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329B1 -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 - Google Patents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329B1
KR102194329B1 KR1020200062601A KR20200062601A KR102194329B1 KR 102194329 B1 KR102194329 B1 KR 102194329B1 KR 1020200062601 A KR1020200062601 A KR 1020200062601A KR 20200062601 A KR20200062601 A KR 20200062601A KR 102194329 B1 KR102194329 B1 KR 102194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air supply
filter
air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호
Original Assignee
김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호 filed Critical 김병호
Priority to KR102020006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는, 음압 격리 병실을 구축할 건물의 내부에 구획된 공간의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로 연장된 급기덕트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음압 격리 병실 측으로 안내하는 급기 포트; 및 음압 격리 병실을 구축할 건물의 내부에 구획된 공간의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로 연장된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음압 격리 병실 내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포트;를 포함하되, 급기 포트는, 급기 팬과, 급기 팬이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 팬 하우징;을 가지는 급기부; 급기 팬 하우징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급기용 필터부; 및 급기덕트에서 급기 팬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균하는 급기용 제균부;를 포함하고, 배기 포트는, 배기 팬과, 배기 팬이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 팬 하우징;을 가지는 배기부; 배기 팬 하우징 측으로 유입되는 음압 격리 병실 내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기용 필터부; 및 배기 팬 하우징에서 배기덕트로 유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균하는 배기용 제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DEVICE FOR FORMING NEGATIVE PRESSUE ISOKATION ROOM}
본 발명(Disclosure)은,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음압 격리 병실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급기 및 배기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음압 격리 병실이란 전염병 확산 방지 등의 이유로 환자를 외부 및 일반 환자들과 분리하여 수용하고 치료함에 있어 병실 내의 기압을 대기압 보다 낮게 유지함으로써 병실 내의 공기 및 비말 중에 포함된 병원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한 시설이다.
일례로, 음압 격리 병실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IHI), 신종인플루엔자, 에볼라 출열혈 등과 같은 신종 감염병의 확산 감염을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통상적인 건물의 내부에 음압 격리 병실은 그 설치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과 같이 감염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경우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한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2175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2452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421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9600호.
본 발명(Disclosure)은, 기존 건물의 내부에 음압 격리 병실을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게 하는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는, 음압 격리 병실을 구축할 건물의 내부에 구획된 공간의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로 연장된 급기덕트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음압 격리 병실 측으로 안내하는 급기 포트; 및 음압 격리 병실을 구축할 건물의 내부에 구획된 공간의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로 연장된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음압 격리 병실 내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포트;를 포함하되, 급기 포트는, 급기 팬과, 급기 팬이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 팬 하우징;을 가지는 급기부; 급기 팬 하우징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급기용 필터부; 및 급기덕트에서 급기 팬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균하는 급기용 제균부;를 포함하고, 배기 포트는, 배기 팬과, 배기 팬이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 팬 하우징;을 가지는 배기부; 배기 팬 하우징 측으로 유입되는 음압 격리 병실 내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기용 필터부; 및 배기 팬 하우징에서 배기덕트로 유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균하는 배기용 제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서, 급기 팬 하우징은 급기 팬을 내장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되, 급기 팬 하우징의 일측에는 급기덕트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용 유입구가 형성되고, 급기 팬 하우징의 하부에는 급기용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급기용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서, 급기용 필터부는, 급기용 필터 케이스; 및 급기용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기용 필터 모듈;을 포함하되, 급기용 필터 케이스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되, 개방된 상부 측은 급기용 유출구와 연결되게 급기 팬 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급기용 필터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 측은 천장 마감재에 설치되는 디퓨저와 연결되며, 급기용 필터 모듈은, 상부에서부터 하부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는 프리 필터로 된 급기용 1차 필터와, 미디움 필터로된 급기용 2차 필터 및 헤파필터로 된 급기용 3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서, 급기용 제균부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 및 자외선 램프가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용 제균 케이스;를 포함하되, 급기용 제균 케이스는,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는 빈 수평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며, 일단은 급기용 유입구와 연결되게 급기 팬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급기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서, 배기 팬 하우징은 배기 팬을 내장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되, 배기 팬 하우징의 하부에는 음압 격리 병실 내 공기가 유입되는 배기용 유입구가 형성되고, 배기 팬 하우징의 일측에는 배기용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배기용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서, 배기용 필터부는, 배기용 필터 케이스; 및 배기용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기용 필터 모듈;을 포함하되, 배기용 필터 케이스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되, 개방된 상부 측은 배기용 유입구와 연결되게 배기 팬 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배기용 필터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 측은 천장 마감재에 설치되는 또 다른 디퓨저와 연결되며, 배기용 필터 모듈은, 하부에서부터 상부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는 프리 필터로 된 배기용 1차 필터와, 미디움 필터로 된 배기용 2차 필터 및 헤파필터로 된 배기용 3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서, 배기용 제균부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 및 자외선 램프가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용 제균 케이스;를 포함하되, 배기용 제균 케이스는,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는 빈 수평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며, 일단은 배기용 유출구와 연결되게 배기 팬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기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서, 배기용 제균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배기되는 공기가 볼텍스를 플로우를 형성하며 신속하게 배기될 수 있도록 나선형 홈 또는 나선형 돌기가 제균 케이스의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는, 음압 격리 병실을 구축할 건물의 내부에 구획된 공간의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로 연장된 급기덕트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음압 격리 병실 측으로 안내하는 급기 포트; 및 음압 격리 병실을 구축할 건물의 내부에 구획된 공간의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로 연장된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음압 격리 병실 내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포트;를 포함하되, 급기 포트는, 급기덕트 내부로 안내되는 공기를 음압 격리 병실 측으로 송풍하는 급기 팬; 급기 팬에 의해 음압 격리 병실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균하는 급기용 자외선 램프; 급기용 자외선 램프를 거쳐 음압 격리 병실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급기용 필터 모듈; 및 급기 팬, 급기용 자외선 램프, 급기용 필터 모듈을 내부에 한정하는 급기용 하우징;을 포함하고, 배기 포트는, 음압 격리 병실 내부 공기를 배기덕트 측으로 배기하는 배기 팬; 배기 팬에 의해 배기덕트 측으로 배기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균하는 배기용 자외선 램프; 배기용 자외선 램프를 거쳐 상기 배기덕트 측으로 배치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기용 필터 모듈; 및 배기 팬, 배기용 자외선 램프, 배기용 필터 모듈을 내부에 한정하는 배기용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서, 급기용 하우징은 급기 팬, 급기용 자외선 램프 및 급기용 필터모듈을 내장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되, 급기용 하우징의 일측에는 급기덕트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용 유입구가 급기덕트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급기용 하우징의 하부에는 급기용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급기용 유출구가 천장 마감재에 설치된 디퓨저와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서, 급기 팬, 급기용 자외선 램프 및 급기용 필터 모듈은 급기용 유입구측에서부터 급기용 유출구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되, 급기용 필터 모듈은, 상부에서부터 하부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는 프리 필터로 된 급기용 1차 필터와, 미디움 필터로 된 급기용 2차 필터 및 헤파필터로 된 급기용 3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서, 배기용 하우징은 배기 팬, 배기용 자외선 램프 및 배기용 필터 모듈을 내장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되, 배기용 하우징의 하부에는 음압 격리 병실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배기용 유입구가 천장 마감재에 설치된 또 다른 디퓨저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배기용 하우징의 일측에는 배기용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배기용 유출구가 배기덕트와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서, 배기 팬, 배기용 자외선 램프 및 배기용 필터모듈은 배기 배기용 유입구측에서부터 배기용 유출구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되, 배기용 필터 모듈은, 하부에서부터 상부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는 프리 필터로 된 배기용 1차 필터와, 미디움 필터로 된 배기용 2차 필터 및 헤파필터로 된 배기용 3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압 격리 병실을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염 확진자 및 감염 의심자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격리 치료 및 관찰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급기 포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기 포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급기 포트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기 포트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압 격리 병실 구축용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식 구축장치는 음압 격리 병실(R)을 구축할 건물의 내부에 구획된 공간의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S)와,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S)와 이격 설치되는 천장 마감재(M) 사이에 설치되는 급기 포트(100) 및 배기 포트(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급기 포트(100)는 메인급기덕트(도시되지 않음)에서 분기되어 음압 격리 병실(R)을 구축할 구획된 공간으로 연장된 급기덕트(10)와 연결되고, 배기 포트(200)는 메인배기덕트(도시되지 않음)에서 분기되어 음압 격리 병실(R)을 구축할 구획된 공간으로 연장되는 배기덕트(20)와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급기 및 배기 포트(100, 200)와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S) 및 천장 마감재(M)와의 설치 관계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급기 및 배기 포트(100, 200)가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S) 및 천장 마감재(M) 사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급기 및 배기 포트(100, 200) 작동 시 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면 급기 및 배기 포트(100, 200)와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S) 및 천장 마감재(M)는 어떠한 설치 관계를 가지더라도 무방한다.
한편, 구축할 음압 격리 병실(R)이 1~2인실인 경우 급기 포트(100)와 배기 포트(200)는 각각 하나씩 설치되며, 구축할 음압 격리 병실(R)이 3~4인실인 경우 2개의 급기 포트(100)와 4개의 배기 포트(200)가 설치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 및 도 3은 급기 포트 및 배기 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급기 포트(100)는 급기덕트(10)로 안내되는 공기를 음압 격리 병실(R) 측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급기 포트(100)는 급기부(110), 급기용 필터부(120) 및 급기용 제균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급기부(110)는 급기 팬(118)과, 급기 팬(118)이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 팬 하우징(112)을 포함한다.
급기 팬 하우징(112)은 급기 팬(118)을 내장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되, 일측에는 급기덕트(1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용 유입구(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급기 팬 하우징(112)의 하부에는 급기 팬(118)의 작동에 의해 급기용 유입구(114)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급기용 유출구(116)가 형성된다.
즉, 급기 팬(118) 작동 시 급기 팬 하우징(112)의 내부로 급기용 유입구(11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된 후 급기용 유출구(116)를 통해 유출된다.
여기서, 급기 팬 하우징(1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S)에 설치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급기 팬 하우징(112)과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S)는 어떠한 설치 관계를 가지더라도 무방한다.
한편, 급기용 필터부(120)는 급기 팬 하우징(112)의 급기용 유출구(116)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한다.
급기용 필터부(120)는 급기용 필터 케이스(122)와, 급기용 필터 케이스(122)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용 필터 모듈(124)을 포함한다.
급기용 필터 케이스(122)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며, 급기용 필터 케이스(122)의 개방된 상부 측은 급기용 유출구(116)가 형성된 급기 팬 하우징(112)의 하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급기용 필터 케이스(122)의 개방된 하부 측은 천장 마감재(M)에 설치되는 디퓨저(D)와 연결된다.
여기서, 급기용 필터 케이스(122)의 상부 측과 급기 팬 하우징(112)의 연결 관계 및 급기용 필터 케이스(122)의 하부 측과 디퓨저(D)와의 연결 관계는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례로, 급기용 필터 케이스(122)와 급기 팬 하우징(112)은 서로 맞물리는 수나사 및 암나사를 형성시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급기용 필터 케이스(122)의 디퓨저(D)는 나사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급기용 필터 케이스(122)와 급기 팬 하우징(112)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은 급기용 필터모듈(124)의 유지 관리를 위함이다.
급기용 필터모듈(124)은 상부에서부터 하부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는 급기용 1차 필터(126a), 급기용 2차 필터(126b) 및 급기용 3차 필터(126c)를 포함한다.
급기용 1차 필터(126a)는 급기 팬 하우징(112)의 급기용 유출구(116)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큰 먼지, 황사 먼지 및 꽃가루 등을 필터링하고, 급기용 2차 필터(126b)는 급기용 1차 필터(126a)에서 필터링 된 공기 중에서 각종 먼지 등을 필터링하며, 급기용 3차 필터(126c)는 급기용 2차 필터(126b)에서 필터링 된 공기 중에 미세먼지, 곰팡이 및 분진 등을 필터링한다.
이때, 급기용 1차 필터(126a)는 통상의 프리 필터(pre-filter) 일 수 있고, 급기용 2차 필터(126b)는 통상의 미디움 필터(medium filter) 일 수 있으며, 급기용 3차 필터(126c)는 헤파필터(hepa filter) 일 수 있다.
즉, 급기 팬 하우징(112)의 급기용 유출구(116)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는 급기용 1차 필터(126a), 급기용 2차 필터(126b) 및 급기용 3차 필터(126c)를 거친 후 디퓨저(D)를 통해 음압 격리 병실(R) 내로 송풍된다.
바람직하게는 급기용 필터모듈(124)은 급기용 3차 필터(126c)의 선행하게 또는후행하게 급기용 4차 필터(도시되지 않음)로 통상의 탈취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급기용 1차 필터(126a), 급기용 2차 필터(126b) 및 급기용 3차 필터(126c)는 테두리 부분을 감싸는 급기용 프레임(128a, 128b, 128c)에 의해 지지되며, 이러한 각각의 급기용 프레임(128a, 128b, 128c)들은 급기용 1차 필터(126a), 급기용 2차 필터(126b) 및 급기용 3차 필터(126c)가 이격되도록 급기용 필터 케이스(122) 내에 나사 결합된다.
한편, 급기용 제균부(130)는 급기덕트(10)에서 급기부(11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제균한다.
이를 위해서, 급기용 제균부(130)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134)와, 자외선 램프(134)가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용 제균 케이스(132)를 포함한다.
급기용 제균 케이스(132)는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는 빈 수평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급기용 제균 케이스(132)의 내부에는 급기용 제균 케이스(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자외선 램프(134)가 하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급기용 제균 케이스(132)의 개방된 일단은 급기 팬 하우징(112)의 급기용 유입구(114)와 연결되고, 급기용 제균 케이스(132)의 개방된 타단은 급기덕트(10)와 연결된다.
즉, 급기 팬(118) 작동 시 급기용 제균 케이스(132)의 내부로는 급기덕트(10)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급기 팬 하우징(112) 측으로 안내되는데, 이때 급기용 제균 케이스(132) 내부를 지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는 자외선 램프(134)의 광원에 의해 제균된다.
여기서, 급기용 제균 케이스(132)와 급기용 유입구(114)의 연결 관계 및 급기용 제균 케이스(132)와 급기덕트(10)의 연결 관계를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배기 포트(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포트(100)와 대동소이한 구성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배기 포트(200)는 음압 격리 병실(R) 내부 공기를 배기덕트(20) 측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배기 포트(200)는 배기부(210), 배기용 필터부(220) 및 배기용 제균부(230)를 포함한다.
먼저, 배기부(210)는 배기 팬(218)과, 배기 팬(218)이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 팬 하우징(212)을 포함한다.
배기 팬 하우징(212)은 배기 팬(218)을 내장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며, 하부에는 배기 팬(218)의 작동에 의해 음압 격리 병실(R) 내 공기가 유입되는 배기용 유입구(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배기 팬 하우징(212)의 상부에 인접한 일측에는 배기용 유입구(214)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배기용 유출구(216)가 형성된다.
즉, 배기 팬(218) 작동 시 배기 팬 하우징(212)의 내부로 배기용 유입구(214)를 통해 음압 격리 병실(R) 내 공기가 유입된 후 배기용 유출구(216)를 통해 유출된다.
여기서, 배기 팬 하우징(2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S)에 설치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 팬 하우징(212)과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S)는 어떠한 설치 관계를 가지더라도 무방한다.
한편, 배기용 필터부(220)는 배기 팬 하우징(212)의 배기용 유입구(214) 측으로 유입되는 음압 격리 병실(R) 내 공기를 필터링한다.
배기용 필터부(220)는 배기용 필터 케이스(222)와, 배기용 필터 케이스(222)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용 필터 모듈(224)을 포함한다.
배기용 필터 케이스(222)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며, 배기용 필터 케이스(222)의 개방된 상부 측은 배기용 유입구(114)가 형성된 배기 팬 하우징(212)의 하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배기용 필터 케이스(222)의 개방된 하부 측은 천장 마감재(M)에 설치되는 또 다른 디퓨저(D)와 연결된다.
여기서, 배기용 필터 케이스(222)의 상부 측과 배기 팬 하우징(212)의 연결 관계 및 배기용 필터 케이스(222)의 하부 측과 또 다른 디퓨저(D)와의 연결 관계는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례로, 배기용 필터 케이스(222)와 배기 팬 하우징(212)은 서로 맞물리는 수나사 및 암나사를 형성시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배기용 필터 케이스(222)의 또 다른 디퓨저(D)는 나사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배기용 필터 케이스(222)와 배기 팬 하우징(212)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은 배기용 필터모듈(224)의 유지 관리를 위함이다.
배기용 필터모듈(224)은 하부에서부터 상부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는 배기용 1차 필터(226a), 배기용 2차 필터(226b) 및 배기용 3차 필터(226c)를 포함한다.
배기용 1차 필터(226a)는 배기용 필터 케이스(222)의 개방된 하부 측을 통해 유입되는 음압 격리 병실(R) 내 공기 중에 포함된 큰 먼지, 등을 필터링하고, 배기용 2차 필터(226b)는 배기용 1차 필터(226a)에서 필터링 된 공기 중에서 각종 먼지 등을 필터링하며, 배기용 3차 필터(226c)는 배기용 2차 필터(226b)에서 필터링 된 공기 중에 미세먼지, 곰팡이 및 분진 등을 필터링한다.
이때, 배기용 1차 필터(226a)는 통상의 프리 필터(pre-filter) 일 수 있고, 배기용 2차 필터(226b)는 통상의 미디움 필터(medium filter) 일 수 있으며, 배기용 3차 필터(226c)는 헤파필터(hepa filter) 일 수 있다.
즉, 배기용 필터 케이스(222)의 개방된 하부 측을 통해 유입되는 음압 격리 병실(R) 내 공기는 배기용 1차 필터(226a), 배기용 2차 필터(226b) 및 배기용 3차 필터(226c)를 거친 후 배기 팬 하우징(212)의 배기용 유입구(214)로 유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배기용 필터모듈(224)은 배기용 3차 필터(226c)의 선행하게 또는 후행하게 배기용 4차 필터(도시되지 않음)로 통상의 탈취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용 1차 필터(226a), 배기용 2차 필터(226b) 및 배기용 3차 필터(226c)는 테두리 부분을 감싸는 배기용 프레임(228a, 228b, 228c)에 의해 지지되며, 이러한 각각의 배기용 프레임(228a, 228b, 228c)들은 배기용 1차 필터(226a), 배기용 2차 필터(226b) 및 배기용 3차 필터(226c)가 이격되도록 배기용 필터 케이스(222) 내에 나사 결합된다.
한편, 배기용 제균부(230)는 배기부(210)에서 배기덕트(20)로 유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제균한다.
이를 위해서, 배기용 제균부(230)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234)와, 자외선 램프(234)가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용 제균 케이스(232)를 포함한다.
배기용 제균 케이스(232)는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는 빈 수평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때, 배기용 제균 케이스(232)의 내부에는 배기용 제균 케이스(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자외선 램프(234)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배기용 제균 케이스(232)의 내주면에는 배기되는 공기가 볼텍스(vortex)를 플로우(flow)를 형성하며 신속하게 배기될 수 있도록 나선형 홈(236) 또는 나선형 돌기가 제균 케이스(232)의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3에서는 배기용 제균 케이스(232)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된 나선형 홈(236)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용 제균 케이스(232)의 개방된 일단은 배기 팬 하우징(212)의 배기용 유출구(216)와 연결되고, 배기용 제균 케이스(232)의 개방된 타단은 배기덕트(20)와 연결된다.
즉, 배기 팬(218) 작동 시 배기용 제균 케이스(232)의 내부로는 배기 팬 하우징(212)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배기덕트(20)로 안내되는데, 이때 배기용 제균 케이스(232) 내부를 지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는 자외선 램프(234)의 광원에 의해 제균된다.
여기서, 배기용 제균 케이스(232)와 배기용 유출구(216)의 연결 관계 및 배기용 제균 케이스(232)와 배기덕트(20)의 연결 관계를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급기 포트(100)의 급기팬(118) 및 자외선 램프(134), 그리고 배기 포트(200)의 배기팬(218) 및 자외선 램프(234)는 통상의 리모컨(remote control)의 조작으로 작동될 수 있는데,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리모컨(remote control)의 조작으로 급기 포트(100)의 송풍량 및 배기 포트(200)의 배풍량을 제어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급기 포트(100) 및 배기 포트(200)를 작동시켜 음압 격리 병실(R) 내부의 기압을 외부 기압보다 낮추면, 음압 격리 병실(R)의 오염된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고, 음압 격리 병실(R) 내 오염된 공기는 배기포트(200)를 통해 세균 및 바이러스가 여과 및 제균된 상태로 배기덕트(20) 측으로 배기된다.
그리고 음압 격리 병실(R) 내부로는 급기덕트(10)에서 안내되는 공기가 급기 포트(100)를 통해 유입되는데, 이때 급기 포트(100)는 먼지 등과 세균 및 바이러스가 여과 및 제균된 청정한 공기를 음압 격리 병실(R) 내로 유입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급기 및 배기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는 기존 건물의 시공된 급기덕트(10) 및 배기덕트(20)에 장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음압 격리 병실을 구출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감염 확진자 및 감염 의심자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격리 치료 및 관찰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 포트(100) 및 배기 포트(200)가 급기덕트(10) 및 배기덕트(20)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급기 포트(100) 및 배기 포트(200)는 음압 격리 병실(R)을 형성할 건물 내의 구획된 공간의 창문 등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기 포트 및 배기 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기 포트(300)는 급기덕트(10)로 안내되는 공기를 음압 격리 병실(R) 측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급기 포트(300)는 급기 팬(310), 급기용 필터모듈(320) 및 급기용 자외선 램프(330)를 포함한다.
또한, 급기 포트(300)는 급기덕트(10)와 음압 격리 병실(R; 도 1 참조)을 연결하는 급기용 하우징(340)을 더 포함한다.
급기용 하우징(340)은 급기 팬(310), 급기용 필터모듈(320) 및 급기용 자외선 램프(330)를 내장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되, 일측에는 급기덕트(10; 도 1 참조)와 연결되는 급기용 유입구(342)가 형성된다.
그리고 급기용 하우징(342)의 하부에는 천장 마감재(M; 도 1 참조)에 설치되는 디퓨저(D; 도 1 참조)와 연결되는 급기용 유출구(344)가 형성된다
즉, 급기 팬(310) 작동 시 급기턱트(10)로 안내되는 공기는 급기용 유입구(342)를 통해 급기용 하우징(340)의 내부로 안내되고, 급기용 하우징(340) 내부로 안내된 공기는 급기용 유출구(344) 및 디퓨저(D)를 통해 음압 격리 병실(R) 측으로 송풍된다.
여기서, 급기용 하우징(340)은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S; 도 1 참조)에 설치될 수 있는데, 급기용 하우징(340)과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S)는 어떠한 설치 관계를 가지더라도 무방한다.
한편, 급기용 하우징(340)의 내부에는 급기용 유입구(342) 측에서부터 급기용 유출구(344) 측으로 급기 팬(310), 급기용 자외선 램프(330) 및 급기용 필터모듈(320)이 순차적이게 배치된다.
즉, 급기 팬(310)은 급기용 유입구(34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급기용 자외선 램프(330) 및 급기용 필터모듈(320)은 급기용 유출구(344)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이때, 급기용 자외선 램프(330)는 급기 팬(310)의 작동에 의해 음압 격리 병실(R)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제균하는데, 급기용 자외선 램프(330)는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기용 필터모듈(320)은 급기용 자외선 램프(330)를 거쳐 급기용 유출구(344)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필터링한다.
급기용 필터모듈(320)은 상부에서부터 하부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는 급기용 1차 필터(322a), 급기용 2차 필터(322b) 및 급기용 3차 필터(322c)를 포함한다.
급기용 1차 필터(322a)는 급기용 하우징(340)의 급기용 유출구(344)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큰 먼지, 황사 먼지 및 꽃가루 등을 필터링하고, 급기용 2차 필터(322b)는 급기용 1차 필터(322a)에서 필터링 된 공기 중에서 각종 먼지 등을 필터링하며, 급기용 3차 필터(322c)는 급기용 2차 필터(322b)에서 필터링 된 공기 중에 미세먼지, 곰팡이 및 분진 등을 필터링한다.
이때, 급기용 1차 필터(322a)는 통상의 프리 필터(pre-filter) 일 수 있고, 급기용 2차 필터(322b)는 통상의 미디움 필터(medium filter) 일 수 있으며, 급기용 3차 필터(322c)는 헤파필터(hepa filter) 일 수 있다.
즉, 급기용 하우징(340)의 급기용 유출구(344)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는 급기용 1차 필터(322a), 급기용 2차 필터(322b) 및 급기용 3차 필터(322c)를 거친 후 디퓨저(D)를 통해 음압 격리 병실(R) 내로 송풍된다.
바람직하게는 급기용 필터모듈(320)은 급기용 3차 필터(322c)의 선행하게 또는 후행하게 급기용 4차 필터(도시되지 않음)로 통상의 탈취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급기용 1차 필터(322a), 급기용 2차 필터(322b) 및 급기용 3차 필터(322c)는 테두리 부분을 감싸는 급기용 프레임(324a, 324b, 324c)에 의해 지지되며, 이러한 각각의 급기용 프레임(324a, 324b, 324c)들은 급기용 1차 필터(322a), 급기용 2차 필터(322b) 및 급기용 3차 필터(322c)가 이격되도록 급기용 하우징(340) 내에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급기용 자외선 램프(330) 및 급기용 필터모듈(320)이 장착된 급기용 하우징(340)의 급기용 유출구(344) 측은 급기용 자외선 램프(330) 및 급기용 필터모듈(320)의 유지관리를 위해서 분리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포트(400)는 음압 격리 병실(R) 내부의 공기를 배기덕트(20) 측으로 배기하는 것으로, 배기 포트(400)는 배기 팬(410), 배기용 필터모듈(420) 및 배기용 자외선 램프(430)를 포함한다.
또한, 배기 포트(400)는 음압 격리 병실(R)과 배기덕트(10)를 연결하는 배기용 하우징(440)을 더 포함한다.
배기용 하우징(440)은 배기 팬(410), 배기용 필터모듈(420) 및 배기용 자외선 램프(430)를 내장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되, 하부에는 음압 격리 병실(R)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천장 마감재(M)에 설치된 또 다른 디퓨저(D)와 연결되는 배기용 유입구(442)가 형성된다.
그리고 배기용 하우징(442)의 일측에는 배기덕트(20)와 연결되는 배기용 유출구(444)가 형성된다
즉, 배기 팬(410) 작동 시 음압 격리 병실(R) 내부 공기는 배기용 유입구(442)를 통해 배기용 하우징(440) 내부로 안내되고, 배기용 하우징(440) 내부로 안내된 공기는 배기용 유출구(444)를 통해 배기덕트(20)로 배기된다.
여기서, 배기용 하우징(440)은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S)에 설치될 수 있는데, 배기용 하우징(440)과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S)는 어떠한 설치 관계를 가지더라도 무방한다.
한편, 배기용 하우징(440)의 내부에는 배기용 유입구(442) 측에서부터 배기용 유출구(444) 측으로 배기 팬(410), 배기용 자외선 램프(430) 및 배기용 필터모듈(420)이 순차적이게 배치된다.
즉, 배기 팬(410)은 배기용 유입구(44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배기용 자외선 램프(430) 및 배기용 필터모듈(420)은 배기용 유출구(444)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이때, 배기용 자외선 램프(430)는 배기 팬(310)의 작동에 의해 배기덕트(20) 측으로 배기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제균하는데, 배기용 자외선 램프(430)는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용 필터모듈(420)은 배기용 자외선 램프(430)를 거쳐 배기용 유출구(444)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를 필터링한다.
배기용 필터모듈(420)은 배기용 자외선 램프(430)측에서부터 순차적이게 배치되는 배기용 1차 필터(422a), 배기용 2차 필터(422b) 및 배기용 3차 필터(422c)를 포함한다.
배기용 1차 필터(422a)는 배기용 하우징(440)의 배기용 유출구(444)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큰 먼지, 황사 먼지 및 꽃가루 등을 필터링하고, 배기용 2차 필터(422b)는 배기용 1차 필터(422a)에서 필터링 된 공기 중에서 각종 먼지 등을 필터링하며, 배기용 3차 필터(422c)는 배기용 2차 필터(422b)에서 필터링 된 공기 중에 미세먼지, 곰팡이 및 분진 등을 필터링한다.
이때, 배기용 1차 필터(422a)는 통상의 프리 필터(pre-filter) 일 수 있고, 배기용 2차 필터(422b)는 통상의 미디움 필터(medium filter) 일 수 있으며, 배기용 3차 필터(422c)는 헤파필터(hepa filter) 일 수 있다.
즉, 배기용 하우징(440)의 배기용 유출구(444)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는 배기용 1차 필터(422a), 배기용 2차 필터(422b) 및 배기용 3차 필터(422c)를 거친 후 배기덕트(20) 측으로 배기된다.
바람직하게는 배기용 필터모듈(420)은 배기용 3차 필터(422c)의 선행하게 또는 후행하게 배기용 4차 필터(도시되지 않음)로 통상의 탈취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용 1차 필터(422a), 배기용 2차 필터(422b) 및 배기용 3차 필터(422c)는 테두리 부분을 감싸는 배기용 프레임(424a, 424b, 424c)에 의해 지지되며, 이러한 각각의 배기용 프레임(324a, 324b, 324c)들은 배기용 1차 필터(422a), 배기용 2차 필터(422b) 및 배기용 3차 필터(4322c)가 이격되도록 배기용 하우징(440) 내에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배기용 자외선 램프(430) 및 배기용 필터모듈(420)이 장착된 배기용 하우징(440)의 배기용 유출구(444) 측은 배기용 자외선 램프(330) 및 배기용 필터모듈(420)의 유지관리를 위해서 분리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음압 격리 병실을 구축할 건물의 내부에 구획된 공간의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로 연장된 급기덕트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음압 격리 병실 측으로 안내하는 급기 포트; 및 상기 음압 격리 병실을 구축할 건물의 내부에 구획된 공간의 상기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 천장 마감재 사이로 연장된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음압 격리 병실 내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포트;를 포함하는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 포트는,
    내부가 빈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며 일측에는 상기 급기덕트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용 유입구가 형성되고 급기 팬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급기용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급기용 유출구가 형성되는 급기 팬 하우징과, 상기 급기 팬 하우징에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 팬을 가지는 급기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며 개방된 상부 측은 상기 급기용 유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개방된 하부 측은 상기 천장 마감재에 설치되 디퓨져와 연결되는 급기용 필터 케이스와, 상기 급기 팬 하우징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프리 필터로 된 급기용 1차 필터와, 미디움 필터로 된 급기용 2차 필터 및 헤파필터로 된 급기용 3차 필터를 가지되 상기 급기용 필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급기용 필터 모듈을 가지는 급기용 필터부; 및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는 빈 수평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되 일단은 상기 급기용 유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급기덕트와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급기덕트에서 상기 급기 팬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균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급기용 제균 케이스를 가지는 급기용 제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포트는,
    내부가 빈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며 하부에는 상기 음압 격리 병실 내 공기가 유입되는 배기용 유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기용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 유출되는 배기용 유출구가 형성되는 배기 팬 하우징과, 상기 배기 팬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 팬을 가지는 배기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수직한 원통형상을 제공되며 개방된 상부 측은 상기 배기용 유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개방된 하부 측은 상기 천장 마감재에 설치되는 또 다른 디퓨져와 연결되는 배기용 필터 케이스와, 상기 배기 팬 하우징 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음압 격리 병실 내 공기를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 측으로 프리 필터로 된 급기용 1차 필터와, 미디움 필터로 된 급기용 2차 필터 및 헤파필터로 된 급기용 3차 필터를 가지되 상기 배기용 필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기용 필터 모듈을 가지는 배기용 필터부; 및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는 빈 수평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되 일단은 상기 배기용 유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기덕트와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배기 팬 하우징에서 상기 배기덕트로 유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균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배기용 제균 케이스를 가지는 배기용 제균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기용 제균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배기되는 공기가 볼텍스를 플로우를 형성하며 신속하게 배기될 수 있도록 나선형 홈 또는 나선형 돌기가 상기 제균 케이스의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급기용 1차 필터, 상기 급기용 2차 필터 및 상기 급기용 3차 필터는 각각 급기용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급기용 필터 케이스 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배기용 1차 필터, 배기용 2차 필터 및 배기용 3차 필터는 각각 배기용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배기용 필터 케이스 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음압 격리 병실을 구축할 건물의 내부에 구획된 공간의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와 천장 마감재 사이로 연장된 급기덕트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음압 격리 병실 측으로 안내하는 급기 포트; 및 상기 음압 격리 병실을 구축할 건물의 내부에 구획된 공간의 상기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 천장 마감재 사이로 연장된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음압 격리 병실 내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포트;를 포함하는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 포트는,
    상기 급기덕트 내부로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음압 격리 병실 측으로 송풍하는 급기 팬;
    상기 급기 팬에 의해 상기 음압 격리 병실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균하는 급기용 자외선 램프;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프리 필터로 된 급기용 1차 필터와, 미디움 필터로 된 급기용 2차 필터 및 헤파필터로 된 급기용 3차 필터를 가지되, 상기 급기용 자외선 램프를 거쳐 상기 음압 격리 병실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급기용 필터 모듈; 및
    내부가 빈 수직한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며 일측에는 상기 급기덕트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용 유입구가 상기 급기덕트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급기용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급기용 유출구가 상기 천장 마감재에 설치된 디퓨저와 연결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급기 팬, 상기 급기용 자외선 램프 및 상기 급기용 필터 모듈이 상기 급기용 유입구측에서부터 상기 급기용 유출구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게 내장되는 급기용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 포트는,
    상기 음압 격리 병실 내부 공기를 상기 배기덕트 측으로 배기하는 배기 팬;
    상기 배기 팬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 측으로 배기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균하는 배기용 자외선 램프;
    상기 자외선 램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프리 필터로 된 배기용 1차 필터와, 미디움 필터로 된 배기용 2차 필터 및 헤파필터로 된 배기용 3차 필터를 가지되, 상기 배기용 자외선 램프를 거쳐 상기 배기덕트 측으로 배기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기용 필터 모듈; 및
    하부에는 상기 음압 격리 병실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배기용 유입구가 상기 천장 마감재에 설치된 또 다른 디퓨져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배기용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배기용 유출구가 상기 배기덕트와 연결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배기 팬, 상기 배기용 자외선 램프 및 상기 배기용 필터 모듈이 상기 배기용 유입구측에서부터 상기 배기용 유출구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게 내장되는 배기용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급기용 1차 필터, 상기 급기용 2차 필터 및 상기 급기용 3차 필터는 각각 급기용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급기용 하우징 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상기 배기용 1차 필터, 상기 배기용 2차 필터 및 상기 배기용 3차 필터는 각각 배기용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배기용 하우징 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062601A 2020-05-25 2020-05-25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 KR102194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601A KR102194329B1 (ko) 2020-05-25 2020-05-25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601A KR102194329B1 (ko) 2020-05-25 2020-05-25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329B1 true KR102194329B1 (ko) 2020-12-23

Family

ID=7408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601A KR102194329B1 (ko) 2020-05-25 2020-05-25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3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377B1 (ko) 2022-01-28 2022-08-12 주식회사 아이엔이솔루션 음압 격리실의 공기조화시스템
WO2024010149A1 (ko) * 2022-07-06 2024-01-11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음압병실 전환장치
WO2024010148A1 (ko) * 2022-07-06 2024-01-11 (재)예수병원유지재단 튜브형 전실을 구비한 음압 전환 병실
WO2024010150A1 (ko) * 2022-07-06 2024-01-11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음압병실 전환장치를 구비한 일인용 음압 침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49B1 (ko) * 2009-02-25 2011-05-24 이숭재 에너지 절감을 위한 항온, 항습 시스템
KR20150014821A (ko) * 2013-07-30 2015-02-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1649600B1 (ko)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20190002452A (ko) 2016-03-17 2019-01-08 고쿠리쓰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지환기 도입 비선형 광학 활성 코폴리머
KR102014213B1 (ko) 2019-05-08 2019-08-27 주식회사 스페이스업 에어텐트를 이용한 가설 음압 장치
KR20200012175A (ko) 2018-07-26 2020-02-05 김동기 음압형 특수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49B1 (ko) * 2009-02-25 2011-05-24 이숭재 에너지 절감을 위한 항온, 항습 시스템
KR20150014821A (ko) * 2013-07-30 2015-02-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1649600B1 (ko)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20190002452A (ko) 2016-03-17 2019-01-08 고쿠리쓰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지환기 도입 비선형 광학 활성 코폴리머
KR20200012175A (ko) 2018-07-26 2020-02-05 김동기 음압형 특수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
KR102014213B1 (ko) 2019-05-08 2019-08-27 주식회사 스페이스업 에어텐트를 이용한 가설 음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377B1 (ko) 2022-01-28 2022-08-12 주식회사 아이엔이솔루션 음압 격리실의 공기조화시스템
WO2024010149A1 (ko) * 2022-07-06 2024-01-11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음압병실 전환장치
WO2024010148A1 (ko) * 2022-07-06 2024-01-11 (재)예수병원유지재단 튜브형 전실을 구비한 음압 전환 병실
WO2024010150A1 (ko) * 2022-07-06 2024-01-11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음압병실 전환장치를 구비한 일인용 음압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329B1 (ko) 급기 및 배기 포트를 가지는 음압 격리 병실 구축장치
US7338358B2 (en) Apparatus for air purifying and ventilating
KR102211993B1 (ko) 헤파필터 장착용 살균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조화기
KR102254161B1 (ko) 음압 및 양압 겸용 포터블 병실 시스템
JP2005214611A (ja) 換気兼用空気清浄器
KR102258585B1 (ko) 이동식 음압장치
KR102324138B1 (ko) IoT 청정, 살균 에어클린 샤워 장치
WO2022065627A1 (ko) 공기살균기
KR101899141B1 (ko) 다단 흡입구를 가진 양압 공기정화살균장치
KR101654160B1 (ko) 공기 멸균장치
KR102282649B1 (ko) 음압 공조 장치
US7934981B2 (en) Patient isolation module and use thereof
KR101624697B1 (ko) 인공지능형 공기차압장치를 이용한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방지 시스템
KR100635515B1 (ko) 송풍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시스템
CN111544235A (zh) 传染性病员专用氧舱
KR102421859B1 (ko) 살균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핸드레일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JP2004357775A (ja) オゾン殺菌システム
CN210861541U (zh) 一种感染科用空气置换装置
KR20220046222A (ko)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린 룸 및 이를 적용한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
KR102395525B1 (ko) 현관 공간 입체 살균용 iot 기반 모듈형 안티 바이러스 게이트
CN212511654U (zh) 一种带有双重杀菌功能的电梯
KR200358767Y1 (ko) 송풍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시스템
KR20220067856A (ko) 엘리베이터용 공기 살균 및 정화 시스템
KR200448177Y1 (ko) 멸균 및 소독 기능을 갖는 공기배출장치
CN204246547U (zh) 管道杀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