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025B1 - 탑승카 하부에 세균, 박테리아,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클리닝 모듈을 장착한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탑승카 하부에 세균, 박테리아,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클리닝 모듈을 장착한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025B1
KR102190025B1 KR1020200089607A KR20200089607A KR102190025B1 KR 102190025 B1 KR102190025 B1 KR 102190025B1 KR 1020200089607 A KR1020200089607 A KR 1020200089607A KR 20200089607 A KR20200089607 A KR 20200089607A KR 102190025 B1 KR102190025 B1 KR 102190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car
air
clean
cleaning module
passe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00089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Ventil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3/166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5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combined with a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카 하부에 세균, 박테리아,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클리닝 모듈을 장착한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신규 엘리베이터는 물론이고 기존에 설치되어 운행중인 엘리베이터에도 클리닝 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측에 운전반이 구비되어 일정한 탑승 공간을 형성하는 탑승카(10)와; 청정 공기를 상기 탑승카(10)의 내부로 공급하는 클리닝 장치와; 상기 탑승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공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클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모터(94)와, 진공펌프(95)와, 복수의 필터부재 및 멸균장치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 클리닝 모듈(90)로서, 탑승카의 하부공간부(30)에 장착되고, 상기 탑승카(10)의 측면 패널에 탑승카(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91a)가 설치되며, 상기 흡기구(91a)는, 휨 변형이 자유로운 흡기 플렉시블관(91)에 의해 상기 클리닝 모듈(90)의 진공펌프(95)와 연결되고, 상기 탑승카(10)의 측면 패널의 상부에 급기부(93)가 구비되며, 상기 급기구(93)는, 휨 변형이 자유로운 급기 플렉시블관(92)에 의해 탑승카 하부의 클리닝 모듈(90)과 연결되어, 탑승카(10)의 측면 상부에서 청정공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탑승카 하부에 세균, 박테리아,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클리닝 모듈을 장착한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CLEAN ELEVATOR FOR PASSENGER, PASSENGER AND FREIGHT, AND HOSPITAL USAGE HAVING CLEANING MODULE INSTALLED BOTTOM OF CAR FOR CLEANING VIRUS, BACTERIA, FINE DUST AND HAZARDOUS GASES}
본 발명은 탑승카 하부에 세균, 박테리아,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클리닝 모듈을 장착한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카 내부에 존재하는 감염성 세균, 박테리아, 미세먼지, 유해가스, 혐오성 냄새 등을 깨끗하고 신속하게 살균, 정화하여 청정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모터, 진공펌프, 각종 필터, 살균장치 등의 클리닝 부품을 하나의 유닛으로 모듈화하여 탑승카의 하부에 장착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되어 운행중인 엘리베이터에도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클리닝 장치의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 등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원하는 층으로 운송시킨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승객이나 화물의 안전한 운송을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어 있으며,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만 탑승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에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탑재하기 위해 탑승카 도어를 열게 되면, 각종 미세먼지나 분진, 매연, 유해가스,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등도 탑승카 내부로 유입된다.
탑승카 도어가 열릴 때 외기와 함께 탑승카 내부로 유입된 유해물질들은, 도어가 닫힌 후에는 밀폐된 탑승카의 특성상 공기의 순환이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승객에게 각종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유해물질들은, 청정한 공기가 요구되는 의료시설, 반도체, 광학기기, 식품 제조시설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탑승카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정화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공기정화장치만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종래의 방식은, 엘리베이터를 통해 유입되는 각종 바이러스, 박테리아, 미세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자는, 도 1 및 2에 도시된 클린 엘리베이터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클린 엘리베이터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측에 운전반(11)이 구비되어 일정한 탑승 공간을 형성하는 탑승카(10)와; 청정 공기를 상기 탑승카(1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탑승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클리닝 장치(20)와; 상기 탑승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탑승카(10)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하는 하부 공간부(30)와; 상기 탑승카(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부 공간부(30)의 공기가 클리닝 장치(20)로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급기 덕트(40)와; 상기 급기 덕트(40)의 공기를 클리닝 장치(20)로 공급하도록 급기 덕트(40)상에 각각 설치되는 석션 팬(50);을 포함하는 클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해충이나 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해충방지 필터시스템과, 미세먼지와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미세먼지 필터시스템과, 세균과 바이러스, 진드기 및 곰팡이를 제거하는 살균 필터시스템으로 이루어진 트리플 클린 시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 공간부(30)와 급기 덕트(40) 및 클리닝 장치(20)를 유동하는 공기를 정화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클린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해충, 미세먼지, 세균, 바이러스 등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탑승카의 내부 공기를 청정하고 무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정밀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제조시설, 바이오 및 광학장비 제조시설, 시험 및 연구시설, 각종 의료시설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런데 도 1 및 2에 도시된 종래의 클린 엘리베이터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클리닝 장치(20)가 탑승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청정공기를 공급하는 급기구가 탑승카(10)의 천정에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신규로 제작하는 엘리베이터에는 큰 문제없이 클리닝 장치(20)를 탑승카의 상부에 장착할 수 있으나, 기존에 설치되어 운행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에는 클리닝 장치를 탑승카의 상부에 장착하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클린 엘리베이터는, 설치 후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탑승카 상부에 올라가게 될 경우 안전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통상의 엘리베이터 탑승카(10)의 상부에는, 탑승카 도어 개폐장치, 신호 케이블, 정션 박스(Junction Box), 안전난간, 조명장치, 환기장치, 에어컨 등이 설치되어 있어 여유 공간이 아주 협소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탑승카(10)의 상부에 올라가 점검이나 유지보수 작업을 할 때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기위해 이른바 사회적 거리두기의 실천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운행중인 엘리베이터는, 대부분 소형으로서, 탑승객이 탑승카 내부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특히 고층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대부분의 엘리베이터는 다수의 승객이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탑승카 내부에서 승객들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탑승하도록 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로써 밀폐된 탑승카 내부의 밀집된 승객 간에 바이러스가 전파될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클린 엘리베이터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전염성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를 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전염성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클리닝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기존에 설치되어 운행되고 있는 통상의 엘리베이터는 물론, 호흡기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환자가 탑승하는 의료시설, 요양시설 등의 엘리베이터에 바이러스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클리닝 장치를 추가로 장착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한편 아래의 특허문헌 1은, 고청정을 요하는 사업장에서 완성된 물건 및 호텔 조리장에 적용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CAR 상부 및, 좌·우측 벽면에 팬 모터와 필터를 장착하고, 카 바닥을 이중으로 먼지가 융착되지 않은 무정전 타일을 시공하여, 청정도를 종전의 방식보다도 더욱더 향상시키며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청정도가 우수한 클린룸 엘리베이터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는,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전면도어, 이 전면도어와 대향되게 설치된 후면판,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된 좌측 및 우측판, 상부에 설치되는 천정판 및 하부에 설치되는 발판을 포함하며,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내부본체; 좌측 및 우측판으로부터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어 좌측 및 우측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좌측 및 우측 공기유로형성판; 천정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좌측 및 우측 공기유로와 내부본체에 형성된 내측공간의 상부를 연통하는 상부공간을 형성한 상판; 하부에서 발판을 이격 지지하며, 좌측 및 우측 공기유로와 내부본체에 형성된 내측공간의 하부를 연통하는 하부공간을 형성한 바닥판; 하부공간과 좌측 및 우측 공기유로의 연통로 상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좌측 및 우측 제1필터; 상부공간에 설치되며, 좌측 및 우측 공기유로와 내측공간의 연통로 상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좌측 및 우측 제2필터; 및 상부공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유입되는 공기가 순차적으로 내측공간, 하부공간, 좌측 및 우측 공기유로, 상부공간을 강제 순환하도록 하는 좌측 및 우측 블로어를 구비하며, 공기의 순환유로를 좌, 우측에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다량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으며, 제1및 제2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집진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클린룸 엘리베이터를 개시하고 있다.
KR 20-0437981 Y1 KR 10-2013-0002623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규로 제작하는 엘리베이터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되어 운행중인 엘리베이터에도 클리닝 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운행중인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클리닝 장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폐된 탑승카 내부의 공기 오염을 최소화하고, 탑승카 내부에서의 바이러스의 확산을 최대한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카에 탑승한 승객을 각종 감염원으로부터 보호하여 건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리닝 장치의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리닝 장치의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측에 운전반이 구비되어 일정한 탑승 공간을 형성하는 탑승카와; 청정 공기를 상기 탑승카의 내부로 공급하는 클리닝 장치와; 상기 탑승카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클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모터와, 진공펌프와, 복수의 필터부재 및 멸균장치가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된 클리닝 모듈로서, 탑승카의 하부 공간부에 장착되고, 상기 탑승카의 측면 패널에 탑승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흡기구는, 휨 변형이 자유로운 흡기 플렉시블관에 의해 상기 클리닝 모듈의 진공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탑승카의 측면 패널에 급기구가 구비되며, 상기 급기구는, 휨 변형이 자유로운 급기 플렉시블관에 의해 탑승카 하부의 클리닝 모듈과 연결되어 청정공기를 탑승카의 상부 측면에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공간부의 상부 양쪽에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어, 상기 클리닝 모듈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기구는, 탑승카의 측면 패널의 하부 양쪽 및 후면 패널의 하부에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급기구는, 탑승카의 측면 패널의 상부 양쪽 및 후면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 모듈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는, 미세먼지 차단에 사용되는 고성능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 모듈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는, 은 나노(Nano) 탈취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 모듈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는, 활성탄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 모듈에 멸균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멸균장치는, 플라즈마 음이온 멸균장치와, 자외선·적외선 멸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카 도어의 양 측면 및 상부 테두리부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트 분사장치를 더 구비하여, 도어의 개폐시 출입구에 에어 세이프 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트 분사장치는, 상기 클리닝 모듈에 구비되는 급기 펌프와, 상기 급기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급기 펌프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분사 배관과, 도어의 양 측면 및 상부 테두리부에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분사 슬릿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기펌프는 연결배관에 의해 급기 플렉시블관과 연결되어, 상기 클리닝 모듈을 통과한 청정공기를 도어의 도어의 양 측면 및 상부 테두리부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카 도어의 상부 및 양측 가장자리부에 씰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카 도어의 하부 중앙에 밀폐판이 수평으로 구비되고, 상기 밀폐판의 전방 및 후방과 도어 씰 사이에 씰링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는 중공 원통 형태의 우레탄 또는 카본 슬라이딩 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클리닝 장치를 하나의 유닛으로 모듈화하여 탑승카의 하부 공간부에 장착함으로써, 신규 엘리베이터는 물론이고 기존에 설치되어 운행중인 엘리베이터에도 클리닝 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듈화된 클리닝 장치를 탑승카의 하부 공간부에 설치함으로써, 기존에 운행중인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클리닝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리닝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리닝 모듈을 슬라이딩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클리닝 모듈의 설치가 간편해지고, 클리닝 장치의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리닝 모듈의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기관 및 급기관을 휨 변형이 자유로운 플렉시블관으로 구성함으로써, 흡기관 및 급기관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기관을 탑승카의 하부 측면에 형성하고 급기관을 상부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탑승카 측면과 승강로 벽체 사이의 공간을 활용하여 기존의 엘리베이터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기관을 탑승카의 천정에 설치하지 않고 상부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배관길이를 단축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급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밀폐된 탑승카 내부의 공기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탑승카 내부에서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의 감염 확산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균, 박테리아, 미세먼지, 악취, 해충, 유해물질 등을 제거함으로써, 탑승카에 탑승한 승객을 감염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정밀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제조시설, 의학 연구소, 제약회사, 병원, 식품 제조시설, 요양시설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트 분사 시스템에 의해 탑승카의 출입구에 에어 세이프 존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오염물질이 탑승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탑승객 또는 화물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클린 엘리베이터의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클린 엘리베이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트 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도어 씰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씰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엘리베이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측에 운전반이 구비되어 일정한 탑승 공간을 형성하는 탑승카(10)와; 청정 공기를 상기 탑승카(10)의 내부로 공급하는 클리닝 장치와; 상기 탑승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공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모터(94)와, 진공 펌프(95)와, 복수의 필터부재 및 멸균장치가 하나의 유닛으로 제조된 클리닝 모듈(90)로 구성되어, 탑승카의 하부 공간부(3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진공 펌프(95) 대신에 석션 팬(Suction Fan)이 장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모듈은, 탑승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종래의 클린 엘리베이터와 달리, 탑승카(10)의 하부 공간부(30)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탑승카(10)의 측면 패널에 탑승카(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91a)가 설치되고, 상기 흡기구(91a)는, 휨 변형이 자유로운 흡기 플렉시블관(91)에 의해 상기 클리닝 모듈(90)의 진공펌프(95)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탑승카(10)의 측면 패널에 급기구(93)가 구비되며, 상기 급기구(93)는, 휨 변형이 자유로운 급기 플렉시블관(92)에 의해 탑승카 하부의 클리닝 모듈(90)과 연결되어 청정공기를 탑승카(10)의 측면 상부에서 내부로 공급한다.
즉 본 발명은 탑승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관 및 청정공기를 공급하는 급기관을 휨 변형이 자유로운 고순도·고성능의 플렉시블(Flexible)관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흡기구(91a) 및 배기구(93)를 모두 탑승카(10)의 측면에 설치한다.
이에 따라,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모듈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즉 탑승카(10)의 측면과 승강로 벽체(도시 생략)의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흡기관 및 급기관을 쉽게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공간부(30)의 상부 양쪽에 가이드 레일(90a)이 구비되고, 클리닝 모듈(90)의 상부가 양쪽이 상기 가이드 레일(90a)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클리닝 모듈(90)의 장착이 매우 간편해지고,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된 클리닝 모듈(90)을 앞으로 당겨 인출할 수 있으므로, 클리닝 모듈(90)의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를 위해 상기 플렉시블관은, 클리닝 모듈(9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흡기구(91a)는, 탑승카(10)의 측면 패널의 하부 양쪽 및 후면 패널의 하부에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급기구(93)는, 탑승카(10)의 측면 패널의 상부 양쪽 및 후면 패널의 상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클리닝 모듈(90)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는,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고성능 필터(9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클리닝 모듈(90)은, 은 나노(Nano) 탈취필터 및 활성탄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은 나노 필터 및 활성탄 필터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클리닝 모듈(90)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는, 헤파 필터(HEPA Filter) 또는 울파 필터(ULPA Filter)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헤파 필터(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는, 공기 중의 미세한 입자를 제거하는 고성능 필터의 일종으로, 고효율 미립자 공기 필터를 말한다.
상기 헤파 필터는, 주로 유리 섬유를 압축시켜 제작하며, 그물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어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미립자들의 통과를 막는다.
또한 울파 필터(ULPA Filter: Ultra Low Penetration Air Filter)는, 100nm 크기의 초미세 입자를 99.999% 이상 여과할 수 있는 고효율 필터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클리닝 모듈(90)에 멸균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멸균장치는, 플라즈마 음이온 멸균장치(97)와, 자외선·적외선 멸균장치(9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카 도어(10a)의 양 측면 및 상부 테두리부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트 분사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트 분사장치는, 도어의 개방시 외부 출입구에서 오염된 공기가 탑승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클리닝 모듈(90)에 구비되는 급기 펌프(100)와, 상기 급기 펌프(10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도시 생략)와, 상기 급기 펌프(100)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분사배관(100a)과, 도어의 양 측면 및 상부 테두리부에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 분사슬릿(10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급기펌프(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배관(100c)에 의해 급기 플렉시블관(92)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도어의 양 측면 및 상부 테두리부에 클리닝 모듈(90)을 통과한 정공기를 분사하여, 유해가스 및 각종 유해물질이 탑승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 도어(10a)의 상부 및 양측 가장자리에 씰링부재(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카 도어(10a)의 하부 중앙에는 밀폐판(10c)이 수평으로 구비되고, 상기 밀폐판(10c)의 전방 및 후방과 도어 씰(10b) 사이에는 씰링부재(70)가 각각 될 수 있다.
상기 씰링부재(70)는, 중공 원통 형태의 우레탄(Urethane) 또는 카본 슬라이딩 씰(Carbon Sliding Se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씰링부재(70)에 의해 도어의 4면을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엘리베이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승객이 탑승하는 승객용 엘리베이터를 예로서 설명한다.
승객이 승강장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탑승카(10)의 도어가 열리면, 제트 분사 시스템이 작동되어 도어의 입구에 에어 세이프 존을 형성한다.
즉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급기 펌프(100)가 작동되어 클리닝 모듈(90)을 통과한 청정공기를 공기분사 배관(100a)으로 공급한다.
상기 공기분사 배관(100a)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출입구의 좌우 및 상부 3면에 구비되어 있는 공기분사 슬롯(100b)을 통해 분사된다.
이에 따라 유해물질이 탑승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탑승객의 옷에 부착되어 있던 각종 유해물질이 탑승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어서 승객이 탑승카(10) 내부로 진입하면, 탑승카(10)의 하부 공간부(30)에 구비된 클리닝 모듈(90)이 작동하게 된다.
즉 클리닝 모듈(90)에 구비된 진공펌프(95)가 작동되어, 탑승카(10) 내부의 공기가 탑승카(10)의 하부 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흡기구(91a) 및 흡기 플렉시블관(91)을 통해 클리닝 모듈(90)로 공급된다.
클리닝 모듈(90)로 공급된 공기는, 고성능 필터(96), 플라즈마 음이온 멸균장치(97), 자외선·적외선 멸균장치(98), 은나노 항균 탈취필터(99)를 통과하면서 정화, 살균되고, 급기 플렉시블관(92)를 통해 상부로 이동된 후 탑승카(10)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급기부(93)를 통해 탑승카(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종래의 클린 엘리베이터는, 대부분 공기정화기능만을 구비하고 있을 뿐,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전염성 바이러스에 대해 고려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밀폐된 탑승카 내부에 다수의 승객들이 밀집하여 탑승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감안할 때, 탑승카 내부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공기 클리닝 장치를 하나의 유닛으로 모듈화하여 탑승카 하부의 빈 공간에 장착하는 방식이므로, 기존에 설치되어 운행중인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클리닝 모듈을 장착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운행중인 엘리베이터에도 클리닝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최근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을 야기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성 바이러스 및 세균의 확산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흡기관 및 배기관을 휨 변형이 자유롭고 고순도·고성능의 플렉시블관으로 구성함으로써, 흡기관 및 배기관의 설치가 아주 간편해진다.
또한 흡기구(91a) 및 배기구(93)를 모두 탑승카(10)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탑승카(10) 측면과 승강로 벽체의 공간을 활용하여, 흡기관과 배기관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이로써 신규로 제작하는 엘리베이터 뿐만 아니라, 기존에 운행되고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모듈(90)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클리닝 모듈(90)이 탑승카(10) 하부공간부(30)서 가이드 레일(90a)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므로, 클리닝 모듈(90)의 설치,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아주 간편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탑승카 10a: 출입구 도어
10b: 도어 씰(Door Seal) 10c: 밀폐판
11: 운전반 14: 발판
20: 클리닝 장치 30: 하부 공간부
40: 급기 덕트(Duct) 50: 석션 팬(Suction Fan)
61: 흡기 필터(Filter) 62: 급기 필터
63: 자외선 램프(Lamp) 70; 씰링부재
90: 클리닝 모듈(Cleaning Module)
90a: 가이드 레일(Guide Rail) 91: 흡기 플렉시블(Flexible)관
91a: 흡기구 92: 급기 플렉시블(Flexible)관
93: 급기구 94: 모터(Motor)
95: 진공 펌프(Pump) 96: 고성능 필터
97: 플라즈마(Plasma) 음이온 멸균장치
98: 자외선·적외선 멸균장치 99: 은나노 항균 탈취 필터
100: 급기 펌프 100a: 공기분사 배관
100b: 공기분사 슬롯(Slot) 100c: 연결배관

Claims (15)

  1.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측에 운전반이 구비되어 일정한 탑승 공간을 형성하는 탑승카(10)와; 청정 공기를 상기 탑승카(10)의 내부로 공급하는 클리닝 장치와; 상기 탑승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공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클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모터(94)와, 진공펌프(95)와, 복수의 필터부재 및 멸균장치가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된 클리닝 모듈(90)로서, 탑승카의 하부공간부(30)에 장착되고,
    상기 탑승카(10)의 측면 패널에 탑승카(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91a)가 설치되며,
    상기 흡기구(91a)는, 휨 변형이 자유로운 흡기 플렉시블관(91)에 의해 상기 클리닝 모듈(90)의 진공펌프(95)와 연결되고,
    상기 탑승카(10)의 측면 패널에 급기구(93)가 구비되며,
    상기 급기구(93)는, 휨 변형이 자유로운 급기 플렉시블관(92)에 의해 탑승카 하부의 클리닝 모듈(90)과 연결되어, 탑승카(10)의 측면 상부에서 청정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하부 공간부(30)의 상부 양쪽에 가이드 레일(90a)이 구비되어,
    상기 클리닝 모듈(90)이 상기 가이드 레일(90a)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91a)는, 탑승카(10)의 측면 패널의 하부 양쪽 및 후면 패널의 하부에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급기구(93)는, 탑승카(10)의 측면 패널의 상부 양쪽 및 후면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모듈(90)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는, 미세먼지 차단에 사용되는 고성능 필터(9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모듈(90)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는, 은 나노(Nano) 항균 탈취필터(9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모듈(90)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는, 활성탄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모듈(90)에 멸균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장치는, 플라즈마 음이온 멸균장치(97)와, 자외선·적외선 멸균장치(9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9. 제 1 항에 있어서,
    탑승카 도어(10a)의 양 측면 및 상부 테두리부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트 분사장치를 더 구비하여, 도어의 개폐시 출입구에 에어 세이프 존(Air Safe Zone)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 분사장치는,
    상기 클리닝 모듈(90)에 구비되는 급기 펌프(100)와, 상기 급기 펌프(10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급기 펌프(100)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분사 배관(100a)와, 도어의 양 측면 및 상부 테두리부 3면에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분사 슬릿(100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펌프(100)는, 연결배관(100c)에 의해 급기 플렉시블관(92)과 연결되어, 도어의 양 측면 및 상부 테두리부 3면에 클리닝 모듈(90)에 의해 정화된 청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탑승카 도어(10a)의 상부 및 양측 가장자리에 씰링부재(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13. 제 10 항에 있어서,
    탑승카 도어(10a)의 하부 중앙에 밀폐판(10c)이 수평으로 구비되고,
    상기 밀폐판(10c)의 전방 및 후방과 도어 씰(10b) 사이에 씰링부재(70)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70)는 중공 원통 형태의 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70)는 카본 슬라이딩 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KR1020200089607A 2020-07-20 2020-07-20 탑승카 하부에 세균, 박테리아,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클리닝 모듈을 장착한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KR102190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607A KR102190025B1 (ko) 2020-07-20 2020-07-20 탑승카 하부에 세균, 박테리아,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클리닝 모듈을 장착한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607A KR102190025B1 (ko) 2020-07-20 2020-07-20 탑승카 하부에 세균, 박테리아,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클리닝 모듈을 장착한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025B1 true KR102190025B1 (ko) 2020-12-14

Family

ID=7378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607A KR102190025B1 (ko) 2020-07-20 2020-07-20 탑승카 하부에 세균, 박테리아,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클리닝 모듈을 장착한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2940A (zh) * 2021-08-11 2021-11-05 金刚 一种电梯轿厢内空气净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1480A (ja) * 1991-05-17 1992-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かご
KR200437981Y1 (ko) 2007-05-16 2008-01-10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청정도가 우수한 클린룸 엘리베이터
KR20130002623A (ko) 2011-06-29 2013-01-08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클린룸 엘리베이터
KR101874042B1 (ko) * 2018-02-27 2018-07-04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클린기능을 구비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1480A (ja) * 1991-05-17 1992-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かご
KR200437981Y1 (ko) 2007-05-16 2008-01-10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청정도가 우수한 클린룸 엘리베이터
KR20130002623A (ko) 2011-06-29 2013-01-08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클린룸 엘리베이터
KR101874042B1 (ko) * 2018-02-27 2018-07-04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클린기능을 구비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2940A (zh) * 2021-08-11 2021-11-05 金刚 一种电梯轿厢内空气净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0478A (en) Self-contained, portable room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e
US7934981B2 (en) Patient isolation module and use thereof
US6062977A (en) Source capture air filtering device
KR20050008724A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258585B1 (ko) 이동식 음압장치
KR20090014596A (ko) 공기정화장치와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및 그 공기정화제어방법
KR102194329B1 (ko)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
KR102190025B1 (ko) 탑승카 하부에 세균, 박테리아,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클리닝 모듈을 장착한 승객용, 인화물용 및 병원용 클린 엘리베이터
CA2556140C (en) Patient isolation module and use thereof
KR20210013198A (ko) 모자식 격리 진료대
KR20170037407A (ko) 지하철 터널 공기정화시스템
KR102322052B1 (ko) 미세먼지 대피겸 저감시스템
JP2022002946A (ja) 空気清浄システム
CN205351520U (zh) 一种用于院感防控的空气净化系统
CN204601229U (zh) 配液间及其自动控制系统
CN212189147U (zh) 整体式全负压实验室
CN104548240B (zh) 静脉注射配液间及其自动控制系统
KR102205455B1 (ko) 흡기구 겸용 핸드레일 및 층표시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517905B1 (ko) 무균동물 사육용 청정 작업대
JPH07241318A (ja) 無菌ブース
WO2022079900A1 (ja) 衝立装置
CN213807365U (zh) 双罩体负压隔离门装置
CN112665088A (zh) 电梯、及电梯过道杀菌系统
CN111762667A (zh) 一种轿厢及电梯
KR20220046222A (ko)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린 룸 및 이를 적용한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