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114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114A
KR20120004114A KR1020100064790A KR20100064790A KR20120004114A KR 20120004114 A KR20120004114 A KR 20120004114A KR 1020100064790 A KR1020100064790 A KR 1020100064790A KR 20100064790 A KR20100064790 A KR 20100064790A KR 20120004114 A KR20120004114 A KR 20120004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ater
weight
water bottl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영
한두원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114A/ko
Publication of KR20120004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된 물을 대량으로 사용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정수기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여 자연수를 정화시키는 필터부와,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와, 저장 탱크에 연결된 제1 배출 코크와, 제1 배출 코크와 병렬로 저장 탱크에 연결되며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제2 배출 코크와, 제2 배출 코크 하부의 받침대에 설치되어 물병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센서와, 물병의 만수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와, 개폐 밸브와 제1 센서 및 제2 센서에 연결되어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전기 신호에 의해 개폐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된 물을 대량으로 사용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자연수를 여과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필터를 거쳐 자연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각종 유해 물질을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역삼투압 기술을 이용하여 자연수를 여과하는 정수기는 시간당 정수되는 물의 양이 많지 않으므로 필터부와 배출 코크 사이에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저장 탱크의 용량보다 많은 양의 물을 일시에 사용하는 경우 물이 부족하므로 저장 탱크가 다시 채워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저장 탱크에 정수된 물이 다 채워졌다 해도 정수된 물이 원하는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더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소비자는 저장 탱크의 용량 한계로 인해 물부족 현상을 겪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된 물을 소비자에게 대량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냉수 공급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여 자연수를 정화시키는 필터부와,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와, 저장 탱크에 연결된 제1 배출 코크와, 제1 배출 코크와 병렬로 저장 탱크에 연결되며,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제2 배출 코크와, 제2 배출 코크 하부의 받침대에 설치되어 물병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센서와, 물병의 만수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와, 개폐 밸브와 제1 센서 및 제2 센서에 연결되어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전기 신호에 의해 개폐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는 제1 센서의 물병 존재 감지시 개폐 밸브를 열어 물병에 우선적으로 물을 채우고, 제2 센서의 만수 상태 감지시 개폐 밸브를 닫아 저장 탱크에 물을 채우게 할 수 있다.
제1 센서는 무게 센서이고, 물병의 무게에 해당하는 제1 무게 정보를 기억하며, 제1 무게 감지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센서는 무게 센서이고, 물병의 만수에 해당하는 제2 무게 정보를 기억하며, 제2 무게 감지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2 센서는 제1 센서에 통합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센서는 제1 무게 정보와 제2 무게 정보를 기억하며, 제1 무게 감지시 제1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제2 무게 감지시 제2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2 센서는 초음파 센서이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병의 만수 상태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전기 신호를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센서는 제2 배출 코크의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2 센서는 유량 카운터 센서이고, 물병에 저장될 물의 유량 정보를 기억하며, 제2 배출 코크의 배출 유량이 설정 유량에 도달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센서는 제2 배출 코크의 유로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여 자연수를 정화시키는 필터부와,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와, 저장 탱크에 연결된 제1 배출 코크와, 제1 배출 코크와 병렬로 저장 탱크에 연결되며,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제2 배출 코크와, 제2 배출 코크 하부의 받침대에 설치되고, 물병의 무게에 해당하는 무게 정보를 기억하여 물병의 무게 감지시 제1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센서와, 무게 센서와 초음파 센서 및 유량 카운터 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물병의 만수 상태를 감지하여 제2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센서와, 개폐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1 센서 및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전기 신호 전달시 개폐 밸브를 열어 물병에 우선적으로 물을 채우고, 제2 전기 신호 전달시 개폐 밸브를 닫아 저장 탱크에 물을 채우게 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정수기는 저장 탱크에 제1 배출 코크와 제2 배출 코크를 병렬로 연결하고, 제1 센서와 제2 센서 및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물병에 우선적으로 정수된 물을 채움으로써 충분한 양의 물을 예비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는 저장 탱크의 용량을 초과하는 대량의 물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물부족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지속적인 냉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에너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에너지 절약 효과도 구현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정수기(100)는 필터부(20), 저장 탱크(30), 제1 배출 코크(41), 제2 배출 코크(42), 제1 센서(51), 제2 센서(52), 및 제어 장치(60)를 포함한다.
필터부(20)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필터부(20)는 세디먼트 필터(21), 선카본 필터(22), 멤브레인 필터(23), 및 후카본 필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세디먼트 필터(21)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자연수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를 침강 및 여과시키고, 선카본 필터(22)는 염소 성분을 제거한다. 멤브레인 필터(23)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며, 후카본 필터(24)는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정수기(100)에 투입된 자연수는 전술한 여러개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과 냄새 등이 제거되어 음용수로 이용될 수 있도록 정화된다. 필터부(20)의 구성은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저장 탱크(30)는 후카본 필터(24)와 연결되고, 필터부(20)를 거쳐 정수된 물을 제공받아 이를 저장한다. 저장 탱크(30)는 정수기 사양에 따라 다르나 대략 10리터 내지 20리터의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저장 탱크(30)에 정수된 물을 완전히 채우는데 대략 1시간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
제1 배출 코크(41)와 제2 배출 코크(42)는 저장 탱크(30)에 병렬로 연결된다. 이때 제1 배출 코크(41)는 통상의 배출 코크로서 소비자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하여 저장 탱크(30)에 저장된 물을 배출한다. 반면, 제2 배출 코크(42)는 제어 장치(6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개폐 밸브(43)를 구비하여 제어 장치(60)의 명령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한다.
제1 실시예의 정수기(100)는 저장 탱크(30)와 더불어 대략 1리터 또는 2리터 용량의 물병(70)을 이용하여 저장 탱크(30)의 용량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정수된 물을 대량으로 사용시 물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60)가 제2 배출 코크(42)의 개폐 밸브(43)와 연결되며, 제1 센서(51) 및 제2 센서(52)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배출 코크(41) 및 제2 배출 코크(42) 하부로 컵 또는 물병 등을 지지하는 받침대(44)가 구비되고, 이 받침대(44)에 물병(70)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센서(51)가 설치된다. 제1 센서(51)는 제2 배출 코크(42) 하부에 위치하여 제2 배출 코크(42) 하부에 물병(70)이 위치할 때 물병(70)의 존재를 감지한다.
제1 센서(51)는 무게 센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물병(70)의 무게에 해당하는 제1 무게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기억된 제1 무게 감지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 장치(60)로 전송한다.
제어 장치(60)는 제1 센서(51)로부터 신호 전달이 없을 때 제2 배출 코크(42)의 개폐 밸브(43)를 닫는다. 그러면 필터부(20)를 거쳐 정수된 물은 우선적으로 저장 탱크(30)에 저장되어 저장 탱크(30)를 채운다. 한편, 제1 센서(51)로부터 전기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 장치(60)는 제2 배출 코크(42)의 개폐 밸브(43)를 연다. 그러면 필터부(20)를 거쳐 정수된 물은 저장 탱크(30)를 거쳐 물병(70)에 우선적으로 저장된다.
즉, 저장 탱크(30)가 다 채워지지 않더라도 저장 탱크(30)로 입수된 물은 제2 배출 코크(42)를 거쳐 물병(70)으로 우선적으로 배출된다.
제2 센서(52)는 물병의 만수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무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센서(52)는 제1 센서(51)와 마찬가지로 받침대(44)에 설치되며, 제1 센서(51)와 나란하게 위치하거나, 제1 센서(51)에 통합 구성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는 제1 센서(51)와 제2 센서(52)가 분리되어 나란하게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제2 센서(52)는 물병(70)에 물이 가득 채워질 때의 무게, 즉 제2 무게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 물병(70)이 가득 채워져 제2 무게 감지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 장치(6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60)는 제2 배출 코크(42)의 개폐 밸브(43)를 닫아 물 배출을 정지시킨다. 이후 필터부(20)를 거쳐 정수된 물은 저장 탱크(30)를 채우게 된다.
제1 센서(51)와 제2 센서(52)가 통합 구성되는 경우, 제1 센서(51)는 물병(70)의 무게에 해당하는 제1 무게 정보와, 물병(70)에 물이 가득 채워질 때의 제2 무게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받침대(44)에 물병(70)이 놓일 때 제1 무게를 감지하여 제1 전기 신호를 생성하며, 물병(70)에 물이 가득 채워진 순간 제2 무게를 감지하여 제2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소비자는 물이 채워진 물병(70)을 냉장고 등으로 이동하여 정수된 물을 예비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물병(70) 여러개에 정수된 물을 채워 예비로 확보할 수 있는 정수의 양을 필요에 따라 최대로 늘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정수기(100)는 저장 탱크(30)에 제1 배출 코크(41)와 제2 배출 코크(42)를 병렬로 연결하고, 제1 센서(51)와 제2 센서(52) 및 제어 장치(60)를 이용하여 물병(70)에 우선적으로 정수된 물을 채움으로써 충분한 양의 물을 예비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정수기(100)는 저장 탱크(30)의 용량을 초과하는 대량의 물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물부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정수기(100)는 지속적인 냉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에너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에너지 절약 효과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의 정수기(200)는 제2 센서(53)가 제2 배출 코크(42) 하단에 부착된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제2 센서(53)는 초음파 센서이며, 제어 장치(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센서(5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병(70) 내부의 물 수위를 감지하며, 물병(70)에 채워진 물의 수위가 설정치 이상일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이를 제어 장치(6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60)는 제2 배출 코크(42)의 개폐 밸브(43)를 닫아 물 배출을 정지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3 실시예의 정수기(300)는 제2 센서(54)가 제2 배출 코크(42)의 유로에 설치된 유량 카운터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제2 센서(54)는 유량 카운터 센서로서 물병(70)에 저장될 물의 유량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있으며, 제어 장치(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센서(54)는 제2 배출 코크(42)의 개폐 밸브(43)가 열린 이후 제2 배출 코크(42)의 배출 유량을 측정하고, 배출 유량이 미리 저장된 설정 유량에 도달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 장치(6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60)는 제2 배출 코크(42)의 개폐 밸브(43)를 닫아 물 배출을 정지시킨다.
상기에서는 제2 센서(52, 53, 54)가 무게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유량 카운터 센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 센서의 종류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200, 300: 정수기 20: 필터부
30: 저장 탱크 41: 제1 배출 코크
42: 제2 배출 코크 43: 개폐 밸브
44: 받침대 51: 제1 센서
52, 53, 54: 제2 센서 60: 제어 장치
70: 물병

Claims (10)

  1.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여 자연수를 정화시키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에 연결된 제1 배출 코크;
    상기 제1 배출 코크와 병렬로 상기 저장 탱크에 연결되며,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제2 배출 코크;
    상기 제2 배출 코크 하부의 받침대에 설치되어 물병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물병의 만수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개폐 밸브와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의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개폐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센서의 물병 존재 감지시 상기 개폐 밸브를 열어 상기 물병에 우선적으로 물을 채우고, 상기 제2 센서의 만수 상태 감지시 상기 개폐 밸브를 닫아 상기 저장 탱크에 물을 채우게 하는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무게 센서이고, 상기 물병의 무게에 해당하는 제1 무게 정보를 기억하며, 상기 제1 무게 감지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무게 센서이고, 상기 물병의 만수에 해당하는 제2 무게 정보를 기억하며, 상기 제2 무게 감지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센서에 통합 구성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1 무게 정보와 상기 제2 무게 정보를 기억하며, 상기 제1 무게 감지시 제1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무게 감지시 제2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정수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초음파 센서이고, 상기 물병의 만수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배출 코크의 하단에 부착되는 정수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유량 카운터 센서이고, 상기 물병에 저장될 물의 유량 정보를 기억하며, 상기 제2 배출 코크의 배출 유량이 설정 유량에 도달시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달하는 정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배출 코크의 유로에 설치되는 정수기.
  10.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여 자연수를 정화시키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에 연결된 제1 배출 코크;
    상기 제1 배출 코크와 병렬로 상기 저장 탱크에 연결되며,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제2 배출 코크;
    상기 제2 배출 코크 하부의 받침대에 설치되고, 물병의 무게에 해당하는 무게 정보를 기억하여 상기 물병의 무게 감지시 제1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센서;
    무게 센서와 초음파 센서 및 유량 카운터 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물병의 만수 상태를 감지하여 제2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개폐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기 신호 전달시 상기 개폐 밸브를 열어 상기 물병에 우선적으로 물을 채우고, 상기 제2 전기 신호 전달시 상기 개폐 밸브를 닫아 상기 저장 탱크에 물을 채우게 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100064790A 2010-07-06 2010-07-06 정수기 KR20120004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90A KR20120004114A (ko) 2010-07-06 2010-07-06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90A KR20120004114A (ko) 2010-07-06 2010-07-06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14A true KR20120004114A (ko) 2012-01-12

Family

ID=4561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790A KR20120004114A (ko) 2010-07-06 2010-07-06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11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142A1 (ko) * 2015-02-06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기지국
CN109876263A (zh) * 2019-03-13 2019-06-14 成都利泽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湿化液智能定量加液车
KR101997395B1 (ko) * 2018-03-29 2019-07-05 서민호 물 공급장치
KR20210015470A (ko) * 2019-08-02 202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102394470B1 (ko) * 2021-11-24 2022-05-03 이종용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142A1 (ko) * 2015-02-06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기지국
KR101997395B1 (ko) * 2018-03-29 2019-07-05 서민호 물 공급장치
CN109876263A (zh) * 2019-03-13 2019-06-14 成都利泽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湿化液智能定量加液车
KR20210015470A (ko) * 2019-08-02 202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102394470B1 (ko) * 2021-11-24 2022-05-03 이종용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4114A (ko) 정수기
US20090120122A1 (en) Water supply for supplyingan ice cube maker and/or a water dispenser of a refrigerator and/or freezer
RU201511119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жидкости для автомата для продажи напитков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US10238233B2 (en) Filtration and liquid level control system
US20100051519A1 (en)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ter treatment method for a passenger aircraft
CN105640332A (zh) 一种带水质检测的饮水机
TW200746242A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O2013091514A1 (zh) 铁路车辆供水系统
US20110174839A1 (en) Under counter drinking fountain
CN203891116U (zh) 市政供水系统
CN104180600B (zh) 一种自动循环供水的冰箱水路控制系统及冰箱
CN108187084A (zh) 水盒组件与蒸汽消毒柜
CN205338661U (zh) 一种饮水机对接设备及具有该饮水机对接设备的饮水设备
CN209008589U (zh) 具有多个新鲜水或饮用水容器的车厢
US20130025695A1 (en) Toilet water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for
RU25363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злива воды
KR20160144823A (ko) 격막형 수소수기
EP2918542A1 (en) Beverage supply device
CN111733926B (zh) 一种消防蓄水系统
JP2017504481A (ja) 水濾過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6081350B (zh) 一种家用净水设备的储水装置
EP1645825B1 (en) Domestic refrigerator with water dispenser assembly
EP2047818A2 (en) A water supply unit to protect drinking water against pollution, and use of the water supply unit
CN207262702U (zh) 一种开水器
CN214033912U (zh) 一种泵房储水箱自动切换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