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172A - 귀뚜라미 사육장치 - Google Patents

귀뚜라미 사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172A
KR20180134172A KR1020170071703A KR20170071703A KR20180134172A KR 20180134172 A KR20180134172 A KR 20180134172A KR 1020170071703 A KR1020170071703 A KR 1020170071703A KR 20170071703 A KR20170071703 A KR 20170071703A KR 20180134172 A KR20180134172 A KR 2018013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cket
case
frame
hole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용
Original Assignee
미래농업문화연구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농업문화연구소(주) filed Critical 미래농업문화연구소(주)
Priority to KR102017007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4172A/ko
Publication of KR2018013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뚜라미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사각관형태를 이루며 외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사육장케이스;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외면에 맞대어지는 판재와, 판재로부터 연장되어 제1관통공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서 귀뚜라미에게 서식처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거주부로 구성된 거주틀;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외면에 맞대어지는 판재와, 판재로부터 연장되어 제2관통공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서 귀뚜라미의 서식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외기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다공관으로 구성된 열습도공급틀; 상기 사육장케이스에 삽탈가능하게 내설되며 귀뚜라미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통로가 마련된 먹이틀;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약간의 타격과 더불어서 거주틀과 열습도공급틀을 인출하면 거주부 및 다공관이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빠져나오면서 자연스럽게 귀뚜라미가 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귀뚜라미 사육장치{Rearing equipment for cricket}
본 발명은 귀뚜라미에게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으면서 손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귀뚜라미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촌진흥청에서 세계적 선호가 높고, 안전성이 입증된 고소애(갈색거저리 유충)와 쌍별귀뚜라미를 일반식품원료로 인정함에 따라 식용곤충사업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해외에서도 귀뚜라미 등 곤충의 식품 활용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며, 해외 전문가들은 2020년 38조원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엔국제식량농업기구(FAO)는 곤충을 작은 가축(Little cattle)으로 명명했고, 벨기에는 곤충 10종을 식품원료로 인정한 상태이다.
식용곤충의 중요성은 식량자원 생산에 필요한 물발자국(Water Footprint)의 양도 비교적 적다는 장점도 있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5년 지구 전체 인구의 2/3가 물부족 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되는 상황이 도래한다고 우려하고 있으며, 일 예로 소고기 1㎏에 들어가는 물의 양이 2만 2천 리터인데 반하여 곤충은 냉온동물이라 체온유지를 하지 않아 매우 적은 양만으로도 더 많은 단백질과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다.
더욱이 곤충은 풍부한 아미노산과 높은 단백질 함량, 포화지방보다 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이 높으며, 영양학적 가치가 매우 크고 쇠고기와 비교해 보아도 식용곤충이 미네랄과 비타민, 섬유질의 함량도 훨씬 풍부하다.
식용곤충자원은 국내 외 시장의 급속한 관심 속에 식품, 제과, 제빵, 음료시장, 천연신약 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농가 소득확대 및 6차 산업과 연계하는 등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의 선두주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식용곤충자원 중 귀뚜라미는 메뚜기목(Orthoptera), 여치아목(Ensifera), 귀뚜라미상과(Grylloidea), 귀뚜라미과(Grylloidea)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이다.
귀뚜라미의 이용 역사를 살펴보면, 동양에선 애완곤충으로 이용한 자료들을 찾아 볼 수 있는데, 중국 당나라시대(AD618 ∼ 906), 일본(1095), 우리나라는 이규보(1168 ∼ 1241)의 동국이상국집에 개재되어 있으며, 중국은 송나라시대부터 귀뚜라미 사육이 대중화되어 귀뚜라미 싸움놀이를 즐기기 시작하였고, 지금도 성행하고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먹이 및 낚시미끼로 이용하기 위해 미국 Fluker farms는 1953년 귀뚜라미 농장을 설립한 후 자동화 사육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현재에는 귀뚜라미가 갖고 있는 다량의 기능성 물질 때문에 가축 사료소재에 이용되고 있으며, 급성 및 유전독성 시험에서도 이상이 없음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간 보호, 항 피로, 소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향후 귀뚜라미 사육은 농가 주요 소득 작목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귀뚜라미는 오메가 - 3 계열 지방산, 특히 DHA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키 토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먹이용 곤충으로 사육될 수 있는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오메가 - 3 계열 지방산은 불포화 지방산 중에서도 탄소 측쇄의 맨 끝에서부터 3번째 탄소에 이중결합을 갖는 필수 지방산으로서, 이 필수 지방산은 세포의 조직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신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함을 물론 신체의 성장과 두뇌 발달에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일 뿐 아니라, 오메가 - 3 계열 지방산은 혈액 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통한 각종 심장 혈관계 질환의 예방과 항종양 효과 및 학습 능력의 저하 예방 효과 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귀뚜라미를 사육하는 경우, 귀뚜라미가 탈출하지 못하는 높이의 미끄러운 용기(리빙박스 등)에 계란판 등으로 은신처를 만들어 사용한다.
그러나 계란판은 구하기도 어렵고 일반적으로 대량(6만장 이상)으로 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매비용이 크며, 또한 이를 보관하여야 하는 장소도 별도로 마련하고 관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귀뚜라미를 채집하려면 일일이 계란판에 붙은 귀뚜라미를 털어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4678호(귀뚜라미 사육 상자 및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이 있으며, 여기에는 박스의 높이보다 15㎝ 이상 높이가 낮도록 구획부를 형성하여, 귀뚜라미의 탈출을 방지하고, 구획부에 붙은 귀뚜라미를 털어내는 것이 용이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귀뚜라미를 털어내기 위해 박스에 충격을 가해야 하며 이러한 충격이 귀뚜라미에게 전달됨에 따라 귀뚜라미가 스트레스를 받기 쉬우며, 이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하여 양질의 귀뚜라미를 채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귀뚜라미를 채집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구획부를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박스를 뒤집어 귀뚜라미를 인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4678호(귀뚜라미 사육 상자 및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2016.06.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귀뚜라미에게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으면서 손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귀뚜라미 사육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귀뚜라미의 배설물을 사육하는 과정에 별도로 걸러 낼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인 환경에서 귀뚜라미를 사육할 수 있는 귀뚜라미 사육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사각관형태를 이루며 외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사육장케이스;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외면에 맞대어지는 판재와, 판재로부터 연장되어 제1관통공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서 귀뚜라미에게 서식처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거주부로 구성된 거주틀;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외면에 맞대어지는 판재와, 판재로부터 연장되어 제2관통공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서 귀뚜라미의 서식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외기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다공관으로 구성된 열습도공급틀;
상기 사육장케이스에 삽탈가능하게 내설되며 귀뚜라미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통로가 마련된 먹이틀;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외면에는 제2관통관이 더 보강되고,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외면에 맞대어지는 판재와, 판재로부터 연장되어 제2관통공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서 귀뚜라미의 서식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외기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다공관으로 구성된 열습도공급틀;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습도공급틀의 다공관으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기와, 분무를 공급하는 가습기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배출구를 향해 경사진 경사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먹이틀은,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상면보다 적어도 15㎝ 이상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내측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에 얹혀져 지지되거나 또는,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상면보다 적어도 15㎝ 이상 낮은 위치에서 배출구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시켜 형성한 절곡부에 얹혀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거주틀(또는 열습도공급틀)의 판재에는 거주부(또는 다공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육장케이스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바닥판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약간의 타격과 더불어서 거주틀과 열습도공급틀을 인출하면 거주부 및 다공관이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빠져나오면서 자연스럽게 귀뚜라미가 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거주틀이 사육장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자연스럽게 배출구가 바닥판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사육장케이스를 들어서 옮기고, 옮긴 위치에서 사육장케이스로부터 거주틀을 이탈시키면 배출구가 자연스럽게 개방됨에 따라 귀뚜라미를 쉽고 간편하게 운반 및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에서 사육장 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에서 거주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에서 사육장 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에서 거주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는, 사육장케이스(10)와 거주틀(20), 열습도공급틀(30), 먹이틀(40) 및 덮개(50)로 구성되며, 여기에 온풍기(60)와 가습기(70)가 더 보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사육장케이스(10)는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사각관체다.
상기 사육장케이스(10)의 상면에는 투입구(11)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배출구(12)가 형성되며, 투입구(11)와 배출구(12) 사이에는 배출구(12)를 향해 경사진 경사부(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작은 개체(알 또는 새끼)의 귀뚜라미를 넣어주고, 먹이틀(40)을 삽탈하기 위한 용도이고, 배출구(12)를 통해 큰 개체(성충)의 귀뚜라미를 꺼내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한편, 상기 사육장케이스(10)의 외면(둘레면)에는 거주틀(20)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1관통공(14)과, 열습도공급틀(30)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2관통공(15)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관통공(14)의 모양은 거주틀(20)의 거주부(22)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며, 제2관통공(15) 역시 열습도공급틀(30)의 다공관(32)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서, 사육장케이스(10)를 사각관체로 형성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그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경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사육장케이스의 하단에 사육장케이스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다리)를 형성하고, 배출구의 하부에 귀뚜라미 회수 및 분비물 회수 박스를 설치하면 자연스럽게 귀뚜라미와 분비물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거주틀(20)은 귀뚜라미에게 서식처(거주공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사육장케이스(10)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거주틀(20)은 판재(21)와 다수의 거주부(22)로 구성된다.
상기 판재(2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제1관통공(14)이 형성된 면에 밀착된다.
상기 거주부(22)는 판재(21)로부터 연장되어 제1관통공(14)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거주부(22)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I형빔형태로 제작하였으며, 층층이 배열된 거주부(22)가 동일선상으로만 배치되지 않게 지그제그로 배열하여 귀뚜라미가 쉽게 거주부(22)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열습도공급틀(30)은 귀뚜라미의 서식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외기(온도 및 습도 등)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사육장케이스(10)의 내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사육장케이스(10)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열습도공급틀(30)은 판재(31)와 한 쌍의 다공관(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판재(3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제2관통공(15)이 형성된 면에 밀착된다.
상기 다공관(32)은 판재(31)와 일체를 이루되,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판재(31)를 관통하여 외부로 개방되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된 부재이다.
상기 한 쌍의 다공관(32) 중 어느 하나에는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기(60)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다공관(32)에는 분무를 공급하는 가습기(70)가 연결된다.
일 예로 귀뚜라미가 잘 성장하기 위한 사육조건은 온도는 25 ∼ 30℃이고, 습도는 60 ∼ 70%인 것이 가장 좋으며, 이와 같은 사육조건을 인공적으로 맞춰주기 위하여 온풍기(60)와 가습기(70)가 열습도공급틀(30)의 다공관(32)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일 예로서, 상기 사육장케이스(10)의 제1관통공(14)에 거주틀(20)를 끼워 결합하고, 제2관통공(15)에 온풍기(60)와 가습기(70)가 연결된 열습도공급틀(30)을 끼워 결합한 다음 온풍기(60)와 가습기(70)를 이용하여 귀뚜라미가 성장할 수 있는 사육조건을 맞춰준다.
그리고 상기 사육장케이스(10)의 투입구(11)를 통해 작은 개체(새끼 또는 알)를 넣어 주고, 큰 개체 귀뚜라미가 될 때까지 사육한다.
그리고 큰 개체의 귀뚜라미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거주틀(20)과 열습도공급틀(30)을 인출하면 거주틀(20)과 열습도공급틀(30)에 붙어 있던 귀뚜라미가 제1관통공(14)과 제2관통공(15)에 의해 걸러지면서 사육장케이스(13)의 경사부(13)를 타고 배출구(12)로 유도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육장케이스(10)에 약간의 타격과 더불어서 거주틀(20)과 열습도공급틀(30)을 인출하면 거주부(22) 및 다공관(32)이 제1관통공(14)과 제2관통공(15)을 빠져나오면서 자연스럽게 귀뚜라미가 떨어지며, 이 밖에도 에어건, 열풍 등을 이용하여 귀뚜라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육장케이스(10)을 타격하지 않고 거주틀(20)과 열습도공급틀(30)을 인출하면 귀뚜라미가 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와 같이 사육장케이스(10)를 사육사가 과하게 타격해 털어낼 필요가 전혀 없고, 타격을 하지 않고 귀뚜라미를 떨어뜨릴 경우 귀뚜라미에게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보다 건강한 귀뚜라미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육장케이스(10)로부터 거주틀(20)과 열습도공급틀(30)을 각각 분리한 상태에서 사육장케이스(10)를 들어 올려주면 귀뚜라미 및 배설물은 사육장케이스(13)의 경사부(13)를 타고 배출구(12)로 유도되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사육장케이스를 뒤집어 귀뚜라미를 인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먹이틀(40)은 복수의 통로(41)가 마련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사육장케이스(10)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내설된다.
상기 먹이틀(40)의 상면에는 귀뚜라미의 먹이가 놓여지며, 귀뚜라미는 통로(41)를 통해 먹이틀(40)의 상면으로 올라와 먹이를 먹게 된다.
특히, 상기 먹이틀(40)은 사육장케이스(10)의 상면으로부터 적어도 15㎝ 이상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사육사가 덮개(50)를 열었을 때 귀뚜라미가 사육장케이스(10)를 뛰어 넘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먹이틀(40)에는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되는 개폐판(40')이 더 보강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40')은 복수의 통로(41)가 마련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로서, 먹이틀(40)의 상면에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된다.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40')을 우측으로 밀게 되면 먹이틀(40)의 통로(41)가 개폐판(40')에 의해 막히게 되면서 먹이를 먹기 위한 귀뚜라미의 이동을 원천봉쇄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개폐판(40')을 좌측으로 밀게 되면 먹이틀(40)의 통로(41)와 개폐판(40')의 통로(41)가 상호 연통됨에 따라 귀뚜라미의 이동이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개폐판(40')의 상면에 놓여 진 먹이를 귀뚜라미가 먹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육장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먹이틀(40)은 지지부(16)와 절곡부(17)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16)는 돌기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육장케이스(10)의 상면보다 적어도 15㎝ 이상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먹이틀(40)을 지지한다.
상기 절곡부(1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육장케이스(10)의 상면보다 적어도 15㎝ 이상 낮은 위치에서 배출구(12)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절곡시킨 것으로서, 사육장케이스(10)의 내부의 넓이가 먹이틀(40)의 넓이보다 작아짐에 따라 이에 의해 먹이틀(4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50)는 사육장케이스(1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육장케이스(10)의 상부를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일 예로 상기 덮개(50)를 개방하게 되면 사육장케이스(10)의 내부로 빛이 들어가게 되면서 야행성인 귀뚜라미는 그 즉시 먹이틀(40)의 통로(41)를 통해 이동하며 이때 먹이틀(40)의 상면에 설치된 개폐판(40')을 밀어 먹이틀(40)의 통로(41)가 개폐판(40')에 의해 가려지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온풍기(60)는 열습도공급틀(30)의 다공관(3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습기(70)는 열습도공급틀(30)의 다공관(32) 중 나머지 다공관(32)에 설치되어 분무를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온풍기(60)와 가습기(70)는 호스를 매개로 다공관(32)과 각각 연결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사육장케이스(10)의 내부에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가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어부(마이컴)로 입력되며, 제어부는 입력된 신호 값과 기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사육조건에 맞게 온풍기(60)와 가습기(70)를 동작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육사가 사육장케이스(10)를 들어올리게 되면 사육장케이스(10) 내에 귀뚜라미가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 사육장케이스(10)를 옮겨야 할 경우 배출구(12)로 인해 사육장케이스(10)의 이동이 쉽지 않은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거주틀(20)에 바닥판(23)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상기 바닥판(23)은 거주틀(20)의 판재(21) 하단으로부터 거주부(22)를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어 배출구(12)를 개폐한다.
이에 의하면 거주틀(20)이 사육장케이스(1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자연스럽게 배출구(12)가 바닥판(23)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사육장케이스(10)를 들어서 옮기고, 옮긴 위치에서 사육장케이스(10)로부터 거주틀(20)을 이탈시키면 배출구(12)가 자연스럽게 개방됨에 따라 귀뚜라미를 쉽고 간편하게 운반 및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거주틀(20) 대신 열습도공급틀(30)에 바닥판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사육장케이스(10)의 배출구(12)에는 배설물배출수단(80)이 보강되고, 거주틀(20)의 바닥판(23)에는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부(23a)가 보강된다.
상기 배설물배출수단(80)은 배출구(12)에 회전축(81a)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81)과, 프레임(81)의 내측에 설치되어 배설물은 통과시키고 귀뚜라미는 걸러내는 격자망(82), 및 프레임(81)을 회전축(81a)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강제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8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23)에 형성된 수거부(23a)는 배출구(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게 바닥판(23)의 상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8(b)와 같이 초기 배설물배출수단(80)의 프레임(81)은 토션스프링(83)에 의해 90°로 세워져 있다.
이때 사육장케이스(10)에 거주틀(20)을 끼워 상호 결합시키게 되면, 거주틀(20)의 바닥판(23)이 전진하면서 세워진 프레임(81)을 회전축(81a)을 중심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토션스프링(83)은 압축되며, 바닥판(23)의 수거부(23a)가 배출구(12)의 하부에 배치되면 90°로 세워져 있던 프레임(81)이 90°로 뉘어져 격자망(82)을 매개로 배설물은 통과시키고 귀뚜라미는 걸러내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귀뚜라미의 배설물을 사육하는 과정에 별도로 걸러 낼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인 환경에서 귀뚜라미를 사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사육장케이스 11: 투입구 12: 배출구
13: 경사부 14: 제1관통공 15: 제2관통공
16: 지지부 17: 절곡부 20: 거주틀
21: 판재 22: 거주부 23: 바닥판
23a: 수거부 30: 열습도공급틀 31: 판재
32: 다공관 40: 먹이틀 41: 통로
40': 개폐판 41: 통로 50: 덮개
60: 온풍기 70: 가습기 80: 배설물배출수단
81: 프레임 81a: 회전축 82: 격자망
83: 토션스프링

Claims (6)

  1. 상부와 하부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사각관형태를 이루며 외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사육장케이스;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외면에 맞대어지는 판재와, 판재로부터 연장되어 제1관통공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서 귀뚜라미에게 서식처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거주부로 구성된 거주틀;
    상기 사육장케이스에 삽탈가능하게 내설되며 귀뚜라미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통로가 마련된 먹이틀;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외면에는 제2관통관이 더 보강되고,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외면에 맞대어지는 판재와, 판재로부터 연장되어 제2관통공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서 귀뚜라미의 서식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외기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다공관으로 구성된 열습도공급틀;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습도공급틀의 다공관으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기와, 분무를 공급하는 가습기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배출구를 향해 경사진 경사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틀은,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상면보다 적어도 15㎝ 이상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내측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에 얹혀져 지지되거나 또는,
    상기 사육장케이스의 상면보다 적어도 15㎝ 이상 낮은 위치에서 배출구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시켜 형성한 절곡부에 얹혀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틀(또는 열습도공급틀)의 판재에는 거주부(또는 다공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육장케이스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바닥판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장치.
KR1020170071703A 2017-06-08 2017-06-08 귀뚜라미 사육장치 KR20180134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03A KR20180134172A (ko) 2017-06-08 2017-06-08 귀뚜라미 사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03A KR20180134172A (ko) 2017-06-08 2017-06-08 귀뚜라미 사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172A true KR20180134172A (ko) 2018-12-18

Family

ID=6495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703A KR20180134172A (ko) 2017-06-08 2017-06-08 귀뚜라미 사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417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277B1 (ko) 2019-01-04 2019-07-16 이상무 귀뚜라미 사육을 겸한 운반박스
KR102114733B1 (ko) * 2020-01-15 2020-05-25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다단 유충사육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유충사육시스템
NL2025331B1 (en) * 2020-04-10 2021-10-25 Theodorus Maria Kamps Stephanus Insect farming device
KR20220042831A (ko) * 2020-09-28 2022-04-05 김용석 다중구조를 가지는 곤충사육장치
WO2022229425A1 (fr) * 2021-04-30 2022-11-03 Nextalim Caisson de transport de larves d'insectes.
EP4129056A4 (en) * 2020-03-24 2024-01-03 Jtekt Corp BREEDING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277B1 (ko) 2019-01-04 2019-07-16 이상무 귀뚜라미 사육을 겸한 운반박스
KR102114733B1 (ko) * 2020-01-15 2020-05-25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다단 유충사육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유충사육시스템
EP4129056A4 (en) * 2020-03-24 2024-01-03 Jtekt Corp BREEDING DEVICE
NL2025331B1 (en) * 2020-04-10 2021-10-25 Theodorus Maria Kamps Stephanus Insect farming device
KR20220042831A (ko) * 2020-09-28 2022-04-05 김용석 다중구조를 가지는 곤충사육장치
WO2022229425A1 (fr) * 2021-04-30 2022-11-03 Nextalim Caisson de transport de larves d'insect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4172A (ko) 귀뚜라미 사육장치
US9839201B2 (en) Swiftlets farming for production of edible bird's nests
US20130273807A1 (en) Structure and configuration for top bar hive
US3584603A (en) Farrowing layout
KR20190034764A (ko) 귀뚜라미 사육기
Eckles et al. The ration and age of calving as factors influencing the growth and dairy qualities of cows
KR20160131452A (ko) 식·약용 곤충 사육장치
KR102554257B1 (ko) 먹이공급이 편리한 벌통용 먹이공급판
KR100780737B1 (ko) 사향쥐 사육장
Gershon et al. Introduction to
Walker Amateur Fish Culture
McAtee Propagation of upland game birds
Warré Beekeeping for all
KR20090091381A (ko) 사향쥐 사육장치
Rossier Living with chickens: Everything you need to know to raise your own backyard flock
Stone Domesticated trout: how to breed and grow them
Morley Bee-keeping for profit
TW202128010A (zh) 螞蟻食餌藥效測試裝置
Billings Talking Turkey (revised June, 1947)
Malden Farm buildings and economical agricultural appliances
Phelps Phelps' Bee-keeper's Chart: Being a Brief Practical Treatise on the Instinct, Habits and Management of the Honey-bee, in All Its Various Branches...
Wright The practical poultry keeper
Halpin Poultry raising
Koehler et al. Practical Uses of Rope on the Farm: Knots, Hitches, Splices
Root The ABC of Bee Culture: A Cyclopaedia of Every Thing Pertaining to the Care of the Honey-bee; Bees, Honey, Hives, Implements, Honey-plants, Etc., Facts Gleaned from the Experience of Thousands of Bee Keepers All Over Our Land and Afterwards Verified by Practical Work in Our Own Apia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