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364B1 -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364B1
KR102189364B1 KR1020200055548A KR20200055548A KR102189364B1 KR 102189364 B1 KR102189364 B1 KR 102189364B1 KR 1020200055548 A KR1020200055548 A KR 1020200055548A KR 20200055548 A KR20200055548 A KR 20200055548A KR 102189364 B1 KR102189364 B1 KR 102189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body
guide rail
charging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공주
Original Assignee
사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공주 filed Critical 사공주
Priority to KR102020005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8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in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 과정에서 전선을 벽체 내부로 매립시키기 위해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 {Plumbing Structures for Electrical Construction}
본 발명은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공사 과정에서 전선을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 내부에 매립시키기 위해 설치되며, 전선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등을 포함하는 건축물에는 전기의 공급을 위한 다수의 전기선이 구비되며, 이러한 전기선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축물 축조 과정에서 벽체의 내부에 전기선의 내입 설치가 가능하도록 플렉시블관 형태의 전기배관이 매설된다.
즉, 건축물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거푸집의 사이에는 전기배관을 내입 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벽체 내부에 전기배관이 시공되게 하고, 이후 전기배선 공사시 그 전기배관의 내부로 전선을 인입 시공함으로 전기선의 노출 없이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건축물의 전기공사에 있어서, 전기박스끼리 상호 연결되면서 벽체 등에 매입되고, 미장 등에 의해 마감된 후 벽지나 타일등의 최종마감재로 마감되어 있기 때문에 매입된 관로 위치를 쉽게 알지 못하였다.
배관 매입시 일반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매입하지만, 상황이 여의치 못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다. 특히, 철근 콘크리트조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파이프의 유동으로 인해 위치가 쉽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매입된 배관선로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가 쉽지 않았다.
때문에, 욕실의 세면대 설치시 벽체 내부에 매입된 온·냉수 배관을 파손시 킨다던지, 벽체에 벽걸이 시계 등 생활용품을 설치하기 위해 못을 박거나, 천정에 전등을 설치하기 위해 해머드릴 등으로 천공을 하다가 파이프 내측 전선의 절단 또는 피복의 벗겨짐으로 인한 누전우려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배관탐지기를 동원하여 배관을 찾기도 하였으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금속이 아닌 배관재로 시공된 경우 쉽게 찾지 못하였으며, 특히 워낙 고가의 장비여서 가정에서 구입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854790 호 한국등록특허 제 10-1030196 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전기 공사 과정에서 전선을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 내부에 매립시키기 위해 설치되며, 전선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는, 건축물 시공 과정에서 전선을 벽체 내부로 매립시키기 위해 벽체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는,
전선이 수용되며,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배관 본체;
상기 배관 본체의 양 단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배관 본체를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부;
상기 배관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배관 본체, 전선 및 상기 연결부에 대한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배관구조 측정장치; 및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벽체 내부에 매립된 복수의 배관 본체의 설치 구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관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본체는, 내경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이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부는,
이웃하는 두 배관 본체에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 레일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내경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일단은 제1 배관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타단은 상기 제1 배관 본체와 이웃하는 제2 배관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시작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 형성되어 벽체의 외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내부에는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 본체 내부에 형성된 전선을 촬영하는 측정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배관 본체의 내경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케메라 모듈을 회전시키는 짐벌(gimbal);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과 체결되는 구동수단;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일단은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충전 수단;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는,
상기 관리 단말로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작업모드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되,
상기 작업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충전량이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측위 신호를 방사하여 복수의 연결부 각각으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연결부를 검출하고, 검출된 연결부까지 자동 이동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관리 단말로 충전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충전 수단을 연장시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홀 내부에 설치된 상기 충전 포트와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충전 포트에 접속한 상기 관리 단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벽체의 훼손 없이 벽체 내측에 매립 설치된 배관 본체의 매설 위치 및 구조를 파악할 수 있으며, 배관 본체 또는 전선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해당 위치에 대한 상세한 촬영영상을 수집할 수 있어 교체, 제거 및 보수 등의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 본체의 구체적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연결부의 구체적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배관구조 측정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1의 배관구조 측정장치의 구체적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공사용 배관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는 건축물 시공 과정에서 전선을 벽체 내부로 매립시키기 위해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관 본체(100), 연결부(200), 배관구조 측정장치(300) 및 관리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 본체(100)는 벽체 내부에 매립되는 관 형상의 부재로, 내부에 전선 또는 전선 다발이 수용되어 전기공사 시 전선 또는 전선다발을 안전하게 벽체 내부에 매립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배관 본체(100)의 재질은 플라스틱 수지,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길이와 직경 또한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배관 본체(100)의 양 끝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른 배관 본체(100)의 플랜지와 후술하는 연결부(200)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전선을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본체(100)의 내경 둘레를 따라 가이드 레일(150)이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 레일(150)은 후술하는 배관구조 측정장치(300)가 배관 본체(100)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기찻길에 형성되는 레일과 같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단위 가이드 레일이 배관 본체(100)의 내경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00)는 이웃하는 두 배관 본체(100) 사이에 설치되어 두 개의 배관 본체(100)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0)는 하부면에 이웃하는 두 배관 본체(100)의 서로 마주보는 끝단에 형성된 각각의 플랜지에 끼움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홈부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이웃하는 두 배관 본체(100)는 마주보는 끝단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가 아니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연결부(200)가 끼움 설치됨으로써 두 개의 배관 본체(10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이나 가스 등과 같은 유체를 흐르게 하는 배관 구조에서는 배관과 배관의 기밀성 및 수밀성이 매우 중요하나, 전기공사에 사용되어 전선이 수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본체(100)는 전자와 같이 엄격한 기밀성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연결부(200)는 두 배관 본체(100)를 끼움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전기공사 시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렇다고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200)가 기밀성을 제공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이를 위해, 연결부(200)는 고무 등과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배관을 곡선 구조로 연결하더라도 유연한 재질의 연결부(200)가 곡선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배관 형상을 바꾸지 않더라도 전선을 곡선형으로 매립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200)는 이웃하는 두 배관 본체에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 레일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내경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250)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0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일단은 제1 배관 본체(100a)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타단은 상기 제1 배관 본체와 이웃하는 제2 배관 본체(100b)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시작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200)에는 내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250)에 형성되어 벽체의 외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내부에는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2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전포트(270)는 배관구조 측정장치(300)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배관구조 측정장치(300)는 배관 본체(100) 및 연결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배관 본체(100), 전선 및 상기 연결부(200)에 대한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이동형 장치이다.
즉, 배관구조 측정장치(300)는 배관 본체(100) 및 연결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관 내부를 이동하면서 전선의 연결 상태나 배관의 연결 구조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후술하는 관리 단말(400)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 측정장치(300)는 본체(310),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 본체 내부에 형성된 전선을 촬영하는 측정 모듈(320), 상기 측정 모듈(320)과 상기 본체(3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배관 본체의 내경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본체(3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측정 모듈(320)을 회전시키는 짐벌(gimbal, 330),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과 체결되는 구동수단(340),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350), 일단은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충전 수단(36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체(310)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배관구조 측정장치(300)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부재이다. 본체(310)는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모듈(320)은 배관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전선, 배관 본체(100)의 내주면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로, 일 예로 카메라 모듈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촬영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측정 모듈(320)은 카메라 모듈과 함께 진동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센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측정 모듈(320)이 카메라 모듈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짐벌(330)은 카메라 모듈(320)의 촬영 각도가 변경되도록 회전하거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배관구조 측정장치(300)가 관리 단말(400)로부터 촬영 각도를 제어하는 촬영 각도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짐벌(330)은 수신된 촬영 각도 제어신호에 따라 상, 하, 좌, 우로 회전하거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짐벌(330)은 배관구조 측정장치(300)의 이동 시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카메라 모듈(320)이 일정한 방향을 기준으로 정립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짐벌(330)은 내부에 3축 자이로스코프, 3축 가속도계, 기압계를 포함하는 수평 유지 장치 또는 센서 장치인 IMU(Inertial Measurement Unit)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짐벌(330)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의 위치 및 각도에 관계없이 카메라 모듈(320)이 배관 본체(100)의 중심부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하여 전선이 형성된 영역만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짐벌(330)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를 정립시켜 특정 부분에 대한 촬영영상을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구동수단(340)은 배관 본체(100) 및 연결부(20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체결되어 본체(310)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바퀴와 같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본체(310) 내부에 설치되어 배관구조 측정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력이 충전되는 장치이다. 배터리(350)는 종래의 충전형 배터리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충전 수단(360)은 이러한 배터리(350)의 충전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310)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때, 충전 수단(360)은 본체(3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배관구조 측정장치(300)의 이동 중에는 길이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배터리의 충전이 요구되는 시점에서는 길이가 신장되어 연결부(200) 측에 형성된 충전포트(270)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배관구조 측정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 단말(400)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측정 모듈(320)로부터 수집된 측정정보 및 배관구조 측정장치(3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관리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배관 본체(100) 및 연결부(200)에는 RFID칩 또는 비콘 등과 같은 식별태그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는 각각의 배관 본체(100) 및 연결부(200)에 구비된 식별태그와 통신하여 현재 배관구조 측정장치(300)가 어느 배관에 위치하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관리 단말(400)은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벽체 내부에 매립된 복수의 배관 본체의 설치 구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관리 단말(400)은 전기공사 시공자 또는 건축물 관리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보의 입출력 및 처리가 가능하고 다른 전자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전자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 단말(400)은 배관구조 측정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벽체 내부에 매립된 복수의 배관 본체의 설치 구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단말(400)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되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배관 본체(100) 및 연결부(200)의 식별태그에 대한 식별정보를 기초로 어떠한 배관이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관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단말(400)은 각각의 배관 내부에 형성된 전선들에 대한 촬영영상을 관로 정보에 매핑시킬 수 있으며,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는 등 이상증상이 발견되면 해당 촬영영상을 전송한 위치의 식별정보를 검색하여 이상증상이 발생된 위치의 배관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300)는 상기 관리 단말(400)로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작업모드 및 상기 배터리(350)를 충전하는 충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작업모드에서는, 배관구조 측정장치(300)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배관 내부를 나선형으로 이동하면서 관리 단말(400)로 전송할 촬영영상 및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한다.
또한, 관리 단말(400)로부터 원격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위치로 이동하여 특정 각도에서의 촬영영상을 생성함으로써, 관리자가 요구하는 위치에서의 전선, 배관 내부 등에 대한 촬영영상을 관리 단말(400)로 전송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배관구조 측정장치(300)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충전량이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위 신호를 방사하여 복수의 연결부 각각으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연결부를 검출하고, 검출된 연결부까지 자동 이동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관리 단말(400)로 충전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충전모드로 전환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수단(360)을 연장시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홀 내부에 설치된 상기 충전 포트와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충전 포트에 접속한 상기 관리 단말(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충전 포트(270)의 일단은 관리 단말(400)이 접속되고, 충전 포트(270)의 타단은 충전 수단(360)을 통해 배터리(350)가 접속됨으로써, 관리 단말(4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관구조 측정장치(300)는 배터리 잔량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 스스로 가장 가까운 충전 포트를 찾아 이동한 후, 해당 위치의 식별정보와 충전 요청 신호를 관리 단말(400)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는 배관구조 측정장치(300)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으며, 간편한 방법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 모듈(320)은 카메라 모듈 외에도 진동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배관구조 측정장치(300)의 운행 중 기 설정된 기준 진동값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해당 위치에서 배관 본체(100) 또는 연결부(200)에 균열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동을 중지한 상태로 균열이 발생된 부분을 촬영하여 관리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본체(100) 및 연결부(200) 내부에는 가이드 레일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가이드 레일의 연결이 끊어지거나 변형이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운행 과정에서 차체로 진동이 부가되게 되며, 진동 감지 센서는 이를 감지함으로써 배관의 균열 발생 여부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전기공사용 배관 구조체
100: 배관 본체
200: 연결부
300: 배관구조 측정장치
400: 관리 단말

Claims (2)

  1. 건축물 시공 과정에서 전선을 벽체 내부로 매립시키기 위해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는,
    전선이 수용되며,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배관 본체;
    상기 배관 본체의 양 단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배관 본체를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부;
    상기 배관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배관 본체, 전선 및 상기 연결부에 대한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배관구조 측정장치; 및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벽체 내부에 매립된 복수의 배관 본체의 설치 구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관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본체는, 내경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이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부는,
    이웃하는 두 배관 본체에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 레일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내경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일단은 제1 배관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타단은 상기 제1 배관 본체와 이웃하는 제2 배관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시작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 형성되어 벽체의 외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내부에는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 본체 내부에 형성된 전선을 촬영하는 측정 모듈;
    상기 측정 모듈과 상기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배관 본체의 내경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정 모듈의 촬영 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측정 모듈을 회전시키는 짐벌(gimbal);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과 체결되는 구동수단;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
    일단은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충전 수단;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구조 측정장치는,
    상기 관리 단말로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작업모드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되,
    상기 작업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충전량이 기 설정된 임계 충전량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측위 신호를 방사하여 복수의 연결부 각각으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연결부를 검출하고, 검출된 연결부까지 자동 이동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관리 단말로 충전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충전 수단을 연장시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홀 내부에 설치된 상기 충전 포트와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충전 포트에 접속한 상기 관리 단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
  2. 삭제
KR1020200055548A 2020-05-10 2020-05-10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 KR102189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48A KR102189364B1 (ko) 2020-05-10 2020-05-10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48A KR102189364B1 (ko) 2020-05-10 2020-05-10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364B1 true KR102189364B1 (ko) 2020-12-11

Family

ID=7378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548A KR102189364B1 (ko) 2020-05-10 2020-05-10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3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321A (ja) * 1995-09-19 1997-03-28 Tokyo Gas Co Ltd 無線式管内検査装置
KR20070039517A (ko) * 2007-03-22 2007-04-12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공동주택 벽체의 내부배관 보호구
KR101030196B1 (ko) 2010-12-02 2011-04-22 (주)건일엠이씨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
KR101854790B1 (ko) 2017-10-19 2018-05-04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하수이동의 소음을 최소화하는 배관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321A (ja) * 1995-09-19 1997-03-28 Tokyo Gas Co Ltd 無線式管内検査装置
KR20070039517A (ko) * 2007-03-22 2007-04-12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공동주택 벽체의 내부배관 보호구
KR101030196B1 (ko) 2010-12-02 2011-04-22 (주)건일엠이씨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
KR101854790B1 (ko) 2017-10-19 2018-05-04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하수이동의 소음을 최소화하는 배관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1718B (zh) 一种基于tm30的智能机器人监测系统及方法
JP4129442B2 (ja) 移動装置システム
KR102090534B1 (ko) 일체형 맨홀 감시 뚜껑 및 그를 이용한 맨홀 감시 시스템
KR100983015B1 (ko)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JP2011169705A (ja) 傾斜計装置
KR102189364B1 (ko)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
KR101150983B1 (ko) 다축 다기능 멤스 센서를 이용한 변위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수평 변위량 측정 장치
KR101375123B1 (ko) 송전, 변전, 배전용 지중 케이블의 안전진단 시스템
WO1996030719A1 (fr) Appareil d'observation de la surface interieure d'une conduite
BR112021009060A2 (pt) sistemas e metodologia para gerenciamento de construção e posicionamento de equipamento via modelagem de informações de edifícios
KR20170108497A (ko) 하수관로 운영관리를 위한 하수관로 내 환경모니터링용 자주차
KR20120023415A (ko) 배관 내부 검사용 이동 로봇과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
JP6554762B2 (ja) 計測通信システム
US20230187914A1 (en) Cable laying system for automated laying of cables in a building with a cable laying device and cable laying device
CN205785691U (zh) 基于互联网的卫生间漏水检测系统
KR101907058B1 (ko) 전기 케이블 트레이
JP2012002513A (ja) 管路検査装置
KR102297324B1 (ko) 무선전력전송 기능을 가지는 수위측정기의 무선 현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188716A1 (ko) 다축센서를 이용한 거동 측정 및 유지보수 방법
JP2000350322A (ja) ロボ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下水管路内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敷設工法
EP297531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heating and communication in a pipeline system
KR100784328B1 (ko) 하수관 감시 시스템
CN205507116U (zh) 一种输电线路排线管道检测装置
CN219157784U (zh) 下沉式竖井深层水平位移实时监测系统
CN101881156A (zh) 一种用于随钻测量仪器的主测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