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549B1 - 정전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정전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549B1
KR102188549B1 KR1020200055367A KR20200055367A KR102188549B1 KR 102188549 B1 KR102188549 B1 KR 102188549B1 KR 1020200055367 A KR1020200055367 A KR 1020200055367A KR 20200055367 A KR20200055367 A KR 20200055367A KR 102188549 B1 KR102188549 B1 KR 102188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multilayer
fabric
mask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김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filed Critical 김용철
Priority to KR102020005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 D04B9/0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for interlock goods

Landscapes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표면 편직물, 이면 편직물 및 연결 루프를 포함하는 다층 편직물에 있어서, 마스크용 원단으로 적용 시 필터 성능이 보다 향상된 다층 편직물과 이를 이용한 마스크용 필터 및 마스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표면 편직물; 이면 편직물; 및 상기 표면 편직물 및 상기 이면 편직물을 결착시키는 연결 루프;를 포함하는 다층 편직물이고, 상기 연결 루프는 동도전사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 편직물은 수직 단면 형상이 상기 표면 편직물 단면이 외반경 및 상기 이면 편직물 단면이 내반경을 이루는 아치 형상인 다층 편직물과 이를 이용한 마스크용 필터 및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전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Multi-layer knit fabics having improved electrostatic filter propertie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뿐 아니라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문제가 전세계적 해결과제로 대두되면서 마스크의 중요성이 무엇보다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KF80, KF94, KF99 등의 성능 인증 마스크는 부직포 형태의 필터 소재를 채용하고 있으나, 세정 내지 세척 시 필터 성능 저하로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편직물 형태의 마스크로서, 심리스 환편기로 제조되는 무봉제 마스크가 제시되고 있다. 편직물 형태의 마스크는 부직포 형태의 마스크와 달리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바이러스나 세균은 물론 분진 포집 성능이 낮은 문제가 있다.
양면 환편기를 이용하여 표면 편물과 이면 편물을 수직하는 루프로 결착하도록 편직된 3층 편물이 개시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60878호에서는 소수성 표면조직층, 소수성 이면조직층 및 이들을 결착시켜주는 친수성 루프들로 이루어진 3층 구조를 가지며, 이중 환편기로 편직된 습한 속건성 다층 직편물을 개시하였고, 한국 등록특허 제2000730호에서는 항균 마스크로 적용될 수 있는 소재로서, 상부 편직물;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섬유와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를 함하는 하부 편직물; 및 모노 필라멘트사 섬유를 포함하는 수직 편직물;을 포함하는 다층 편직원단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마스크용 원단으로 적용 시 KF94 수준의 성능 인증을 위해서는 필터 성능의 강화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면 편직물, 이면 편직물 및 연결 루프를 포함하는 다층 편직물에 있어서, 마스크용 원단으로 적용 시 필터 성능이 보다 향상된 다층 편직물과 이를 이용한 마스크용 필터 및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 편직물; 이면 편직물; 및 상기 표면 편직물 및 상기 이면 편직물을 결착시키는 연결 루프;를 포함하는 다층 편직물이고, 상기 연결 루프는 동도전사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 편직물은 수직 단면 형상이 상기 표면 편직물 단면이 외반경 및 상기 이면 편직물 단면이 내반경을 이루는 아치 형상인 다층 편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면 편직물의 편환 길이(loop length)가 상기 이면 편직물의 편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편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층 편직물은 20 내지 50 게이지의 양면 환편기로 환편되되, 상기 표면 편직물의 편환 길이는 12.1 내지 13 mm, 상기 이면 편직물의 편환 길이는 11 내지 12 mm로 환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편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면 편직물은 외표면이 발수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편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층 편직물을 구성하는 원사는 항균 원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편직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다층 편직물을 포함하는 마스크용 필터이고, 상기 표면 편직물이 외피 방향 및 상기 이면 편직물이 내피 방향으로 사용되는 마스크용 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다층 편직물을 포함하는 마스크이고, 상기 표면 편직물이 외피 및 상기 이면 편직물이 내피로 사용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 편직물, 이면 편직물 및 연결 루프를 포함하는 다층 편직물에 있어서, 동도전사를 연결 루프로 사용하고, 편직 시 다층 편직물의 수직 단면 형상이 표면 편직물 단면이 외반경 및 이면 편직물 단면이 내반경을 이루는 아치 형상이 되도록 하여 표면 공간이 이면 공간보다 넓게 함으로써, 부직포 형태의 소재를 배제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오염원의 유입 최소화 및 수분 배출 성능을 향상시켜 동도전사 사용으로 인한 정전 필터 효과 및 항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표면 편직물 외표면이 발수 코팅 처리됨으로써 수분 유입이 억제되어 항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편직물의 수직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편직물의 공간 분포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다층 편직물의 단면을 나타낸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이해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표현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다층 편직물에 도시된 세부 구성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편직물의 수직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편직물(100)은 표면 편직물(110); 이면 편직물(120); 및 상기 표면 편직물(110) 및 상기 이면 편직물(120)을 결착시키는 연결 루프(1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루프(130)는 동도전사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 편직물(100)은 수직 단면 형상이 상기 표면 편직물(110) 단면이 외반경 및 상기 이면 편직물(120) 단면이 내반경을 이루는 아치 형상이다.
본 발명에서 '편직'은 환편기에서 원단을 짜는 것을 의미하며, 편직물 내지 편직원단은 니트 형태로 짜져서 예컨대, 10 내지 30% 이상 늘어난 후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원단을 의미한다.
또한 '동도전사'는 동(銅) 성분을 포함하는 전도성을 가지는 섬유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다층 편직물(100)을 구성하는 표면 편직물(110), 이면 편직물(120) 및 연결 루프(130)에 사용되는 섬유의 종류는 원단이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스판덱스 또는 이들의 혼방원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층 편직물(100)을 구성하는 섬유는 폴리에스터 70 내지 90 중량%, 폴리아미드 5 내지 15 중량% 및 폴리우레탄 5 내지 15 중량%의 혼방원사이거나, 폴리에스터 70 내지 90 중량%, 스판덱스 10 내지 30 중량%의 혼방원사로 굵기 30D 내지 50D의 일반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결 루프(130)는 동도전사를 포함하며, 동(銅) 성분에 의해서 전도성과 항균성을 동시에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편직된 다른 섬유와 함께 신축될 수 있도록 섬유 코어에 동(銅) 성분이 함유된 형태의 섬유일 수 있다. 상기 섬유 코어가 되는 섬유의 종류는 전술한 바와 같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도전사는 상기 일반사와 동일한 조성의 혼방사이되, 동(銅) 코팅액(레블린산(levulinic acid),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yene glycol),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 차인산나트륨(sodium hypophosphlte) 및 에틸렌다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로 이루어진 화합물에 황화구리(CuS) 10 내지 20중량%가 착물 형성)이 5 내지 20 중량% 함유된 폴리아미드를 사용한 굵기 31D 내지 52D의 동도전사일 수 있다. 상기 동도전사는 당 업계에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 제1074692호에 개시된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동도전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루프(130)는 상기 동도전사 이외에도 일반 섬유, 즉 동(銅) 성분이 코팅되지 않은 일반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동도전사와 함께 상기 표면 편직물(110) 및 상기 이면 편직물(120)을 결착시켜 강성이 부여됨으로써 다층 편직물(100)의 압착 시 조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층 편직물(100)은 표면 편직물(110)과 이면 편직물(120)이 연결 루프(130)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며, 예컨대, 0.5 내지 3 mm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표면 편직물(110)과 이면 편직물(120)의 사이는 후가공, 예컨대, 정련 등의 과정을 거친 상태를 의미하며, 정련 전의 생지 상태에서는 대략 50% 이상 수준으로 이격거리가 증가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층 편직물(100)은 통상의 양면 환편기를 이용해서 편직될 수 있다. 양면 환편기와 편직 조건은 표면 편직물(110)과 이면 편직물(120) 및 연결 루프(130)에 사용되는 섬유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컨대, 10 내지 15 mm의 편환 길이(loop length), 60 내지 120 개의 피더, 20 내지 50 게이지의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면 환편기로 편직된 생지 형태의 다층 편직물(100)은 이후 정련 과정을 거쳐 최종 다층 편직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정련 과정은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 제1925070호, 제1925063호, 제1866418호에 개시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층 편직물(100)은 수직 단면 형상이 상기 표면 편직물(110) 단면이 외반경 및 상기 이면 편직물(120) 단면이 내반경을 이루는 아치 형상인 것이 특징이다. 즉, 이면 편직물(120)의 원단 폭이 표면 편직물(110)의 원단 폭보다 좁아 양면 환편기로 편직 후 편직물의 수직 단면 형상이 이면 편직물(120) 방향으로 반경이 작아지는 아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다층 편직물(100)의 언밸런스한(unbalanced) 수직 단면 형상으로 인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표면 편직물(110)의 공간이 이면 편직물(120)의 공간보다 넓게 형성되어, 표면 편직물(110) 외부에서 오염원(P)이 침투하더라도 이면 편직물(120)까지 이동 경로가 협소해져 정전 필터 기능을 보유하는 동도전사를 포함하는 연결 루프(130)를 통해 이면 편직물(120)까지 도달이 어렵고, 또한 내측부에 수분이 존재할 경우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수분이 외측부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여 정전 필터 효과 및 항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다층 편직물(100)의 수직 단면이 아치 형상이 되도록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편환 길이(loop length) 조절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즉, 편환 길이에 따라 원사의 중량이 변화하게 되며, 구체적으로 편환 길이가 길수록 단위면적당 중량(g/㎡)이 낮아져 원단이 느슨(loose)해져 원단 폭이 넓어지며, 편환 길이가 짧을수록 단위면적당 중량(g/㎡)이 커져 원단이 조밀해져 원단 폭이 좁아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표면 편직물(110)의 편환 길이가 이면 편직물(120)의 편환 길이보다 크게 하여 다층 편직물(100)의 수직 단면이 아치 형상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동도전사에 의한 정전 필터 효과 및 항균 효과 극대화 측면에서 상기 다층 편직물(100)은 25 내지 30 게이지의 양면 환편기로 환편되는 조건에서, 상기 표면 편직물(110)의 편환 길이는 12.1 내지 13 mm, 상기 이면 편직물(120)의 편환 길이는 11 내지 12 mm로 환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면 편직물(110)은 외표면이 발수 코팅된 것일 수 있다. 표면 편직물(110) 외표면이 발수 코팅 처리됨으로써 수분 유입이 억제되어 항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직경이 약 4 ㎛ 이상 수준인 비말의 차단도 가능하다.
상기 발수 코팅에 사용되는 발수 코팅액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섬유 소재의 발수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코팅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불소계 또는 비불소계 발수 코팅액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면 편직물(110) 외표면에 발수 코팅은 공지의 나이프 방식이나 로타리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층 편직물(100)을 구성하는 원사는 항균 원착사일 수 있다. 즉, 표면 편직물(110), 이면 편직물(120) 및 동도전사 모두 향균 처리된 원착사일 수 있으며, 이로써 다층 편직물(100)의 향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항균 원착사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 예컨대, 원사 제조용 칩을 이용한 방사 과정에서 항균제를 혼합하여 방사함으로써 제조된 원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다층 편직물(100)은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세균 등의 오염원을 필터링하기 위해 적용되는 경우라면 그 용도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마스크용 필터용 또는 마스크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용 필터로 적용될 경우 다층 편직물(100)을 포함하는 마스크용 필터로서, 상기 표면 편직물(110)이 외피 방향 및 상기 이면 편직물(120)이 내피 방향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로 적용될 경우 다층 편직물(100)을 포함하는 마스크로서, 상기 표면 편직물(110)이 외피 및 상기 이면 편직물(120)이 내피로 사용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원사 사양은 다음과 같다.
[원사 사양]
- 일반사 : 폴리에스터 80 중량%, 폴리아미드(PA6) 10 중량% 및 폴리우레탄 10 중량%의 혼방원사로 굵기 40D의 일반사.
- 동도전사 : 상기 일반사와 동일한 조성이되, 동(銅) 코팅액(레블린산(levulinic acid),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yene glycol),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 차인산나트륨(sodium hypophosphlte) 및 에틸렌다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로 이루어진 화합물에 황화구리(CuS) 10 내지 20중량%가 착물 형성)이 10 중량% 함유된 폴리아미드(PA6)를 사용한 굵기 41D 내지 42D의 동도전사.
실시예 1
양면(double) 환편기(28 게이지)에 표면 편직물 및 이면 편직물을 위해 각각 상기 일반사를 급사하되, 표면 편직물의 편환 길이는 12.5 mm, 이면 편직물의 편환 길이는 12 mm로 환편되도록 조절하고, 연결 루프로서 상기 동도전사와 상기 일반사를 1:8의 비율로 급사하여, 표면 편직물 단면이 외반경을 이루고 이면 편직물 단면이 내반경을 이루는 아치 형상의 다층 편직물을 환편하였다. 환편된 다층 편직물에 대하여 표면 편직물의 외표면에 비불소계 발수 코팅액(하이드로콜로이드 5 내지 15 중량%, 피로메트리산 3 내지 6 중량%, 트리메틸벤질암모늄브로마이드 3 내지 6 중량%, 히드록시프롤린 5 내지 10 중량%, 다이클로로다이메틸실란 5 내지 10 중량%, 노닐페놀 에톡시레이트 3 내지 6 중량%, 아크릴 수지 잔량)을 이용하여 나이프 방식으로 코팅 처리 및 건조하여 최종 다층 편직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층 편직물의 단면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표면 편직물의 외표면을 발수 코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편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 1에서 표면 편직물 및 이면 편직물의 편환 길이가 동일하게 12 mm로 환편되도록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편직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제조된 다층 편직물의 정전 필터 성능 평가를 위해 NaCl 에어로졸(aerosol) 시험(시험장비: Filter tester SPF 1300S)을 수행하였다. NaCl 에어로졸 시험법은  1 부피%의 염화나트륨(NaCl) 용액을 가압 및 승온하여 8±4 mg/㎥의 농도, 0.6 ㎛의 입경을 갖는 에어로졸(aerosol) 형태로 공기 중에 분산시킨 후, 이를 시험할 필터에 표면 편직물에서 이면 편직물 방향으로 유동 속력 95 L/min으로 30초간 통과하도록 하여 통과 후의 공기 중에 잔존하는 염화나트륨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으로 실시하여 여과율을 평가(3회 반복 실시, 평균값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여과율(%)
실시예 1 75.0
실시예 2 71.2
비교예 41.3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표면 편직물, 이면 편직물 및 연결 루프를 포함하는 다층 편직물에 있어, 동도전사를 연결 루프로 사용하고, 다층 편직물의 수직 단면이 아치 형상이 되도록 하여 표면 공간이 이면 공간보다 넓게 함으로써(실시예 1 및 2), 정전 필터 효과가 극적으로 향상되고, 표면 편직물의 외표면을 발수 코팅함으로써(실시예 1) 정전 필터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다층 편직물의 항균 성능 평가를 위해 직물의 항균도 시험 방법인 KS K 0693:2016에 근거하여, 하기 조건으로 정균감소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항균도 측정 조건]
- 표준포 : 면
- 비이온 계면활성제 : TWEEN 80, 접종 균액에 0.05 중량% 첨가
- 시험균 :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균주 1) 및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균주 2)
- < : 미만
- 세탁조건 : KS K ISO 6330 : 2011 준용, 88, 세탁온도 40±3 ℃, 수평망 건조
구분 BLANK 표면(30회 세탁 후) 이면(30회 세탁 후)
균주 1 접종직후 균수(세균수/㎖) 2.2×104 2.2×104 2.2×104
18시간 후 9.8×106 < 10 < 10
정균감소율(%) - 99.9 99.9
균주 2 접종직후 균수(세균수/㎖) 2.0×104 2.0×104 2.0×104
18시간 후 3.8×107 < 10 < 10
정균감소율(%) - 99.9 99.9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표면 편직물, 이면 편직물 및 연결 루프를 포함하는 다층 편직물에 있어, 동도전사를 연결 루프로 사용하고, 다층 편직물의 수직 단면이 아치 형상이 되도록 하여 표면 공간이 이면 공간보다 넓게 하고, 표면 편직물의 외표면을 발수 코팅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항균 성능을 구현할 수 있음이 확인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다층 편직물 110 : 표면 편직물
120 : 이면 편직물 130 : 연결 루프

Claims (7)

  1. 표면 편직물;
    이면 편직물; 및
    상기 표면 편직물 및 상기 이면 편직물을 결착시키는 연결 루프;
    를 포함하는 다층 편직물이고,
    상기 연결 루프는 동도전사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 편직물은 수직 단면 형상이 상기 표면 편직물 단면이 외반경 및 상기 이면 편직물 단면이 내반경을 이루는 아치 형상인 다층 편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편직물의 편환 길이(loop length)가 상기 이면 편직물의 편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편직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편직물은 20 내지 50 게이지의 양면 환편기로 환편되되, 상기 표면 편직물의 편환 길이는 12.1 내지 13 mm, 상기 이면 편직물의 편환 길이는 11 내지 12 mm로 환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편직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편직물은 외표면이 발수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편직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편직물을 구성하는 원사는 항균 원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편직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층 편직물을 포함하는 마스크용 필터이고, 상기 표면 편직물이 외피 방향 및 상기 이면 편직물이 내피 방향으로 사용되는 마스크용 필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층 편직물을 포함하는 마스크이고, 상기 표면 편직물이 외피 및 상기 이면 편직물이 내피로 사용되는 마스크.
KR1020200055367A 2020-05-08 2020-05-08 정전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 KR102188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67A KR102188549B1 (ko) 2020-05-08 2020-05-08 정전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67A KR102188549B1 (ko) 2020-05-08 2020-05-08 정전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549B1 true KR102188549B1 (ko) 2020-12-08

Family

ID=7377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367A KR102188549B1 (ko) 2020-05-08 2020-05-08 정전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5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629B1 (ko) * 2020-05-19 2021-10-14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102312623B1 (ko) * 2020-05-19 2021-10-14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102312624B1 (ko) * 2020-05-19 2021-10-14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20210150044A (ko) * 2020-06-03 2021-12-10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200495222Y1 (ko) * 2021-06-30 2022-04-01 심경은 성형편직기로 짜여진 니트 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3493B1 (ja) * 2015-05-14 2016-09-14 グンゼ株式会社 導電用ハーネス
JP2019077960A (ja) * 2017-10-20 2019-05-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繊維構造体、樹脂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00730B1 (ko) * 2019-01-11 2019-10-02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전도성 구리 소재를 이용한 공기층을 가지는 다층 편직 구조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항균 마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3493B1 (ja) * 2015-05-14 2016-09-14 グンゼ株式会社 導電用ハーネス
JP2019077960A (ja) * 2017-10-20 2019-05-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繊維構造体、樹脂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00730B1 (ko) * 2019-01-11 2019-10-02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전도성 구리 소재를 이용한 공기층을 가지는 다층 편직 구조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항균 마스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629B1 (ko) * 2020-05-19 2021-10-14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102312623B1 (ko) * 2020-05-19 2021-10-14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102312624B1 (ko) * 2020-05-19 2021-10-14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20210150044A (ko) * 2020-06-03 2021-12-10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102348918B1 (ko) 2020-06-03 2022-01-11 (주)신일섬유 위생 마스크
KR200495222Y1 (ko) * 2021-06-30 2022-04-01 심경은 성형편직기로 짜여진 니트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549B1 (ko) 정전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
TWI612193B (zh) 多層構造圓形編織物
KR20140040265A (ko) 해도 섬유
JPH09137380A (ja) 多層構造編地
KR20100024119A (ko) 나노섬유를 이용한 방수원단
EP2862974A1 (en) Textile material with high moisture transfer properties.
CN107419353A (zh) 纤维、非织造布及其用途
JP7046369B2 (ja) 複合体繊維
CN104975364B (zh) 一种纤维织物及其制备方法
KR20220049900A (ko) 정전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
EP3150751A1 (en) Polyamide fibers, fiber structure using same, and clothing
KR20100003822A (ko) 방진마스크
KR100905501B1 (ko) 흡습 속건 기능을 갖는 나노섬유층으로 구성된 복합 시이트
JP2005105441A (ja) 多層構造編地
TWI649471B (zh) 親水性蓬鬆不織布
KR20040098594A (ko) 방진복
KR102409573B1 (ko) 소수성 및 친수성을 가지는 항균성 편직물 원단,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균성 제품
KR101833495B1 (ko) 폴리올레핀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146760A (ko) 방호복용 원단
CN213947667U (zh) 一种透气性弹力面料
KR101530475B1 (ko) 고기능성 편지
CN110667214A (zh) 一种防水透气医用四面弹布
JP2007092190A (ja) 片面撥水性多層構造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KR20240050827A (ko)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
JP6516087B2 (ja) ダブルラッセル地、及びこれを用いた加湿機用エアフィルター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