
192... 음료 추출부 L1... 원수 유입유로
L2... 필터부 유로 L3... 냉수 분기유로
L4... 냉수 공급유로 L5... 상온수 공급유로
L6... 온수 분기유로 L7... 온수 공급유로
L8... 음료 공급유로 L9... 스팀 배출유로
LC... 냉수 추출유로 LH... 온수 추출유로
LM... 상온수 추출유로 LCF.... 음료 추출유로
V1... 분기용 유로전환밸브 V2... 음료용 유로전환밸브
WP... 정수 공급부

Claims (20)

  1. 원수를 공급받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음료를 생성하며, 음료 추출유닛을 구비하는 음료 공급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정수 추출부로 공급하는 직수식 정수 공급부;
    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를 구성하는 유로와 상기 직수식 정수 공급부를 구성하는 유로는 음료용 유로전환밸브에 의해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식 정수 공급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음료용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음료 공급부를 구성하는 유로와 상기 온수 공급부를 구성하는 유로 사이에서 유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유량센서와, 상기 음료추출유닛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유량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유량센서는 상기 제1 유량센서보다 미세한 유량의 측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는,
    음료를 생성하는 상기 음료 추출유닛과, 상기 음료 추출유닛에 정수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음료 추출유닛에 정수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히터와, 상기 음료 추출유닛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7 bar 이상의 압력에서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한 고압용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발열체와 물이 유동하는 유동관이 열전도체 내에 함께 구비되며 발열체로부터 유동관으로 열이 전달되어 유동관을 유동하는 물이 가열되도록 구성된 다이캐스팅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되는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유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펌프를 정지하였다가 상기 펌프를 재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재구동시 전압인가 시간 중 적어도 일부의 시간 동안, 상기 펌프의 초기 구동시 상기 펌프에 인가되는 제1 전압보다 더 높은 제2 전압을 상기 펌프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재구동시에 상기 펌프에 상기 제2 전압을 설정시간 동안 인가한 후 상기 제2 전압보다 낮은 제3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재구동시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유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펌프를 설정시간 동안 정지한 후 상기 펌프를 재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의 재구동 횟수가 설정횟수 이상인 경우 커피의 추출기능에 이상이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추출유닛은 음료분말이 수용된 음료 캡슐을 수용하며, 상기 펌프와 히터에 의해 가압된 고온의 온수가 상기 음료 캡슐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음료의 종류에 따라 추출되는 설정 추출량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식 정수 공급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상온으로 공급하는 상온수 공급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냉각하여 공급하는 냉수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공급부는 유입된 정수를 순간 가열하여 배출하는 순간 가열유닛과, 상기 순간 가열유닛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공급부는 상기 순간 가열유닛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 될 때 스팀 배출을 위하여 개방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체크밸브가 설치된 스팀 배출유로는 상기 음료 공급부에 구비된 물받이 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공급부는,
    냉각유닛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정수를 냉각하며, 유입된 정수의 압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냉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직수식 냉수탱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는 분기용 유로전환밸브에 의하여 상기 상온수 공급부, 온수 공급부 또는 냉수 공급부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KR1020140121401A 2014-09-12 2014-09-12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KR10232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401A KR102329401B1 (ko) 2014-09-12 2014-09-12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401A KR102329401B1 (ko) 2014-09-12 2014-09-12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689A true KR20160031689A (ko) 2016-03-23
KR102329401B1 KR102329401B1 (ko) 2021-11-23

Family

ID=5564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401A KR102329401B1 (ko) 2014-09-12 2014-09-12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4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440B1 (ko) * 2016-08-08 2017-01-26 박상길 커피 또는 차 등 기호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온냉수 겸용 정수기
KR20190080531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스케일 프리 보일러 및 물 가열기
US20220127161A1 (en) * 2020-10-26 2022-04-28 Lg Electronics Inc. Liquid purifier
KR102565880B1 (ko) * 2023-02-20 2023-08-09 후지산 스프링스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를 구비한 정수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902A (ko) * 2008-04-25 2009-10-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세라믹 멤브레인을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20110006136U (ko) * 2011-06-01 2011-06-20 박종수 캡슐커피 추출 정수기
KR20120076821A (ko) * 2010-12-30 2012-07-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온수용기
KR20130005025A (ko) 2011-07-05 2013-01-15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 소재 고정장치
KR20140055279A (ko) * 2012-10-31 2014-05-09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902A (ko) * 2008-04-25 2009-10-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세라믹 멤브레인을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20120076821A (ko) * 2010-12-30 2012-07-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온수용기
KR20110006136U (ko) * 2011-06-01 2011-06-20 박종수 캡슐커피 추출 정수기
KR20130005025A (ko) 2011-07-05 2013-01-15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 소재 고정장치
KR20140055279A (ko) * 2012-10-31 2014-05-09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440B1 (ko) * 2016-08-08 2017-01-26 박상길 커피 또는 차 등 기호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온냉수 겸용 정수기
KR20190080531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스케일 프리 보일러 및 물 가열기
US20220127161A1 (en) * 2020-10-26 2022-04-28 Lg Electronics Inc. Liquid purifier
KR102565880B1 (ko) * 2023-02-20 2023-08-09 후지산 스프링스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를 구비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401B1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9712B2 (en) Beverage machine, in particular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beverage machine
US11866315B2 (en) Beverage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31689A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CN1935074A (zh) 具有煮泡室的基于热块的饮料生产设备
US10132556B2 (en) Dispens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102441652B1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JP6084484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20160031648A (ko) 커피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10006136U (ko) 캡슐커피 추출 정수기
RU2700762C2 (ru) Машина по приготовлению напитков
KR20190039500A (ko) 모듈형 발포 유닛
US11235990B2 (en) Portable multimode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system
CN105792716B (zh) 饮料制备机及操作饮料制备机的方法
JP2021504007A (ja)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6074117B2 (ja) 液体加熱装置
KR20160142477A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KR102385173B1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JP5275307B2 (ja) 濾材を備えた飲水器とその濾材の洗浄方法
JP2006263028A (ja)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マシーン
KR102373004B1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JP2021504004A (ja)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15650572U (zh) 饮料提取设备
CN105813518A (zh) 设置有储罐的饮料制备装置
KR20150104378A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055279A (ko) 수처리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