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914B1 -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나트륨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나트륨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914B1
KR102188914B1 KR1020140081606A KR20140081606A KR102188914B1 KR 102188914 B1 KR102188914 B1 KR 102188914B1 KR 1020140081606 A KR1020140081606 A KR 1020140081606A KR 20140081606 A KR20140081606 A KR 20140081606A KR 102188914 B1 KR102188914 B1 KR 102188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sodium seconda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384A (ko
Inventor
이승옥
고원상
김정수
박대인
채제현
최남순
장준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1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9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9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working at high temperature
    • H01M10/399Cells with molten sa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4Accumulators with insertion or intercalation of metals other than lithium, e.g. with magnesium or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48Molten electrolytes used at high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나트륨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나트륨을 함유하는 음극, 전이금속 및 12 내지 14족 금속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는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양극의 사이에 구비되는 나트륨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이 1종 이상의 유기화합물과 나트륨용융염을 함유하는 전해질에 함침되는 나트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나트륨 이차전지{Electrolyte for Sodium Secondary Battery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나트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에너지의 이용이 급격히 증가되면서, 배터리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중에는 납 전지, 니켈/수소 전지, 바나듐 전지 및 리튬 전지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납 전지, 니켈/수소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매우 작아서 동일한 용량의 에너지를 저장하려면 많은 공간을 필요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나듐 전지의 경우에는 중금속이 함유된 용액을 사용함으로 인한 환경 오염적 요소와 음극과 양극을 분리하는 멤브레인을 통해 음극과 양극간의 물질이 소량씩 이동함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대규모로 상업화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에너지 밀도 및 출력 특성이 매우 우수한 리튬 전지의 경우에는 기술적으로 매우 유리하나, 리튬 재료의 자원적 희소성으로 인해 대규모 전력저장용 이차전지로 사용하기에는 경제성이 부족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원적으로 지구상에 풍부한 나트륨을 이차 전지의 재료로 이용하고자 하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그 중, 미국 공개특허 제20030054255호와 같이, 나트륨 이온에 대한 선택적 전도성을 지닌 베타 알루미나를 이용하고, 음극에는 나트륨을 양극에는 황을 담지한 형태의 나트륨 유황 전지는 현재 대규모 전력 저장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트륨-유황 전지 혹은 나트륨-염화니켈 전지와 같은 기존의 나트륨 기반의 이차 전지는 전도도 및 전지 구성물의 녹는 점을 고려하여, 나트륨-염화니켈 전지와 같은 경우에는 최소 250℃ 이상에서 작동해야 하고, 나트륨-유황 전지의 경우에는 최소 300℃ 이상의 작동 온도를 갖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온도 유지, 기밀성 유지, 안전성 측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제작상 혹은 운영상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많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온(Room temperature)형의 나트륨 기반의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나, 출력이 매우 낮아 니켈-수소 전지 혹은 리튬 전지에 비해 경쟁력이 매우 떨어지고 있다.
미국 공개특허 제20030054255호
본 발명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나트륨용융염에 유기화합물이 첨가되어 녹는점이 저하된 전해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동시에, 녹는점이 저하되면서도 이온전도도의 급격한 저하 발생 없이 전지구동이 가능한 전해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는 종래의 나트륨용융염 전해질에 비하여 녹는점이 낮은 전해질을 채용하여, 저온 동작 가능하고, 열화가 방지되어 전지의 수명이 향상되며, 높은 이온전도도를 가지는 비휘발성 및 비폭발성의 나트륨 이차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다른 목적은 나트륨 이차전지가 저온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나트륨용융염 99.9 내지 80 wt% 및 니트릴 유기화합물 0.1 내지 20 w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에 있어서, 니트릴 유기화합물은 아디포니트릴, 석시노니트릴 및 세바코니트릴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에 있어서, 나트륨용융염은 나트륨알루미늄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에 따라 150℃ 이하의 녹는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에 따라 용융 시 이온전도도가 200ms/cm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이 채용된 나트륨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는, 나트륨을 함유하는 음극, 전이금속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는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양극의 사이에 구비되는 나트륨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이 나트륨용융염 99.9 내지 80 wt% 및 니트릴 유기화합물 0.1 내지 20 wt%를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에 함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 있어서, 니트릴 유기화합물은 아디포니트릴, 석시노니트릴 및 세바코니트릴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 있어서, 나트륨용융염은 나트륨알루미늄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 있어서, 전해질은 150℃ 이하의 녹는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 있어서, 전해질은 용융 시 이온전도도가 200ms/c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 있어서, 음극은 용융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 있어서, 양극은 니켈, 구리, 철, 망간, 코발트 및 이들의 합금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에 따라, 120 내지 200℃의 운전온도 범위에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는 종래의 나트륨용융염 전해질에 비하여 녹는점이 낮은 전해질을 채용하여, 저온 동작 가능하고, 열화가 방지되어 전지의 수명이 향상되며, 높은 이온전도도를 가지는 것과 동시에 비휘발성 및 비폭발성 특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는 저온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나트륨 이차전지의 순환전압분석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제브라(ZEBRA) 전지 등의 이차전지의 전해질로서 나트륨알루미늄클로라이드(NaAlCl4) 용융염 전해질이 채용되어 왔다. 이러한 나트륨알루미늄클로라이드(NaAlCl4) 용융염은 나트륨 이차전지의 안정성 및 이온전도도의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왔다.
그러나, 나트륨알루미늄클로라이드(NaAlCl4) 용융염 전해질이 채용된 이차전지의 작동 온도가 실질적으로 300℃에 달하여 매우 높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한계점을 개선하여 녹는점이 낮으면서도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갖는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채용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작동 가능한 이차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전해질은 적어도 2종이상의 염이 혼합된 상태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나트륨 이차전지의 전해질은 나트륨용융염에 적어도 1종 이상의 니트릴 유기화합물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해질의 나트륨용융염은 종래 나트륨 이차전지용 용융염 전해질로서 사용 가능한 전해질 물질이라면 크게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트륨용융염의 구체적인 일례로는 나트륨알루미늄클로라이드(NaAlCl4), 나트륨브롬클로라이드(NaBrCl4), 나트륨요오드클로라이드(NaICl4)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녹는점과 이온전도도 및 이온화도의 측면에서 나트륨알루미늄클로라이드(NaAlCl4)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나트륨용융염에 첨가되는 유기화합물은 내환원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며, 녹는점을 낮추면서도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니트릴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니트릴 유기화합물의 구체적이며 바람직한 일례로는 아디포니트릴, 석시노니트릴 및 세바코니트릴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해질의 녹는점을 낮추는 측면에서 석시노니트릴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또는 녹는점을 낮추면서도 전지구동에 효율적인 이온전도도를 보장하기 위한 측면에서 아디포니트릴, 세바코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질은 전해질의 녹는점을 효율적으로 낮추기 위한 측면에서 나트륨용융염 99.9 내지 80 wt% 및 니트릴 유기화합물 0.1 내지 20 w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니트릴 유기화합물을 함유함에 따라 전해질의 녹는점을 낮추면서도 원활한 전지구동을 위한 이온전도도를 보장하고 제조비용을 저감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나트륨용융염 90 내지 99 wt% 및 니트릴 유기화합물 1 내지 10 wt%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해질 내 나트륨용융염의 함량이 99.9 wt%를 초과하거나 니트릴 유기화합물 함량이 0.1wt% 미만이면 전해질의 녹는점의 저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전해질 내 나트륨용융염의 함량이 80 wt% 미만이거나 유기화합물의 함량이 20wt%를 초과하면 이온전도도가 낮아 전지 구동이 불가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전해질은 전술된 바에 따라 나트륨용융염 99.9 내지 80 wt% 및 니트릴 유기화합물 0.1 내지 20 wt%를 포함하는 전해질로 구성됨에 따라, 놀랍게도 전해질의 녹는점이 낮아지게 되며, 구체적으로는 전해질의 녹는점을 150℃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이는 전해질이 나트륨용융염과 니트릴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상태의 전해질로 구성됨에 따라, 니트릴 유기화합물이 나트륨용융염의 안정된 결정 상태를 방해하여 격자 형태가 불안정해지면서 전해질의 녹는점이 낮아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전해질의 녹는점이 저하되면서도 놀랍게도 전해질의 이온전도도가 일정 수준 이상임에 따라,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의 효율적인 저온 구동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약 180℃의 온도에서 100ms/c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ms/cm 이상인 특징이 있다.
한편, 전술된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이 채용된 나트륨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트륨을 함유하는 음극, 전이금속을 함유하는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양극의 사이에 구비되는 나트륨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이 전해질에 함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전해질은 적어도 2종 이상의 염이 혼합된 상태의 전해질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나트륨 이차전지의 전해질은 나트륨용융염 및 니트릴 유기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트륨 이차전지의 전해질은 나트륨용융염 99.9 내지 80 wt% 및 니트릴 유기화합물 0.1 내지 20 w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해질의 나트륨용융염은 종래 나트륨 이차전지용 용융염 전해질로서 사용 가능한 전해질 물질이라면 크게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트륨용융염의 구체적인 일례로는 나트륨알루미늄클로라이드(NaAlCl4), 나트륨브롬클로라이드(NaBrCl4), 나트륨요오드클로라이드(NaICl4)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녹는점과 이온전도도 및 이온화도의 측면에서 나트륨알루미늄클로라이드(NaAlCl4)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나트륨용융염에 첨가되는 유기화합물은 내환원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며, 녹는점을 낮추면서도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니트릴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니트릴 유기화합물의 구체적이며 바람직한 일례로는 아디포니트릴, 석시노니트릴 및 세바코니트릴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해질의 녹는점을 낮추는 측면에서 석시노니트릴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또는 녹는점을 낮추면서도 전지구동에 효율적인 이온전도도를 보장하기 위한 측면에서 아디포니트릴, 세바코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 채용되는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의 구성은 전술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된 바에 따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 있어서, 음극은 금속 나트륨 또는 나트륨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비 한정적인 일 예로, 나트륨합금은 소듐과 세슘, 소듐과 루비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음극활물질은 전지의 작동 온도에서 고상 또는 용융상을 포함한 액상일 수 있다. 이때, 전지의 용량을 50Wh/kg 이상 구현하기 위해, 음극활물질은 용융 소듐(molten Na)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 있어, 나트륨 이차전지의 양극은 전이금속을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전이금속은 구리, 은, 금, 니켈, 팔라듐, 백금, 코발트, 로듐, 이리듐, 철, 망간, 크롬, 바나듐, 몰리브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니켈(Ni), 구리(Cu), 철(Fe), 망간(Mn), 코발트(Co) 및 이들의 합금 중 선택된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 있어, 고체전해질은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구비되며, 나트륨 이온전도성 고체전해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나트륨 이온전도성 고체전해질은 양극과 음극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며 나트륨 이온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도성을 갖는 물질이면 무방하며, 나트륨 이온의 선택적 전도를 위해 전지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체전해질이면 족하다. 비한정적인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고체전해질은 나트륨초이온전도체(Na super ionic conductor, NaSICON), β-알루미나 또는 β"-알루미나일 수 있다. 또한, 비한정적인 일 예로, 나트륨초이온전도체(NASICON)는 Na-Zr-Si-O계의 복합산화물, Na-Zr-Si-P-O계의 복합산화물, Y 도핑된 Na-rZ-Si-P-O계의 복합산화물, Fe 도핑된 Na-Zr-Si-P-O계의 복합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 Na3Zr2Si2PO12, Na1+xSixZr2P3-xO12 (1.6<x<2.4인 실수), Y 또는 Fe가 도핑 Na3Zr2Si2PO12, Y 또는 Fe 도핑된 Na1+xSixZr2P3-xO12 (1.6<x<2.4 인 실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 있어, 음극과 양극을 분리하여 음극 공간과 양극 공간을 구획하게 되는 고체전해질의 형상을 기준으로, 나트륨 이차전지는 평판 형상의 고체전해질을 포함하는 평판형 전지 구조 또는 일단이 밀폐된 튜브 형상의 고체전해질을 포함하는 튜브형 전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는 전지구동 온도 범위에서 액상의 전해질이 채용됨에 따라 충방전 반응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충방전 반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 반응식1 및 반응식2에 따른 충방전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때 하기 반응식1 및 반응식2는 양극물질을 니켈(Ni)로 채용하고 음극물질을 염화나트륨(NaCl)로 채용하며, 전해질로서 석시노니트릴과 나트륨알루미늄클로라이드(NaAlCl4)를 포함하는 전해질이 채용된 경우의 충방전 반응을 일례로 설명한 것이며,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전해질은 5wt%(11.2mol%)의 석시노니트릴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는 하기 반응식1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고 하기 반응식2에 의해 방전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전지의 충전 및 방전 반응은 나트륨 이차전지의 양극 상에서 일어날 수 있다.
반응식1
Ni + 2NaCl -> NiCl2 + 2Na++2e-
반응식2
NiCl2 + 2Na++2e- -> Ni + 2NaCl
이때, 본 발명은 나트륨 이차전지임에 따라, 전지의 충전반응에 따라 생성된 알칼리금속이온(즉, 나트륨이온)은 전지 내 고체전해질을 통과하여 음극에 직접 전달되는 이온전도(수송) 물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이 나트륨 이온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해질로부터 해리된 나트륨 이온 또한 이온전도(수송) 물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나트륨 이온전지의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나트륨 기반의 이차전지는 전도도 및 전지 구성물의 녹는점을 고려하여, 나트륨-염화니켈 전지와 같은 경우에는 최소 250℃ 이상에서 작동해야 하고, 나트륨-유황 전지의 경우에는 최소 300℃ 이상의 작동 온도를 갖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전해질은 나트륨용융염과 함께 유기화합물을 함유함에 따라, 전해질 내에서 유기화합물이 나트륨용융염의 안정적인 결정화를 방해하여, 전해질의 이온전도도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녹는점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전해질을 나트륨 이차전지에 채용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전지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운전온도는 300℃ 이하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20℃ 이상 300℃ 이하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20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약 180℃의 온도에서 100ms/cm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ms/cm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술한다.
[전해질]
NaAlCl4 나트륨용융염에 본 발명에 따른 유기화합물을 첨가 혼합하여 전해질을 제조하고, 이의 용융온도(녹는점) 및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14061844743-pat00001
이때, 유기화합물(A)의 함량은 전체 전해질에 함유된 총 유기화합물의 함량을 의미하며, 하기 계산식에 따라 계산되었다.
유기화합물의 함량(wt%) = (A)중량/(A+B)중량 x 100
여기서, A는 니트릴 유기화합물이며, B는 나트륨용융염이며, (A)중량은 니트릴 유기화합물의 총 중량이며, (A+B)중량은 전해질의 총 중량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1의 나트륨알루미늄클로라이드(NaAlCl4) 만으로 이루어진 용융염전해질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 전해질 실시예1~3의 녹는점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1~3의 이온전도도 또한 일정범위 이상의 고효율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록 실시예1~3에 따른 전해질에서 모두 이온전도도의 향상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전지의 용도에 따라 이온전도도의 정도는 선택적으로 채용 가능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약 180℃의 온도에서 100ms/cm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ms/cm 이상임을 알 수 있다.
다만, 전해질의 녹는점을 낮추는 측면에서 실시예1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녹는점을 낮추면서도 전지구동에 효율적인 이온전도도를 보장하기 위한 측면에서 실시예2 또는 실시예3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해질의 채용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작동]
본 발명에 따라 양쪽 셀(Full cell)형태로 제조된 나트륨 이차전지의 순환전압분석법(Cycle Voltametry Potential Waveform)을 실시하여 나트륨 이차전지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이때, 순환전압분석법이란 전류변화에 따른 전류값을 얻기 위한 실험으로서, 실험응용별 작업전극의 전위를 초기 전위로부터 산화(환원), 환원한계전위(산화한계전위)를 거쳐 원래의 전위로 되돌아오도록 전위를 시간에 따라 변환시키면서 전류값을 얻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험실시에 있어서, 니켈(Ni) 양극, 용융나트륨 음극 및 NaSICON 고체전해질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양극을 전술된 비교예1, 실시예2 및 3의 전해질에 함침하여 나트륨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양쪽 셀 형태의 나트륨 이차전지(실시예2 및 실시예3)가 약 180℃의 운전온도 환경에서 원활히 작동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비교예1에 따라 제조된 양쪽 셀 형태의 나트륨 이차전지(비교예1)에 비하여 구동 전압 범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는 종래의 나트륨용융염 전해질에 비하여 녹는점이 낮은 전해질을 채용하여, 저온 동작 가능하고, 열화가 방지되어 전지의 수명이 향상되며, 높은 이온전도도를 가지는 것과 동시에 비휘발성 및 비폭발성 특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는 저온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나트륨 이차전지
10: 음극
30: 양극
35: 전해질
50: 고체전해질

Claims (9)

  1. 나트륨용융염 99.9 내지 80 wt% 및 니트릴 유기화합물 0.1 내지 20 wt%를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전지용 용융염 전해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릴 유기화합물은 아디포니트릴, 석시노니트릴 및 세바코니트릴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나트륨 이차전지용 용융염 전해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트륨용융염은 나트륨알루미늄클로라이드인 나트륨 이차전지용 용융염 전해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150℃ 이하의 녹는점을 가지는 나트륨 이차전지용 용융염 전해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용융 시 이온전도도가 200ms/cm 이상인 나트륨 이차전지용 용융염 전해질.
  6.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나트륨 이차전지용 용융염 전해질에 함침되며,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양극;
    나트륨을 함유하는 음극; 및
    상기 음극과 양극의 사이에 구비되는 나트륨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을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용융나트륨을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전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니켈, 구리, 철, 망간, 코발트 및 이들의 합금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전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트륨 이차전지는 운전온도가 120 내지 200℃인 나트륨 이차전지.
KR1020140081606A 2014-07-01 2014-07-01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나트륨 이차전지 KR102188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606A KR102188914B1 (ko) 2014-07-01 2014-07-01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나트륨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606A KR102188914B1 (ko) 2014-07-01 2014-07-01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나트륨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84A KR20160003384A (ko) 2016-01-11
KR102188914B1 true KR102188914B1 (ko) 2020-12-09

Family

ID=5516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606A KR102188914B1 (ko) 2014-07-01 2014-07-01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나트륨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9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14235D0 (en) * 1983-05-23 1983-06-29 Ind Distributors Shannon Ltd Electrochemical cell
JP4076331B2 (ja) 2001-09-20 2008-04-16 日本碍子株式会社 正極集電体及びこれを用いたナトリウム−硫黄電池
JP2009132593A (ja) * 2007-10-30 2009-06-18 Sumitomo Chemical Co Ltd 炭素材料及び該炭素材料を有する電極
KR20110138163A (ko) * 2010-06-18 2011-12-26 소니 주식회사 비수 전해질 및 비수 전해질 전지
KR101353601B1 (ko) * 2011-12-27 2014-01-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나트륨 메탈 할라이드 전지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84A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3337B2 (en) Sodium secondary battery
CA2983001C (en) Sodium-aluminum battery with sodium ion conductive ceramic separator
US9537179B2 (en) Intermediate temperature sodium-metal halide battery
JP6470901B2 (ja) 組成物、エネルギー貯蔵装置および関連する工程
KR102315551B1 (ko)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나트륨 이차전지
US9748564B2 (en) Electrode compositions and related energy storage devices
JP5892490B2 (ja) 硫黄系二次電池
US10256510B2 (en) Electrolyte for sodium secondary battery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2276169B1 (ko)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나트륨 이차전지
DK3050153T3 (en) MIDDLE-TEMPERATURE SODIUM METAL HALOGENIDE BATTERY
KR20150036573A (ko) 나트륨을 갖는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장치
KR102203628B1 (ko) 나트륨 이차전지
KR102188914B1 (ko)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나트륨 이차전지
KR102363506B1 (ko) 나트륨 이차전지
KR102163589B1 (ko) 나트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나트륨 이차전지
KR20160028748A (ko) 나트륨 이차전지
KR20140137393A (ko) 풀러렌 및 이온성 액체의 현탁액을 함유하는 전기화학 반전지를 갖는 갈바닉 전지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 또는 에너지 전환 장치
US20160104890A1 (en) Electrode compositions and related energy storage devices
KR102559228B1 (ko) 나트륨 이차전지
KR102289711B1 (ko) 나트륨 이차전지 양극전해질 및 이를 함유하는 나트륨 이차전지
JP2013211170A (ja) 蓄電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