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259B1 -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 Google Patents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259B1
KR102188259B1 KR1020200010563A KR20200010563A KR102188259B1 KR 102188259 B1 KR102188259 B1 KR 102188259B1 KR 1020200010563 A KR1020200010563 A KR 1020200010563A KR 20200010563 A KR20200010563 A KR 20200010563A KR 102188259 B1 KR102188259 B1 KR 102188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egulator
stage
supply
pneu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권
Original Assignee
장호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권 filed Critical 장호권
Priority to KR102020001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쿠버장비인 레귤레이터 조립체를 쉽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는 스쿠버장비 테스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스쿠버장비인 레귤레이터 조립체의 1단계와 2단계를 쉽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고, 검사과정에 고장이 의심되는 부품이 발견된 경우 해당부품만 수리하거나 교체하면 되므로 고가의 새로운 장비를 구매해야 했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스쿠버장비 테스터기{Scuba equipment tester}
본 발명은 스쿠버장비 테스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단계와 2단계로 구성된 레귤레이터 조립체의 고장유무를 쉽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는 스쿠버장비 테스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쿠버장비인 레귤레이터(10)는 수중에서 호흡을 할 때 사용하는 장비로, 산소탱크(1:공기탱크)의 연결부(2)에 요크어댑터(13)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1단계(11)와, 다이버가 입에 물고 호흡을 하는데 사용하며 1단계(11)와 연결된 호스(H)를 통해 나오는 공기의 압력을 현재 수심에서 받는 압력과 동일하게 변경해서 전달하는 2단계(12:주/보조호흡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2단계(12)에는 다이버가 호흡할 때에 개폐되는 밸브를 외부에서 수작업을 조작할 수 있는 개방버튼(B)이 마련되고, 다이버가 입에 물고 호흡할 수 있는 마우스(M)를 구비한다.
그리고 여기에 1단계(11)에 설치되어 산소탱크의 현재 압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잔압계(11a)와, 부력조절기에 공기를 넣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다.
일 예로, 상기 산소탱크(1:공기탱크)에 저장된 산소는 체결부(2a)와 밸브(2b)로 구성된 연결부(2)를 통해 207bar의 압력으로 배출되고, 배출된 고압의 산소는 1단계(11)에서 저압인 11bar로 감압되어 배출되며, 감압된 산소는 1단계(11)와 연결된 호스(H)를 매개로 2단계(12)로 공급되는데, 2단계(12)를 통해서 나갈 때에는 다이버의 주변압과 같은 압력이 되도록 만들어준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쿠버장비인 레귤레이터 조립체는 인명사고와 직결되는 중요한 장비임에도 이를 검사하기 위한 장비가 없어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37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쿠버장비인 레귤레이터 조립체의 고장유무를 쉽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는 스쿠버장비 테스터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압을 공급받는 공압공급라인연결부;
상기 공압공급라인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압력을 측정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공급압력표시부;
상기 공압공급라인연결부를 따라 흐르는 공압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공급압력제어밸브;
상기 제1공급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귤레이터 1단계로 공압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와 제1출력라인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레귤레이터 1단계에 의해 감압된 공압을 전달받는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과압을 방지하는 제1릴리프밸브;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잔압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드레인밸브;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레귤레이터 1단계를 거쳐 유입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레귤레이터 1단계 압력 표시부;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에 제1연결라인을 매개로 연결된 레귤레이터 2단계와 제2출력라인을 매개로 연결되는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레귤레이터 2단계를 통해 배출되는 압력을 측정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압라인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감압해 배출하는 제2공급압력제어밸브;
상기 제2공급압력제어밸브에 의해 감압 조절된 공급압력을 측정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2조절압력표시부;
상기 제2공급압력제어밸브와 상호 연결되어 과압을 방지하는 제2릴리프밸브;
상기 제2공급압력제어밸브에 의해 감압 조절된 공압을 공급받아 제2연결라인을 매개로 연결된 레귤레이터 2단계로 감압 조절된 공압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과압을 방지하는 제3릴리프밸브;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잔류압을 외부로 배출해 제거하는 제2드레인밸브;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압라인연결부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제3연결라인을 매개로 연결된 검사대상물로 공압을 공급하는 수밀검사용 연결부;
상기 수밀검사용 연결부로 공압이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3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공급압력제어밸브는 공압공급라인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감압해 배출하고;
상기 제1공급압력제어밸브에 의해 감압 조절된 공급압력을 측정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1조절압력표시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로 공압이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1개폐밸브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로 공압이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2개폐밸브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쿠버장비인 레귤레이터 조립체의 1단계와 2단계를 쉽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고, 검사과정에 고장이 의심되는 부품이 발견된 경우 해당부품만 수리하거나 교체하면 되므로 고가의 새로운 장비를 구매해야 했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또한, 레귤레이터 조립체의 수밀검사 및 레귤레이터 조립체의 2단계만을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스쿠버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쿠버장비 테스터기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쿠버장비 테스터기에서 압력표시부를 따로 발췌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쿠버장비 테스터기를 이용해 레귤레이터 조립체를 검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쿠버장비 테스터기를 이용해 2단계 레귤레이터를 검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쿠버장비 테스터기를 이용해 레귤레이터의 수밀을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쿠버장비 테스터기는 레귤레이터 조립체 검사유닛과 2단계 레귤레이터 검사유닛 및 레귤레이터 수밀검사유닛으로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 예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쿠버장비 테스터기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쿠버장비 테스터기에서 압력표시부를 따로 발췌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스쿠버장비 테스터기는 공압공급라인연결부(100)와 공급압력표시부(200), 제1공급압력제어밸브(300),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400),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500), 제1릴리프밸브(600A), 제1드레인밸브(700A), 레귤레이터 1단계 압력표시부(800),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900) 및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표시부(1000)로 구성되어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C)에 설치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제1개폐밸브(410)와 제1조절압력표시부(1000)가 더 보강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압공급라인연결부(100)는 케이스(C)에 설치되어 공압(기체:이하 공압으로 표시함)을 공급하는 수단(예:컴프레셔)과 상호 연결되어 공압을 공급받는다.
상기 공급압력표시부(200)는 압력게이지로, 케이스(C)에 설치되어 공압공급라인연결부(1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압력을 측정하여 작업자가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도 3(a)을 참조하면, 상기 공급압력표시부(200)는 호형으로 배열된 눈금(0∼400bar)에 공급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늘이 위치됨으로써 공급압력을 표시한다. 일 예로, 공압공급라인연결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압력이 200bar라면 공급압력표시부(200)의 바늘은 200bar눈금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공급압력제어밸브(300)는 케이스(C)에 설치되어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400)로 공급되는 공압의 흐름을 단속(열거나 막음)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400)는 케이스(C)에 설치되어 제1공급압력제어밸브(300)로부터 공급받은 공압을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귤레이터 조립체(10)의 1단계(11)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400)는 도 1의 레귤레이터 1단계 연결부(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400)는 제1개폐밸브(410)를 더 구비하며, 여기서 제1개폐밸브(410)는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400)로 공압이 유입되는 것을 단속(열거나 막음)하는 안전밸브이다.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500)는 케이스(C)에 설치되며, 레귤레이터 1단계(11)와 제1출력라인(OL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레귤레이터 1단계(11)에 의해 감압된 공압을 전달받는다. 참고로, 상기 제1출력라인(OL1)은 레귤레이터 조립체(10)의 1단계와 2단계(호흡기)를 상호 연결해주는 호스(H:도 1 참조)이다.
상기 제1릴리프밸브(600A)는 케이스(C)에 설치되며,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500)와 상호 연결되어 과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500)로 기준압 이상의 공압이 유입될 경우 제1릴리프밸브(600A)는 개방되어 외부로 공압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제1드레인밸브(700A)는 케이스(C)에 설치되며,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500)와 상호 연결되어 잔압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제1드레인밸브(700A)는 검사시에는 잠가두었다가 검사가 완료되면 열어 잔압을 배출한다.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압력표시부(800)는 압력게이지로, 케이스(C)에 설치되어 레귤레이터 1단계(11)를 거쳐 유입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작업자가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도 3(b)을 참조하면,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압력표시부(800)는 호형으로 배열된 눈금(0∼20bar)에 공급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늘이 위치됨으로써 공급압력을 표시한다. 일 예로, 정상상태의 레귤레이터 1단계(11)는 200bar의 공급압력을 대략 10bar로 감압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레귤레이터 1단계 압력표시부(800)의 바늘이 10bar눈금에 위치되어 있다면 정상으로 판단한다.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900)는 케이스(C)에 설치되며, 레귤레이터 1단계(11)와 제1연결라인(IL1)을 매개로 연결된 레귤레이터 2단계(12:호흡기)와 제2출력라인(OL2)을 매개로 연결되어 레귤레이터 2단계(12)를 통해 배출되는 공압을 공급받는다. 참고로, 상기 제1연결라인(IL1)은 레귤레이터 조립체(10)의 1단계와 2단계(호흡기)를 상호 연결해주는 호스(H:도 1 참조)이고, 제2출력라인(OL2)은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900)와 레귤레이터 2단계(12)의 마우스(M)를 상호 연결해주는 튜브이다.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표시부(1000)는 호흡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게이지로, 케이스(C)에 설치되어 레귤레이터 2단계(12:호흡기)를 거쳐 유입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작업자가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도 3(d)을 참조하면,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표시부(1000)는 호형으로 배열된 눈금(0∼20 Inch H2O)에 배출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늘이 위치됨으로써 레귤레이터 2단계(12)의 배출압력을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12:호흡기)의 개방버튼(B:도 1 참조)을 간헐적으로 눌러주게 되면 공압이 레귤레이터 2단계(12)를 거쳐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900)를 통해 유입되는데, 이때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표시부(1000)의 바늘이 2점쇄선으로 표시된 눈금영역(스쿠버가 숨을 들이 쉴 때의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바늘이 2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눈금영역 밖에 위치하면 불량(고장)으로 판단한다.
참고로,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표시부(1000)에 2점쇄선으로 표시된 눈금영역(1 ∼ 8 Inch H20 또는 26 ∼ 46 mm H20)은 스쿠버가 실제 레귤레이터 2단계(12)를 매개로 흡기(들이쉬는 숨)할 때 나타나는 호흡저항을 표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공급압력제어밸브(300)는 케이스(C)에 설치되어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400)로 공급되는 공압의 흐름을 단속(열거나 막음)하는 역할 이외에 작업자가 공급압력을 자유롭게 조절(가감)할 수 있는 기능 즉, 감압기능이 더 보강될 수 있다. 일 예로, 300bar로 공급압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1공급압력제어밸브(300)를 조작하게 되면 공급압력은 200bar, 150bar, 100bar, 50bar로 감압되며, 감압된 공급압력은 제1조절압력표시부(1100)에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상기 제1조절압력표시부(1100)는 압력게이지로, 케이스(C)에 설치되어 제1공급압력제어밸브(300)에 의해 감압 조절된 공급압력을 측정하여 작업자가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도 3(c)을 참조하면, 상기 제1조절압력표시부(1100)는 공급압력표시부(200)와 동일한 구조로, 호형으로 배열된 눈금(0∼400bar)에 공급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늘이 위치됨으로써 공급압력을 표시한다. 일 예로, 작업자는 제1조절압력표시부(1100)에 표시되는 공급압력을 보면서 제1공급압력제어밸브(300)를 조작하여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400)로 공급되는 공급압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공급압력표시부(200)와 레귤레이터 1단계 압력표시부(800),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표시부(1000) 및 제1조절압력표시부(1100)가 아날로그 방식인 것으로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디지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쿠버장비 테스터기를 이용해 레귤레이터 조립체를 검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쿠버장비 테스터기에 레귤레이터 조립체(10)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공압공급라인연결부(100)와 공압을 공급하는 수단을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400)에 레귤레이터 조립체(10)의 1단계(11)를 요크어댑터(13)를 매개로 상호 연결한다.
상기 1단계(11)의 설치가 완료되면, 1단계(11)와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400)를 제1출력라인(OL1)을 매개로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1단계(11)와 2단계(12:호흡기)를 제1연결라인(IL1)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고, 2단계(12:호흡기)의 마우스(M)와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900)를 제2출력라인(OL2)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면 검사준비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스쿠버장비 테스터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조립체(10)의 검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산소탱크(1)로부터 배출되는 압력(200∼207bar)과 동일한 공급압력이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4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1조절압력표시부(1100)를 보면서 제1공급압력제어밸브(300)를 조작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조절압력표시부(1100)의 바늘이 200bar눈금에 위치할 때까지 제1공급압력제어밸브(300)를 조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1공급압력제어밸브(300)를 조작한 다음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400)의 제1개폐밸브(410)를 개방하게 되면,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400)를 통해 레귤레이터 1단계(11)로 공압이 공급되고, 공급된 공압은 레귤레이터 1단계(11)에서 감압되어 배출된다.
한편,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11)에 연결된 잔압계(11a)는 레귤레이터 1단계(11)로 유입되는 현재의 공급압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보여주게 되는데, 이를 통해 잔압계(11a)에 표시된 게이지 값과 제1공급압력제어밸브(300)에 의해 조절된 게이지 값이 동일한지를 비교해 봄으로서 잔압계(11a)의 고장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배출된 공압은 제1출력라인(OL1)을 통해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500)로 유입되고, 레귤레이터 1단계 압력표시부(800)는 유입되는 공압의 압력이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압력표시부(800)의 바늘이 2점쇄선으로 표시된 눈금영역(8 ∼ 10.5bar)에 위치하게 되면 레귤레이터 1단계(11)는 정상으로 판단하고, 만약 바늘이 2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눈금영역 밖에 위치하면 레귤레이터 1단계(11)는 불량(고장)으로 판단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레귤레이터 1단계(11)를 검사한다.
한편, 레귤레이터 2단계(12)의 검사방법은 작업자가 레귤레이터 2단계(12)를 파지한 상태에서 레귤레이터 2단계(12)의 개방버튼(B)을 간헐적으로 눌러주게 되면, 레귤레이터 1단계(11)를 거친 감압된 공압이 제1연결라인(IL1)을 매개로 레귤레이터 2단계(12)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공압은 레귤레이터 2단계(12)의 마우스(M)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되는 공압은 레귤레이터 2단계(12)의 마우스(M)와 연결된 제2출력라인(OL2)을 매개로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900)로 유입되며,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표시부(1000)에는 레귤레이터 2단계(12)로부터 배출되는 공압의 압력이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표시부(1000)의 바늘이 2점쇄선으로 표시된 눈금영역(1 ∼ 8Inch H20)에 위치하게 되면 레귤레이터 2단계(12)는 정상으로 판단하지만, 만약 바늘이 2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눈금영역 밖에 위치하면 레귤레이터 2단계(12)는 불량(고장)으로 판단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레귤레이터 2단계(12)를 검사한다.
한편, 초기 공급압력 200bar에서 레귤레이터 조립체(10)의 검사를 완료한 이후에는 작업자는 제1공급압력제어밸브(300)를 조작하여 공급압력을 150bar, 100bar, 50bar까지 순차적으로 감압하면서 검사를 진행하면 되며, 불량이 있는 부품은 교체 및 수리하면 된다.
한편, 상기 검사가 완료되면 제1드레인밸브(700A)를 개방하여 내부에 잔압을 제거한다.
한편, 상기 제1드레인밸브(700A)를 개방하게 되면 공압이 배출되는 소음이 상당한데,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소음기를 설치하여 소음문제를 해소하였다.
제2실시 예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쿠버장비 테스터기를 이용해 2단계 레귤레이터를 검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3,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앞선 제1실시 예의 구성에 제2공급압력제어밸브(1200)와 제2조절압력표시부(1300), 제2릴리프밸브(600B),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1400) 및 제2드레인밸브(700B)가 더 보강 구비되어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C)에 설치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제3릴리프밸브(600C)와 제2개폐밸브(1500)가 더 보강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압력제어밸브(1200)는 케이스(C)에 설치되어 공압공급라인연결부(1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감압해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1400)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200bar로 공급압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2공급압력제어밸브(1200)를 조작하게 되면 공급압력을 0 ∼20bar로 감압되어 배출되며, 배출된 공압은 제2조절압력표시부(1300)에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레귤레이터 1단계(11)에 의해 감압되어 배출되는 압력(10bar)과 동일하도록 제2공급압력제어밸브(1200)를 조작해 200bar의 공급압력을 10bar로 감압하여 배출한다. 즉, 제1실시 예에서는 레귤레이터 1단계(11)가 설치되어 200bar의 공급압력을 10bar로 감압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제2실시 예에서는 레귤레이터 1단계(11)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레귤레이터 1단계(11)와 같은 역할을 제2공급압력제어밸브(1200)의 조작으로 이를 대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조절압력표시부(1300)는 압력게이지로, 케이스(C)에 설치되며 제2공급압력제어밸브(1200)에 의해 감압 조절된 공급압력을 측정하여 작업자가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도 3(b)을 참조하면, 상기 제2조절압력표시부(1300)는 레귤레이터 1단계 압력표시부(800)와 동일한 구조로, 호형으로 배열된 눈금(0∼20bar)에 공급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늘이 위치됨으로써 현재의 공급압력을 표시한다. 일 예로, 작업자는 제2조절압력표시부(1300)에 표시되는 공급압력을 보면서 제2공급압력제어밸브(1200)를 조작하여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1400)를 통해 배출되는 공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릴리프밸브(600B)는 케이스(C)에 설치되며, 제2공급압력제어밸브(1200)와 상호 연결되어 과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제2공급압력제어밸브(1200)를 통해 기준압 이상의 공압이 흐를 경우 제2릴리프밸브(600B)는 개방되어 외부로 공압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제2개폐밸브(1500)는 케이스(C)에 설치되어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1400)로 공압이 유입되는 것을 단속(열고 닫음)하는 역할을 하는 일종에 안전밸브이다.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1400)는 케이스(C)에 설치되며, 제2공급압력제어밸브(1200)에 의해 감압 조절된 공압을 공급받아 제2연결라인(IL2)을 매개로 연결된 레귤레이터 2단계(12:호흡기)로 감압 조절된 공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라인(IL2)은 제1연결라인(IL1)과 동일한 것으로, 레귤레이터 조립체(10)의 1단계(11)와 2단계(12:호흡기)를 상호 연결해주는 호스(H:도 1 참조)이다.
상기 제3릴리프밸브(600C)는 케이스(C)에 설치되며, 제2개폐밸브(1500)와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1400) 사이에 설치되어 과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제2개폐밸브(1500)를 통해 기준압 이상의 공압이 흐를 경우 제2릴리프밸브(600B)는 개방되어 외부로 공압을 방출하게 되며, 제3릴리프밸브(600C)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레인밸브(700B)는 케이스(C)에 설치되며,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1400)와 상호 연결되어 잔압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개폐밸브(1500)와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1400) 사이에 배치해 주었다. 일 예로 상기 제2드레인밸브(700B)는 검사시에는 잠가두었다가 검사가 완료되면 열어 잔압을 배출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쿠버장비 테스터기를 이용해 레귤레이터 2단계를 설치 및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쿠버장비 테스터기에 레귤레이터 2단계(12)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공압공급라인연결부(100)와 공압을 공급하는 수단을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1400)와 레귤레이터 2단계(12:호흡기)를 제2연결라인(IL2)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고, 2단계(12:호흡기)의 마우스(M)와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900)를 제2출력라인(OL2)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면 검사준비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스쿠버장비 테스터기를 이용해 레귤레이터 2단계(12)를 검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잠겨있는 제2공급압력제어밸브(1200)을 서서히 개방하여 제2조절압력표시부(1300)의 바늘이 2점쇄선으로 표시된 눈금영역(8 ∼ 10.5bar)에 위치될 때까지 조작, 좀 더 구체적으로는 10bar에 위치되도록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제2공급압력제어밸브(1200)에 의해 10bar로 감압된 공압이 제2개폐밸브(1500)로 공급되면, 제2개폐밸브(1500)를 개방하여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1400)로 공압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레귤레이터 2단계(12:호흡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레귤레이터 2단계(12)의 개방버튼(B)을 간헐적으로 눌러주게 되면, 공압은 제2공급압력제어밸브(1200)를 거쳐 제1연결라인(IL1)을 매개로 레귤레이터 2단계(12)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공압은 레귤레이터 2단계(12)의 마우스(M)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되는 공압은 레귤레이터 2단계(12)의 마우스(M)와 연결된 제2출력라인(OL2)을 매개로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900)로 유입되며,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표시부(1000)에는 레귤레이터 2단계(12)로부터 배출되는 공압의 압력이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표시부(1000)의 바늘이 2점쇄선으로 표시된 눈금영역(1 ∼ 8Inch H20)에 위치하게 되면 레귤레이터 2단계(12)는 정상으로 판단하지만, 만약 바늘이 2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눈금영역 밖에 위치하면 레귤레이터 2단계(12)는 불량(고장)으로 판단한다.
검사결과 레귤레이터 2단계(12)가 불량(고장)인 경우 불량이 있는 부품은 교체 및 수리하면 된다.
한편, 상기 검사가 완료되면 제2드레인밸브(700B)를 개방하여 내부에 잔압을 제거한다.
한편, 상기 제2드레인밸브(700B)를 개방하게 되면 공압이 배출되는 소음이 상당한데,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소음기를 설치하여 소음문제를 해소하였다.
제3실시 예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쿠버장비 테스터기를 이용해 레귤레이터의 수밀을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3,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는 앞선 제1실시 예의 구성에 수밀검사용 연결부(100')와 제3개폐밸브(1500)가 더 보강 구비되어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C)에 설치된다.
상기 수밀검사용 연결부(100')는 공압공급라인연결부(100)와 일체를 이루며, 공압공급라인연결부(100)로부터 공압을 공급받는다. 상기 수밀검사용 연결부(100')에는 레귤레이터 조립체(10)의 1단계(11)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1단계(11)에는 2단계(12)가 호스(H:도 1 참조)를 매개로 설치된다.
상기 제3개폐밸브(1600)는 공압공급라인연결부(100)와 수밀검사용 연결부(100') 사이에 설치되어 수밀검사용 연결부(100')로의 공압의 유입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쿠버장비 테스터기를 이용해 레귤레이터의 수밀을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스쿠버장비 테스터기에 레귤레이터 조립체(10)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공압공급라인연결부(100)와 공압을 공급하는 수단을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수밀검사용 연결부(100')와 레귤레이터 1단계(11)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고, 레귤레이터 1단계(11)에는 호스(H:도 1 참조)를 매개로 2단계(12)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레귤레이터 조립체(10)를 설치한 다음 레귤레이터 조립체(10)를 수조에 넣어 물에 잠기도록 한 상태에서 제3개폐밸브(1600)를 개방하게 되면, 공압이 제3개폐밸브(1600)를 거쳐 레귤레이터 조립체(10)로 공급된다.
이때 레귤레이터의 1단계(11) 또는 2단계(12)로부터 아무런 기포도 발생되지 않는다면 수밀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만약 기포가 발생되면 수밀이 의심되는 것이므로 수조로부터 레귤레이터 조립체(10)를 인출한 다음 해당 부품을 수리하거나 교체하면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실시 예와 제2실시 예의 조합, 제1실시 예와 제3실시 예의 조합을 일 예로서 청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제1·2·3실시 예를 모두 조합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기재된 실시 형태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입수 전 스쿠버장비인 레귤레이터 조립체(10)의 1단계(11)와 2단계(12)를 쉽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고, 검사과정에 고장이 의심되는 부품이 발견된 경우 해당부품만 수리하거나 교체하면 되므로 고가의 새로운 장비를 구매해야 했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산소탱크 2: 연결부 2a: 체결부
2b: 밸브 10: 레귤레이터 조립체 11: 1단계
11a: 잔압계 12: 2단계 12a: 주호흡기
12b: 보조호흡기 B: 개방버튼 M: 마우스
100: 공압공급라인연결부 100': 수밀검사용 연결부
200: 공급압력표시부 300: 제1공급압력제어밸브
400: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
500: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
600A,600B,600C: 제1·2·3릴리프밸브 700A,700B: 제1·2드레인밸브
800: 레귤레이터 1단계 압력표시부 1600: 제3개폐밸브
900: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
1000: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표시부 1100: 제1조절압력표시부
1200: 제2공급압력제어밸브 1300: 제2조절압력표시부
1400: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 1500: 제2개폐밸브
OL1,OL2: 제1·2출력라인 IL1,IL2: 제1·2연결라인

Claims (6)

  1. 공압을 공급받는 공압공급라인연결부;
    상기 공압공급라인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압력을 측정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공급압력표시부;
    상기 공압공급라인연결부를 따라 흐르는 공압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공급압력제어밸브;
    상기 제1공급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귤레이터 1단계로 공압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와 제1출력라인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레귤레이터 1단계에 의해 감압된 공압을 전달받는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과압을 방지하는 제1릴리프밸브;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잔압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드레인밸브;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레귤레이터 1단계를 거쳐 유입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레귤레이터 1단계 압력 표시부;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에 제1연결라인을 매개로 연결된 레귤레이터 2단계와 제2출력라인을 매개로 연결되는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레귤레이터 2단계를 통해 배출되는 압력을 측정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공급라인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감압해 배출하는 제2공급압력제어밸브;
    상기 제2공급압력제어밸브에 의해 감압 조절된 공급압력을 측정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2조절압력표시부;
    상기 제2공급압력제어밸브와 상호 연결되어 과압을 방지하는 제2릴리프밸브;
    상기 제2공급압력제어밸브에 의해 감압 조절된 공압을 공급받아 제2연결라인을 매개로 연결된 레귤레이터 2단계로 감압 조절된 공압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잔류압을 외부로 배출해 제거하는 제2드레인밸브;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공급라인연결부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제3연결라인을 매개로 연결된 검사대상물로 공압을 공급하는 수밀검사용 연결부;
    상기 수밀검사용 연결부로 공압이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3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압력제어밸브는 공압공급라인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감압해 배출하고;
    상기 제1공급압력제어밸브에 의해 감압 조절된 공급압력을 측정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1조절압력표시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로 공압이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1개폐밸브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연결부로 공압이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2개폐밸브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KR1020200010563A 2020-01-29 2020-01-29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KR102188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563A KR102188259B1 (ko) 2020-01-29 2020-01-29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563A KR102188259B1 (ko) 2020-01-29 2020-01-29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259B1 true KR102188259B1 (ko) 2020-12-08

Family

ID=7377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563A KR102188259B1 (ko) 2020-01-29 2020-01-29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744B1 (ko) * 2021-05-11 2021-10-20 이휘재 스쿠버 호흡기의 2단계 파열압 정밀 테스트 장치
KR102363500B1 (ko) * 2020-12-30 2022-02-15 이동준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및 이의 관리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3373A1 (en) * 2007-05-18 2010-07-22 Stoeoed Jan Safety device and method for scuba-diving
CN202013269U (zh) * 2011-02-24 2011-10-19 第二炮兵装备研究院第六研究所 空气呼吸器性能检测仪
KR101163728B1 (ko) 2011-06-03 2012-07-09 윤명섭 휴대용 가스 압력 검사장치
US20120253218A1 (en) * 2011-01-04 2012-10-04 Rosenthal Richard R Apparatus and method for eucapnic voluntary hyperventilation testing
KR20160023258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아스플로 가스 레귤레이터 성능시험 장치, 이를 이용한 히스테리시스, 유량변화 응답 및 설정 값 안정성 시험방법
KR20170014865A (ko) * 2015-07-31 2017-02-08 우창산업(주) 자동차 램프용 에어캡의 수밀성 시험 장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3373A1 (en) * 2007-05-18 2010-07-22 Stoeoed Jan Safety device and method for scuba-diving
US20120253218A1 (en) * 2011-01-04 2012-10-04 Rosenthal Richard R Apparatus and method for eucapnic voluntary hyperventilation testing
CN202013269U (zh) * 2011-02-24 2011-10-19 第二炮兵装备研究院第六研究所 空气呼吸器性能检测仪
KR101163728B1 (ko) 2011-06-03 2012-07-09 윤명섭 휴대용 가스 압력 검사장치
KR20160023258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아스플로 가스 레귤레이터 성능시험 장치, 이를 이용한 히스테리시스, 유량변화 응답 및 설정 값 안정성 시험방법
KR20170014865A (ko) * 2015-07-31 2017-02-08 우창산업(주) 자동차 램프용 에어캡의 수밀성 시험 장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500B1 (ko) * 2020-12-30 2022-02-15 이동준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및 이의 관리시스템
KR102314744B1 (ko) * 2021-05-11 2021-10-20 이휘재 스쿠버 호흡기의 2단계 파열압 정밀 테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259B1 (ko)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US20200371078A1 (en) Determining the partial pressure of a gas, calibrating a pressure sensor
US90452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ling an aircraft tank system
US8196454B2 (en) Portable multi-function system for testing protective devices
JP4811604B2 (ja) ガス充填システム
KR101449809B1 (ko) 휴대용 가스압력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CN102460149A (zh) 用于气体分析仪校准的按需气体调节器
US88056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aring gas pressure measurements
CN101953741A (zh) 一种气压舱的操舱装置
KR20220081032A (ko) 유체 제어밸브용 성능 검사 시스템 및 검사방법
US20080011299A1 (en) Medical gas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US6305400B1 (en) Medical gas emergency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101163728B1 (ko) 휴대용 가스 압력 검사장치
JP3935040B2 (ja) ガス配管の漏洩検査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漏洩検査装置
RU5134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рки респираторов
JP3454406B2 (ja) 洩れ及び流量検査装置
KR102067234B1 (ko) 유체공급라인 관리시스템
KR102363500B1 (ko)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및 이의 관리시스템
JP6705113B2 (ja) 呼吸用空気監視装置及び監視機器
JP3789118B2 (ja) 消火用送水設備の耐圧性能点検装置
JP2020106456A (ja) サーチガスの混合方法
KR102314744B1 (ko) 스쿠버 호흡기의 2단계 파열압 정밀 테스트 장치
RU21122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атических испытаний автономных изолирующих резервуарных аппаратов со сжатым воздухом, в которых запас воздуха хранится в баллоне(ах) в сжатом состоянии, при работе которого вдох воздуха осуществляется из баллонов, а выдох в атмосферу
CN214334220U (zh) 一种潜水呼吸器测试仪
US11371906B1 (en) One-way valve tester and method of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