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500B1 -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및 이의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및 이의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500B1
KR102363500B1 KR1020200186948A KR20200186948A KR102363500B1 KR 102363500 B1 KR102363500 B1 KR 102363500B1 KR 1020200186948 A KR1020200186948 A KR 1020200186948A KR 20200186948 A KR20200186948 A KR 20200186948A KR 102363500 B1 KR102363500 B1 KR 102363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ipe
tube
unit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이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준 filed Critical 이동준
Priority to KR102020018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01L19/003Fluidic connecting means using a detachable interface or adapter between the process medium and the pressure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2019/0053Pressure sensors associated with other sensors, e.g. for measuring acceleration,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및 이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쿠버에 사용되는 호흡기, 드라이슈트, 부력조절기 등과 같은 대상물의 압력유지능력을 검사하는 것으로, 상기 대상물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호스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흡기 커넥터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흡입압력이 형성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인입구가 형성된 챔버; 상기 챔버의 인입구와 제1관체로 연결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진공펌프를 구비한 음압형성부; 상기 제1관체로부터 분기되는 제2관체와, 상기 제2관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관체 내의 공기흡입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에 연결되어 감지된 압력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2관체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피팅구와, 상기 피팅구에 연결되는 제3관체와, 상기 제3관체에 장착되어 개폐작동되는 제1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에 포트가 형성된 분기부; 상기 분기부의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의해 사람의 호흡 템포에 맞춰서 흡기와 배기를 반복하여 흡기와 배기압력을 생성하는 호흡재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및 이의 관리시스템{Functional defect test device of diver equipment and it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킨스쿠버, 해양경찰관에서 사용되는 드라이슈트, 호흡기 등의 고장 및 파손을 사전에 확인하여 이상 유무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에서의 어로활동, 산업잠수, 수중 군사작전 및 여가생활의 일환으로 수중 잠수활동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며, 잠수활동시 공기통을 이용한 스쿠버(SCUBA, self-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장비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스쿠버 장비는 압축 공기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기압 실린더 등의 유체압 작동기기에 공급하는 유체압 이송관에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제어밸브나 유로의 변환을 실행하는 방향제어 밸브 등의 제어기기가 설치된다.
예를들어 호흡 장비는 수중 스쿠버, 소방용, 고공 호흡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대략 고압 공기통과, 공기통에 연결되는 압력조절밸브가 구비되고, 압력조절밸브에 연결된 호스와, 호스의 단부에 연결되어 입에 물수 있는 호흡기가 구비된다.
공기통에 충전된 고압의 공기가 압력조절밸브에서 1단계 압력 조절이 이루어지고, 호흡기에서 2차 압력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인체에 적합한 압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스쿠버 다이빙을 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장비를 운영하기 위한 훈련을 거쳐야 하고, 훈련을 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스쿠버 장비를 구비해야 하며, 항상 스쿠버 장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한편 탱크에 장착된 밸브류, 게이지와 같은 각종 압력 조절에 필요한 장비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상태를 체크하여 이상 유무를 미리 점검해야 한다.
특히 호흡기는 내부에 박막형 마개가 구비되어 있고, 외관은 항상 견고하게 결합되어 기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외에서는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실제 잠수한 후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점검 미비로 인한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20-0010563호에 「스쿠버장비 테스터기」가 게시되어 있다.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공압을 공급받는 공압공급라인연결부; 상기 공압공급라인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압력을 측정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공급압력표시부; 상기 공압공급라인연결부를 따라 흐르는 공압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공급압력제어밸브; 상기 제1공급압력제어밸브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귤레이터 1단계로 공압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터 1단계 입력라인 연결부;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와 제1출력라인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레귤레이터 1단계에 의해 감압된 공압을 전달받는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과압을 방지하는 제1릴리프밸브;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잔압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드레인밸브;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 출력라인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레귤레이터 1단계를 거쳐 유입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레귤레이터 1단계 압력 표시부; 상기 레귤레이터 1단계에 제1연결라인을 매개로 연결된 레귤레이터 2단계와 제2출력라인을 매개로 연결되는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 상기 레귤레이터 2단계 출력라인 연결부와 상호 연결되어 레귤레이터 2단계를 통해 배출되는 압력을 측정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레귤레이터 2단계 압력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인간이 호흡할때의 압력, 템포, 나이나 성별에 따른 호흡력의 차이 등의 실제 다이버가 사용하는 조건을 구현하기 어렵고, 단지 레귤레이터의 고압 압력 하에서의 정상 작동을 판단하는 구성이므로 장비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상용화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간이 호흡할때의 압력, 템포, 나이나 성별에 따른 호흡력의 차이 등의 실제 다이버가 사용하는 조건을 구현할 수 있고, 호흡기 외에 드라이슈트, 부력조절기 등의 압력유지를 테스트할수 있고, 검수자가 최종 사용단계에서 직접 분석하여 검사하고, 검사 데이터를 서버에서 전송받아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각 지정 검사소를 직접 관리할 수 있어 효율성과 안전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및 이의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쿠버에 사용되는 호흡기, 드라이슈트, 부력조절기 등과 같은 대상물의 압력유지능력을 검사하는 것으로, 상기 대상물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호스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흡기 커넥터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흡입압력이 형성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인입구가 형성된 챔버; 상기 챔버의 인입구와 제1관체로 연결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진공펌프를 구비한 음압형성부; 상기 제1관체로부터 분기되는 제2관체와, 상기 제2관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관체 내의 공기흡입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에 연결되어 감지된 압력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2관체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피팅구와, 상기 피팅구에 연결되는 제3관체와, 상기 제3관체에 장착되어 개폐작동되는 제1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에 포트가 형성된 분기부; 상기 분기부의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의해 사람의 호흡 템포에 맞춰서 흡기와 배기를 반복하여 흡기와 배기압력을 생성하는 호흡재현부;를 포함하는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음압형성부의 압축기는 상기 진공펌프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휠과, 상기 휠에 편심되게 일단이 힌지결합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기밀상태로 결합되는 실린더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바디에는 제1관체가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토출관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1관체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토출관을 통해 배출하여 제1관체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압형성부의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관체에는 제2밸브가 형성되어 개폐작동되는 것이며, 상기 제1밸브가 폐쇄상태일때만 제2밸브가 개방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관체에는 체크밸브가 장착되며, 음압형성부에서 제1관체를 통해 흡입될때는 상기 체크밸브가 개방되고, 토출될때는 상기 체크밸브가 닫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흡재현부는 중공을 갖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의 내부에 피스톤이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에 일단이 힌지연결된 링크아암이 구비되고, 상기 분기부의 포트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제2커넥터와, 호흡기와 연결되는 제3커넥터가 형성된 실린더본체; 상기 링크아암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는 크랭크아암과, 상기 크랭크아암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분기부의 포트에 연결되며, 사람의 호흡 템포에 맞도록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고,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3커넥터를 통해 흡기와 배기를 반복하여 흡기와 배기압력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받아 모니터링하는 관리서버; 사용자가 휴대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분석부, GPS, 경고수단을 구비한 포터블 분석장치;를 포함하는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간이 호흡할때의 압력, 템포, 나이나 성별에 따른 호흡력의 차이 등의 실제 다이버가 사용하는 조건을 구현할 수 있고, 호흡기 외에 드라이슈트, 부력조절기 등의 압력유지를 테스트할수 있고, 검수자가 최종 사용단계에서 직접 분석하여 검사하고, 검사 데이터를 서버에서 전송받아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각 지정 검사소를 직접 관리할 수 있어 효율성과 안전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의 '음압형성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의 '호흡재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의 '호흡재현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의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용 공기통의 검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의 '음압형성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의 '호흡재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의 '호흡재현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의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용 공기통의 검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는,
스쿠버에 사용되는 호흡기(101), 드라이슈트(102), 부력조절기(103) 등과 같은 대상물(100)의 압력유지능력을 검사하는 것으로,
상기 대상물(100)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호스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흡기 커넥터(21)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흡입압력이 형성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인입구(22)가 형성된 챔버(2);
상기 챔버(2)의 인입구(22)와 제1관체(P1)로 연결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압축기(32)와, 상기 압축기(32)를 구동시키는 진공펌프(34)를 구비한 음압형성부(3);
상기 제1관체(P1)로부터 분기되는 제2관체(P2)와, 상기 제2관체(P2)에 연결되어 상기 제1관체(P1) 내의 공기흡입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4);
상기 압력센서(4)에 연결되어 감지된 압력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
상기 제2관체(P2)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피팅구와, 상기 피팅구에 연결되는 제3관체(P3)와, 상기 제3관체(P3)에 장착되어 개폐작동되는 제1밸브(V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V1)에 포트(62)가 형성된 분기부(6);
상기 분기부(6)의 포트(62)에 연결되며, 제어부(5)의 구동신호에 의해 사람의 호흡 템포에 맞춰서 흡기와 배기를 반복하여 흡기와 배기압력을 생성하는 호흡재현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압형성부(3)의 압축기(32)는, 진공펌프(34)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휠(321)과, 상기 휠(321)에 편심되게 일단이 힌지결합된 로드(322)와, 상기 로드(322)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피스톤(323)과, 상기 피스톤(323)이 기밀상태로 결합되는 실린더바디(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바디(324)에는 제1관체(P1)가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토출관(3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323)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1관체(P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토출관(325)을 통해 배출하여 제1관체(P1)에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압형성부(3)의 진공펌프(34)의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3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관체(P2)에는 제2밸브(V2)가 형성되어 개폐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밸브(V1)가 폐쇄상태일때만 제2밸브(V2)가 개방상태가 되도록 한다.
전술한 제1밸브(V1) 또는 제2밸브(V2)는 전자 제어에 의해 개폐작동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 예로서 솔레노이드밸브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관체(P1)에는 체크밸브(CV)가 장착되며, 음압형성부(3)에서 제1관체(P1)를 통해 흡입될때는 상기 체크밸브(CV)가 개방되고, 토출될때는 상기 체크밸브(CV)가 닫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5)의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호흡재현부(8)가 구동되어 사람의 호흡 템포에 맞도록 상기 구동부(82)가 구동되고, 상기 피스톤(323)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3커넥터(83)를 통해 흡기와 배기를 반복하여 흡기와 배기압력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호흡재현부(8)는 중공을 갖는 실린더본체(80); 상기 실린더본체(80)의 내부에 피스톤(323)이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323)에 일단이 힌지연결된 링크아암(822)이 구비되고, 상기 분기부(6)의 포트(62)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제2커넥터(86)와, 호흡기(101)와 연결되는 제3커넥터(83)가 형성된 실린더본체(80); 상기 링크아암(822)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는 크랭크아암(824)과, 상기 크랭크아암(824)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부(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82)는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호흡재현부(8)는 상기 음압형성부(3)와 연결된 분기부(6)의 포트(62)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차적으로, 음압형성부(3)를 이용하여 적정한 음압이 스쿠버에 사용되는 호흡기, 드라이슈트, 부력조절기 등과 같은 대상물(100)에 가해질 수 있고, 기준치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모든 호흡기, 드라이슈트(건식 잠수복), 부력조절)의 공기의 기밀 및 누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장비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개폐시점의 압력까지 공기를 채워준다.
공기가 일정 수준 압력에 도달하면 그 압력이 일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지를 확인하여 장비의 문제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공정은 스쿠버 다이빙 장비에서 사용되는 호흡기(101)의 입구를 챔버(2)의 호흡기 커넥터(21)에 연결함으로써, 음압 발생 장치가 호흡기(101)의 저항계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2공정은 음압형성부(3)의 진공펌프(34)를 동작시킴으로써 호흡기(101)의 저항 계수를 측정한다.
호흡기 저항계수는 기존 호흡기 제작사에서 정해져 있으며, 정확한 측정을 위해 챔버를 설치하여 흡입 민감도를 완화 시킨다.
3공정은 체크밸브(CV)를 통해 진공펌프(34)에서 누수 될 수 있는 공기를 막는다.
진공펌프(34)에서 미세한 누수 현상이 있기 때문에, 체크밸브(CV)를 이용하여 밀폐 공간을 완성한다.
4공정은 제1밸브(V1)는 개방하고, 제2밸브(V2)는 폐쇄한 후, 제1관체(P1) 내의 압력을 압력센서(4)로 측정한다. 즉, 호흡기 커넥터(21), 챔버(2) 및 제1관체(P1) 내로 공기가 흐르면서 압력센서(4)의 값이 측정된다.
이 상태로 흡입 공기의 압력이 일정 수준 압력에 도달한 후 그 압력이 일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지를 확인하여 장비의 문제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대상물이 압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한 후 2차적으로 호흡기(101)를 실제 호흡과 배기 환경 하에서 정상 작동하는지를 시뮬레이션 해볼 수 있게 된다.
즉, 5공정에 따르면, 호흡재현부(8)의 압력을 측정하고자 할 때, 제2밸브(V2)는 개방하고, 제1밸브(V1)는 폐쇄한 후 압력센서(4)로 압력을 측정한다.
제2관체(P2)를 통해 분기부(6)로 공기가 흐르면서 압력센서(4)의 값이 측정된다.
일 예로 설명하면, 해경 구조대원이 수중 수색 작업(스쿠버 다이빙)시 발생할 수 문제를 사전에 찾아내기 위하여 실제 다이빙 호흡과 같이 시뮬레이션 하여야 한다.
유럽 CE규격의 EN 250:2000번 규정을 참고하여 수중에서 성인 남성 기준 다이버의 1회 호흡량은 신체의 긴장 상태를 고려하여 최대 1회에 2.5L이며, 분당 25회이다.
따라서 분당 최대 호흡량은 2.5L x 25회/min = 62.5L/min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호흡재현부(8)가 구동될 수 있다.
구동부(82)의 모터의 회전운동을 크랭크아암(824)과 링크아암(822)이 직선(전후)운동으로 변경하게 되고,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실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82)의 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조절하여 추후 다른 다이빙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린더본체(80)의 내경은 130mm이며 길이는 270mm이다.
이때, 피스톤(323)이 200mm를 왕복으로 움직이는데, 실린더본체(80)의 내부 변화는 {(πD^2)/4} x 왕복길이 = 부피/회 로 계산할 수 있다. 계산 결과 2.65L/회 결과가 나온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유물체도를 그리고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구동모터를 선정하였다. 선정 결과 IG-52GM+ENCODER 04TYPE 모터로 선정하였으며, 기어비 1/126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센서(4)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받아 모니터링하는 관리서버(200); 사용자가 휴대하며,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분석부, GPS, 경고수단을 구비한 포터블 분석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단계(S1)]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A)의 전원을 온(on)시켜 시작한다.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시험장치(A)의 위치의 GPS좌표를 중앙 서버에서 확인하여 인증 절차를 거친다.
[2단계(S2)]
마지막 종료 시점에 경보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 경보가 작동했었고 오염도가 감지되었다면 원인을 찾고 이를 해결한 후 준비 완료 단계가 된다.
[3단계(S3)]
관리자 또는 엔지지어의 정보를 등록한다. 정보의 일 예로는 지문 인증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식별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4단계(S4)]
음압형성부(3) 및 호흡재현부(8)의 동작이 온(ON) 상태인지 상시 감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음압형성부(3) 및 호흡재현부(8)의 동작이 설정된 조건에서만 작동되었는지 감시하여 판단한다.
상기 설정된 조건은 시간, 압력이며, 이를 적정 범위로 한정하여 설정될 수 있다.
시간, 압력의 각 측정값은 타이머, 압력센서(4)를 각기 구비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음압형성부(3) 및 호흡재현부(8)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측정된 값이다.
[5단계(S5)]
엔지니어가 휴대하는 스마트폰(9)에 설치된 앱을 구동시킨다.
이후 스마트폰(9)과 시험장치(A)를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하여 동기화시킨다.
[6단계(S6)]
시험장치(A)를 구동시켜 1차로 음압형성부(8)의 작동에 의한 음압의 적정 유지를 확인한다.
이후 2차로 호흡기(101)를 호흡재현부(8)에 연결한 후 호흡 압력을 재현하면서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7단계(S7)]
본 발명의 시험장치(A)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스마트폰(9)을 통해 무선통신망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관리서버(8)에 전송하여 데이터 검사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검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험장치에서 얻어진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8단계(S8)]
이후 시험장치(A)의 이상유무를 판독하게 된다.
정상이면 합격으로 표시(청색램프 온)하고, 불합격이면 경보를 발생한다. 경보는 적색 램프를 온 작동시키고, 경보음을 온 작동시킬 수 있다(S8-2).
이후 관리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설치된 어플에 합격 또는 불합격을 알리도록 팝업으로 표시된다(S8-3).
불합격 팝업 알림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보안코드가 포함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차단보안코드를 입력하면 경보 발생이 정지된다.
이후 관리자의 앱에서 알람을 원격으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S8-4).
이상 발생시 해당 호흡기(101)의 회수와 안전한 호흡기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 시설 수리팀을 호출하여 조치를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대상물 101 : 호흡기
102 : 드라이슈트 103 : 부력조절기
2 : 챔버 3 : 음압형성부
4 : 압력센서 5 : 제어부
6 : 분기부 8 : 호흡재현부
21 : 호흡기 커넥터 22 : 인입구
32 : 압축기 34 : 진공펌프
80 : 실린더본체 86 : 제2커넥터
83 : 제3커넥터 82 : 구동부

Claims (4)

  1. 스쿠버에 사용되는 호흡기, 드라이슈트, 부력조절기 등과 같은 대상물의 압력유지능력을 검사하는 것으로,
    상기 대상물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호스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흡기 커넥터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흡입압력이 형성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인입구가 형성된 챔버;
    상기 챔버의 인입구와 제1관체로 연결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진공펌프를 구비한 음압형성부;
    상기 제1관체로부터 분기되는 제2관체와, 상기 제2관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1관체 내의 공기흡입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에 연결되어 감지된 압력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2관체에 통하도록 연결되는 피팅구와, 상기 피팅구에 연결되는 제3관체와, 상기 제3관체에 장착되어 개폐작동되는 제1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에 포트가 형성된 분기부;
    상기 분기부의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의해 사람의 호흡 템포에 맞춰서 흡기와 배기를 반복하여 흡기와 배기압력을 생성하는 호흡재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형성부의 압축기는
    상기 진공펌프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휠과, 상기 휠에 편심되게 일단이 힌지결합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기밀상태로 결합되는 실린더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바디에는 제1관체가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토출관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1관체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토출관을 통해 배출하여 제1관체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음압형성부의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재현부는
    중공을 갖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의 내부에 피스톤이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에 일단이 힌지연결된 링크아암이 구비되고, 상기 분기부의 포트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제2커넥터와, 호흡기와 연결되는 제3커넥터가 형성된 실린더본체;
    상기 링크아암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는 크랭크아암과, 상기 크랭크아암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분기부의 포트에 연결되며, 사람의 호흡 템포에 맞도록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고,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3커넥터를 통해 흡기와 배기를 반복하여 흡기와 배기압력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받아 모니터링하는 관리서버;
    사용자가 휴대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분석부, GPS, 경고수단을 구비한 포터블 분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KR1020200186948A 2020-12-30 2020-12-30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및 이의 관리시스템 KR102363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948A KR102363500B1 (ko) 2020-12-30 2020-12-30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및 이의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948A KR102363500B1 (ko) 2020-12-30 2020-12-30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및 이의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500B1 true KR102363500B1 (ko) 2022-02-15

Family

ID=8032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948A KR102363500B1 (ko) 2020-12-30 2020-12-30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및 이의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5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259B1 (ko) * 2020-01-29 2020-12-08 장호권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259B1 (ko) * 2020-01-29 2020-12-08 장호권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0418A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checking the operation of breathing equipment
US8196454B2 (en) Portable multi-function system for testing protective devices
US51121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machine
CN107106886A (zh) 灭火设备的、尤其洒水或喷水灭火设备的报警阀组和灭火设备
CN202013269U (zh) 空气呼吸器性能检测仪
JP2000507121A (ja) 呼吸装置の作動性を調査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842452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rebreather
US202002780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activating a hydraulic device that is leaking hydraulic oil
CN109069781A (zh) 低压表面供应空气系统及方法
CN103048155A (zh) 呼吸器综合性能检测系统
KR102363500B1 (ko)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장치 및 이의 관리시스템
US6532800B1 (en) Aircraft pressurization tes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188259B1 (ko) 스쿠버장비 테스터기
US20230364451A1 (en) Testing apparatus for respirator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080975B1 (ko) 호흡용 공기통의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CN110646148B (zh) 呼吸器检测设备及呼吸器检测系统
KR102390284B1 (ko) 다이버 장비의 기능 결함 시험용 음압발생장치
CN104274927B (zh) 空气呼吸器检测仪
KR20160118823A (ko) 공기성분분석기
CN104288931B (zh) 空气呼吸器双重报警装置
RU5134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рки респираторов
CN204233642U (zh) 空气呼吸器检测仪
CN105083501B (zh) 潜水呼吸器
CN205722505U (zh) 气瓶水压试验操作培训考核模拟系统
CN215841295U (zh) 氧气呼吸器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