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147B1 -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147B1
KR102188147B1 KR1020180149095A KR20180149095A KR102188147B1 KR 102188147 B1 KR102188147 B1 KR 102188147B1 KR 1020180149095 A KR1020180149095 A KR 1020180149095A KR 20180149095 A KR20180149095 A KR 20180149095A KR 102188147 B1 KR102188147 B1 KR 102188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ran
insects
eggs
edible ins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431A (ko
Inventor
송순철
Original Assignee
송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순철 filed Critical 송순철
Priority to KR102018014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1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갈색거저리 등을 포함한 식용 곤충을 효과적으로 사육하기 위해 이들 식용 곤충의 성충이 낳은 알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Egg separation device for mass breeding of edible insects}
본 발명은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갈색거저리 등을 포함한 식용 곤충을 효과적으로 사육하기 위해 이들 식용 곤충의 성충이 낳은 알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용 곤충은 주로 곤충을 음식으로 활용하는 식량 자원을 말한다.
주로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라오스, 타이, 베트남 등지에서 많이 보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메뚜기와 번데기를 주로 식용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던 중 식약처에 의해 2014년에는 갈색거저리 유충이 식품 원료로써 인정되었으며, 이들 갈색거저리 유충은 애칭 공모를 통해 각각 '고소애'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고, 장수풍뎅이 유충과 귀뚜라미도 한시적인 식품 원료로 인정된 바 있다.
특히, 축산업으로 인한 온실가스의 배출이 지구 온난화 전체의 17%에 달한다는 점에 대비해 식용 곤충은 그 친환경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영양학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미래의 식량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유럽이나 미국의 유명 레스토랑에서도 곤충 요리가 많이 유입되고 있는 추세이며, 일부 종교권 국가에서는 쇠고기나 돼지고기와 마찬가지로 식용 곤충을 기피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식량안전보장이 되지 않는 개발도상국가들에게는 비용효과적인 해결책으로 식용 곤충사육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쿠키와 마카롱, 파스타 등의 음식들을 판매하는 레스토랑도 생겨나고 있으며, 식용 곤충의 혐오감을 줄이고 일상에서 식품으로 이용하기 위한 관련 과학기술적 연구와 레시피들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곤충은 쇠고기에 비해 단백질뿐만 아니라 미네랄, 비타민,그리고 섬유질의 함량이 높다. 더불어 포화지방보다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음식으로 영양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식용 곤충은 냉온동물로 체온을 유지하는데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므로 적은 양의 사료를 필요로 하며 물과 온실가스 발생량이 기존 가축보다 현저히 낮아 전통적인 가축보다 기하급수적으로 빠른 성장과 번식주기를 보여주고 필요한 토지공간이 적은 것도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식용 곤충이 미래 대체 식량으로서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식용 곤충은 1년 4세대(생활주기 평균 3-4개월)의 생활사를 이루고 있는데, 보통 알(5-7일) → 유충(2개월) → 번데기(7-14일) → 성충(30-40일) → 알(5-7일)의 생활사를 갖는다.
따라서, 식용 곤충은 유충, 번데기, 성충을 분리 사육해야 하며, 사육통은 꽉 닫아두면 습기가 차서 사멸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열린 상태로 보관해야 하며, 유충과 성충은 충분한 먹이와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이때, 먹이는 밀기울, 수분은 상추나 수분이 있는 채소가 바람직하며, 물을 직접 뿌려서는 안된다. 이는 습한 환경을 싫어하므로 사육환경은 건조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야행성이라 어두운 것을 좋아하니 검은 천 등을 덮어 두거나 빛이 없는 곳이 보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알은 통상 밀기울 등에 붙여 산란하고, 크기가 1mm 정도로서 잘 보이지 않으므로 주의하여 분리해야 한다.
종래 식용 곤충의 사육은, 식약처의 식용곤충 사육 고시에 의해, 먹이인 밀기울을 보관하는 저장고를 마련하고, 식용곤충의 알을 채란하여 분리하는 장소와 사육실은 저장고와 별도의 장소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밀기울을 저장고에서 꺼내서 식용곤충의 알을 채란하여 분리하는 장소와 사육실로 옮겨야 하므로 시간과 노동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밀기울이 공장에서 생산될 때는 톤 단위의 포대(톤백)에 포장이 되어 사육 농장에 판매되나, 사육 농장에서는 이를 식용곤충의 알을 채란하여 분리하는 장소와 사육실로 옮기는 과정에서 소량으로 나누어야 하므로 이 또한 시간과 노동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식용 곤충의 사육을 위해 밀기울 저장고와, 식용곤충의 알을 채란하여 분리하는 장소(또는 사육실)를 서로 번갈아 오가면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밀기울을 톤백 단위로 별도의 위치에 보관하면서도, 식용곤충의 알을 채란하여 분리하는 장소와 일체화되어 사육 농가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비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0565호(2017.10.11.) '거저리과를 대체기주로 이용한 솔수염하늘소 기생 천적의 대량 사육시스템, 솔수염하늘소 기생 천적의 대량 사육방법 및 상기 솔수염하늘소 기생 천적을 포함하는 방사용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6658호(2013.05.08.), '갈색거저리 알 수거방법'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4-0005492호(2014.10.23.), '거저리 배설물 분리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갈색거저리 등을 포함한 식용 곤충을 효과적으로 사육하기 위해 밀기울 저장고와 채란 분리 장치가 일체화 되어 식용 곤충의 성충이 낳은 알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식용 곤충의 먹이인 밀기울이 수납되는 먹이보관통; 상기 먹이보관통의 하방에 설치되고, 식용 곤충의 성충이 투입되어 알을 낳은 후 알이 묻은 밀기울이 일정량씩 하방으로 배출되게 구성된 채반; 상기 채반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알이 붙은 밀기울을 받아 정량 배출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정량 배출된 알이 붙은 밀기울을 수납한 채 컨베어를 따라 사육실로 이송되는 사육대;를 포함하고, 상기 먹이보관통과 채반 및 호퍼는 하나의 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일체화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먹이보관통은 하부에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뚜껑이 구비된 형태로서, 상기 배출구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어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먹이보관통에 보관된 먹이는 25-27℃의 온도 범위 및 50-60% 범위로 유지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채반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의 일측에는 일정높이 수직으로 연장된 후 상기 개방구를 덮는 덮개부가 형성된 구조를 가져 상기 덮개부와 개방구 사이에 수직연장된 높이만큼의 슬릿이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채반에는 바닥면 중앙 혹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진동발생기가 더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식용 곤충의 알을 고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유충으로 성장시킴으로써 수득율이 증대된다.
둘째, 식용 곤충의 먹이와 알 관리가 하나의 유니트에서 처리되므로 작업상 불편함이 줄어들고 편리성이 증대된다.
세째, 먹이 공급이 정량 자동 공급되게 구성되므로 사육에 따른 식용 곤충의 정확한 생활사(주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넷째, 밀기울 저장고와 채란 분리장치가 수직계통으로 일체화되어서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각 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의 채반 바닥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분배용 원뿔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채반의 진동구조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는 먹이보관통(100)과, 상기 먹이보관통(100)의 하방에 설치된 채반(200)과, 상기 채반(200)의 하부에 설치된 호퍼(300)와, 상기 호퍼(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컨베어(CON)를 따라 사육실로 이송되는 사육대(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먹이보관통(100)과 채반(200), 호퍼(300)는 하나의 프레임(F) 상에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설비가 일체화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프레임(F) 대신 판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길이가 긴 박스체로 만들고, 그 속에 상기 먹이보관통(100), 채반(200), 호퍼(300)를 조립 설치하여 하나의 유니트로 만들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때문에, 기존처럼 먹이를 주기 위해 먹이보관소와 성충이 알을 낳는 채반보관소 사이를 작업자가 왕래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매우 편리해진다.
특히, 상기 먹이보관통(100)은 하부에 배출구(110)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뚜껑(120)이 구비된 형태로서, 상기 배출구(110)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어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먹이보관통(100)의 상부에 뚜껑(120)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데, 이는 비교적 항온 항습 기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완벽한 항온 항습 기능이 아니라, 25-27℃의 범위내에서 먹이, 즉 밀기울이 보관 유지되고, 또한 습도는 50-60% 범위내로 유지되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먹이보관통(100)의 내벽 상측에는 온도검출센서(미도시)가 설치되며, 둘레에는 가열체(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온도검출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가열체의 작동을 조절하여 상기 먹이보관통(100) 내부의 온도를 상기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물론, 습도센서도 갖추어 습도 조절도 유지시킬 수 있는데, 습도의 경우 먹이, 즉 밀기울이 새롭게 투입되면 밀기울 자체의 수분함량 때문에 습도가 올라가므로 이를 조절하기 위해 뚜껑(120)의 일부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면 더욱 좋다.
예컨대, 상기 뚜껑(120)은 포대 단위로 투입되는 밀기울을 신속히 대량 투입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그때에는 뚜껑(120)을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 밀기울을 투입하도록 하고, 투입된 후에는 뚜껑(120)의 일부에 포함된 슬라이드형 도어를 실린더를 이용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를 컨트롤러가 제어하게 되면 습도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온도와 습도를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이유는 성충이 먹이로 바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안전하고 적정한 온도와 습도이며, 또한 먹이보관통(100)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밀기울이 서로 달라 붙어 고착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아울러, 상기 채반(20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트레이로서, 먹이인 밀기울과 식용 곤충의 성충이 돌아다니는 공간이다.
즉, 성충이 움직이면서 밀기울을 먹고, 이 밀기울에 알을 낳도록 유도하는 부재로서, 성충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밀기울이 넓게 퍼지게 된다. 즉, 자연스럽게 밀기울이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채반(200)의 바닥면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다수의 개방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210)의 일측에는 일정높이 수직으로 연장된 후 상기 개방구(210)를 덮는 덮개부(22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때문에, 상기 덮개부(220)와 개방구(210) 사이에는 수직연장된 높이만큼의 슬릿이 형성되고, 이 슬릿을 통해 밀기울이 하방으로 분리 낙하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성하는 이유는 성충은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면서 밀기울에 붙어 있는 알만 밀기울과 함께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슬릿의 크기는 적어도 1mm를 초과해야 한다.
그러면, 성충이 밀기울을 먹으면서 왔다 갔다 이동하면서 밀기울을 헤치고 다니게 되며, 그 과정에서 밀기울이 슬릿을 통해 개방구(210)로 유입되고, 개방구(210)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게 되는데, 이때 성충이 알을 낳게 되고, 그 알은 밀기울에 붙은 상태로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알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알의 분리를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바닥면 중앙의 덮개부(220) 상에 별도의 진동발생기(23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기(230)는 모터가 회전되면서 발생시키는 진동일 수도 있고, 혹은 모터의 동력에 의해 모터축에 고정된 캠이 덮개부를 타격하면서 발생시키는 진동일 수도 있으며, 또한 음파진동이나 혹은 초음파진동일 수 있고, 나아가 실린더 타격식 진동일 수도 있다.
이러한 진동발생기(230)는 어느 정도 진동을 발생시켜 채반(200)을 떨게 하면 족하며, 이를 통해 알이 붙어 있는 밀기울이 개방구(210)로 보다 더 원활하게 낙하될 수 있으면 된다.
때문에, 상기 진동발생기(230)는 반드시 바닥면 중앙에 설치될 필요도 없으며, 채반(200)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채반(200)은 성충의 투입과 취출을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F) 상에서 인출입 가능하게 서랍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서랍식으로 구성하게 되면 아주 쉽게 넣고 뺄 수 있어 성충을 투입하거나 알을 다 낳은 성충을 밀기울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취출할 때 단순히 채반(200)을 잡고 당겨 채방(200)의 상부가 완전히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면 더욱 편리하게 된다.
이 경우, 서랍식 구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채반(200)의 하단 양측에는 가이드롤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퍼(300)는 상기 채반(200)으로부터 낙하된 알이 붙은 밀기울을 일정량씩 모아 사육실로 보내 사육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상기 호퍼(300)의 하단 배출부(310)에는 개폐판(320)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판(320)은 개폐모터(3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개폐판(320)에는 로드셀로 이루어진 무게측정센서(미도시)가 매립설치되어 채반(200)으로부터 낙하된 밀기울의 무게가 규정치에 도달하면 컨트롤러로 검출신호를 보내고, 이를 수신한 컨트롤러는 개폐모터(330)를 구동시켜 개폐판(320)을 기울임으로써 개폐판(320) 위에 수북이 쌓여 있던 밀기울이 하방으로 정량 배출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판(320)은 원형판일 수 있고, 그 직경방향으로 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그 축이 개폐모터(330)의 모터축에 연결 고정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모터(330)는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만 정회전 및 역회전이 반복되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육대(40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트레이로서, 컨베어(CON)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호퍼(300)의 배출부(310) 직하방에 배치된다.
그런 다음, 호퍼(300)로부터 일정량의 밀기울이 배출되면,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어(CON)가 구동되고, 이 컨베어(CON)를 따라 상기 사육대(400)는 사육실로 이송된다.
때문에, 상기 프레임(F)이 설치된 지점과 사육실은 컨베어(CON)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사육실로 이송된 사육대(400)는 유충으로 성장하는데 적합한 조건에서 관리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분배용 원뿔(5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배용 원뿔(500)은 상기 호퍼(300)의 배출부(310) 하측에 배치되며, 원뿔의 정점이 상기 배출부(310)의 원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분배용 원뿔(500)은 일측에 유동암(510)이 고정되고, 상기 유동함(510)은 회전블럭(520)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블럭(520)은 상기 프레임(F)에 고정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블럭(520)은 베어링 형태가 될 수도 있고, 혹은 슬리브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배용 원뿔(500)의 표면에는 다수의 배출구멍(5300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구멍(530)은 1mm를 초과한 직경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배출부(310)로 배출된 알이 부착된 밀기울은 분배용 원뿔(500)로 떨어진 후 그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다가 배출구멍(530)을 통해 순차적으로 조금씩 낙하 배출되면서 사육대(400)에 골고루 분배 안착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물론, 분배용 원뿔(500)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분배용 원뿔(500)을 옆으로 밀게 되면, 회전블럭(520)을 기점으로 하여 유동암(510)과 분배용 원뿔(500)이 회전되면서 배출부(310)의 하방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분배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곧바로 배출부(310)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원활하게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채반(200)의 진동구조를 개량할 수 있다.
이것은 채반(200)을 진동시켰을 때 채반(200) 이외의 다른 부재들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F)에는 채반(200)을 서랍식으로 인출입시킬 수 있는 채반가이드(G)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채반가이드(G)는 상부와 하부 및 전면이 개방된 박스타입이 바람직하며, 개방된 하부 양측에는 가이드레일(R)이 구비되어 상기 채반(20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반가이드(G)의 일측면에는 타격모터(M)가 설치되어 채반(200)의 대응 측면을 타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타격구조는 타격모터(M)의 회전방향에 따라 실린더에 설치된 로드가 전후진되면서 타격기능을 갖도록 하는 구조도 가능하며, 모터축에 캠돌기를 갖는 원판디스크를 고정하고 채반가이드(G)의 일측면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복귀되는 타격자를 구비하여 캠돌기가 타격자와 접촉되는 순간 스프링을 압축하고 접촉이 해제되는 순간 스프링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타격자가 이동하면서 채반(200)의 측면을 타격하도록 하는 방식 등 다양한 공지의 타격방식을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반(200)은 외부채반(240)과 내부채반(250)으로 분리되며, 외부채반(240)은 상하면이 개방되고, 둘레면은 밀폐된 형태이며, 전면에는 손잡이(242)이 마련되고,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R)에 안착되는 안내롤(244)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내부채반(250)은 진동스프링(252)에 의해 그 둘레 꼭지점이 외부채반(240)의 대응개소와 스프링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인 바닥면은 앞서 설명한 개방구(210)와 덮개부(220)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먹이인 밀기울은 상기 내부채반(250)으로만 낙하되는 것이다.
따라서, 손잡이(242)를 잡고 외부채반(240)을 채반가이드(G)에 밀어 넣으면 안전하게 서랍식 고정이 가능하며, 이때 타격모터(M)에 의해 외부채반(240)의 일측면을 타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타격이 이루어지면 그 진봉은 내부채반(240)으로 전달되고, 내부채반(240)이 대부분의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다른 부분으로의 진동 전달이 거의 없게 된다.
또한, 교체 사용할 때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대기중인 신품 채반을 끼워 넣으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0: 먹이보관통
200: 채반
300: 호퍼
400: 사육대

Claims (5)

  1. 식용 곤충의 먹이인 밀기울이 수납되는 먹이보관통;
    상기 먹이보관통의 하방에 설치되고, 식용 곤충의 성충이 투입되어 알을 낳은 후 알이 묻은 밀기울이 일정량씩 하방으로 배출되게 구성된 채반;
    상기 채반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알이 붙은 밀기울을 받아 정량 배출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정량 배출된 알이 붙은 밀기울을 수납한 채 컨베어를 따라 사육실로 이송되는 사육대;를 포함하고,
    상기 먹이보관통과 채반 및 호퍼는 하나의 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일체화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채반을 서랍식으로 인출입시킬 수 있는 채반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채반가이드는 상부와 하부 및 전면이 개방된 박스타입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하부 양측에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상기 채반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채반가이드의 일측면에는 타격모터가 설치되어 채반의 대응 측면을 타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채반은,
    상하면이 개방되고, 둘레면은 밀폐된 형태이며, 전면에는 손잡이이 마련되고,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안내롤이 설치된 외부채반; 및
    진동스프링에 의해 그 둘레 꼭지점이 상기 외부채반의 대응개소와 스프링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인 바닥면에는 다수의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의 일측에는 일정높이 수직으로 연장된 후 상기 개방구를 덮는 덮개부가 형성된 구조를 가져 상기 덮개부와 개방구 사이에 수직연장된 높이만큼의 슬릿이 형성된 내부채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먹이보관통은 하부에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뚜껑이 구비된 형태로서, 상기 배출구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어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먹이보관통에 보관된 먹이는 25-27℃의 온도 범위 및 50-60% 범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반에는 바닥면 중앙 혹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진동발생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KR1020180149095A 2018-11-28 2018-11-28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KR102188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095A KR102188147B1 (ko) 2018-11-28 2018-11-28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095A KR102188147B1 (ko) 2018-11-28 2018-11-28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31A KR20200063431A (ko) 2020-06-05
KR102188147B1 true KR102188147B1 (ko) 2020-12-07

Family

ID=7108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095A KR102188147B1 (ko) 2018-11-28 2018-11-28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693B1 (ko) 2021-08-25 2022-03-04 농업회사 법인 곤충킹 주식회사 성충 유인 포집 장치
KR102389087B1 (ko) * 2021-08-13 2022-04-25 농업회사법인 비에스에프팜 주식회사 산란목 및 산란유도배지상자의 자동 공급 및 수거가 가능한 동애등에 산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3355B (zh) * 2020-11-13 2022-02-01 云南省烟草公司昆明市公司 夜蛾幼虫规模扩繁自动化生产线及自动化生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671B1 (ko) 2006-02-03 2007-03-12 양창옥 파리유충의 대량 생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730B1 (ko) * 1996-01-18 1998-10-01 변환경 조류사육기
KR100768954B1 (ko) 2006-04-07 2007-10-23 주식회사 한국유용곤충연구소 거저리과를 대체기주로 이용한 솔수염하늘소기생천적의대량사육시스템, 솔수염하늘소기생천적의 대량사육방법 및상기 솔수염하늘소기생천적을 포함하는 방사용기
KR20130046658A (ko) 2011-10-28 2013-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갈색거저리 알 수거방법
KR200476854Y1 (ko) 2013-04-15 2015-04-10 대한민국 거저리 배설물 분리장치
KR20180000045U (ko) * 2016-06-27 2018-01-04 이재형 식용곤충 식재료의 수확 및 관찰을 위한 가정용 식용곤충 사육 장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671B1 (ko) 2006-02-03 2007-03-12 양창옥 파리유충의 대량 생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087B1 (ko) * 2021-08-13 2022-04-25 농업회사법인 비에스에프팜 주식회사 산란목 및 산란유도배지상자의 자동 공급 및 수거가 가능한 동애등에 산란장치
KR102370693B1 (ko) 2021-08-25 2022-03-04 농업회사 법인 곤충킹 주식회사 성충 유인 포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31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147B1 (ko)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Patana Rearing cotton insects in the laboratory
US2020028117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duction of dipteran insects
CN102388843B (zh) 一种室内饲养鳞翅目昆虫幼虫的方法
US20200323173A1 (en) Automated insect rearing facility, container, and modules
KR101729167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WO2009067089A1 (en) Automated insect breeding system
EP2456324B1 (en) System and method of feeding beneficial insects
KR20180134172A (ko) 귀뚜라미 사육장치
KR100786021B1 (ko) 파리포식천적 대량사육장치
US6130084A (en) Nutrition from pollution
KR101396182B1 (ko)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
KR102206189B1 (ko) 동애등에의 산란장치
Cox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n the life-cycle of Ectomyelois ceratoniae (Zeller)(Lepidoptera: Phycitidae)
CN213214870U (zh) 一种用于家禽养殖的投食装置
KR102480174B1 (ko) 동애등에 산란 장치 어셈블리
CN203968938U (zh) 一种新型中蜂聚蜂宝蜂箱
Mauldin Maintaining hatching egg quality
KR20200127548A (ko) 동애등에의 유화장
CN211657138U (zh) 藏香猪养殖用投料机
CN218245147U (zh) 一种可自动清理残余饲料的禽类饲养投料槽
CN213991759U (zh) 一种畜牧养殖用牧草切割装置
Rose Effect of diet on larval development, adult emergence and fecundity of the cinnabar moth, Tyria jacobaeae (L.)(Lepidoptera: Arctiidae)
Lohmeyer et al. Improved mass rearing techniques for the horn fly, Haematobia irritans (L.)(Diptera: Muscidae)
KR200324852Y1 (ko)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