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730B1 - 조류사육기 - Google Patents

조류사육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730B1
KR0156730B1 KR1019960000897A KR19960000897A KR0156730B1 KR 0156730 B1 KR0156730 B1 KR 0156730B1 KR 1019960000897 A KR1019960000897 A KR 1019960000897A KR 19960000897 A KR19960000897 A KR 19960000897A KR 0156730 B1 KR0156730 B1 KR 0156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support
elastic cover
load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537A (ko
Inventor
변환경
Original Assignee
변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환경 filed Critical 변환경
Priority to KR101996000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730B1/ko
Publication of KR97005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5Battery breeding cages, with or without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4Dropping-boards; Device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01K31/16Laying nests for poultry; Egg collecting
    • A01K31/165Egg collecting or cou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01K31/16Laying nests for poultry; Egg collecting
    • A01K31/17Laying batteri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종래 꿩, 메추리, 닭을 밀식시켜 사육함에 있어 문제로 되는 분뇨제거, 알수거, 사료공급, 통풍의 신속화가 어렵다는 점을 개선코자 본발명은 중앙의 회전지주(1)에 다층구조로 사육기를 연속배치하여 주어 사육기의 회전에 따라 먹이, 분뇨제거, 알수거가 자동화될 수 있게 하였다. 즉, 회전지주(1)만 회전토록 하고 하판(4)에는 알수집구(12)를 지지기둥(30)에 연결고정시켜 주고 탄성덮개(9)의 윗면에는 분뇨제거구(11)를 타지지기둥(29)에 연결고정토록 하여 1일 3∼5회 회전동작시 자동알수거, 분뇨수거, 사료공급 그리고 통풍이 가능토록 하였다. 특히 4각형 케이지처럼 협소공간이 아니고 중앙에 물통이 있고 주변이 등글게 형성되어 조류가 충분히 활동토록 하므로서 건강증진도 배가토록 하였다.

Description

조류사육기
제1도는 본발명의 사육기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발명의 사육기 단면도.
제3도는 본발명의 전체 단면구조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지주 2 : 하받침
3 : 브라켓트 4 : 하판
5 : 물통 6 : 상받침
7 : 망상케이지 8 : 상판
9 : 탄성덮개 10 : 원수통
11 : 분뇨제거구 12 : 알수집구
13 : 모이통 15 : 분뇨수거통
20 : 구동모터 31 : 알수거바구니
40 : 도관
본발명은 닭, 메추리, 꿩등의 조류를 대량사육할 수 있으면서 방사(放飼)사육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조류사육기에 관한 것이다.
닭, 꿩, 메추리등을 사육하는 경우 가능한한 단위시간 및 노동력당 많은 수의 사육이 될수록 소득이 증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조류를 4각형 케이지에 가두어 넣고 이들 케이지를 다층구조로 적재한 것이 현재 범용화되고 있는 사육수단이다. 이같은 4각형 케이지가 갖는 특징은 직육면체 구조물내에 조류를 밀식한 다음 정면에 자동모이 공급기를 설치하여 모이공급이 되며 하측으로는 알받이를 두어 경사면을 타고 알이 굴러들면 대부분 수동으로 수거하고 있다. 이같은 4각형 케이지를 이용한 밀식사육에 있어 문제로 되는 것은 수만수에 이르는 조류가 밀폐공간에 층층이 쌓여있기 때문에 환기가 어려워 사육조류의 건강에 영향을 주고있다. 또한 수만수의 조류가 배설물을 계속 케이지상부에 누적시키므로 케이지 상부에서 악취가 나오며 이 악취역시 조류생육 환경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절기에 1일정도 분뇨수거가 완전치 못할 경우 지독한 가스의 발생으로 산란계는 알을 낳지 않고 심한 경우 폐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력을 이용한 케이지별 분뇨수거가 극심한 노동력이 요구되어 노동력이 부족한 농촌에서 가장 어려운 해결과제로 지적되는 것이다.
둘째로 케이지의 크기가 일정하게 제한 되므로 조류가 운동할 공간이 거의 없이 갇혀 지내는 상황이다. 따라서 조류가 운동부족에 따른 체력저하로 약간의 환경변화나 오염에도 즉시 질병에 감염되며 폐사율도 그만큼 높아지는 것이다. 최근에 넓은 공터에 이들을 방사 사육한 자연식 사육이 부분적으로 시행되고는 있으나 관리어려움과 생산성저하로 도시근교 일부외에는 거의 시행되지 못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이상의 4각형 케이지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개선코자 제안된 것으로서, 1일 3∼5회 회전하는 지주에 원형의 사육기를 일정한 공간을 두고 연속배치하고, 이 사육기에 분뇨수거기와 알수거기를 설치하여 먹이공급, 분뇨수거, 알수거가 자동화될 수 있는 새로운 조류사육기의 제공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발명의 사육기 1개를 분해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며, 제2도는 이것을 조립한 상태에서 단면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제3도는 다층으로 설치되었을 때의 전체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하부 또는 상부의 구동모터(20)와 연결되어 사육기전체를 지지 및 회전하는 회전지주(1)가 지상에서 상부로 수직연장설치되며, 회전지주(1)에는 브라켓트(3)를 삽입하고 나사체결 또는 용접등의 방법으로 하받침(2)이 브라켓트(3)의 하부(3a)에 고정토록 하였으며, 상기한 하받침(2)의 상면에는 망상의 하판(4)이 적재토록하여 공지의 수단으로 하받침과 체결토록하되 알이 자중으로 굴러내리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체결하고 중앙에는 물통(5)을 안치하였으며, 상기한 브켓트(3)의 상측단에는 자형태로된 상받침(6)을 2이상 방사상 배치하며, 이어서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한 도우넛형태의 상판(8)을 적재하고 이것에 접하도록 고무등의 탄성재질의 형성한 도우넛형태의 탄성덮개(9)를 적재하여 주었으며, 상기한 하판(4)의 상면에 접하도록 알수집구(12)를 길게 연설하여 상기한 망상케이지(7)와 거리를 두고 배치하도록하며, 상기한 탄성덮개(9)의 상면에 접하도록 분뇨제거구(1)를 중앙 통공(A)의 근접부에서부터 연장설치 되어있다.
본발명의 알수집구(12)는 하판(4)에 접하도록 하되 선단(12a)이 아닌 후단부(12b)는 지지기둥(30)에 고정되어있도록 하였으며, 알수집구(12)의 하측에는 하판(4)의 최외주변 보다 약간 밑으로 알수집바구니(31)이 각각의 사육기별로 설치되어져 알이 낙하되면 즉시 수집토록 하였다.
본 발명의 분뇨제거구(11)도 앞서 설명한 알수거구처럼 탄성덮개(9)에 접하도록 배치하고 후단(11a)은 또다른 지지기둥(29)에 고정토록하여서 사육기회전시 탄성덮개(9)의 상면을 긁어낼 수 있게 하였다. 이같은 분뇨제거구(11)와 같은 방향으로 분뇨가이드관(16)이 상판(8)의 밑으로 설치되어져 낙하되는 분뇨가 분뇨수거통(15)에 수집토록 하였다.
본 발명의 물통(5)은 중앙에 오버플로우관(5a)이 형성되어져 오버플로우도관(5b)이 그아랫단의 또다른 물통위로 신장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분뇨제거구(11)는 밑면(11a)이 직선을 이루도록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톱니형태 또는 기타 요철구조를 또는 브러시나 탄성고무를 형성시켜주어 탄성덮개(9)에 쌓인 오물이 보다 손쉽게 긁혀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발명에서 미도시한 먹이공급기는 통상의 탑형구조로서 상부에서 사료를 채워주면 회전스크류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먹이공급도관(40)을 거쳐 모이통(13)에 공급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같은 구조적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조류사육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여 특징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발명의 사육기는 일단 회전지주(1)에 다층상으로 연속설치되는 구조로서 1일 3~5회 회전한다. 즉, 구동모터(2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감속기를 거쳐 회전지주(1)의 하부에 있는 스프라켓 또는 풀리에 동력이 전달되므로서 서서히 회전이 시작된다.
회전이 C방향으로 진행된다고 볼때, 알수집구(12)와 분뇨제거구(11)가 하판(4)과 탄성덮개(9)를 스치면서 이들 표면에 있는 알과 분뇨를 모아주는 것이다. 그와동시에 모이통(13)에 연결된 도관(40)을 통하여 사료가 공급되므로 1회전이 되면 모이통(13) 전체에 사료가 균질 공급되는 것이다.
조류가 알을 낳는 경우 제2도에 도시하듯이 망상케이지(7)와 하판(4)사이의 공간부(D)를 통하여 굴러오게 되며 이 알은 알 수집구(12)에 걸리게 되어 경사면을 따라 알수거바구니(31)에 수집되는 것이다.
분뇨역시 망상의 하판(4)을 통하여 낙하되어 탄성덮개(9)에 누적되면 사육기회전과 달리 고정되어있는 분뇨제거구(11)에 의하여 표면이 스쳐지게 되어 분뇨가 분뇨제거구의 일측에 계속 누적되며 일정시기가 지나면 가이드관(1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발명에서 원수통(10)에 공급된 물은 밸브장치(10a)에 의하여 일정시간의 주기로 밸브개폐가 됨에 따라 자연낙하하여 회전지주(1)의 중앙통공을 거쳐 물통(5)에 공급된다. 공급된 물이 오버플로우관(5a) 보다 높게 되면 역시 오버플로우도관(5b)을 거쳐 다시 아랫단의 물통에 공급되도록하여 언제나 신선한 생수가 공급토록 하였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회전지주(1)가 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라 사육기 전체가 서서히 회전하므로 알, 분뇨가 상대적으로 고정된 알수집구(12)와 분뇨제거구(11)에 의하여 자동수거되며, 먹이와 물도 일정하게 공급되므로 분뇨수거, 사료공급, 물공급에 따른 인력이 전혀 소모되지 않는 것이다. 더나아가서 종래 스크류식 사료공급기와 같은 대단위 시설이나, 알수집기가 없이 지극히 저렴한 설치비로 설치가능하여 자동화에 엄두를 못내는 농민에게 큰 도움이 되는 것이다. 또한 현재의 사육량보다 3배의 높은량을 사육하며 정도 또한 좁은 장소에서도 설치 용이하고 사육환경위생에 큰 문제로 되는 분뇨가 하루 3∼5회씩 수거 제거되므로 부패가스에 의한 조류의 폐사위험성이나 감염위험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4각형 케이지처럼 각각의 사육기가 적층되지않고 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이것이 전체적으로 1일 3∼5회씩 회전되므로 통풍의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는 것이다.

Claims (2)

  1. 하부 또는 상부의 구동모터(20)와 연결되어 사육기전체를 지지 및 회전하는 회전지주(1)가 지상에서 상부로 수직연장 설치되며, 회전지주(1)에는 브라켓트(3)를 삽입하고 나사체결 또는 용접등의 방법으로 하받침(2)이 브라켓트(3)의 하부(3a)에 고정토록 하였으며, 상기한 하받침(2)의 상면에는 망상의 하판(4)이 적재토록하여 공지의 수단으로 하받침과 체결토록하되 알이 자중으로 굴러내리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체결하고 중앙에는 물통(5)을 안치하였으며, 상기한 브켓트(3)의 상측단에는 자형태로된 상받침(6)을 2이상 방사상 배치하며, 이어서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한 도우넛형태의 상판(8)을 적재하고 이것에 접하도록 고무등의 탄성재질의 형성한 도우넛형태의 탄성덮개(9)를 적재하여 주었으며, 상기한 하판(4)의 상면에 접하도록 알수집구(12)를 길게 연설하여 상기한 망상케이지(7)와 거리를 두고 배치하도록하며, 상기한 탄성덮개(9)의 상면에 접하도록 분뇨제거구(1)를 중앙통공(A)의 근접부에서부터 연장설치된 조류사유기.
  2. 제 1항에 있어서, 분뇨제거구(11)가 탄성덮개(9)에 접하도록 배치하고 후단(11a)은 또다른 지지기둥(29)에 고정토록하여서 사육기회전시 탄성덮개(9)의 상면을 긁어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사육기.
KR1019960000897A 1996-01-18 1996-01-18 조류사육기 KR015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897A KR0156730B1 (ko) 1996-01-18 1996-01-18 조류사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897A KR0156730B1 (ko) 1996-01-18 1996-01-18 조류사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537A KR970058537A (ko) 1997-08-12
KR0156730B1 true KR0156730B1 (ko) 1998-10-01

Family

ID=19449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897A KR0156730B1 (ko) 1996-01-18 1996-01-18 조류사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7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4234A (zh) * 2015-10-12 2015-12-02 叶晓东 一种养殖场家禽饲料供应装置
KR20200063431A (ko) * 2018-11-28 2020-06-05 송순철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65Y1 (ko) * 2007-07-13 2009-07-23 나완주 조류용 케이지
CN117223639B (zh) * 2023-11-13 2024-01-16 山东恒基农牧机械有限公司 一种蛋鸡自动化养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4234A (zh) * 2015-10-12 2015-12-02 叶晓东 一种养殖场家禽饲料供应装置
KR20200063431A (ko) * 2018-11-28 2020-06-05 송순철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537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57681A (zh) 变形猪舍
CN105191824A (zh) 一种自动投料捡蛋清粪的三层蛋鸡笼
KR20180107893A (ko) 양식장 배수 정화장치
KR0156730B1 (ko) 조류사육기
CN214015500U (zh) 一种便于自动喂食和清理粪便的野生鸟类救助笼
CN209861955U (zh) 一种生态鸡舍
CN109122385B (zh) 双层鸡舍
CN107484677A (zh) 一种自动养鸡的装置
CN209749488U (zh) 一种用于水产养殖的自清洁式室内养殖箱
CN216254537U (zh) 一种皖南花猪舍
CN211607861U (zh) 一种蛋鸡自动投料、除粪鸡舍
CN205105987U (zh) 一种自动投料捡蛋清粪的三层蛋鸡笼
CN210432633U (zh) 一种自动化多层鸡舍拾蛋装置
CN210869356U (zh) 一种便于清洁的养鸡笼
CN216627108U (zh) 用于鸡苗规模化养殖的自动喂料装置
CN212728447U (zh) 一种七彩山鸡养殖笼
CN205105988U (zh) 一种多功能养鸡设备
CN217644398U (zh) 一种行走式养殖场自动喂料机
CN111657175A (zh) 一种七彩山鸡养殖舍
CN214508766U (zh) 一种组合式鸡笼
CN111183920A (zh) 利用新型笼体实现禽类排泄物收集及快速出笼的方法
CN219593378U (zh) 一种蛋鸡养殖用组合式养鸡笼
CN215074720U (zh) 一种鸡场智能饲养设备
RU2106081C1 (ru)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ая ферма с применением помещений круглой формы и способ содержания в ней, например,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CN218457056U (zh) 一种高质量散养鸡喂料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