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852Y1 -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852Y1
KR200324852Y1 KR20-2003-0018294U KR20030018294U KR200324852Y1 KR 200324852 Y1 KR200324852 Y1 KR 200324852Y1 KR 20030018294 U KR20030018294 U KR 20030018294U KR 200324852 Y1 KR200324852 Y1 KR 200324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metering nozzle
breeding
feeder
spra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복
홍성완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윤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복 filed Critical 윤희복
Priority to KR20-2003-0018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8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8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Abstract

본 고안은 사료의 공급주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사료저장수단에서 토출된 사료를 넓은 지역에 흩뿌려줌으로써 먹이 경쟁에서 뒤쳐진 낮은 서열의 사육대상들도 사료를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여 무리(群) 전체의 건강 상태와 사육효율을 향상시키며, 특히 모터나 전등과 같은 에너지 소비수단에 인가할 동력으로 태양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사육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살포형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는, 적정량의 사료가 사료저장조 하측의 호퍼부위에 장착된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을 통하여 매 공급시기마다 자동으로 토출되는 사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의 하방에 회전형 배분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회전형 배분수단의 회전축심이 상기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의 도심으로부터 이격·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형 배분수단의 회전수(rpm)에 따라 상기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에서 토출되는 사료의 살포 범위가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는 사료의 공급시기를 사육대상에게 인지시키는 인지수단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살포형 사료공급장치{Automatic feed-supplying apparatus with scatterable means}
본 고안은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⑴사료의 공급주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⑵사료저장수단에서 토출된 사료를 넓은 지역에 흩뿌려줌으로써 먹이경쟁에서 뒤쳐진 낮은 서열의 사육대상들도 사료를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여 무리(群) 전체의 건강 상태와 사육효율을 향상시키며, 모터나 전등과 같은 에너지 소비수단에 인가할 동력으로 전기에너지 또는 ⑶태양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사육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특히 유인등(誘引燈)이 장착된 형태로 가두리양식장에 적용할 경우,상기 유인등이 가두리양식장 바깥에 있는 프랑크톤이나 유생 등을 가두리양식장 안으로 유인하여 양어 중인 물고기의 먹이가 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생장촉진까지 유발되게 한, 살포형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획 공간에 많은 수의 어린 개체를 넣어 성체로 키워 내는 사육에 있어서, 주된 관심사는 무리(群)의 건강상태와 사육효율일 것이다.
이중, 무리의 건강상태는 상품가치에 직접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사육가의 수입에 직결된다. 반면, 사육효율은 비용에 관계된다.
비용절감과 관련해 사육가가 취할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방안은 단위면적 당 개체의 밀도를 높이고 같은 양의 사료에 대해 비육도를 높이는 것이다.
그렇지만, 무턱대고 개체의 밀도를 높이면, 사료공급에 일손이 적게 들어가는 장점은 볼 수 있겠지만, 먹이 경쟁이 심해 사육대상이 몸싸움 중에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많고, 무리에서 낮은 서열의 사육대상은 높은 서열의 사육 대상이 사료를 충분히 먹고 나서 자리를 비켜줄 때까지는 먹이에 접근할 기회조차 거의 없기 때문에 폐사되기 십상이다.
특히, 양어장의 경우에는, 짧은 시간 내에 물고기들이 공급된 사료를 먹어치우지 않으면 사료가 그대로 물에 풀어져 버려 오히려 양어환경이 오염된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할 때 사육효율을 증가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개체밀도를 낮추고 즉 넓은 지역에 사육 대상을 풀어놓고, 무인자동화 된 사료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전 지역에 걸쳐 골고루 사료를 배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사육공간을 마련하고 사료공급장치를 설치하는데 초기고정비용이 드는 약간의 경제적 부담은 있지만, 이러한 초기고정비용은 인건비/사료비의 절감 및 출하제품의 품질향상에 따른 수입증가효과로 수 년 내에 회수될 수 있다. 따라서, 초기고정비용의 회수 이후 시점부터는, 비용 절감과 수입증대라는 두 가지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종래 사료공급장치의 예
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94-23847 호
이 고안에 개시된 사료공급장치는, ① 먹이통이 달린 바렐의 스파이럴 콘베이어를 구동모터를 이용해 전동식으로 회전되게 하되 자동 및 수동조작 선택스위치 및 타이머를 포함하는 제어박스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시각 및 작동시간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스파이럴 콘베이어에 의해서 사료가 압출방식으로 공급되게 하고, ② 사료가 토출되는 토출구쪽에는 전구를 설치하고 본체쪽에는 멜로디발생기구를 설치하여 사육대상이 토출구쪽에 모여들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파이럴 콘베이어 방식은 압출방식으로 사료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은 어항 등에나 적합할 뿐 양어장/양계장과 같이 넓은 공간에서 많은 개체가 사육되는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⑵ 공개특허공보 제 93-21059 호
공보에 개시된 사료공급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파이프 형태의 프레이 빈이 1일 1-2회 회전하여 아래쪽에 놓여진 어항에 사료를 공급하게 된 것에 있는데, 상기 프레이 빈은 사육대상의 개체 수나 종류 및 크기 등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의 사료공급장치는 사료의 공급량과 공급주기만 결정하여 투하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넓은 지역에 걸쳐 사료를 고루 살포해야 하는 곳에는 적용할 수 없다.
⑶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97876 호
동 공보에 기재된 사료공급장치는, 대형 사육시설-예컨대, 가두리양식장에 적합하게 제작된 것으로서, 몸체 하부의 좌대와 체결부를 이용해 가두리 양식장의 가두리 본체(프레임)에 몸체를 설치한 후 전원을 인가하고, 필요량 만큼만 사료가 토출되도록 토출 량을 조절해 놓은 상태에서 가동스위치를 온(ON)시키면, 사료통에서 토출된 사료가 회전분사판 위에서 골고루 배합되어 방사 방향으로 흩뿌려지게 되어 있다.
하지만, 회전분사판 위에서 가속상태로 배출되는 사료는 공실(空室)형태의 토출구를 지날 때 속도가 대폭 감소되기 때문에, 넓은 영역의 끝까지 고루 뿌려지지 못하였다. 또한, 사료는 토출구를 거쳐서 바깥으로 빠져 나가기 때문에 사료를 뿌리고자 하는 면적에 비례해서 회전분사판이 커질 수밖에 없고, 그에 따른 에너지 소모가 많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사료공급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⑴사료저장수단에서 토출된 사료를 넓은 지역에 흩뿌려줌으로써 먹이 경쟁에서 뒤쳐진 낮은 서열의 사육대상들도 사료를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여 무리(群) 전체의 건강상태와 사육효율을 향상시키며, ⑵모터나 전등과 같은 에너지 소비수단에 인가할 동력으로 전기에너지 또는 태양에너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포형 사료공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를 아래에서 쳐다 본 저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포형 사료공급장치에 있어서 매 공급주기마다 사료를 정량 토출하는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 부위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를 가두리양식장의 가두리본체(프레임)에 설치해 놓은 시공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포형 사료 공급장치에 있어서, 에너지 소비수단(전등 또는 모터)에 인가할 동력으로 태양에너지가 채택된 경우의 동력 연결선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커버 손잡이, 2...외부 방수커버,
3...내부커버 손잡이, 4...사료저장고 본체,
5...토출용 저속모터, 6...고정용 지지대,
7...흩뿌리기용 모터, 8...회전축,
9...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 10...사료 흩뿌리기용 날개,
11...유인등, 12...상부 분리판,
13...고무 패킹, 14...회전 원통체,
15...하부 분리판, 16...회전축 삽입구멍,
17...프레이 빈(prey bin), 18...가두리본체,
19...태양전지판, 20...제어기본체.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정량의 사료가 사료저장조 하측의 호퍼 부위에 장착된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을 통해 매 공급시기마다 자동으로 토출되는 사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의 하방에 회전형 배분수단이 설치되되 회전형 배분수단의 회전축심이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의 도심(단면형상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설치됨으로써, 회전형 배분수단의 회전수(rpm)에 따라,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에서 토출되는 사료의 살포 범위가 변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회전형 배분수단으로는 통상 구조의 회전날개를 채용할 수 있으며, 회전속도는 기계적인 수단이나 전자적인 속도조절기에 의해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요소 중 사료저장조의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은, 사료저장조의 호퍼 단부에 설치되며 표면에는 소정 단면적의 사료배출공이 관통된 상부 분리판과; 상부 분리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길이만큼 하향 연장된 원통체와; 원통체 내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이 빈이 형성된 회전 원통체와; 회전 원통체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원통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프레이 빈에 대응되는 사료배출공이 표면에 관통된 하부 분리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구성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에, 사육대상에게 사료의 공급시기를 인지시키는 인지수단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인지수단으로는, ①사육대상의 청각을 자극하는 음원발생기(예를 들면, 스피커나 초음파발진기) 또는 ②시각을 자극하는 시각표시기(예를 들면, 유인등이나 삼파장 램프)를 들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 따른 살포형 사료공급장치의 에너지 공급수단으로서 태양발전수단을 설치하는 것이다.
태양발전수단은, 공지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판과 충전제어기 및 충전배터리 등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한다. 이러한 태양발전수단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이 분야에서 알려진 통상의 전기배선 방식에 의해 각종 모터나 램프에 인가될 수 있다.
참고로, 한국전력의 규격에 따르면, 태양이 비치지 않는 부조일의 일수가 5일 이내인 경우, 충전배터리에 충전된 에너지만으로 본 고안의 장치를 운전할 수 있다.
물론, 일반상용전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최선의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1 내지 도3은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1은 단면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도1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4는 본 실시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에서 매 공급주기마다 사료를 정량 토출하는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 부위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5는 본 실시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를 가두리본체(프레임)에 설치해 놓은 시공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6은 본 실시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가 태양발전수단을 가진 경우의 동력 연결선도이다.
먼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는, 사료저장조와;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9)과; 사료 흩뿌리기용 날개(10) 및 유인등(11)을 주된 요소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상기 사료저장조는 하부가 호퍼로 된 원통형의 사료저장고 본체(4)와, 상기 사료저장고 본체(4)의 상부에 분리/결합이 용이하게 장착된 외부 방수커버(2)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방수커버(2)의 표면에는 손으로 잡기에 편리한 커버 손잡이(1)가 형성되어 있으며, 사료저장고 본체(4)의 상단에는 내부커버 손잡이(3)가 형성되어 있다.
사료저장고 본체(4)에는 내부를 가로질러 고정용 지지대(6)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용 지지대(6)의 대략 중간지점에 토출용 저속모터(5)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저속모터(5)에서 하향 연장된 회전축(8)은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9)을 형성하고 있는 회전 원통체의 회전축 삽입구멍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사료저장고 본체(4)의 내부 일측에 흩뿌리기용 모터(7)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흩뿌리기용 모터(7)의 구동축에는 통상 구조의 변속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변속수단에서 연장된 종동축이 호퍼를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종동축의 끝에는 4개의 날개편으로 구성된 사료 흩뿌리기용 날개(10)가 장착된다. 따라서, 변속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하여 사료 흩뿌리기용 날개(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흩뿌리기용 모터의 속도가 다이얼 조작으로 변속하는 전자식 속도조절기에 의해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료저장고 본체(4)의 일측에는 유인등(11)이 설치되어 있고, 저장되어 있는 사료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붙이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인등(11)은, 예컨대 가두리양식장에서는 집어등의 역할도 수행하지만, 야간에 조명을 밝혀두게 되면 물고기뿐 아니라 이들의 먹이가 될 수 있는 프랑크톤이나 유생 등이 유인등의 불빛에 유인되어 가두리양식장의 외곽에서 안쪽으로 모여 들게 됨으로 사료공급량을 줄여주는 역할도 한다. 그 뿐 아니라, 야간에 유인등을 밝혀 놓을 경우 물고기의 생장촉진에도 많은 도움을 주게 된다.
본 실시예의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9)은, 도4에서 참조되듯이, 사료저장조의 호퍼 단부에 설치되는데, 주된 구성요소는 상부 분리판과; 하부 분리판과; 상·하부 분리판을 연결하는 원통체와; 원통체 내에 삽입되는 회전 원통체이다.
사료저장고 본체(4) 하측의 호퍼 단부(단면)에 설치되는 상부 분리판(12)은, 상술한 회전축(8)이 관통되는 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 구멍과 간격을 두고, 표면에 소정 단면적의 사료배출공이 뚫려 있다. 또한, 상부 분리판(12)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길이의 원통체가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원통체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이 빈(17)을 갖는 회전 원통체(14)가 회전 자유롭게 끼워지며, 상기 회전 원통체(14)의 중앙부에 형성된 소정 깊이의 회전축 삽입구멍(16)에는 전술한 회전축(8)의 선단부분이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원통체의 하단에는 상술한 상부 분리판(12)과 같은 모양의 하부 분리판(15)이 설치되어, 상기 원통체의 내부에서 회전 원통체(14)가 빠져 버리지않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부 분리판(12)과 하부 분리판(15)에 형성된 사료배출공은, 도4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서로 반대쪽을 향하게 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체와 회전 원통체(14) 사이에 고무 패킹(13)을 개재하여, 상기 원통체와 회전 원통체 사이로 사료가 끼여들어 고장나는 일이 없도록 하였는데, 이 고무 패킹(13)은 특히 본 실시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가 양어장에 설치된 경우 하부 분리판의 사료배출공을 통해 사료저장고 본체(4) 쪽으로 습기나 수분이 스며드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는, 예컨대 도5에서와 같이 가두리본체(18)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6에 도시된 태양발전수단이 각각의 모터와 유인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선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9는 태양전지판이며, 20은 본 실시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본체로서 타이머에 의한 모터의 작동주기 및 작동시간 등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가 가두리양식장에 설치된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작동하고 또 어떤 기능들을 수행하게 되는 지 설명한다.
우선,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가 도5와 같이 가두리본체(18) 위에 설치되어 있고, 도6과 같이 태양발전수단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육자는 사료저장고 본체(4)의 벽면에 형성된 눈금붙이 투시창을 통해 사료의 저장량을 확인한다. 만약, 저장량이 부족하다면, 외부 방수커버(2)를 들어 올려 원하는 양만큼의 사료를 사료저장고 본체(4)에 채워 넣은 후, 외부 방수커버(2)를 덮는다.
그리고 나서, 사육자는 제어기본체(20)를 통해, 흩뿌리기용 모터 등을 수동제어할 지 또는 프로그래밍에 의해 자동제어할 지를 입력한다.
수동제어 를 하는 경우, 사육자는 유인등(11) 스위치/흩뿌리기용 모터(7)의 속도조절용 다이얼/토출용 저속모터(5) 스위치를 각각 온(ON)하거나 턴-온하여 구동시킨다. 이때, 각각의 스위치나 다이얼 등은 거의 비슷한 시간대에 조작됨으로 조작순서가 큰 의미를 갖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하면, 양어장에서 사육 중인 물고기들이 유인등(11) 불빛에 자극을 받아 불빛 아래로 모여들게 되고, 토출용 저속모터(5)의 회전축(8)이 회전 원통체(14)를 저속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특히, 야간에는 유인등 불빛에 의해, 훌륭한 천연사료인 프랑크톤이나 유생 등이 양어장 쪽으로 모여들게 되어 사료량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물고기의 건강상태/활력을 인공 사료만 주었을 때보다 더욱 증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유인등을 밝혀 놓는 것만으로도 물고기의 생장을 촉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회전 원통체(14)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이 빈(17)과 하부 분리판(15)의 사료배출공이 겹쳐지면, 상기 프레이 빈(17)에 채워져 있던 1회 분의 사료가 바깥으로 쏟아져 내리게 되고, 이 사료 중의 일부는 회전하고 있던 사료 흩뿌리기용 날개(10)의 날개편에 부딪쳐 멀리 비산되면서 흩뿌려지고 나머지는 직하 또는 근방에 떨어지게 된다. 이때, 멀리 흩뿌려지는 사료량과 근방에 떨어지는 사료량은 사료 흩뿌리기용 날개(10)의 회전수(rpm)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데, 예컨대 고속회전일수록 각 날개편에 부딪혀 멀리 흩뿌려지는 양이 많아지고 저속일수록 근방에 떨어지는 양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유인등 불빛에 유인된 상위 서열의 물고기가 사료를 먼저 공급받도록 변속수단 작동스위치를 저속에 맞추고, 잠시 후에 고속으로 변경하면, 가두리양식장의 주변으로 밀려난 하위 서열의 물고기에게도 사료가 공급되어, 사육 중인 무리 전체의 건강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먹이경쟁도 피할 수 있게 되어 먹이다툼에 수반하는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물고기가 미처 먹지 못한 상태에서 물에 풀어져 버리는 사료량을 줄일 수 있어 수질오염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전체적으로 사육효율을 높일 뿐 아니라 출하되는 물고기의 상품성을 높여 줌으로 사육가에게 높은 소득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초기시설비용을 제외시킬 경우, 값비싼 전기에너지 대신 거의 무료에 가까운 태양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함으로 사육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제어 의 경우, 도6에 도시된 타이머를 조작하여 각종 모터와 유인등의 작동시각 및 작동시간을 세팅해 놓으면, 위에서 언급한 수동제어에서의 모든 작업이 제어기본체(20)에 의해 저절로 달성된다.
따라서, 적은 인원으로도 양어장 관리가 가능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는 주된 사용처가 양어장이지만 닭이나 오리 같이 하우스 내에서 방목 형태로 사육되는 가금류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적용 사료로는 비교적 딱딱하고 짧은 길이의 펠릿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는 ⑴사료저장고 본체(사료저장수단)에서 토출된 사료가 사료 흩뿌리기용 날개에 부딪혀 넓은 지역에 흩뿌려짐으로 사육공간의 주변으로 밀려난 낮은 서열의 사육대상들도 사료를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할 수 있고, 따라서 무리(群) 전체의 건강상태와 사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살포형 사료공급장치는 태양발전수단을 에너지 공급원으로 채택함으로써, 비용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에서는 사료의 살포 범위를 사료 흩뿌리기용 날개의 회전수에 따라 조절함으로 사육면적이 큰 경우에도 종래처럼 장치를 대형화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치의 소형화/경량화가 가능하다.

Claims (4)

  1. 적정량의 사료가 사료저장조 하측의 호퍼 부위에 장착된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을 통하여 매 공급시기마다 자동으로 토출되는 사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의 하방에 회전형 배분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회전형 배분수단의 회전축심이 상기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의 도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형 배분수단의 회전수(rpm)에 따라, 상기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에서 토출되는 사료의 살포 범위가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정량 분사용 노즐은,
    상기 사료저장조의 호퍼 단부에 설치되며, 표면에 소정 단면적의 사료배출공이 관통된 상부 분리판과;
    상기 상부 분리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길이만큼 하향 연장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 내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이 빈이 형성된 회전 원통체와;
    상기 회전 원통체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원통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이 빈에 대응되는 사료배출공이 표면에 관통된 하부 분리판;을 포함하는살포형 사료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장치는,
    사육대상에게 사료의 공급시기를 인지시키는 인지수단이 추가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배분수단은,
    태양발전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KR20-2003-0018294U 2003-06-11 2003-06-11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KR200324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294U KR200324852Y1 (ko) 2003-06-11 2003-06-11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294U KR200324852Y1 (ko) 2003-06-11 2003-06-11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837A Division KR100551620B1 (ko) 2003-06-09 2003-06-09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852Y1 true KR200324852Y1 (ko) 2003-08-27

Family

ID=4941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294U KR200324852Y1 (ko) 2003-06-11 2003-06-11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8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535B1 (ko) 2005-01-18 2006-09-13 주선미 사료 자동 공급기
KR101002613B1 (ko) 2008-09-17 2010-12-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사료 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535B1 (ko) 2005-01-18 2006-09-13 주선미 사료 자동 공급기
KR101002613B1 (ko) 2008-09-17 2010-12-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사료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0073A1 (en) Deer conditioning system
CN209449453U (zh) 一种家禽饲料自动喂食机
US20090241846A1 (en) Varmint guard feeder and method of using same
CN212573943U (zh) 一种在鱼塘上方的昆虫诱杀装置
CN108990861B (zh) 一种物联网式水产养殖全自动放料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969399B (zh) 一种多种单波段的诱虫灯管及其控制方法
CN210808845U (zh) 一种新型养殖系统
KR102188147B1 (ko)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US10531638B2 (en) Game feeder
KR200324852Y1 (ko)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CN206043073U (zh) 一种智能宠物喂食器
KR100551620B1 (ko)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CN115119774B (zh) 一种节能环保型家禽饲养环控系统
CN111642443A (zh) 一种方便调节的海洋牧场鱼类声音行为控制器
CN209073247U (zh) 一种多功能水产养殖用投食器
CN213427764U (zh) 一种畜牧散养喂食装置
CN204742283U (zh) 鱼窝子饵食投放装置
CN210959943U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家禽喂食器
CN220966046U (zh) 一种用于养殖鸽子的自动喂食器
CN112335538A (zh) 一种生态商务车
RU111976U1 (ru) Разбрасыватель корма
CN205105988U (zh) 一种多功能养鸡设备
CN214431119U (zh) 工厂化养殖自动饵料设备
CN218245237U (zh) 一种水产捕捞装置
CN111493016B (zh) 一种网箱饲料投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