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196B1 -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196B1
KR101030196B1 KR1020100121813A KR20100121813A KR101030196B1 KR 101030196 B1 KR101030196 B1 KR 101030196B1 KR 1020100121813 A KR1020100121813 A KR 1020100121813A KR 20100121813 A KR20100121813 A KR 20100121813A KR 101030196 B1 KR101030196 B1 KR 101030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pipe
groov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윤
Original Assignee
(주)건일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일엠이씨 filed Critical (주)건일엠이씨
Priority to KR1020100121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이 내설되는 전기배관 내부에 유입되는 물이나 습기가 전선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에 관한 것이며, 개폐 가능한 박스체(11)의 바닥면 일측에 드레인관(12)이 형성되고, 박스체(11) 하부와 상부에 각각 하부배선관(13)과 상부배선관(14)이 연결되며, 하부배선관(13)과 상부배선관(14)은 전기배관과 연결되어 내부에 전선(15)이 전기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누수차단박스(10); 하부몸체(22)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누수차단박스(10) 내에서 하부배선관(13) 상단에 삽입되고, 하부몸체(22)의 상단에 하부몸체(22)와 일체로 상부몸체(21)가 하부몸체(2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22)의 일측이 절개되어 절개부(23)가 형성되고, 절개부(23) 양쪽면에 전선홈(24)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전선홈(24)에 전선(15)이 삽입되어 절개부(23)가 오무려져 고정되는 밀폐원통체(20); 장방형 탄성판으로 이루어진 상부판(31)과 하부판(32)의 양단에 각각 고정단(31-2)(32-2)이 형성되고, 하부판(32)의 저면에 수직으로 누름판부(33)가 고정되어 밀폐원통체(20)의 상부몸체(21)에 닿아 절개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밀게 되며, 상부판(31)과 하부판(32)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전선홈(31-1)(32-1)이 형성되어 서로 겹쳐져 형성되는 공간에 전선(15)이 삽입되고, 상부판(31)과 하부판(32)의 일측 고정단(31-2)(32-2)에 볼트홀(31-3)(32-3)이 형성되는 스프링고정판(30); 누수차단박스(10) 내부 바닥면 일측에 고정되어 홈부(41)가 형성되고, 홈부(41)에 스프링고정판(30)의 고정단(31-2)(32-2)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브라켓(40); 누수차단박스(10)의 내부 바닥면에서 밀폐원통체(20)를 중심으로 고정브라켓(40)의 반대편 바닥에 가이드판(51)이 고정되고, 가이드판(51)의 상면에 가이드가 형성되어 이동체(52)가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체(52)에 형성되는 홈부에 스프링고정판(30)의 타단이 삽입되어 볼트홀(31-3)(32-3)을 관통하도록 고정볼트(53)가 이동체(52)와 같이 가이드판(51)에 형성된 볼트홀(54)에 고정되는 이동식고정브라켓(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 { A electric cable pipe for preventing water }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전선이 내설되는 전기배관 내부에 유입되는 물이나 습기가 전선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건축물에는 조명기구나 전열기구 등 여러 가지 전기기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이 설치되어야만 하고, 이러한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전기배관을 설치하여야만 한다.
화장실이나 부엌과 같이 습기가 많은 곳에서는 반드시 케이블관을 설치하여 케이블이 물이나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케이블관은 화장실이나 부엌의 바닥면에 매립되는 부분과 바닥면 상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존재하게 되는데, 바닥면 상측으로 노출되는 케이블관도 완벽히 밀폐된 하나의 제품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고 이음관을 사용하여 복수개의 관을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하므로, 이러한 이음관을 통하여 물이나 습기가 들어가고 이렇게 들어간 물이나 습기는 바닥면에 평평하게 매립된 케이블관까지 유입되어 그 곳에서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렇게 정체된 물이나 습기는 케이블에 반응하여 누전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한 일례로 선등록된 등록특허 제 10-0846618호가 잘 알려져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케이블관이 설치되는 누수차단박스와, 케이블관의 개방된 상단부를 밀폐하는 밀폐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폐수단은 서로 합체하여 상기 하부케이블관의 개방된 상단부를 밀폐하는 제 1,2가스켓과, 상기 제 1,2가스켓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스켓 고정캡과, 상기 누수차단박스의 하면 상측에 일직선상으로 직립설치되는 2개의 직립체결볼트와, 상기 가스켓 고정캡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직립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밴드와, 상기 직립체결볼트에 나선결합하는 가압너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는 상부케이블관 및 하부케이블관에 밀폐고정되고 배수홀이 형성된 누수차단박스가 설치되어 물이나 습기가 상부케이블관을 통하여 유입된다 하더라도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는 가스켓은 고정캡에 의해서만 결합고정되는 구조여서 불편하고, 체결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누수차단박스를 전기배관 사이에 설치하고, 하부배선관의 단부에 쉽게 삽입하여 고정할수 있도록 밀폐원통체를 구비하며, 밀폐원통체는 스프링고정판으로 고정하는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전선을 간편하게 밀폐원통체로 감쌀 수 있게 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밀폐원통체가 전선을 통해 배관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2단계 이상으로 수밀 구조를 가지도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한 박스체(11)의 바닥면 일측에 드레인관(12)이 형성되고, 박스체(11) 하부와 상부에 각각 하부배선관(13)과 상부배선관(14)이 연결되며, 하부배선관(13)과 상부배선관(14)은 전기배관과 연결되어 내부에 전선(15)이 전기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누수차단박스(10); 하부몸체(22)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누수차단박스(10) 내에서 하부배선관(13) 상단에 삽입되고, 하부몸체(22)의 상단에 하부몸체(22)와 일체로 상부몸체(21)가 하부몸체(2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22)의 일측이 절개되어 절개부(23)가 형성되고, 절개부(23) 양쪽면에 전선홈(24)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전선홈(24)에 전선(15)이 삽입되어 절개부(23)가 오무려져 고정되는 밀폐원통체(20); 장방형 탄성판으로 이루어진 상부판(31)과 하부판(32)의 양단에 각각 고정단(31-2)(32-2)이 형성되고, 하부판(32)의 저면에 수직으로 누름판부(33)가 고정되어 밀폐원통체(20)의 상부몸체(21)에 닿아 절개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밀게 되며, 상부판(31)과 하부판(32)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전선홈(31-1)(32-1)이 형성되어 서로 겹쳐져 형성되는 공간에 전선(15)이 삽입되고, 상부판(31)과 하부판(32)의 일측 고정단(31-2)(32-2)에 볼트홀(31-3)(32-3)이 형성되는 스프링고정판(30); 누수차단박스(10) 내부 바닥면 일측에 고정되어 홈부(41)가 형성되고, 홈부(41)에 스프링고정판(30)의 고정단(31-2)(32-2)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브라켓(40); 누수차단박스(10)의 내부 바닥면에서 밀폐원통체(20)를 중심으로 고정브라켓(40)의 반대편 바닥에 가이드판(51)이 고정되고, 가이드판(51)의 상면에 가이드가 형성되어 이동체(52)가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체(52)에 형성되는 홈부에 스프링고정판(30)의 타단이 삽입되어 볼트홀(31-3)(32-3)을 관통하도록 고정볼트(53)가 이동체(52)와 같이 가이드판(51)에 형성된 볼트홀(54)에 고정되는 이동식고정브라켓(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밀폐원통체(20)의 전선홈(24) 일측에 패드홈(24-1)이 형성되어 수반응성 발포패드(24-2)가 고정되어 전선(15)과 밀착되고, 발포패드(24-2)의 상 하의 절개부(23) 면에 횡으로 수밀돌기(25)와 수밀돌기홈(25-1)이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며, 절개부(23) 면 일측에 돌기홈(26)과 돌기(26-1)가 형성되어 절개부(23)가 오무려졌을 때 서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기 배관내부로 물이 들어가지 않게 되어 물에 의한 누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밀폐원통체는 갈라진 절개부를 통해 전선을 전선홈에 삽입한 후 오무려 하부배선관에 삽입하면 간단하게 밀폐되어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선홈을 통해 물이 스며들면 물에 의해 발포되는 발포패드가 부풀어올라 물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밀돌기가 수밀돌기홈과 맞물리면서 물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스프링고정판을 이동식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끼워 고정하면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의 밀폐원통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의 밀폐원통체를 도시한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의 밀폐원통체를 도시한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의 스프링고정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의 스프링고정판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의 고정브라켓과 이동식고정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의 스프링고정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의 스프링고정판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누수차단박스를 전기배관 사이에 두어 전기배관으로 누수되어 누전이 되지 않게 한 것으로서, 누수차단박스(10) 내부에서 하부배선관(13)으로 전선(15)을 감싸는 밀폐원통체(20)를 삽입하고, 밀폐원통체(20)를 스프링고정판(30)으로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누수차단박스(10)는 개폐 가능한 박스체(11)의 바닥면 일측에 드레인관(12)이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밖으로 배출시키고, 박스체(11) 하부와 상부에 각각 하부배선관(13)과 상부배선관(14)이 연결된다. 하부배선관(13)과 상부배선관(14)은 전기배관과 연결되어 전기배관의 전선(15)이 상부배선관(14)과 하부배선관(13)으로 부터 누수차단박스(10)로 들어오게 된다.
밀폐원통체(20)는 우레탄 재질로 하부몸체(22)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누수차단박스(10) 내에서 하부배선관(13) 상단에 삽입되고, 하부몸체(22)의 상단에 하부몸체(22)와 일체로 상부몸체(21)가 하부몸체(2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하부배선관(13)의 상단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22)의 일측이 절개되어 절개부(23)가 형성되고, 절개부(23) 양쪽면에 전선홈(24)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절개부(23)는 밀폐원통체(20)의 원 중심을 지나도록 형성되어 직경의3/2 이상 5/4 이하로 형성된다.
밀폐원통체(20)의 전선홈(24)에 전선(15)이 삽입된 후 절개부(23)가 오무려져 하부배선관(13)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스프링고정판(30)은 장방형 탄성판으로 이루어진 상부판(31)과 하부판(32)의 양단에 각각 고정단(31-2)(32-2)이 형성되고, 하부판(32)의 저면에 수직으로 누름판부(33)가 한쌍 고정되어 밀폐원통체(20)의 상부몸체(21)에 닿아 절개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밀게 된다. 누름판부(33)의 단부는 절곡되어 밀폐원통체(20)의 상부몸체(21)를 잘 밀 수 있게 형성되고, 상부몸체(21)와 누름판부(33)가 닿는 곳에 홈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잘 밀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고정판(30)은 상부판(31)과 하부판(32)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전선홈(31-1)(32-1)이 각각 형성되어 상부판(31)과 하부판(32)이 서로 겹쳐질 때 상기 전선홈(31-1)(32-1)에 의하여 전선(15)이 들어갈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에 전선(15)이 삽입되고, 상부판(31)과 하부판(32)의 일측 고정단(31-2)(32-2)에 볼트홀(31-3)(32-3)이 형성되어 후술할 이동식고정브라켓(50)의 이동체(52)로 삽입되어 고정볼트(53)로 위치가 고정된다.
스프링고정판(30)의 양단의 고정단이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40)과 이동식고정브라켓(50)은 누수차단박스(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다.
고정브라켓(40)은 누수차단박스(10) 내부 바닥면 일측에 고정되어 홈부(41)가 형성되고, 홈부(41)에 스프링고정판(30)의 일측 고정단(31-2)(32-2)이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스프링고정판(30)의 타단을 이동식고정브라켓(50)에 고정한다.
이동식고정브라켓(50)은 누수차단박스(10)의 내부 바닥면에서 밀폐원통체(20)를 중심으로 고정브라켓(40)의 반대편 바닥에 가이드판(51)이 고정되고, 가이드판(51)의 상면에 가이드가 형성되어 이동체(52)가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판(51)의 상면에 다수개의 볼트홀(54)이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볼트(53)가 이동체(52)와 같이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동체(52)의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홀이 이동체(52)에 형성되고, 볼트홀에 고정볼트(53)가 체결된다.
이동체(52)에 형성되는 홈부에 스프링고정판(30)의 타단을 삽입한 후에 볼트홀(31-3)(32-3)을 관통하도록 고정볼트(53)를 삽입하여 이동체(52)를 밀어 누름판부(33)가 밀폐원통체(20)의 상부몸체(21)를 누르도록 한 후에 고정볼트(53)를 이동체(52)와 같이 가이드판(51)에 형성된 볼트홀(54)에 고정시키면 고정이 완료된다.
상기 밀폐원통체(20)의 전선홈(24) 일측에 패드홈(24-1)이 형성되어 수반응성 발포패드(24-2)가 고정되어 전선(15)과 밀착되고, 발포패드(24-2)의 상 하의 절개부(23) 면에 횡으로 수밀돌기(25)와 수밀돌기홈(25-1)이 서로 맞물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절개부(23) 면 일측에 돌기홈(26)과 돌기(26-1)가 형성되어 절개부(23)가 오무려졌을 때 서로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누수차단박스 11 : 박스체
12 : 드레인관 13 : 하부밴선관
14 : 상부배선관 15 : 전선
20 : 밀폐원통체 21 : 상부몸체
22 : 하부몸체 23 : 절개부
24 : 전선홈 24-1 : 패드홈
24-2 : 발포패드 25 : 수밀돌기
25-1 : 수밀돌기홈 26 : 돌기홈
26-1 : 돌기 30 : 스프링고정판
31 : 상부판 32 : 하부판
31-1, 32-1 : 전섬홈부 31-2, 32-2 : 고정단
31-3, 32-3 : 볼트홀 33 : 누름판부
40 : 고정브라켓 41 : 홈부
50 : 이동식고정브라켓 51 : 가이드판
52 : 이동체 53 : 고정볼트
54 : 볼트홀

Claims (2)

  1. 삭제
  2. 개폐 가능한 박스체(11)의 바닥면 일측에 드레인관(12)이 형성되고, 박스체(11) 하부와 상부에 각각 하부배선관(13)과 상부배선관(14)이 연결되며, 하부배선관(13)과 상부배선관(14)은 전기배관과 연결되어 내부에 전선(15)이 전기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누수차단박스(10); 하부몸체(22)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누수차단박스(10) 내에서 하부배선관(13) 상단에 삽입되고, 하부몸체(22)의 상단에 하부몸체(22)와 일체로 상부몸체(21)가 하부몸체(2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22)의 일측이 절개되어 절개부(23)가 형성되고, 절개부(23) 양쪽면에 전선홈(24)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전선홈(24)에 전선(15)이 삽입되어 절개부(23)가 오무려져 고정되는 밀폐원통체(20); 장방형 탄성판으로 이루어진 상부판(31)과 하부판(32)의 양단에 각각 고정단(31-2)(32-2)이 형성되고, 하부판(32)의 저면에 수직으로 누름판부(33)가 고정되어 밀폐원통체(20)의 상부몸체(21)에 닿아 절개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밀게 되며, 상부판(31)과 하부판(32)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전선홈(31-1)(32-1)이 형성되어 서로 겹쳐져 형성되는 공간에 전선(15)이 삽입되고, 상부판(31)과 하부판(32)의 일측 고정단(31-2)(32-2)에 볼트홀(31-3)(32-3)이 형성되는 스프링고정판(30); 누수차단박스(10) 내부 바닥면 일측에 고정되어 홈부(41)가 형성되고, 홈부(41)에 스프링고정판(30)의 고정단(31-2)(32-2)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브라켓(40); 누수차단박스(10)의 내부 바닥면에서 밀폐원통체(20)를 중심으로 고정브라켓(40)의 반대편 바닥에 가이드판(51)이 고정되고, 가이드판(51)의 상면에 가이드가 형성되어 이동체(52)가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체(52)에 형성되는 홈부에 스프링고정판(30)의 타단이 삽입되어 볼트홀(31-3)(32-3)을 관통하도록 고정볼트(53)가 이동체(52)와 같이 가이드판(51)에 형성된 볼트홀(54)에 고정되는 이동식고정브라켓(50);으로 구성된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에 있어서,
    밀폐원통체(20)의 전선홈(24) 일측에 패드홈(24-1)이 형성되어 수반응성 발포패드(24-2)가 고정되어 전선(15)과 밀착되고, 발포패드(24-2)의 상 하의 절개부(23) 면에 횡으로 수밀돌기(25)와 수밀돌기홈(25-1)이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며, 절개부(23) 면 일측에 돌기홈(26)과 돌기(26-1)가 형성되어 절개부(23)가 오무려졌을 때 서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
KR1020100121813A 2010-12-02 2010-12-02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 KR101030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813A KR101030196B1 (ko) 2010-12-02 2010-12-02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813A KR101030196B1 (ko) 2010-12-02 2010-12-02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196B1 true KR101030196B1 (ko) 2011-04-22

Family

ID=4405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813A KR101030196B1 (ko) 2010-12-02 2010-12-02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1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036B1 (ko) 2020-03-17 2020-08-27 김성수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189364B1 (ko) 2020-05-10 2020-12-11 사공주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0849A (ja) 2004-08-06 2006-02-16 Fujikura Ltd ケーブル接続部の遮水構造
KR100846618B1 (ko) 2007-12-28 2008-07-17 (주)성우엔지니어링 수건축사사무소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KR100871166B1 (ko) * 2008-08-13 2008-12-05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KR100914773B1 (ko) 2009-06-17 2009-08-31 주식회사 시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0849A (ja) 2004-08-06 2006-02-16 Fujikura Ltd ケーブル接続部の遮水構造
KR100846618B1 (ko) 2007-12-28 2008-07-17 (주)성우엔지니어링 수건축사사무소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KR100871166B1 (ko) * 2008-08-13 2008-12-05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KR100914773B1 (ko) 2009-06-17 2009-08-31 주식회사 시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036B1 (ko) 2020-03-17 2020-08-27 김성수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189364B1 (ko) 2020-05-10 2020-12-11 사공주 전기 공사용 배관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8649B2 (en) Lead-through
KR101030196B1 (ko) 공동주택의 누수차단용 전기 배관 구조
KR100777263B1 (ko)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0889357B1 (ko) 지중 배전용 배관파이프 방수구조
GB2420916A (en) Sealed junction for trunking.
KR101873957B1 (ko) 변전소의 절연용 방호구 설비
KR100674262B1 (ko) 변전소 고압케이블 접속부 누수방지구조
KR101360778B1 (ko)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WO2006062469A1 (en) Frame and method of comprising one or more elastic modules for cable entries, pipe penetrations or the like.
AU2015255188B2 (en) Trap cover and fastener arrangement
KR102315996B1 (ko) 변전소의 송배전 선로 연결장치
KR101996303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로 누수차단용 배관구조
KR100846618B1 (ko)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KR100914773B1 (ko)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CN209434805U (zh) 一种电缆管孔柔性环保阻燃防水防腐封堵装置
KR10080974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장치
RU17767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лотнения вставленных в отверстие конструкции коммуникаций при значительных перемещениях коммуникаций
KR102290377B1 (ko) 변전소의 누전 감시장치
KR102075294B1 (ko) 전선 접속기구용 방수방진 커버
EP2679871B1 (en) Device for leading through hoses, pipes, cables, and the like
EP2424057B1 (en) An electrical conduit system and sealing device therefor
KR200226282Y1 (ko) 조립식 욕실용 보조 배수트랩
KR102397689B1 (ko)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KR100777613B1 (ko) 공동주택용 나선형 천장 전기단자함
JP2008291878A (ja) 貫通配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