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381A - 사향쥐 사육장치 - Google Patents

사향쥐 사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381A
KR20090091381A KR1020080016605A KR20080016605A KR20090091381A KR 20090091381 A KR20090091381 A KR 20090091381A KR 1020080016605 A KR1020080016605 A KR 1020080016605A KR 20080016605 A KR20080016605 A KR 20080016605A KR 20090091381 A KR20090091381 A KR 20090091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muskrat
swimming
musk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창
Original Assignee
정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창 filed Critical 정기창
Priority to KR102008001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1381A/ko
Publication of KR20090091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Abstract

본 발명은 들이나 강, 뚝 등지에 굴을 파고 자생을 하는 야생 사향 쥐를 사육할 수 있도록 야생에서 생활하는 사향 쥐의 번식(생식) 및/또는 성장하는 것의 습성, 습관 등과 같은 생활패턴을 감안하여 사육시에 사향 쥐가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함으로써 다산을 장려하며 폐사율을 줄이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는 수직상으로 상층과 하층으로 분활구획되고, 상기 상층은 수평상으로 서로 연통되는 생활실과 성장실로 분활구획되며, 상기 하층은 수평상으로 밀폐되는 수영실과 분만실로 분활구획되데, 상기 수영실은 상기 생활실과 연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분만실은 상기 성장실과 연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생활실의 상부면에는 개폐문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사향쥐 사육장치를 제공한다.
사향, 사향쥐, 사육, 사육장, 사육조.

Description

사향쥐 사육장치{A cattle ranch for Muskrats}
본 발명은 들이나 강, 뚝 등지에 굴을 파고 자생을 하는 야생 사향 쥐를 사육할 수 있도록 된 사향 쥐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생에서 생활하는 사향 쥐의 번식(생식) 및/또는 성장하는 것의 습성, 습관 등과 같은 생활 패턴을 감안하여 사육시에 사향 쥐가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함으로써 다산을 장려하며 폐사율을 줄이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사향 쥐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향은 그 성분이 무스콘·탄산암모늄·인산·칼륨·콜라겐·단백질·지방·콜레스테롤·섬유질·수분 등으로 되어 있으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매운맛을 내며 약간 쓴맛을 띠고 있다.
주로 심장과 비장의 경락에 작용되고, 사향은 개규(開窺 : 심규를 열어 정신을 들게 함)·활혈(活血 : 혈액순환이 잘되게 함)·최생(催生 : 아기를 쉽게 빨리 낳게 함) 등의 효능이 있어 주로 중추신경계에 대한 흥분성이 강하다.
따라서 의식장애·경련발작·뇌졸증 등에 쓰이며, 이때는 우황(牛黃)·용뇌(龍腦)·주사(朱砂) 등의 청열, 개규, 진경의 약물을 배합하여 환제나 산제로 쓰이 고, 활혈(活血)의 효능으로 타박손상(打撲損傷)이나 복강내 종양에 쓴다.
항균진통 작용이 있으므로 화농성질환에도 사용하지만, 사향은 지속적인 자궁경련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임신 특히 임신 말기에는 금하고, 또 혈압이 높은 경우에도 조심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사향은 인공 및 천연재료가 있으나, 인공으로 제조된 사향은 그 약효과 미미하거나 전무한 상태라서, 천연사향이 선호되며 주로 사향노루와 사향쥐에서 채취되었다.
그러나 상기 사향노루는 사향을 취재하기 위하여 죽여야하지만, 상기 사향쥐는 사육하면서 1년에 5∼6회 이상 채취하여 1마리에서 약 10∼15g정도(사향노루의 약 1/3)를 생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사향쥐는 야행성 및 반수중생활을 하는 동물로 활동량이 적어 지하수 공급과 차광시설을 갖춘 소형의 사육시설만 있어도 사육이 가능하고 적게 먹고 적게 배설하여 관리인력이 적게 소요되고, 현재 사향 1그램에 약7∼10만원 정도로 고가이므로,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동물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인공적으로 사향쥐를 대량 사육할 수 있으며, 관리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조립식으로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고 위생적인 사향쥐 사육장치가 제안되었으며, 상기 종래의 사향쥐 사육장치로는 한국특허등록 제10-780737호(명칭: 사향쥐 사육장)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한국특허등록 제10-780737호의 사향쥐 사육장은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통상체로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의 탈/부착식 칸막이가 내부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여 사향쥐가 수영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다수의 담수실 및 상기 다수의 담수실에 물을 급/배수시설이 구비된 장치실이 일측단부에 분할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앞면 상단에 일체형으로 돌설되고 사향쥐가 먹을 수 있는 식수를 저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한 급수부로 구성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상단에 설치되며 앞뒤로 일정간격 이격된 앞면과 뒤면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칸막이가 설치되여 그 내부공간이 다수의 생활방으로 분할되고, 상기 각 생활방은 그 상면을 개폐용 덮개로 형성되고 그 하면은 다공판으로 형성되며 앞면의 하측부에는 출입구가 형성된 둥지와; 상기 둥지의 각 생활방의 앞쪽으로 저수조의 상단에 설치되며 생활방의 출입구와 대응하여 후면에 제1출입구가 형성되고, 담수실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면에 상기 제1출입구와 연속되게 제2출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은 개폐용 덮개로 형성된 다수의 먹이공급실과; 상기 저수조의 상단에 설치되여 둥지와 먹이공급실의 지지 및 상기 먹이공급실이 전후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받침대와; 상기 둥지의 생활방 출입구와 그와 대응되는 급수부의 소정부위에 양단에 각각 걸쳐지고 양단 사이의 중앙부가 저수조의 담수실내로 위치하도록 "U"형으로 굴곡되여, 둥지의 생활방 및 먹이공급실과 저수조의 담수실로 사향쥐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사다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사향쥐 사육장은 인공적으로 사향쥐를 대량 사육할 수 있으며, 관리가 용이함을 물론이고 조립식으로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고 위생적이지만, 단순히 사향을 일반가축처럼 적용하여 사육을 하도록 되어 있어, 차가운 북반구에서 생활하며 더운 것을 싫어하고 어둡고 차가운 물에서 물고기, 야채류, 곡물 등을 주식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사육시 새기를 품은 어미사향쥐를 인간이 보면 새끼들을 죽이는 습성을 가지는 사향쥐에게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가하여 사향쥐의 번식 및 성장을 저해하여 출산율이 떨어지며 폐사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사향쥐에게 스트레스를 인가하는 요인으로는 철조망으로 이루어진 생활실 및 바닥으로 인하여 사향쥐가 햇빛을 많이 조사받도록 되어 있어, 인간과의 접촉이 용이하게 되어 있어 스트레스가 증가하며, 별도의 분만실이 구비되지 않아 분만 후 초기 생육의 어려움으로 인한 영아 시기의 폐사율의 증대가 주효 원인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야생에서 생활하는 사향 쥐의 번식(생식) 및/또는 성장하는 것의 습성, 습관 등과 같은 생활패턴을 감안하여 사육시에 사향 쥐가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함으로써 다산을 장려하며 폐사율을 줄이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사향 쥐 사육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향쥐 사육장치는 내부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는 수직상으로 상층과 하층으로 분활구획되고, 상기 상층은 수평상으로 서로 연통되는 생활실과 성장실로 분활구획되며, 상기 하층은 수평상으로 밀폐되는 수영실과 분말실로 분활구획되며, 상기 수영실은 상기 생활실과 연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분만실은 상기 성장실과 연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생활실의 상부면에는 개폐문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성장실의 일측면에는 통공이 구비되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통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생활실의 전면에는 사료투입구와 야채투입구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는 사료통과 야채통 및 물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생활실의 바닥면에는 흙 및/또는 돌이 층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돌덩어리와 나무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수영실과 분만실과 연통되는 생활실과 성장실은 각각 사다리가 구비되어 있어 손쉽게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수영실의 일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물투입구와 배수구가 구비되어 수영실에 충진 된 물을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사향쥐 사육장치는 외부와 완전 밀폐되어 내부가 햇빛과 인간으로부터 차단되어 사향쥐의 생습관상 스트레스를 거의 받지 않도록 되어 있어 다산을 유도함과 아울러 폐사율을 저하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향쥐 사육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사향쥐 사육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사향쥐 사육장치(1)는 내부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공간부(2)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2)는 수직상으로 상층과 하층으로 분활구획되고, 상기 상층은 수평상으로 서로 연통되는 생활실(3)과 성장실(4)로 분활구획되며, 상기 하층은 수평상으로 밀폐되는 수영실(5)과 분말실(6)로 분활구획되데, 상기 수영실(5)은 상기 생활실(3)과 연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분만실(6)은 상기 성장실(4)과 연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생활실(3)의 상부면에는 개폐문(7)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성장실(4)의 일측면에는 통공(9)이 구비되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한 생활실(3)의 전면에는 사료투입구(10)와 야채투입구(11)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는 사료통(12)과 야채통(13) 및 물통(1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생활실(3)의 바닥면에는 흙 및/또는 돌이 층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돌덩어리와 나무통이 구비되어 있어 이빨을 가는 사향쥐의 습성에 맞게 이빨질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수영실(5)과 생활실(3)이 연결하는 이동통로에는 사다리(15)가 구비 되어 있으며, 분만실(6)과 성장실(4)을 연결하는 이동통로에도 사다리(15)가 구비되어 있어 손쉽게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한 수영실(5)의 일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물투입구(16)와 배수구(17)가 구비되어 수영실(5)에 충진된 물을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사향쥐 사육장치(1)는 사향쥐의 생활습관상 필요한 인간 및 햇빛으로부터의 밀폐가 용이하도록 되어있어, 사향쥐가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필요시에만 상기 개폐문(7)을 이용하여 내부의 정리 또는 이동 수리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영실(5)과 분만실(6)이 근접되어 있어 차가운 환경에서 생활하는 사향쥐의 습성에 알맞도록 분만실(6)이 항상 냉방(수영실의 차가운 물에 의해)되도록 되어있어 분만 및 영아기의 사향쥐가 용이하게 성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사향쥐 사육장치(1)는 필요에 의해 수직상으로 적층하거나 수평상으로 배열설치하여 좁은 공간에서 다량의 사향쥐를 사육할 도 있는 것으로, 먼저 수영실(5)의 물투입구(16)를 통해 수영실(5)의 내부로 신선한 물을 공급하여 사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한 수영실(5)에 충진되는 물은 내부에 설치된 부구(미도시)에 의해 수위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수영실(5)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어 충진되면, 물투입구(16)를 페쇄하고, 개폐문(7)을 통해 적어도 암수 한쌍의 사향쥐(미도시)를 넣어 놓고 사육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몸체(8)의 내부에서 생활하는 사향쥐는 야채투입구(11)와 사료투입구(10)를 통해 투입되는 식품들을 먹고 수영실(5)을 자유로이 드나들면서 수영을 하면서 생활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사향쥐가 생활하면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은 어두운 상황에서 개폐문(7)을 통해 수거되며, 수영실(5)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은 배수구(17)를 통해 물갈이를 할 때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새기의 분만 및 성장이 인간 및 햇빛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별도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사향쥐가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면서 분만 및 생육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사향쥐 사육장치를 보인 투시사시예시도,
도 2는 동 정단면 예시도,
도 3은 동 평단면 예시도,
[도면 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육장치, 2 : 공간부,
3 : 생활실, 4 : 성장실,
5 : 수영실, 6 : 분만실,
7 : 개폐문, 8 : 몸체,
9 : 통공, 10 : 사료투입구,
11 : 야채투입구, 12 : 사료통,
13 : 야채통, 14 : 물통,
15 : 사다리, 16 : 물투입구,
17 : 배수구.

Claims (4)

  1. 내부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는 수직상으로 상층과 하층으로 분활구획되고, 상기 상층은 수평상으로 서로 연통되는 생활실과 성장실로 분활구획되며, 상기 하층은 수평상으로 밀폐되는 수영실과 분만실로 분활구획되데, 상기 수영실은 상기 생활실과 연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분만실은 상기 성장실과 연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생활실의 상부면에는 개폐문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향쥐 사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성장실의 일측면에는 통공이 구비되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통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향쥐 사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생활실의 전면에는 사료투입구와 야채투입구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는 사료통과 야채통 및 물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향쥐 사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영실과 분만실과 연통되는 생활실과 성장실은 각각 사다리가 구비 되어 있어 손쉽게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향쥐 사육장치
KR1020080016605A 2008-02-25 2008-02-25 사향쥐 사육장치 KR20090091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605A KR20090091381A (ko) 2008-02-25 2008-02-25 사향쥐 사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605A KR20090091381A (ko) 2008-02-25 2008-02-25 사향쥐 사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381A true KR20090091381A (ko) 2009-08-28

Family

ID=4120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605A KR20090091381A (ko) 2008-02-25 2008-02-25 사향쥐 사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13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4153A (zh) * 2013-12-19 2014-04-09 辛集市金牧科技有限公司 一种麝香鼠圈舍
CN113080080A (zh) * 2021-04-07 2021-07-09 川北医学院 一种大鼠强迫游泳试验装置及试验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4153A (zh) * 2013-12-19 2014-04-09 辛集市金牧科技有限公司 一种麝香鼠圈舍
CN113080080A (zh) * 2021-04-07 2021-07-09 川北医学院 一种大鼠强迫游泳试验装置及试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kesbo et al. Farm animal behaviour: characteristics for assessment of health and welfare
JP2002017188A (ja) 家禽、家畜などの飼育方法および飼育設備
KR20080111992A (ko) 북방산 개구리 사육장 및 사육방법
Lemm et al. Cyclura: Natural history, husbandry, and conservation of West Indian rock iguanas
ES2209404T3 (es) Sistema de cria para animales.
Keeble Rodents: biology and husbandry
Guemene et al. Production systems for waterfowl.
KR100780737B1 (ko) 사향쥐 사육장
KR20090091381A (ko) 사향쥐 사육장치
KR20160131452A (ko) 식·약용 곤충 사육장치
KR20100000103A (ko) 사향쥐 사육장치
KR102517634B1 (ko) 북방산개구리 사육장치 및 사육시스템
Laidlay The care and propagation of ornamental waterfowl
CN104351138A (zh) 水蛇的高密度水池养殖方法
Gershon et al. Introduction to
Mohan-Gibbons et al. Turtles, tortoises, and terrapins
KR20090013063U (ko) 잠수식 사향쥐 사육장치
CN111903543A (zh) 一种竹鼠养殖育苗繁殖装置
Komugisha et al. Better management practices for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spawning and fingerling production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Colville-Hyde et al. Husbandry
Cassiano et al. Eastern mosquitofish, Gambusia holbrooki, for control of mosquito larvae
CN209677084U (zh) 一种散养鸡生态养殖圈舍
Keeble et al. Mammals: biology and husbandry
Honegger Zoo breeding and crocodile bank
KR20100002181U (ko) 철망울타리식 다공산실 사향쥐 사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