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813B1 -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 - Google Patents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813B1
KR102189813B1 KR1020200019467A KR20200019467A KR102189813B1 KR 102189813 B1 KR102189813 B1 KR 102189813B1 KR 1020200019467 A KR1020200019467 A KR 1020200019467A KR 20200019467 A KR20200019467 A KR 20200019467A KR 102189813 B1 KR102189813 B1 KR 102189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ody
cable
heating
forging mol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김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규 filed Critical 김한규
Priority to KR1020200019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00Preparing metal stock or similar ancillary operations prior, during or post forging, e.g. heating or cooling
    • B21J1/06Heating or cooling methods 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erforming forging or press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에 관한 것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형상이되, 발열체가 내장되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열되는 발열본체, 상기 발열본체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환 형상의 플랜지, 상기 발열본체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전력공급원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본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발열본체의 끝단에 결합되되, 상기 케이블의 일부구간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가이드관을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발열본체가 단조금형에 형성된 삽입구에 안정적으로 착탈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구의 입구측에는 상기 플랜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플랜지와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 {Heating unit for forging mold}
본 발명은 단조금형에 장착되어, 상기 단조금형 내에 삽입되는 금속재료(공작물)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조금형이란, 냉간 또는 가열된 상태의 금속재료(공작물)이 해머, 프레스 등에 의한 압력에 의해 특정 형상으로 가공되도록 하는 도구이다.
단조금형은 통상 서로 대칭되는 상,하부 금형으로 구성되며, 특히 프레스에 의해 성형되는 단조 금형의 경우, 상부금형은 프레스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부금형은 작업대에 설치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금속재료는 상기 단조금형 내에 삽입되면서 단조금형에 접촉되어지므로 상기 단조금형 자체 온도에 의해 금속재료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단조금형 내에서 성형된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번호 제20-0403729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상기 단조금형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은 긴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형상이되, 발열체가 내장되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열되는 발열본체, 상기 발열본체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환 형상의 플랜지, 상기 발열본체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전력공급원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본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상기 발열본체의 끝단에 결합되되, 상기 케이블의 일부구간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과 케이블의 연결부에는 이음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이음부재는 중공체형상이며 탄성력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양단이 가이드관 및 케이블에 각각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은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조금형 내에 삽입되는 금속재료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하여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이드관을 마련하여 상기 케이블과 발열본체가 직접 접촉되어 연결되는 접촉부를 보호함으로써, 가이드관에 내장된 케이블이 꺾여 발생되는 접촉불량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로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저감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의 사용 실시도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A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의 정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100)은, 발열본체(120), 입력부(140), 가이드관(16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발열본체(120)는 원기둥형상의 용기에 열선 등의 발열체가 내장된 것으로, 상기 발열본체는 후술할 입력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열되는 요소이다.
도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본체의 외관은 수직단면이 원형이고 긴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형상이되, 상기 발열본체의 외주연 일부구간에는 플랜지(122)가 장착된다.
상기 플랜지(12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환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열본체가 단조금형에 형성된 삽입구에 안정적으로 착탈되도록 가이드하는 요소이다.
상기 단조금형(10)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구의 입구측에는 상기 플랜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플랜지와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이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단조금형(10)에 형성되는 삽입구 및 삽입홈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히팅유닛이 더욱 안정적으로 단조금형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122)는 발열본체의 외주연에 고정결합되되, 총 길이의 2/3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발열본체가 단조금형에 결합될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본체(120)의 2/3는 단조금형(10) 내부로 삽입되고, 1/3은 단조금형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진다.
덧붙여, 상기 플랜지(122)에는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관통홀(22)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단조금형의 삽입홈에도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은 별도의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발열본체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단조금형에 삽입고정된다.
또한, 상기 발열본체(120)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도면미도시)가 부착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발열본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값을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입력부(140)는, 전력공급원에 결합되어, 상기 발열본체에 전력을 공급 및 전달하는 요소이다.
상기 입력부(140)는, 입력단자(142)와 케이블(144)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단자(142)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커넥터이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통용되고 있는 다양한 단자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144)은 상기 입력단자와 발열본체를 연결하는 요소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이드관(160)은 상기 발열본체(120)의 끝단에 결합되되, 상기 입력부의 케이블(144) 일부구간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을 보호하는 요소이다.
상기 가이드관(160)은 중공체이되, 주름관(자바라관), 벨로즈(bellows) 등으로 제작되어 유연성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과 발열본체가 직접 접촉되어 연결되는 접촉부를 보호함으로써, 가이드관에 내장된 케이블이 꺾여 발생되는 접촉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단조금형의 프레스 작업 시, 프레스의 작동 압력에 의해 상기 단조금형에는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케이블에 가해지는 진동을 저감시켜 본 발명의 히팅유닛의 제품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관(160)의 일단은 결합부재(124)에 의해 발열본체(120)와 결합되고, 타단은 이음부재(180)에 의해 케이블(144)의 중앙부측 외주연과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124)는 수직단면이 원형인 중공체 형상이며, 상기 결합부재(124)의 외주는 상기 발열본체(120)의 내주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내주는 상기 가이드관(160)의 외주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24)는 상기 발열본체(120)의 내주연에 장착되되, 상기 발열본체의 끝단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즉, 상기 결합부재(124)의 끝단은 발열본체(120)의 끝단 내주연에 끼움 삽입되며, 용접 등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 및 발열본체는 서로 고정된다.
덧붙여, 상기 결합부재(124)의 내주연에는 가이드관(160)의 끝단이 관통되되, 상기 가이드관(160)의 끝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링 형상의 걸림턱(1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162)이 결합부재(124)의 끝단에 접촉되어 걸려진다.
이에 따라, 주름관 형상인 가이드관은 상기 결합부재에 걸려 접촉 지지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발열본체와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발열본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관(160)의 타단은 이음부재(180)에 의해 케이블(144)의 중앙부측 외주연과 연결된다.
상기 이음부재(180)는 중공체 형상이되, 비교적 넓은 폭(높이)을 가지며 탄성력을 가지록 마련되어, 가이드관 및 케이블 일부구간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관과 케이블의 연결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이음부재(180)의 내주연 일단은 가이드관의 외주연과 접촉되고, 내주연 타단은 케이블의 외주연과 접촉되어, 상기 케이블이 꺾이는 등의 사고를 방지한다.
상기 이음부재는 신축력을 가지므로 상기 가이드관 및 케이블의 외주연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 및 케이블에 억지끼움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단조금형
100:히팅유닛
120:발열본체
122:플랜지
124:결합부재
22:관통홀
140:입력부
142:입력단자
144:케이블
160:가이드관
162:걸림턱
180:이음부재

Claims (3)

  1. 긴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형상이되, 발열체가 내장되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열본체;
    상기 발열본체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환 형상의 플랜지;
    상기 발열본체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전력공급원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본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발열본체의 끝단에 상기 케이블의 일부구간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주름관으로 형성된 가이드관;을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발열본체가 단조금형에 형성된 삽입구에 안정적으로 착탈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구의 입구측에는 상기 플랜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플랜지와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관과 케이블의 연결부에는 이음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이음부재는 중공체형상이며 탄성력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양단이 가이드관 및 케이블에 각각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과 발열본체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재는 수직단면이 원형인 중공체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관의 외주연에 체결된 상태로 발열본체의 내주연에 장착되되,
    상기 결합부재와 발열본체는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관의 끝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링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결합부재에 접촉지지되어 상기 가이드관이 상기 발열본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
  3. 삭제
KR1020200019467A 2020-02-18 2020-02-18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 KR10218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467A KR102189813B1 (ko) 2020-02-18 2020-02-18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467A KR102189813B1 (ko) 2020-02-18 2020-02-18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813B1 true KR102189813B1 (ko) 2020-12-11

Family

ID=7378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467A KR102189813B1 (ko) 2020-02-18 2020-02-18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8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3011A (en) * 1979-12-13 1981-02-24 Tempco Electric Heater Corporation Plastic injection molding system having a temperature controlled electric heater element
KR200207651Y1 (ko) * 2000-07-11 2000-12-15 김재만 금형의 히터 조립장치
KR200403729Y1 (ko) 2005-10-05 2005-12-12 김혁중 사출성형기용 매니폴드
KR20090072901A (ko) * 2007-12-28 2009-07-02 허남욱 사출금형의 급속 가열/냉각 장치 및 그 금형온도 제어방법
US20110139768A1 (en) * 2009-12-14 2011-06-16 Woelper Hendrik Electrical cartridge heater with supply cable
JP2016078112A (ja) * 2014-10-22 2016-05-16 メトロ電気工業株式会社 金型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3011A (en) * 1979-12-13 1981-02-24 Tempco Electric Heater Corporation Plastic injection molding system having a temperature controlled electric heater element
KR200207651Y1 (ko) * 2000-07-11 2000-12-15 김재만 금형의 히터 조립장치
KR200403729Y1 (ko) 2005-10-05 2005-12-12 김혁중 사출성형기용 매니폴드
KR20090072901A (ko) * 2007-12-28 2009-07-02 허남욱 사출금형의 급속 가열/냉각 장치 및 그 금형온도 제어방법
US20110139768A1 (en) * 2009-12-14 2011-06-16 Woelper Hendrik Electrical cartridge heater with supply cable
JP2016078112A (ja) * 2014-10-22 2016-05-16 メトロ電気工業株式会社 金型加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8185B2 (ja) ダストカバー用固定金具
EP0855546B1 (en) Tube joint
EP0872678B1 (en) Tube joint
US20060220378A1 (en) Press fitting
JPH0123669B2 (ko)
KR102189813B1 (ko) 단조금형에 적용되는 히팅유닛
JP4289706B2 (ja) 樹脂製管継手
WO2003071180A1 (fr) Structure de raccordement d'extremite de tube metallique
US20060243028A1 (en) Gas sensor, gas sensor cap, and gas sensor unit
GB2344392A (en) Connector for reinforced small diameter resin tube
CN214330607U (zh) 一种用于随钻测量仪器的缓震连接器
US5890748A (en) Composite male hose coupler
CN210661755U (zh) 油管接头
ITMI20011951A1 (it) Tappo a pressione
CN210650538U (zh) 一种孔用卡簧安装工具
JP6047026B2 (ja) ホース用継手及びホース用継手の製造方法
KR200396607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CN215221979U (zh) 一种电机定子组件压装工装
KR100680896B1 (ko) 호스커플링,그것을제조하기위한중간성형품및그것을사용한호스어셈블리
KR200289507Y1 (ko) 플라스틱관 결합 구조
CN220102415U (zh) 一种外撸扣压大口径一体式接头
CN220209527U (zh) 一种金属屏蔽套壳
CN210715514U (zh) 一种紧固连接件
CN220628861U (zh) 一种电缆密封套件
CN220357980U (zh) 光电开关固线夹及带有固线夹的光电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