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067B1 -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067B1
KR100432067B1 KR10-2002-0009305A KR20020009305A KR100432067B1 KR 100432067 B1 KR100432067 B1 KR 100432067B1 KR 20020009305 A KR20020009305 A KR 20020009305A KR 100432067 B1 KR100432067 B1 KR 100432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worm
breeding
soil
discharge
soil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563A (ko
Inventor
강태봉
김맹석
양용일
Original Assignee
김맹석
양용일
강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맹석, 양용일, 강태봉 filed Critical 김맹석
Priority to KR10-2002-000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0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2Earth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3Worms, e.g. Caenorhabdities eleg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지렁이사육상내에 지렁이의 양식에 먹이를 일정한 두께의 다층으로 연속하여 투입하고, 또한 지렁이사육상내에 지렁이의 양식에 적합한 에어 또는 온열의 공급과, 또한 적당한 습도 등이 조성되도록 함으로써, 지렁이가 먹이를 먹으면서 먹이를 따라서 윗쪽으로 유도되어, 결국 지렁이의 장관에 의하여 얻어지는 분비물은 아래쪽으로 유도되어서, 지렁이사육상의 바닥에 주행하도록 된 토양배출대차에 의하여 지렁이 분비물의 분변토를 주기적으로 연속하여 얻을 수 있는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평편한 바닥을 가지는 바닥평판(100)과; 상기 바닥평판(100)위에 일정틈새(210)를 두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지렁이를 배양할 수 있는 지렁이사육상(200)와; 상기 바닥평판(100)위에 설치되어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틈새(210)사이를 주행하도록 된 토양배출대차(300)와; 상기 토양배출대차(300)에 다수의 버킷부재(500)가 형성되어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틈새(210)쪽에 적층된 지렁이분비물을 긁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토양배출체인(400);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An earthworm of rear and motion discharge}
본 발명은 지렁이가 배양하기 좋은 최적의 양식환경을 조성하여 경제성이 있는 지렁이의 양식을 행할 수 있으며, 더욱이 지렁이의 장관에 의하여 양질의 분비물의 분변토를 주기적으로 얻을 수 있는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크기의 지렁이사육상내에 지렁이의 양식에 먹이를 일정한 두께의 다층으로 연속하여 투입하고, 또한 지렁이사육상내에 지렁이의 양식에 적합한 에어 또는 온열의 공급과, 또한 적당한 습도 등이 조성되도록 함으로써, 지렁이가 먹이를 먹으면서 먹이를 따라서 윗쪽으로 유도되어, 결국 지렁이의 장관에 의하여 얻어지는 분비물은 아래쪽으로 유도되어서, 지렁이사육상의 바닥에 주행하도록 된 토양배출대차에 의하여 지렁이 분비물의 분변토를 주기적으로 연속하여 얻을 수 있는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렁이는 환영동물로써 피부를 느낄 수 있는 감각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지렁이는 축축한 땅속에 서식하게 되며 알을 낳아 번식하게 되는데, 특히 지렁이는 낚시의 미끼, 화장품 및 의약품의 원료 등의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또한 지렁이의 분비물은 먹이가 체질되어 토양중의 유기물 등의 성분이 화학변화에 의하여 토양의 개량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토양개량제로 사용되는 등의 여러 부분에서 사용용도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지렁이의 양식을 위하여 여러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통상 일정한 크기의 탱크 등의 스페이스내에 지렁이와 먹이를 투입하고, 지렁이가 서식하기 알맞는 습도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물을 뿌리고 또한 습도의 유지를 위하여 커버를 씌워 두웠다가 먹이 공급, 수분공급 등을 위하여 커버를 벗기고 덮는 일을 일일이 사람의 손에 의하여 행하여야 하는 관계로 면적이 큰 양식장의 경우에는 번잡한 문제가 있다.
상기 번잡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의 개폐를 자동으로 행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이들은 모두 커버를 벗기고 덮는 기술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고, 이에 추가하여 먹이의 투입과 물의 공급을 위한 기술 등이 제안되어 지렁이의 양식에 관하여 편리한 점은 있으나, 지렁이의 분비물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지렁이를 일일이 분비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 관계로 지렁이와 분비물의 분리에 어려움이 많고 더욱이 많은 인원이 투입되어야 하는 등의 경제성에 문제가 있으며, 특히 지렁이와 분비물의 분리시에 지렁이의 알은 분리가 거의 어려워 지렁이의 알까지 분비물에 휩쓸려 분리되는 일이 초래되어 결국 지렁이의 번식이 않되는 사업상의 초유의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지렁이와 분변토의 분리가 어렵다 즉, 기존에는 조명이나 진동을 가해 지렁이를 분리하는 제안이 있지만 그 효과는 적은 편이며, 드럼스크린을 통해 지렁이를 분리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것은 지렁이에게 심한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또한, 지렁이알과 분변토가 함께 배출된다 즉, 지렁이 증식 저해로 주기적인 지렁이 투입이 요구된다.
또한, 하층에서부터 배출해내는 방법이 있으나, 배출이 균일하지 못해 사육상표면(먹이층)에 부분적으로 심한 함몰현상이 발생하여 추후 먹이투입시 고른 먹이층 형성이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예들은 분변토를 사육상으로부터 추출 후, 별도의 건조 공정을 거쳐야 하며, 이 건조공정을 거쳐야 함에 따른 분변토의 생산 원가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지렁이를 배양할 수 있는 일정크기의 지렁이사육상을 구비하고 이 지렁이사육상의 아래쪽에 홴히터 및 에어공급원 연결되어 온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며, 또한 지렁이사육상에 지렁이먹이를 주기적으로 투입하면서 지렁이는 주기적으로 투입하지 않고, 지렁이 알이 부화되는주기에 맞도록 배출주기와 공기공급을 제어하며, 또한 지렁이가 생리학적으로 싫어하는 환경(건조)을 조성함으로써, 인위적으로 지렁이를 지렁이사육상의 상층부로 유도하게 하고, 또한 지렁이의 이동 후 얻어지는 분비물은 자연적으로 아래쪽으로 위치하여, 이 분비물은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어 지렁이의 생성에 아무런 문제없이 자동으로 지렁이의 분비물만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특히 분변토 배출시 배출대차 진행시 배출된 양만큼의 함몰현상이 발생할 경우, 부분적인 함몰없이 균일한 표층을 유지할 수 있는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긴 평편한 바닥을 가지는 바닥평판과; 상기 바닥평판위에 일정틈새를 두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지렁이를 배양할 수 있는 지렁이사육상와; 상기 바닥평판위에 설치되어 상기 지렁이사육상의 틈새사이를 주행하도록 된 토양배출대차와; 상기 토양배출대차에 다수의 버킷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지렁이사육상의 틈새쪽에 적층된 지렁이분비물을 긁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토양배출체인;으로 이루어짐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렁이사육상내의 아래쪽에는, 홴히터 및 에어공급원과 연결되어 에어 또는 온열을 공급하는 에어 또는 온열공급관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또한 상기 토양배출대차는, 구동원인 대차구동모터감속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대차구동체인에 고정되어 상기 지렁이사육상의 틈새의 바닥평판위를 왕복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토양배출대차는, 상기 지렁이사육상의 폭보다 길으며일정 폭을 가지는 상판과 하판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대차구동체인이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렁이사육상의 틈새 양쪽에는, 바닥평판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한 토양밀림방지벽이 형성되어, 상기 토양배출대차가 주행시 출몰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토양배출체인은, 구동원인 토양배출구동모터감속기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토양배출체인휠들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버킷부재들은 기초부가 토양배출체인에 고정되고, 그의 첨단은 분할경사면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의 전체 개념도,
도 2a,b 는 본 발명의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및 측면도,
도 3a,b,c 는 본 발명의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의 토양배출대차가 지렁이사육상내를 주행하여 토양을 배출하는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의 개략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의 토양배출대차 부분의 일부 절결 평면도,
도 8a,b,c 는 본 발명의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의 토양배출대차의 체인부분의 평면과 대차의 측면 및 버킷부재의 정면도,
도 9a,b,c 는 본 발명의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의 토양밀림방지벽의 일부 절결 평면과 측면 및 확대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태낸 것으로,
도 10a,b 는 본 발명의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의 개략 평면 및 정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토양배출대차의 확대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토양배출대차의 확대 측면도,
도 13 는 본 발명의 토양배출대차의 일부 절결 확대 정면도,
도 14a,b 는 본 발명의 토양배출대차의 토양배출체인에 설치되는 버킷부재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의 토양배출대차에 설치되는 임펠러축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분변토 20 : 지렁이
30 : 먹이층 40 : 건조분변토
100 : 바닥평판 200 : 지렁이사육상
210 : 틈새 220 : 에어 또는 온열공급관
221 : 분출구멍 300 : 토양배출대차
310 : 상판 320 : 하판
330 : 대차구동모터감속기 331 : 대차구동체인
332 : 연결축 333 : 체인휠
334 : 체인구동휠 340 : 대차로울러
341 : 레일 335 : 구동휠
336 : 체인 400 : 토양배출체인
410 : 토양배출구동모터감속기 420,430 : 토양배출체인휠
500 : 버킷부재 510,510 : 분할경사면
600 : 토양밀림방지벽 610 : 슬라이드격판
620 : 유동축 630 : 고정브라켓
640 : 고정캡 650 : 비틀림코일스프링
660,670 : 고정끝단 700 : 토양배출컨베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긴 평편한 바닥을 가지는 바닥평판(100)과; 상기 바닥평판(100)의 위에 지렁이사육상(200)와; 이 지렁이사육상(200)내를 주행하는 토양배출대차(300)와; 이 토양배출대차(300)에 구동되도록 하는 토양배출체인(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렁이사육상(200)는 상기 바닥평판(100)위에 일정틈새(210)를 두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지렁이를 배양할 수 있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렁이사육상(200)내의 아래쪽에는, 홴히터(222) 및 에어공급원(223)과 에어 또는 온열메인공급관(224)으로 연결되어 에어 또는 온열을 공급하는 에어 또는 온열공급관(220)이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에어 또는 온열공급관(220)에는 에어 또는 온열이 분출되는 분출구멍(221)이 다수 뚫려 있어서 에어 또는 온열이 지렁이사육상(200)내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이 에어 또는 온열의 공급은 지렁이사육상(200)내에 형성된 온도 센서 및 습기센서(도시생략) 등의 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에어 또는 온열의 량과 온도가 제어되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또는 온열공급관(220)에 분출구멍(221)의 형성은 이웃하는 에어 또는 온열공급관(220)들의 분출구멍(221)과 서로 어긋나게 뚫어, 즉 에어 또는 온열공급관(220)에 분출구멍(221)들을 지그재그 형태로 뚫어서 에어 또는 온열이 지렁이사육상(200)내에 골고루 분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지렁이 알이 부화되는 주기에 맞도록 배출주기와 공기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렁이사육상(200)내에는 도 3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분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급수장치(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분변토(10), 지렁이(20) 및 먹이층(30)을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하여 지렁이(20)가 먹이층(30)의 먹이를 먹도록 하며, 지렁이(20)가 먹이층(30)의 먹이를 먹고나면 다시 먹이층(30)을 일정두께로 투입하여 지렁이(20)가 점차 지렁이사육상(200)위쪽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동시에, 지렁이(20)의 장관에 의하여 배출되며, 분비물은 분변토로써 상기 에어 또는 온열공급관(22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기에 의하여 건조되어서 건조분변토(40)를 상기 토양배출대차(30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지렁이는 주기적으로 투입하지 않고, 지렁이 알이 부화되는 주기에 맞도록 배출주기와 공기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지렁이가 생리학적으로 싫어하는 환경(건조), 즉 에어 또는 온열공급관(220)의 건조가열에 의하여 조성함으로써, 인위적으로 지렁이를지렁이사육상(200)의 상층부로 유도하게 된다.
상기 토양배출대차(300)는 상기 바닥평판(100)위에 설치되어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틈새(210)사이를 주행하도록 되어 있고, 이 토양배출대차(300)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원인 대차구동모터감속기(330)에 의하여 구동되는 대차구동체인(331)에 고정되어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틈새(210)의 바닥평판(100)위를 왕복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토양배출대차(300)가 고정되는 상기 대차구동체인(331)은 상기 바닥평판(100)의 양쪽에 설치된 연결축(332),(332)에 고정된 체인휠(333)들에 의하여 왕복주행되며, 또한 토양배출대차(300)는 도 6와 같이 아래에 대차로울러(340)들이 형성되어 바닥평판(100)에 형성된 레일(341)에 안내되어 왕복주행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대차구동모터감속기(330)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쪽의 연결축(332)의 체인휠(333)은 동축으로 설치된 체인구동휠(334)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차구동모터감속기(330)의 구동휠(335)과 체인(336)으로 연결되어 대차구동체인(331)을 구동하게 되며, 또한 대차구동모터감속기(330)는 정,역방향으로 구동가능하여 대차구동체인(331)을 정,역방향으로 주행하게 하여서, 결국 대차구동체인(331)들에 고정된 토양배출대차(300)가 바닥평판(100)의 양쪽을 왕복주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토양배출대차(300)가 바닥평판(100)을 왕복주행의 제어는 바닥평판(100)의 양쪽에 형성한 위치센서(도시생략)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되어 주행한다.
그리고, 상기 토양배출대차(3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폭보다 길으며 일정 폭을 가지는 상판(310)과 하판(32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310)과 하판(320)의 사이에 대차구동체인(331)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토양배출체인(400)은, 구동원인 토양배출구동모터감속기(410)와 체인 등의 연결수단(도시생략)에 의하여 연결되어 구동되는 토양배출체인휠(420),(430)에 걸쳐져서 정,역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토양배출체인(400)에는 도 8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버킷부재(500)들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 버킷부재(500)는 그의 기초부가 토양배출체인(400)에 고정되고, 또한 첨단은 분할경사면(510),(510)들로 형성되어 토양배출대차(300)의 건조분변토(40)를 도 2a,b와 같이 지렁이사육상(2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건조분변토(40)는 별도의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토양배출컨베이어(700)에 적재되어 포장 등의 후처리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양배출대차(300)의 버킷부재(500)들은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틈새(210)쪽에 적층된 지렁이분비물을 긁어 도 3a,b,c와 같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틈새(210) 양쪽에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평판(100)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한 토양밀림방지벽(600)이 형성되어, 상기 토양배출대차(300)가 주행시 출몰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토양밀림방지벽(600)은 토양배출대차(300)가 주행하지 않는 평상시 지렁이사육상(200)내의 건조분변토(40)가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9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양밀림방지벽(600)은 다수의 슬라이드격판(610)들이 이웃하여 접촉되도록 되어 있고, 슬라이드격판(610)의 기초부는 유동축(6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동축(620)은 도 9c와 같이 고정브라켓(630)에 형성된 고정캡(640)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캡(640)의 바깥둘레에 감겨진 비틀림코일스프링(650)의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격판(610)의 고정끝단(660)에 걸림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고정브라켓(630)의 고정끝단(670)에 고정되어, 결국 슬라이드격판(610)이 탄성력있게 세워져 설치되었다가 앞서 설명한 토양배출대차(300)가 주행하게 되면 슬라이드격판(610)들이 탄성력있게 뉘어져 토양배출대차(300)의 주행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토양배출대차(300)가 주행하고 나면, 슬라이드격판(610)은 바로 원래의 상태로 세워져 지렁이사육상(200)의 틈새(210)를 없애 토양밀림방지벽(600)을 형성하게 되어 지렁이사육상(200)내의 건조분변토(40)가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양 끝단의 토양밀림방지벽(600)(도시생략)에 지렁이사육상(200)의 양쪽의 틈새를 커버하여 건조분변토(40)가 양 끝단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0a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특히 토양배출대차(300)에 설치되는 토양배출체인(400)의 다른 구동예를 나타낸다.
토양배출대차(300)에 토양배출체인(400)이 앞서 설명한 예에서는 토양배출체인휠(420),(430)들이 대차에 축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동되도록 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양배출체인휠(420),(430)들이 그의 축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상세한 예들은 도 11, 12 및 도 1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토양배출대차(300)의 양단에 토양배출체인휠(420),(430)들이 설치되어 잇으며, 상기 토양배출체인휠(420)은 도 11 과 같이 양쪽에 가이드휠(440),(440)이 장착된 체인축(450)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토양배출체인휠(430)은 토양배출구동모터감속기(410)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구동스프로켓(470)의 체인축(460)에 고정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토양배출체인휠(420),(430)에 안내되어 구동되는 토양배출체인(400)이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토양배출체인(400)에는 도 14a,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버킷부재(500)가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 버킷부재(500)는 상기 토양배출체인(400)에 고정되는 체인고정편(521)들이 형성된 대략 단면이 "??"자형상인 고정브라켓(520)의 양쪽에 긁음브라켓(530)들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긁음브라켓(530)들에는 MC재질의 소음방지편(531)들이 고정되어 지렁이사육상(200)의 바닥평판(100)을 긁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렁이사육상(200)내의 건조분변토(40)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도 13과 같이 토양배출구(230)로 배출시키어 포장공정과 연결된 토양배출컨베이어(700)로 추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토양배출대차(300)의 양쪽에는 도 10a,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펠러축(800),(800)이 각각의 임펠러구동모터(820)와 감속기 등의 구동수단(도시생략)과 임펠러구동제인휠(830),(830)들이 각각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축(800)에는 도 15와 같이 다수의 임펠러(810)가 등간격으로 지그재그형태로 고정되어 있다.
즉, 도 10a에서 토양배출대차(300)가 도면의 왼쪽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왼쪽의 임펠러구동모터(820)가 구동하여 임펠러축(800)을 도 1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어 토양배출대차(300)의 건조분변토(40)를 상기 토양배출체인휠(400)의 버킷부재(500)로 이동시키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도 10a에서 토양배출대차(300)가 도면의 오른쪽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오른쪽의 임펠러구동모터(820)가 구동하여 임펠러축(800)을 도 1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어 토양배출대차(300)의 건조분변토(40)를 상기 토양배출체인휠(400)의 버킷부재(500)로 역시 이동시키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서는 토양배출대차(300)의 전,후방향으로 임펠러축(800),(800)들이 구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토양배출대차(300)의 하판을 생략하고 상판(310)에 토양배출체인휠(420),(430)이 도 12와 같이 유지브라켓(540)에 의하여, 또한 임펠러축(800),(800)들은 도 11과 같이 임펠러축받이(840),(840)들에 의하여 구동되게 설치하여, 지렁이사육상(200)내의 건조분변토(40)를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지렁이사육상(200)의 건조분변토(40)의 배출시 토양배출대차(300) 진행시의 배출된 양만큼의 함몰현상이 발생할 경우, 부분적인 함몰없이 균일한 표층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렁이사육상(200)에 급수(분무)자동공급장치(도시생략)에 의하여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먹이자동투입기(도시생략)에 의하여 지렁이사육상(200)에 투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사용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다량의 분변토를 양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지렁이를 배양할 수 있는 일정크기의 지렁이사육상을 구비하고 이 지렁이사육상의 아래쪽에 홴히터 및 에어공급원 연결되어 온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며, 또한 지렁이사육상에 지렁이먹이를 주기적으로 투입하면서 지렁이는 주기적으로 투입하지 않고, 지렁이 알이 부화되는 주기에 맞도록 배출주기와 공기공급을 제어하며, 또한 지렁이가 생리학적으로 싫어하는 환경(건조)을 조성함으로써, 인위적으로 지렁이를 지렁이사육상의 상층부로 유도하게 하고, 또한 지렁이의 이동 후 얻어지는 분비물은 자연적으로 아래쪽으로 위치하여, 이 분비물은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어 지렁이의 생성에 아무런 문제없이 자동으로 지렁이의 분비물만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특히 분변토 배출시 배출대차 진행시 배출된 양만큼의 함몰현상이 발생할 경우, 부분적인 함몰없이 균일한 표층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7)

  1. 길이방향으로 긴 평편한 바닥을 가지는 바닥평판(100)과; 상기 바닥평판(100)위에 일정틈새(210)를 두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지렁이를 배양할 수 있는 지렁이사육상(200)와; 상기 바닥평판(100)위에 설치되어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틈새(210)사이를 주행하도록 된 토양배출대차(300)와; 상기 토양배출대차(300)에 다수의 버킷부재(500)가 형성되어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틈새(210)쪽에 적층된 지렁이분비물을 긁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토양배출체인(40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사육상(200)내의 아래쪽에는, 홴히터 및 에어공급원과 연결되어 에어 또는 온열을 공급하는 에어 또는 온열공급관(220)이 등간격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배출대차(300)는, 구동원인 대차구동모터감속기(330)에 의하여 구동되는 대차구동체인(331)에 고정되어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틈새(210)의 바닥평판(100)위를 왕복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배출대차(300)는,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폭보다 길으며 일정 폭을 가지는 상판(310)과 하판(32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310)과 하판(320)의 사이에 대차구동체인(331)이 구동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틈새(210) 양쪽에는, 바닥평판(100)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한 토양밀림방지벽(600)이 형성되어, 상기 토양배출대차(300)가 주행시 출몰가능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배출체인(400)은, 구동원인 토양배출구동모터감속기(41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토양배출체인휠(420),(430)들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버킷부재(500)들은 기초부가 토양배출체인(400)에 고정되고, 그의 첨단은 분할경사면(510),(510)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7. 길이방향으로 긴 평편한 바닥을 가지는 바닥평판(100)과; 상기 바닥평판(100)위에 일정틈새(210)를 두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지렁이를 배양할 수 있는 지렁이사육상(200)와; 상기 바닥평판(100)위에 설치되어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틈새(210)사이를 주행하도록 된 토양배출대차(300)와; 상기토양배출대차(300)에 다수의 버킷부재(500)가 형성되어 상기 지렁이사육상(200)의 틈새(210)쪽에 적층된 지렁이분비물을 긁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토양배출체인(400);으로 이루어진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양배출대차(300)내에 토양배출체인휠(420),(430)의 축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토양배출체인휠(420),(430)에 안내되어 구동되는 토양배출체인(400)의 양쪽으로 버킷부재(500)가 등간격으로 고정되도록 되고, 상기 토양배출대차(300)의 주행방향의 전, 후방에 임펠러(810)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임펠러축(800),(800)이 회전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KR10-2002-0009305A 2002-02-21 2002-02-21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KR100432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305A KR100432067B1 (ko) 2002-02-21 2002-02-21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305A KR100432067B1 (ko) 2002-02-21 2002-02-21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563A KR20030043563A (ko) 2003-06-02
KR100432067B1 true KR100432067B1 (ko) 2004-05-20

Family

ID=2957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305A KR100432067B1 (ko) 2002-02-21 2002-02-21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0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4333A (zh) * 2017-12-19 2018-06-01 奥为(天津)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集约型蚯蚓养殖装置
KR20180078490A (ko) * 2016-12-30 2018-07-10 최영범 유충 및 분변토 분리장치
KR20180078491A (ko) * 2016-12-30 2018-07-10 최영범 유충 및 분변토 분리장치
KR20200072763A (ko) * 2018-12-13 2020-06-23 오영준 곤충 사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777A (ko) * 2002-07-15 2004-01-24 임상근 분변토 생산을 위한 지렁이 사육장치
CN112919939A (zh) * 2021-04-06 2021-06-08 湖南省农业环境生态研究所 一种蚯蚓堆肥生产设备及生产方法
KR102389087B1 (ko) * 2021-08-13 2022-04-25 농업회사법인 비에스에프팜 주식회사 산란목 및 산란유도배지상자의 자동 공급 및 수거가 가능한 동애등에 산란장치
CN116548394B (zh) * 2023-06-13 2024-05-03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研究土壤中污染物对蚯蚓毒性试验用幼蚓分离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096A (ko) * 1998-07-22 1998-10-26 정태화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한 유기성슬러지 처리장치
KR19980082831A (ko) * 1997-05-09 1998-12-05 이해극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지렁이 양식 및 분변토 수거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09963A (ko) * 1999-07-14 2001-02-05 이영근 연속식 지렁이 사육상
KR200233644Y1 (ko) * 2001-03-06 2001-09-26 서동선 지렁이 사육상
KR200251419Y1 (ko) * 2001-07-16 2001-11-17 문영근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030032249A (ko) * 2001-10-17 2003-04-26 배윤환 잉여 분변토 분리 및 배출을 위한 지렁이 사육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831A (ko) * 1997-05-09 1998-12-05 이해극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지렁이 양식 및 분변토 수거 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72096A (ko) * 1998-07-22 1998-10-26 정태화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한 유기성슬러지 처리장치
KR20010009963A (ko) * 1999-07-14 2001-02-05 이영근 연속식 지렁이 사육상
KR200233644Y1 (ko) * 2001-03-06 2001-09-26 서동선 지렁이 사육상
KR200251419Y1 (ko) * 2001-07-16 2001-11-17 문영근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030032249A (ko) * 2001-10-17 2003-04-26 배윤환 잉여 분변토 분리 및 배출을 위한 지렁이 사육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490A (ko) * 2016-12-30 2018-07-10 최영범 유충 및 분변토 분리장치
KR20180078491A (ko) * 2016-12-30 2018-07-10 최영범 유충 및 분변토 분리장치
KR101963943B1 (ko) 2016-12-30 2019-03-29 최영범 유충 및 분변토 분리장치
KR101975500B1 (ko) 2016-12-30 2019-09-10 최영범 유충 및 분변토 분리장치
CN108094333A (zh) * 2017-12-19 2018-06-01 奥为(天津)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集约型蚯蚓养殖装置
KR20200072763A (ko) * 2018-12-13 2020-06-23 오영준 곤충 사육장치
KR102190037B1 (ko) 2018-12-13 2020-12-11 오영준 곤충 사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563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7904B2 (en) Egg harvester
JPH0634662B2 (ja) 家禽飼育用の飼育舎
JP7301261B2 (ja) 養鶏用コンテナケージ,養鶏システム及び養鶏方法
US5174242A (en) Facility for raising chickens
KR100432067B1 (ko)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US4321887A (en) High-density poultry cage system and manure handling method
US3941091A (en) Egg layer system
US44958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ring aquatic animals
US3119373A (en) Animal stall cleansing arrangements
US4474137A (en) Broiler rearing unit
RU2182421C2 (ru) Бокс для разведения животных
CN111919785A (zh) 一种新型鸡舍
KR100786770B1 (ko) 고상식 축사
KR102462629B1 (ko)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US3662714A (en) Structure for housing animals
US5562067A (en) Egg harvester
US4213422A (en) Grated floor conveyor for poultry enclosure
CN215648873U (zh) 一种黑水虻自动化养殖仓
CN212813560U (zh) 一种新型鸡舍
EP0965266B1 (en) Device for keeping poultry
CN211631430U (zh) 一种能均匀布料的黑水虻饲养系统
RU22927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личинок синантропных мух
CN209950113U (zh) 新型无剩料封闭式养殖用喂料装置
AU2002254804B2 (en) Egg harvester
US4715323A (en) Apparatus for supplying food to a plurality of c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