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636B1 - 키토산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키토산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636B1
KR102187636B1 KR1020180101854A KR20180101854A KR102187636B1 KR 102187636 B1 KR102187636 B1 KR 102187636B1 KR 1020180101854 A KR1020180101854 A KR 1020180101854A KR 20180101854 A KR20180101854 A KR 20180101854A KR 102187636 B1 KR102187636 B1 KR 102187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composition
paint
weight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060A (ko
Inventor
김민태
이덕항
민수정
Original Assignee
(주)화인켐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켐,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주)화인켐
Priority to KR102018010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6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71Paint detackifiers or coagulants, e.g. for the treatment of oversprays in paint spray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토산 암모늄염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키토산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aint Detackification Comprising Chitosan Ammonium Salt}
본 발명은 키토산 암모늄염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 과정과 더불어 건축, 전자 제품, 자동차 등 제품의 도장이 증가한다. 자동차 부품, 기계, 산업용 제품 및 부품 등은 제품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도장 및 코팅 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피도물의 세척, 수세 및 건조의 전처리 공정을 거치고, 이어서 도장 부스(spray booth)에서 도장 작업을 실시한다.
다수의 도장 방법 중 에폭시, 우레탄, 에나멜, 래커 등의 유기용제계 도료 또는 수계 도료 등의 액체 도료를 분무하여 도장하는 공정 라인에서는 통상적으로 과분무된 도료를 제거하기 위하여 피도물의 뒤쪽에 수벽을 설치하여 공기를 세정하고, 과분무된 도료를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도료 분무 작업의 주된 문제점은 도료 폐기물의 점착성에 관련된 것이다. 과분무된 도료 폐기물은 이를 포집하기 위한 순환수에 포함되어 순환하며, 페인트 분무실, 배관, 펌프 등에 점착 또는 접착되어 제품의 불량 및 공정상의 문제점을 유발한다. 이때 과분무된 페인트의 점성으로 인하여 도장 부스의 배관이 오염되고, 부스 내의 순환수가 오염되어 순환수를 재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는 도장 부스 배관 라인의 설비 수명의 단축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페인트 폐기물이 부스 내의 벽, 배관 등에 부착되기 전에 점착성을 제거하고, 폐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고 개발되어왔다.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온 방법은 벤토나이트 점토, 알루미늄염 등을 이용하는 것인데, 이 방법은 그 성능이 불충분하고, 매립 및 처리를 위한 문제가 있다.
현재는 주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중합체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 방법은 수지 안정성의 저하로 인한 취급 기간의 단축, 물성 저하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즉, 이러한 중합체는 최적의 수지 성능이 발현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합 반응이 진행되어 점도가 증가하고 투명도는 감소하며, 이로 인해 제품의 고형분 함량을 높이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포름 알데히드-멜라민 축합물은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기존 기술의 한계 및 환경 문제를 고려하여 키토산을 이용한 제품이 과거에도 사용된 사례가 있으나, 생산 단가, 효능 등의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기술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경적으로 유해하지 않으면서, 안정성 및 페이트의 점성 제거 성능이 우수한 페인트 점성 제거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
1. 키토산 암모늄염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2. 키토산이 키틴에 존재하는 아세틸아미노기의 65 내지 75%가 아미노기로 전환된 것인 상기 1의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3. 키토산의 분자량이 100,000 내지 600,000인 상기 1의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4. 키토산의 분자량이 100,000 내지 500,000인 상기 1의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5. 키토산의 분자량이 100,000 내지 300,000인 상기 1의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6. 금속염이 염화아연, 염화알루미늄, 염화철 및 염화칼슘으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상기 1의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7. 키토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금속염을 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상기 1의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8. 키토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금속염을 1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상기 1의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9. 금속염을 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인 상기 1의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10. 금속염을 2 내지 8 중량% 포함하는 것인 상기 1의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11. 키토산 암모늄염은 키토산에 존재하는 아미노기 중 1개 이상이 -NH3 +, -NH2R+, -NHR2 + 및 -NR3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전환된 것이고, 상기 R은 탄소 수 1 내지 6개의 직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인 상기 1의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12. 키토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의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을 더 포함하는 것인 상기 1의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키토산 암모늄염을 함유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이 제공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은 종래에 사용되는 멜라민-포름 알데히드 수지를 사용하는 제품과 비교하여 성능 및 안정성이 우수하며, 환경적으로 유해한 멜라민-포름 알데히드 수지에 비해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을 나타낸다.
도 1은 키틴을 염기와 반응시켜 탈아세틸화하여 키토산을 제조하고, 이를 산과 반응시켜 암모늄염을 얻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페인트 점성 제거제로 각각 처리한 후 음이온성 고분자 응집제를 투입하기 전의 페인트 점성 제거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페인트 점성 제거제로 처리하고, 이어서 각각 음이온성 고분자 응집제를 투입했을 때의 페인트 응집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3, 6 및 9에서 제조한 페인트 점성 제거제에 사용된 키토산의 분자량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 능력을 실험예 1에 따라 시험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응집제를 첨가한 다음 회수한 페인트 플록(floc)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ZnCl2의 첨가량이 상이한 페인트 제거용 조성물 (실시예 10 내지 14)로 처리하고, 응집제를 첨가한 다음 회수한 페인트의 플록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을 수성 도료에 적용했을 때의 페인트 점성 제거 및 응집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키토산 암모늄염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키토산은 D-글루코사민 (탈아세틸화 단위) 및 N-아세틸-D-글루코사민 (아세틸화 단위)이 무작위로 분포된 (randomly distributed) 선형 폴리사카라이드로서, 새우 및 기타 갑각류 유래의 키틴을 염기,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여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6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500,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300,000이다. 본 발명에서는 키틴을 틸아세틸화하여 키토산을 수득하는 방안 및 키토산의 분자량을 제어할 수 있는 반응 조건을 확립하였다. 예로서, 키틴 (아미코젠사 제품)을 50% NaOH 용액 중에서 110℃에서 2 내지 7시간 반응시키면 분자량 100,000 내지 600,000의 키토산을 얻을 수 있다. 110℃에서 반응 시간이 2시간 이하인 경우 GPC 분석 결과 분자량 10만 이하의 키토산이 얻어지고, 6시간이 지난 후에는 분자량이 600,000 이상으로 되지만, 7시간이 경과하면 역반응으로 인해 분자량 300,000 이하의 키토산이 검출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키토산은 키틴에 존재하는 아세틸아미노기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가 탈아세틸화하여 아미노기로 존재한다.
키토산은 화학 구조 내에 아미노기 (-NH2)를 포함하고 있어서 쉽게 양이온으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키틴 및 키토산의 분자 사슬이 평행하게 배열된 특징을 이용하여, 키토산의 아미노기를 암모늄염으로 전환시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키토산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의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을 암모늄염으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전환율이 50% 미만인 경우 페인트 점성 제거 효과가 충분히 달성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하나의 예로서, 도 1은 키틴을 염기와 반응시켜 탈아세틸화하여 키토산을 제조하고, 이를 산과 반응시켜 암모늄염을 얻는 과정을 보여준다.
상기 금속염은 바람직하게는 염화아연, 염화알루미늄, 염화철 및 염화칼슘으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염화아연(ZnCl2)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은 키토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금속염을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례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금속염을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그 함량은 키토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이 첨가제는 응집 또는 킬레이트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키토산의 폴리 양이온화에는 HCl, CH3Cl, EPI 및 디메틸설페이트(DM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시약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디메틸설페이트를 사용한다. 키토산의 폴리 양이온화에 염산을 단독으로 또는 DMS가 아닌 다른 알킬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염산만으로는 점성 제거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페인트 제거 성능이 약하며, 다른 알킬화제는 취급상 또는 반응 조건상 어려운 점이 많고, 장치 및 설비 등이 부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DMS를 이용하여 알킬화할 때 반응 속도를 높이기 위해 촉매로서 초성물의 총량에 대해 1 내지 2 중량%의 염산 (농도 35%) 및/또는 아세트산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키토산 암모늄염은 키토산의 아미노기 중 1개 이상이 -NH3 +, -NH2R+, -NHR2 + 및 -NR3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모늄 이온으로 전환된 것으로서, 상기 R은 탄소 수 1 내지 6개의 직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일 수 있다. 상기 키토산 암모늄염은 예를 들어 -NH2R+가 65 내지 70%, 나머지 (즉, 25 내지 30%)는 -NH3 +, -NHR2 + 및 -NR3 +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분자량 300,000 내지 500,000의 키토산 제조
1 리터 반응기에 키틴 (아미코젠사 제품, 제품명: 키틴) 40g 및 50% NaOH 수용액 600g을 투입하고, 온도를 100℃ 내지 110℃ 범위로 유지하면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중성이 될 때까지 세정한 다음, 건조시켜 약 65% 내지 75%가 탈아세틸화된 키토산 28g을 얻었다. 평균 분자량: 300,000 내지 500,000
제조예 2. 분자량 100,000 내지 300,000 키토산 제조
반응 시간을 2시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키틴으로부터 평균 분자량 100,000 내지 300,000의 키토산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분자량 500,000 내지 600,000 키토산 제조
반응 시간을 5시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키틴으로부터 평균 분자량 500,000 내지 600,000의 키토산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분자량 300,000 내지 500,000의 키토산, 35% 염산 및 물이 6 : 3 : 9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염산은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투입하였고, 염산 투입 완료 후 반응 온도를 60℃ 내지 75℃로 올려서 6 내지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ZnCl2와 EDTA-2Na를 각각 3 중량부 및 0.03 중량부로 첨가하고, 45℃ 내지 60℃의 온도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반응시켜 페인트 점성 제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분자량 300,000 내지 500,000의 키토산, 35% 염산, 아세트산 및 물을 6 : 3 : 2 : 89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페인트 점성 제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분자량 300,000 내지 500,000의 키토산, 디메틸설페이트(DMS), 35% 염산, 아세트산 및 물을 6 : 4 : 1 : 1 : 88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페인트 점성 제거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페인트 점성 제거제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예로서 점성 제거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비교예 1) 및 포름알데히드-멜라민 축합물을 포함하는 기존 점성 제거제 (SJ사 제품)를 사용한 경우 (비교예 2)에 대해 각각 다음과 같은 순서로 페인트 점성 제거 실험을 실시하였다.
1. 물 200 ml가 담긴 용기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의 페인트 점성 제거제를 각각 1 ml씩 투입하고, 비교예 1에 해당하는 1개의 용기에는 점성 제거제를 투입하지 않는다.
2. 상기 1에서 준비한 5개의 용기에 각각 10% NaOH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 내지 8 범위로 조정한다.
3. 도료 (자동차용 블랙 실버 페인트, KCC사 제품) 1 ml를 각각 투입하고, 10초 동안 흔들어 준다.
4. 시중에서 구입한 음이온성 고분자 응집제 (SNF사 A-SERIES 제품) 1% 희석액 1 ml를 각각 투입하고, 10초 동안 흔들어 준다.
5. 벽면에 대한 부착 정도, 탁도 및 플록의 크기를 각각 기록한다. 여기서, '플록'은 페인트를 페인트 점성 제거제로 처리하여 페인트의 점성을 저하 시켜 분산하고, 여기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응집시키고 회수한 응집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플록의 크기가 1 mm 미만인 경우 불량, 2-3 mm인 경우 양호, 3.1 mm 이상은 매우 양호로 평가한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에 대해 상기 1 내지 3 단계까지 수행한 이후에 촬영한 사진이다.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벽면에 부착된 도료가 많은 데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의 경우 벽면에 부착된 도료가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에 대해 상기 4 단계 이후에 촬영한 사진으로서, 키토산의 4급화에 염산만을 사용한 경우인 실시예 1 및 염산과 아세트산을 사용한 경우인 실시예 2에 비해 염산, 아세트산 및 DMS를 함께 사용한 경우인 실시예 3의 페인트 점성 제거 효과가 더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실시예 3의 경우, 시판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기반의 페인트 점성 제거제(비교예 2)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페인트 제거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내지 6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분자량 100,000 내지 300,000의 키토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페인트 점성 제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내지 9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분자량 500,000 내지 600,000의 키토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페인트 점성 제거제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실시예 1 내지 9에서 사용된 키토산 분자량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제의 제품 성상 및 실험예 1의 절차에 따라 페인트 점성 제거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점성, 탁도 및 플록의 크기)를 정리한 것이다.
키토산
분자량
시험
항목
실시예
1 2 3 4 5 6 7 8 9
30-50만 성상 미황색의
반투명 액체
- -
점성 - - - - - -
탁도 - - - - - -
플록 - - - - - -
10-30만 성상 - 미황색의
불투명 액체
-
점성 - - - - - -
탁도 - - - - - -
플록 - - - - - -
50-60만 성상 미황색의
반투명 액체
점성 - - - - - -
탁도 - - - - - -
플록 - - - - - -
* 탁도: ○ 양호 (탁도 10 미만), ◎ 매우 양호 (탁도 5 미만)
* 플록: ○ 양호 (크기 2-3 mm), ◎ 매우 양호 (3.1 mm 이상)
표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키토산의 분자량이 커질수록 페인트 점성 제거제의 투명도가 높아지고, 점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키토산을 4급화하는 방법에 따라서는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의 순서로 투명도가 좋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9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제의 점성, 탁도 및 플록 크기가 모두 양호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키토산 분자량 범위에 무관하게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한 페인트 점성 제거제, 즉 실시예 3, 6 및 9에서 점성, 탁도 및 플록 크기가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비교예 1의 경우 점성 제거 효과는 없었으며, 탁도는 측정이 불가능하였고, 입자 크키(플록)는 매우 미세하였으며, 비교예 2의 경우 점성 제거 효과, 탁도 (탁도 5) 및 플록 크기 모두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4는 실시예 3, 6 및 9에서 제조한 페인트 점성 제거제에 사용된 키토산의 분자량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 능력을 실험예 1에 따라 시험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5는 응집제를 첨가하고 회수한 페인트 플록의 크기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로부터 키토산의 분자량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 능력에 큰 차이는 없으나, 분자량이 50만 이하인 경우 페인트 고유의 색이 탈색되어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10 내지 14
분자량 10만 내지 30만의 키토산, 디메틸설페이트(DMS), 35% 염산 및 아세트산을 실시예 3에서와 같이 6 : 4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키토산 암모늄염) 20중량부에 대해 ZnCl2 및 물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양 (중량부)으로 사용하여 페인트 점성 제거제를 제조하였다.
구성 성분 실시예
10 11 12 13 14
키토산 암모늄염 20 20 20 20 20
ZnCl2 2 4 6 8 10
78 76 74 72 70
합계 100 100 100 100 100
하기 표 3은 실시예 10 내지 14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제의 성상 및 실험예 1에 따른 시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평가 항목 실시예
10 11 12 13 14
성상 투명 투명 투명 투명 불투명
점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탁도 (NTU) 3 3 3 3 120
플록 크기 매우 양호 매우 양호 매우 양호 매우 양호 매우 양호
* 플록 크기: ○ 양호 (크기 2-3 mm), ◎ 매우 양호 (3.1 mm 이상)
표 3의 결과는 ZnCl2의 첨가량이 2 내지 8 중량% 범위인 경우 탁도 및 플록 크기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10 중량% 이상인 경우 탁도가 현저하게 나빠진 것을 보여준다.
도 6은 ZnCl2의 첨가량에 따라 처리된 페인트의 플록 크기를 촬영한 사진이다. 플록의 크기는 ZnCl2의 첨가량이 2 내지 8 중량%인 경우 큰 차이가 없으나, 첨가량이 10 중량% 이상인 경우 플록이 깨지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페인트 점성 제거제에서 층 분리 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이 수성 도료에 대한 적용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물 180 ml에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1 ml를 투입하고, 이어서 도료 (KCC사 블랙 수성 도료) 1 ml를 투입한 다음, 여기에 다시 음이온성 응집제를 투입하고, 각 단계별로 결과를 확인하였다. 도 7의 (a)는 물에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페인트 점성 제거제를 투입한 이후, (b)는 여기에 도료를 더 투입한 이후, (c)는 최종적으로 음이온성 응집제를 더 투입한 이후에 각각 촬영한 사진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은, 앞에서 확인한 것과 같은 유성 도료에 적용했을 때는 물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성 도료에 적용 시에도 우수한 페인트 점성 제거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키토산 암모늄염 및 염화아연을 포함하고,
    상기 키토산은 분자량이 100,000 내지 600,000이고,
    상기 키토산 암모늄염은 키토산의 아미노기가 -NH3 +, -NH2R+, -NHR2 + 및 -NR3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2개 이상의 암모늄 이온으로 전환되고, 상기 R은 탄소 수 1 내지 6개의 직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인 것이며,
    상기 염화아연의 함량이 2 내지 8 중량%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키틴에 존재하는 아세틸아미노기의 65 내지 75%가 아미노기로 전환된 것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분자량이 100,000 내지 500,000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분자량이 100,000 내지 300,000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키토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염화아연을 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키토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염화아연을 1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탄소 수 1 내지 6개의 직선형 알킬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키토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의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을 더 포함하는 것인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KR1020180101854A 2018-08-29 2018-08-29 키토산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KR102187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54A KR102187636B1 (ko) 2018-08-29 2018-08-29 키토산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54A KR102187636B1 (ko) 2018-08-29 2018-08-29 키토산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60A KR20200025060A (ko) 2020-03-10
KR102187636B1 true KR102187636B1 (ko) 2020-12-07

Family

ID=6980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854A KR102187636B1 (ko) 2018-08-29 2018-08-29 키토산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63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1512A1 (de) * 1990-07-05 1992-01-16 Merck Patent Gmbh Aminosaeurederivate
KR20010012834A (ko) * 1997-05-23 2001-02-26 헌츠만 페트로케미칼 코포레이션 페인트 및 코팅 제거제
US6673263B2 (en) * 2001-07-26 2004-01-06 Ppg Industries Ohio, Inc. Compositions incorporating chitosan for paint detack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60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neiro et al. Chitosan-based self-healing protective coatings doped with cerium nitrate for corrosion protection of aluminum alloy 2024
US4440647A (en) Paint spray booth detackification composition and method
KR930007224B1 (ko) 습식 스프레이 부우스 처리제 및 그것을 사용한 처리방법
US3861887A (en) Process for controlling pollution and contamination in paint or lacquer spray booths
US10308531B2 (en) Composition and process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circulating water system
JP2510812B2 (ja) アルミニウム塩を用いる水ベ―スペイント系からペイント固形物を除去する方法
DE60302798T2 (de) Verfahren zur verhinderung oder verminderung von aluminiumsilikat-ablagerungen in einem bayer-verfahren
CN1775871A (zh) 一种碱性脱漆剂及制备、使用方法
KR101887842B1 (ko) 고성능이고 환경에 부하가 적은 탈점착제
MXPA05013131A (es) Composicion y metodos para procedimientos de eliminacion de pintura flotante en el recubrimiento por pulverizacion.
CN102659230A (zh) 一种用于涂装循环水的绿色漆雾凝聚剂
KR102187636B1 (ko) 키토산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Zhang et al. Synthesis and flocculation characteristics of chitosan and its grafted polyacrylamide
JPH07713A (ja) 水性塗料用凝集剤組成物
CN108715715A (zh) 一种挂车表面防腐涂料
KR102077783B1 (ko) 페인트 슬러지 내 함수율 저감 방법
CN100999350A (zh) 喷漆废水处理剂及其应用
CN111362386A (zh) 一种环保污水处理絮凝剂及其制备方法
CA2031465A1 (en) Paint spray booth organic detackification treatment
JP6274334B1 (ja)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用処理剤
CN104445707A (zh) 一种卡拉胶压榨水中cod及色度的去除方法
JP2016022441A (ja)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
DE10201812310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biokompatibler Adsorptionsmittel, biokompatible Adsorptionsmittel und deren Verwendung
JP4594627B2 (ja) フッ素含有排水の処理方法。
CN117105373A (zh) 漆雾絮凝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