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037B1 - 곤충 사육장치 - Google Patents

곤충 사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037B1
KR102190037B1 KR1020180160714A KR20180160714A KR102190037B1 KR 102190037 B1 KR102190037 B1 KR 102190037B1 KR 1020180160714 A KR1020180160714 A KR 1020180160714A KR 20180160714 A KR20180160714 A KR 20180160714A KR 102190037 B1 KR102190037 B1 KR 10219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ving
bottom plate
blade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763A (ko
Inventor
오영준
Original Assignee
오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준 filed Critical 오영준
Priority to KR1020180160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0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2Rack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1/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 B61C11/04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tractive effort applied to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9/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system used;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 B61C9/38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애등에 등의 다양한 종류의 곤충의 사육 완료 후 사육트레이로부터 배지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 및 애벌레와 부산물을 상기 사육트레이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지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를 뒤섞는 쟁기부를 통해 배지와 함께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내에 복수의 공극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의 발효효율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곤충 사육장치{Insect breeding device}
본 발명은 동애등에 등의 다양한 종류의 곤충의 사육 완료 후 사육트레이로부터 배지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 및 애벌레와 부산물을 상기 사육트레이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지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를 뒤섞는 쟁기부를 통해 배지와 함께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내에 복수의 공극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의 발효효율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는 곤충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곤충은 우선 발효된 톱밥 속에서 곤충알이 부화한 후 애벌레가 자라는 동안 액상 또는 분상의 먹이를 일정하게 공급받되, 일정 규격으로 성장된 애벌레가 사육상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사육되고 있다.
즉, 식용으로 사육되는 산업곤충은 대개 애벌레 상태에서 수확되지만 약용으로 사육되는 산업곤충은 성충상태까지 사육해야 하므로 이탈방지 시설이 중요한 의미를 가짐을 의미한다.
특히, 이렇게 곤충이 사육되는 기간(2개월 전후) 동안 사육과정을 살피면서 온도, 습도 등의 환경이 적절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데, 사육상은 보통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설비 구조인데다가 어두운 저조도 환경상태여서 육안으로 접근하여 살펴보는 작업이 쉽지 않다.
이처럼 종래에는 사육상 내에 곤충알을 입식 또는 매설하거나, 먹이를 공급하는 대부분의 사육과정은 관리자가 직접 사육상이 설치된 장소까지 이동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어왔으므로, 산업곤충을 사육하기 위한 자동화설비에 대한 새로운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 놓여있다.
이에 최근에는 자동으로 입상된 배지에 곤충알을 입식 또는 매설한 후 급이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산업곤충 사육용 자동화설비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47041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47041호의 경우, 곤충의 사육완료 후 배지를 트레이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4704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동애등에 등의 다양한 종류의 곤충의 사육 완료 후 사육트레이로부터 배지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 및 애벌레와 부산물을 상기 사육트레이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지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를 뒤섞는 쟁기부를 통해 배지와 함께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내에 복수의 공극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의 발효효율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는 곤충 사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방형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측에 설치되는 전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설치되는 후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상에 곤충을 사육하기 위한 배지가 일정한 두께로 적층되는 사육트레이와; 상기 사육트레이의 전측판과 후측판상에 각각 배치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하부에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지를 뒤섞는 쟁기부와;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지를 상기 사육트레이의 일측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레일에 각각 랙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사육트레이의 전측판과 후측판 사이에 상기 사육트레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측회전축 및 타측회전축과; 상기 일측회전축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타측회전축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랙부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회전축 및 상기 타측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을 좌우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일측회전축 및 상기 타측회전축을 각각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일측회전축과 상기 타측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는 구동회전체와; 상기 일측회전축 및 상기 타측회전축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회전체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일측회전축 및 상기 타측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종동회전체와; 상기 구동회전체와 상기 종동회전체에 감겨지는 감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쟁기부는 상기 사육트레이의 바닥판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수평형성되는 하부수평바와, 상기 하부수평바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수평형성되고 상기 이동대차의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는 상부수평바로 구성되는 수평바와; 상기 하부수평바와 상기 상부수평바 사이에 수직형성된 상태로 상기 수평바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수직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바의 하부수평바는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바닥판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일측경사판과; 상기 일측경사판의 상부에 상부가 연결된 상태로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바닥판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타측경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와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 상부 사이에 상기 바닥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에 일측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고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 상부에 타측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는 상부링크부재와;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와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 하부 사이에 상기 바닥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에 일측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고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 하부에 타측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는 하부링크부재와; 상기 상부링크부재의 타측과 상기 하부링크부재의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링크부재의 일측 및 상기 하부링크부재의 일측을 상기 바닥판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블레이드를 수직상태로 승강운동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링크부재 사이에 상기 상부링크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상부링크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타측이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에 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부재에 축결합되는 승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육트레이는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판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판의 일측 상부와 상기 후측판의 일측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판의 하부가 상기 배출부의 블레이드가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바닥판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의 블레이드와 상기 일측판의 하부 사이에 상기 일측판의 하부를 상기 바닥판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회전이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의 블레이드가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일측판의 하부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이 내측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축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축의 일측에 타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일측판의 하부에 일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축이 상기 일측판의 하부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시 상기 일측판의 하부를 상기 바닥판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동애등에 등의 다양한 종류의 곤충의 사육 완료 후 사육트레이의 이동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대차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배출부의 블레이드를 통해 상기 사육트레이로부터 배지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 및 애벌레 와 부산물을 상기 사육트레이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지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를 뒤섞는 쟁기부를 통해 배지와 함께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내에 복수의 공극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의 발효효율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곤충 사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사육트레이에서 이동대차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4는 쟁기부가 배지를 뒤섞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쟁기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3은 배출부가 배지를 사육트레이의 일측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14는 자력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15는 사육트레이가 복수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곤충 사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도 16의 일부절개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곤충 사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곤충 사육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사육트레이(10), 이동레일(20), 이동대차(30), 쟁기부(40) 및 배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사육트레이(10)는 바닥판(110), 전측판(120) 및 후측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방형의 상기 바닥판(11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상기 전측판(120)과 상기 후측판(130)이 각각 수직설치된다.
상기 바닥판(110)의 상부에는 곤충을 사육하기 위한 배지가 일정한 상하두께로 적층된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상부방향에는 상기 바닥판(110)으로 배지를 공급하는 배지호퍼 등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배지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육트레이(10)의 바닥판(110)의 상부로 공급되어 일정한 상하두께로 적층되는 배지는 밀을 빻아 체로 쳐서 남은 찌꺼기인 밀기울과, 풀, 짚, 동물의 배설물 등 여러가지 재료를 발효시키거나 썩혀서 만든 비료인 퇴비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육트레이(10)에 사육하기 위한 곤충은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동애등에를 사육할 수 있다.
동애등에는 파리목의 동애등에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미국, 인도, 호주, 베트남, 한국 등 전세계에 서식한다.
유기성 폐기물인 동물사체, 가축의 분(糞), 음식물쓰레기 등을 먹이로 살아가는데 일반적으로 집안으로 침입하지 않으며, 사람을 물거나 성가시게 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단백질 덩어리인 동애등에의 애벌레를 잘 말려 기름을 짜고 분쇄하면 훌륭한 사료로 만들 수 있으며, 기름에 든 지방산은 가축의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동애등에의 애벌레가 음식물 쓰레기를 먹고 배출한 분변도 지렁이 분변 못지 않은 훌륭한 거름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레일(20)은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전측판(120)의 내측면 상부와 상기 후측판(130)의 내측면 상부에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수평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대차(30)는 상기 이동레일(20)을 따라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도 2는 사육트레이에서 이동대차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쟁기부(4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대차(30)의 하부에 상기 이동대차(30)의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지를 뒤섞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부(50)는 상기 이동대차(30)의 일측부에 상기 이동대차(3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블레이드(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부(50)의 상기 블레이드(510)를 통해 상기 배지를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레일(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레일(2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랙부(200)가 각각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을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대차(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이동프레임(310), 일측회전축(320), 타측회전축(330), 피니언 기어(340) 및 구동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310)는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전측판(120)과 후측판(130) 사이에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회전축(320)과 상기 타측회전축(330)은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340)는 상기 랙부(200)의 상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일측회전축(320)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랙부(200)의 상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타측회전축(33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랙부(200)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회전축(320) 및 상기 타측회전축(330)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이동프레임(310)을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340)가 상기 랙부(200)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60)는 가이드바퀴(610)와 연결부재(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퀴(610)의 상부는 상기 랙부(200)의 하부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620)는 연결몸체(621)와 연결축(6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621)는 환형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310)과 상기 피니언 기어(340) 사이의 상기 일측회전축(320)의 외면 부위 및 상기 타측회전축(330)의 외면부위에 형성되는 환형 형상의 홈(360)내에 공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622)의 상부는 상기 연결몸체(621)의 하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622)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바퀴(61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축(622)의 하부는 상기 가이드바퀴(610)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바퀴(610)에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50)는 상기 일측회전축(320) 및 상기 타측회전축(330)을 각각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350)는 구동모터(351), 구동회전체(352), 종동회전체(353) 및 감김부재(3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51)는 상기 일측회전축(320)과 상기 타측회전축(3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회전체(352)는 상기 구동모터(35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종동회전체(353)는 상기 구동모터(351)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한 상기 일측회전축(320)과 상기 타측회전축(330)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회전체(352)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일측회전축(320) 및 상기 타측회전축(3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354)의 상부가 상기 구동회전체(352)의 상부 외면에 걸쳐지고, 상기 감김부재(354)의 일측이 상기 일측회전축(320)에 결합된 종동회전체(353)의 일측 외면에 걸쳐지고, 상기 감김부재(354)의 타측이 상기 타측회전축(330)에 결합된 종동회전체(353)의 타측 외면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감김부재(354)가 상기 구동회전체(352) 및 상기 종동회전체(353)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구동회전체(352)와 상기 종동회전체(353)는 풀리, 스프로켓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354)는 풀리에 감겨지는 벨트, 스프로켓에 감겨지는 체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회전체(352)와 상기 감김부재(354) 사이 및 상기 종동회전체(353)와 상기 감김부재(354) 사이에 각각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회전체(352)와 상기 종동회전체(353)는 특히 타이밍풀리 및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김부재(354)는 타이밍풀리에 감겨지는 타이밍벨트 및 스프로켓에 감겨지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 3은 도 1의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쟁기부(4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평바(410)와 수직바(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바(410)는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전후연장형성되는 하부수평바(411)와 상부수평바(4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수평바(411)는 상기 사육트레이(10)의 바닥판(110)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수평바(412)는 상기 하부수평바(411)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수평바(412)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는 상기 이동대차(30)의 이동프레임(310)의 하부 중간부 전측과 하부 중간부 후측방향으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이동대차(30)의 이동프레임(310)의 전측 하부 중간부와 후측 하부 중간부에 일체연결되는 연결바(41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바(420)는 상기 하부수평바(411)와 상기 상부수평바(412)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된 상태로 상기 수평바(4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쟁기부가 배지를 뒤섞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상기 사육트레이(10)의 바닥판(110)상에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와 배지(3)가 순차적으로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수평바(411)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와 배지(3)내로 일정깊이로 인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대차(30)가 상기 이동레일(20)을 따라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할 경우,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와 배지(3)가 상기 하부수평바(411)의 상부를 타고 넘어가면서 뒤섞이게 된다.
이와 같이 배지(3)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뒤섞는 상기 쟁기부(40)의 하부수평바(411)를 통해 배지(3)와 함께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내에 복수의 공극(G)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의 발효효율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대차(30)가 상기 이동레일(20)을 따라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할 경우, 상기 수직바(420)는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 및 배지(3)에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일정깊이로 고랑(5)을 형성할 수 있다.
균질화된 유동성 곤충 먹이인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는 음식물 쓰레기 분말과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공급부(7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탱크(710), 공급라인(720) 및 펌프(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710)의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 분말과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가 일정높이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720)은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공급라인(720)의 후측은 상기 저장탱크(710)의 전측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720)의 전측은 상기 이동대차(30)의 이동프레임(3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일체연결 또는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쟁기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배지(3)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뒤섞는 상기 쟁기부(40)의 하부수평바(411)를 통해 배지(3)와 함께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내에 복수의 공극(G)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의 발효효율이 더더욱 우수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평바(410)의 하부수평바(411)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경사판(411a)과 타측경사판(41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경사판(411a)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경사판(411a)은 상기 바닥판(11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타측경사판(411b)의 상부가 상기 일측경사판(411a)의 상부에 일체연결된 상태로 상기 타측경사판(411b)의 하부에서 상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경사판(411b)은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부(5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블레이드(510), 상부링크부재(520), 하부링크부재(530) 및 승강부재(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510)는 상기 이동대차(30)의 이동프레임(310)의 일측부에 상기 이동대차(30)의 이동프레임(31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510)의 내측방향으로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와 배지(3)가 모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510)의 전측은 상기 전측판(120)의 일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510)의 후측은 상기 후측판(120)의 일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상부링크부재(520)가 상기 블레이드(510)의 상부와 상기 이동대차(30)의 이동프레임(310)의 일측 상부 사이에 상기 바닥판(1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상부링크부재(520)의 일측은 상기 블레이드(51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링크부재(520)의 타측은 상기 이동대차(30)의 이동프레임(310)의 일측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링크부재(520) 사이에는 상기 상부링크부재(520)를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부재(550)가 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50)의 전측은 상기 연결부재(550)의 전측방향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상기 상부링크부재(520)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50)의 후측은 상기 연결부재(55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상기 상부링크부재(520)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링크부재(530)가 상기 블레이드(510)의 하부와 상기 이동대차(30)의 이동프레임(310)의 일측 하부 사이에 상기 바닥판(1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부링크부재(530)의 일측은 상기 블레이드(510)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링크부재(530)의 타측은 상기 이동대차(30)의 이동프레임(310)의 일측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540)는 상기 상부링크부재(520)의 타측과 상기 하부링크부재(530)의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링크부재(520)의 일측 및 상기 하부링크부재(530)의 일측을 상기 바닥판(1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블레이드(510)를 수직상태로 승강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540)는 승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540)가 상기 상부링크부재(5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부재(540)의 타측은 상기 이동대차(30)의 이동프레임(310)의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540)의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550)의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은 배출부가 배지를 사육트레이의 일측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사육트레이(10)는 도 1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일측판(140) 및 타측판(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판(14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판(120)의 일측 상부와 상기 후측판(130)의 일측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가 상기 배출부(50)의 블레이드(510)가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부(50)의 블레이드(510)와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 사이에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를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회전이동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부(8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가이드축(810), 가이드몸체(820) 및 링크부재(8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810)은 상기 바닥판(110)의 상부 일측에 수평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50)의 블레이드(510)가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820)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축(810)이 수평이동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몸체(820)는 상기 바닥판(110)의 상부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축(810)의 수평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830)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축(810)의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830)의 일측은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 내측면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0)의 블레이드(510)가 상기 가이드축(810)의 타측과 접하여 상기 가이드축(810)을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상기 가이드축(810)이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방향으로 수평이동되면서 상기 링크부재(830)가 상기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540)를 이룰 수 있는 승강실린더의 길이가 늘어날 경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510)가 수직상태로 하강하여 상기 사육트레이(10)의 바닥판(11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50)가 상기 이동대차(30)를 따라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배출부(50)의 블레이드(510)가 상기 가이드축(810)을 가압하면서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가 상승되어 상기 사육트레이(10)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사육트레이(10)내의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 및 배지(3), 애벌레 및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의 부산물이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50)가 상기 이동대차(30)를 따라 상기 사육트레이(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540)를 이룰 수 있는 승강실린더의 길이가 줄어들 경우,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510)가 수직상태로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가이드축(810) 또한 상기 사육트레이(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의 용이한 하강을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에 무게추 등의 웨이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50)가 상기 사육트레이(10)내에 남아있는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 및 배지(3)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출부(50)가 상기 이동대차(30)를 따라 상기 사육트레이(10)의 타측방향으로 더 이동된 상태에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50)의 블레이드(510)가 수직상태로 다시 하강될 수 있다.
이 후,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50)가 상기 이동대차(30)를 따라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부(50)의 블레이드(510)가 상기 가이드축(810)을 다시 가압하여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상기 사육트레이(10)내의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 및 배지(3), 애벌레 및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의 부산물이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곤충의 먹이인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는 곤축을 사육하는 기간 중에는 죽 같은 형상이나 유축 수거 예정일 3 ~ 4일전부터 먹이 공급을 중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의 수분이 증발하여 푸석푸석한 상태로 되어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를 상기 블레이드(510)로 밀어서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4는 자력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부(50)의 블레이드(510)와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 사이에 상기 회전이동부(80)가 설치되지 않는 대신에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가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에 자력부재(90)에 의해 탈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자력부재(90)는 일예로,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력부재(90)를 이룰 수 있는 자석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 내측면에 구비되어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자력부재(90)가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 내측면에 접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는 사육트레이가 복수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다음으로, 상기 사육트레이(1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사육트레이(10)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상하방향으로 복수적층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곤충 사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곤충 사육장치는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육트레이(10), 상기 이동레일(20), 상기 이동대차(30), 상기 쟁기부(40) 및 상기 배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육트레이(10) 내부의 모든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 및 배지(3), 애벌레 및 음식물 쓰레기 슬러지의 부산물을 상기 사육트레이(10)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배출부(50)는 일측배출부(51)와 타측배출부(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배출부(51)는 상기 블레이드(510), 상기 상부링크부재(520), 상기 하부링크부재(530) 및 승강부재(540)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대차(3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배출부(52)는 상기 일측배출부(5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이동대차(30)의 타측에 상기 일측배출부(51)와 좌우대칭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6의 일부절개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육트레이(10)의 타측판(15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은 각각 상기 전측판(120)의 타측 상부와 상기 후측판(130)의 타측 상부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타측판(150)의 하부가 상기 배출부(50)의 타측배출부(52)의 블레이드(510)가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바닥판(11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이동부(80)는 일측회전이동부(81)와 타측회전이동부(8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회전이동부(81)는 상기 배출부(50)의 일측배출부(51)의 블레이드(510)와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도록 상기 가이드축(810), 상기 가이드몸체(820) 및 상기 링크부재(830)로 구성되어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를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타측회전이동부(82)는 상기 일측회전이동부(8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일측회전이동부(81)와 좌우대칭된 상태로 상기 배출부(50)의 타측배출부(52)의 블레이드(510)와 상기 타측판(150)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타측판(140)의 하부를 상기 바닥판(11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이동부(80)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일측판(140)의 하부 및 상기 타측판(150)의 하부는 각각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자력부재(90)에 의해 탈부착될 수 도 있다.
상기 자력부재(90)는 상기 타측판(150)의 하부 내측면에 구비되어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바닥판(110)의 타측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자력부재(90)가 상기 바닥판(11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어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타측판(150)의 하부 내측면에 접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곤충 사육장치는 단열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컨테이너의 내부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전열기, 수분제거를 위한 제습기,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보내어 정화하기 위한 환풍기 등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단열컨테이너의 출입문 위에는 에어커튼이 구비될 수 있다.
10; 사육트레이, 20; 이동레일,
30; 이동대차, 40; 쟁기부,
50; 배출부.

Claims (10)

  1. 장방형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측에 설치되는 전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설치되는 후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상에 곤충을 사육하기 위한 배지가 일정한 두께로 적층되는 사육트레이와;
    상기 사육트레이의 전측판과 후측판상에 각각 배치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대차와;
    상기 사육트레이의 바닥판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수평형성되는 하부수평바 및 상기 하부수평바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수평형성되고 상기 이동대차의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는 상부수평바로 구성되는 수평바와, 상기 하부수평바와 상기 상부수평바 사이에 수직형성된 상태로 상기 수평바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수직바로 구성되어 상기 배지를 뒤섞는 쟁기부와;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지를 상기 사육트레이의 일측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
  2. 장방형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측에 설치되는 전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설치되는 후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상에 곤충을 사육하기 위한 배지가 일정한 두께로 적층되는 사육트레이와;
    상기 사육트레이의 전측판과 후측판상에 각각 배치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하부에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지를 뒤섞는 쟁기부와;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지를 상기 사육트레이의 일측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판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판의 일측 상부와 상기 후측판의 일측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판의 하부가 상기 배출부의 블레이드가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바닥판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에 각각 랙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사육트레이의 전측판과 후측판 사이에 상기 사육트레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측회전축 및 타측회전축과;
    상기 일측회전축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타측회전축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랙부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회전축 및 상기 타측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을 좌우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일측회전축 및 상기 타측회전축을 각각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일측회전축과 상기 타측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는 구동회전체와;
    상기 일측회전축 및 상기 타측회전축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회전체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일측회전축 및 상기 타측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종동회전체와;
    상기 구동회전체와 상기 종동회전체에 감겨지는 감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의 하부수평바는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바닥판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일측경사판과;
    상기 일측경사판의 상부에 상부가 연결된 상태로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바닥판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타측경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와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 상부 사이에 상기 바닥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에 일측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고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 상부에 타측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는 상부링크부재와;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와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 하부 사이에 상기 바닥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에 일측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고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 하부에 타측이 일정간격으로 각각 축결합되는 하부링크부재와;
    상기 상부링크부재의 타측과 상기 하부링크부재의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링크부재의 일측 및 상기 하부링크부재의 일측을 상기 바닥판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블레이드를 수직상태로 승강운동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부재 사이에 상기 상부링크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상부링크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타측이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에 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부재에 축결합되는 승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블레이드와 상기 일측판의 하부 사이에 상기 일측판의 하부를 상기 바닥판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회전이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의 블레이드가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일측판의 하부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이 내측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축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축의 일측에 타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일측판의 하부에 일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축이 상기 일측판의 하부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시 상기 일측판의 하부를 상기 바닥판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판의 하부가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자력부재에 의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
  10. 삭제
KR1020180160714A 2018-12-13 2018-12-13 곤충 사육장치 KR10219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714A KR102190037B1 (ko) 2018-12-13 2018-12-13 곤충 사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714A KR102190037B1 (ko) 2018-12-13 2018-12-13 곤충 사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763A KR20200072763A (ko) 2020-06-23
KR102190037B1 true KR102190037B1 (ko) 2020-12-11

Family

ID=7113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714A KR102190037B1 (ko) 2018-12-13 2018-12-13 곤충 사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0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307B1 (ko) * 2021-12-10 2022-12-29 (주)강원랜드 동애등에 유충 및 미생물을 이용하며 배출이 용이한 친환경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502585B1 (ko) * 2021-12-10 2023-02-21 (주)강원랜드 동애등에 유충 및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자동화 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067B1 (ko) 2002-02-21 2004-05-20 김맹석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CN202068840U (zh) * 2011-04-19 2011-12-14 华南师范大学 蚯蚓生物反应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868B1 (ko) * 2009-06-08 2009-11-06 주식회사 에이케이 고상식 가금류 위생 사육시설구조
KR20180047041A (ko) 2016-10-31 2018-05-10 (주)헬퍼로보텍 산업곤충 사육용 자동화설비
KR101963750B1 (ko) * 2017-01-09 2019-03-29 주식회사 우신이엔지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067B1 (ko) 2002-02-21 2004-05-20 김맹석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CN202068840U (zh) * 2011-04-19 2011-12-14 华南师范大学 蚯蚓生物反应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307B1 (ko) * 2021-12-10 2022-12-29 (주)강원랜드 동애등에 유충 및 미생물을 이용하며 배출이 용이한 친환경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502585B1 (ko) * 2021-12-10 2023-02-21 (주)강원랜드 동애등에 유충 및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자동화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763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193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ring Insect Larvae
CN108739672B (zh) 资源化利用畜禽粪便及餐厨垃圾孵化黑水虻系统及方法
KR102190037B1 (ko) 곤충 사육장치
KR20120063379A (ko) 축사시설 방식 및 장치
CN108849770B (zh) 基于黑水虻饲养的禽畜粪便自动化处理设备
JP2010110307A (ja) 昆虫育成堆肥床
JP2916814B2 (ja) 好気発酵施設及び該施設による堆肥の製造方法
TWM603681U (zh) 食腐性昆蟲自動化循環養殖系統
KR20220070695A (ko)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선별기
CN107535441B (zh) 自动投料的桑蚕养殖装置
JP3866807B2 (ja) 家畜飼育設備および飼育方法
CN113080098A (zh) 一种肉鸭的饲养生产系统
CN210538289U (zh) 一种养殖设备
JP4364888B2 (ja) 豚舎構造における敷料床の維持方法
JP3463166B2 (ja) 家畜糞尿堆肥化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使用した豚糞尿堆肥化処理方法
JPH0859381A (ja) 発酵機および畜糞尿発酵処理設備
CN208286120U (zh) 绿色环保型牲畜养殖场
CN211412640U (zh) 虫肥分离装置
CN211861476U (zh) 多功能禽类养殖机器人
CN211793707U (zh) 一种畜牧用的畜禽养殖装置
CN210352780U (zh) 利用黑水虻消化厨余垃圾的消化塔
CN217608902U (zh) 一种农牧养殖用饲料投喂装置
CN107149973A (zh) 一种农业废弃物处理装置
CN107494462B (zh) 桑蚕养殖装置
KR200414744Y1 (ko) 파리유충 사육장치의 종자유충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