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828B1 -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 Google Patents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828B1
KR102186828B1 KR1020200059250A KR20200059250A KR102186828B1 KR 102186828 B1 KR102186828 B1 KR 102186828B1 KR 1020200059250 A KR1020200059250 A KR 1020200059250A KR 20200059250 A KR20200059250 A KR 20200059250A KR 102186828 B1 KR102186828 B1 KR 10218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light
main
opening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명
조용수
Original Assignee
오렌지몽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렌지몽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렌지몽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828B1/ko
Priority to PCT/KR2020/006798 priority patent/WO202123558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Abstract

촬영을 위한 광효율이 매우 높고, 고정된 피사체를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이 가능하며, 빛의 조사 시 피사체에 반사됨에 따라서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는, 전면부의 제1 개방부 및 상면부의 제2 개방부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의 내부 캐비티를 갖는 돔 형태로서, 하부면에 구동 수단이 설치된 메인 돔; 피사체가 되는 피사체가 상면에 배치되며, 구동 수단에 의하여 지지 및 회전되는 원판형의 회전 테이블; 적어도 메인 돔의 캐비티 내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 수단; 및 발광 수단의 발광, 회전 테이블의 회전 및 통신 연결된 외부의 촬영 장치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DOME TYPE PORTABLE STUDIO DEVICE}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하며, 피사체를 내부의 회전 가능한 테이블 상에 위치시켜 스튜디오에서 피사체의 3차원 이미지 및 회전 상태의 이미지 등을 전문적으로 촬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촬영을 위한 광효율이 매우 높고, 고정된 피사체를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이 가능하며, 빛의 조사 시 피사체에 반사됨에 따라서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SNS(Social Network Service) 및 온라인 개인 쇼핑몰의 운영이 활발해지면서, 자신이 소유한 물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판매 대상이 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 상에 노출시키기 위한 다양한 플랫폼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물품에 대한 2차원 내지 3차원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여, 물품의 이미지 정보를 공유하거나, 판매 대상이 되는 물품의 이미지를 노출시키고 있다.
이러한 물품의 이미지는 이미지 품질이 판매율 상승에도 영향을 끼치며, 공유되는 이미지의 품질 역시 공유성을 결정하기 때문에, 다수의 사람들은 좋은 배경에서 사진을 찍거나 스튜디오를 대여하여 물품을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 사용자들이 아무리 깨끗한 배경에 놓고 촬영을 하더라도, 배경 품질이 높지 않고, 그림자가 생기는 등 촬영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튜디오를 대여하여 물품을 촬영하면 상술한 촬영 품질의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스튜디오 대여 비용이 매우 비싸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없다. 특히, 사용자가 직접 피사체를 촬영 시, 물품에 대한 배경색 및 빛 조절이 되지 않은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져, 배경에 그림자가 발생하고 촬영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3차원 이미지의 경우, 사용자가 일일이 다각도의 물품의 이미지를 촬영해야 하기 때문에, 거의 그 이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들이 물품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하여, 특히 피사체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스튜디오에서 촬영을 하거나, 3차원 이미지 촬영용 전문 제품을 사용해야 했다. 이에 따라서, 물품의 촬영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등록특허 제10-1701329호에서는, 촬영 장치와 연동되어 촬영 시마다 일정각도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촬영 시스템을 제시하여,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3차원 이미지를 별도의 전문적인 장비 없이도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회전 테이블에 피사체를 위치시키는 경우, 회전에 대해서만 촬영의 자유도가 보장될 뿐, 배경의 위치 및 개방된 영역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상하좌우 다양한 방향에서 회전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개방된 영역에 의하여 조사되는 빛이 빠져나가는 양이 매우 커, 회전 테이블과 배경의 경계면 제거 등 이미지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광량이 필요해, 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높은 광량으로 빛을 조사하는 경우, 발광 수단의 설치 위치 및 피사체의 재질에 따라서 특정 영역에서 빛이 반사되어 촬영 장치에 입사됨에 따라서 이미지에 빛번짐 현상이 발생하여 이미지의 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배경과 회전 테이블의 경계면 제거 및 기타 이미지의 품질을 전문 스튜디오에서 촬영하는 것과 같이 높이기 위하여 필요시되는 광량을 절약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튜디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지나치게 높은 광량으로 빛을 조사 시, 발광 수단의 설치 위치 및피사체의 재질에 따라서 피사체의 특정 영역에서 빛이 반사되어 촬영 장치에 입사됨에 따라서 이미지에 빛번짐 현상이 발생하여 이미지의 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좁은 개방부를 통해서도 상하좌우 다양한 방향에서 회전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제어 측면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온도 및 광량 등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피사체 및 요구시되는 이미지의 컨셉에 다양하게 적응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는, 전면부의 제1 개방부 및 상면부의 제2 개방부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의 내부 캐비티를 갖는 돔 형태로서, 하부면에 구동 수단이 설치된 메인 돔; 피사체가 되는 피사체가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하여 지지 및 회전되는 원판형의 회전 테이블; 적어도 상기 메인 돔의 캐비티 내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 및 통신 연결된 외부의 촬영 장치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개방부와 상기 제2 개방부의 형상은 동일하고, 상기 제1 개방부 및 상기 제2 개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개방부 및 상기 제2 개방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메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커버의 일 영역은 개방된 제3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개방부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이 이루는 가이드 라인을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되되, 일부는 상기 제3 개방부와 인접되도록 형성된 수용 라인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다수의 서브 커버판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돔은 하부의 제1 메인 돔과 상부의 제2 메인 돔이 서로 탈부착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메인 돔에 설치된 뒤 상기 제2 메인 돔이 상기 제1 메인 돔에 결합될 시 상기 메인 돔에 수용되는 구조로 설치 가능한 불투명 재질의 외면과 내부의 캐비티를 갖는 서브 돔;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돔은, 상기 메인 돔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가 상기 회전 테이블이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4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 수단 중 일부는 상기 메인 돔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 테이블은 불투명 재질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 테이블의 저면에는 상기 메인 돔의 하부면에 설치된 발광 수단에 반응하여 상기 회전 테이블에 통과되는 광량이 다른 면과 다르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 테이블의 중심 포인트를 안내하도록 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테이블 인디케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유저 단말과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유저 단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발광 수단의 일부 또는 전부의 색온도, 발광량 및 광 조사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유저 단말과 연동된 상태에서, 유저 단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수신 시, 상기 제어 명령에 포함된 정보로서, 상기 구동 수단이 일 회 구동될 때의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 각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수단이 일 회에 상기 회전 테이블이 상기 회전 각만큼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기설정된 대기 시간만큼 대기한 후 다시 일 회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유저 단말 및 촬영 장치와 연동된 상태에서, 유저 단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수신 시, 상기 제어 명령에 포함된 정보로서, 상기 구동 수단이 일 회 구동될 때의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 각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수단이 일 회에 상기 회전 테이블이 상기 회전 각만큼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촬영 장치의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피사체에 대한 촬영 완료 신호를 수신 시 다시 일 회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돔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 돔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 중 상기 제1 개방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된 지지부에는, 상기 촬영 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설치가 가능한 거치대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면부 및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피사체가 위치되는 회전 테이블이 배치되는 메인 돔에 배치된 발광 수단을 이용하여, 회전 테이블에 피사체를 배치하여 제어부에 의하여 회전 테이블을 회전하면서 자동으로 유저 단말 및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가 개방된 영역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빛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돔 형태의 내부 캐비티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미지의 품질을 전문 스튜디오에서 촬영하는 것과 같이 높이기 위하여 필요시되는 광량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커버 등을 이용하여 개방된 영역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전면부 및 상부 등 다양한 방향을 통해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어, 다양한 방향에서 회전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투명한 재질의 서브 돔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높은 광량을 조사하더라도 빛이 부드럽게 전반적으로 퍼져 발광 수단의 설치 위치에 관계 없이 전체적으로 피사체에 빛이 조사됨에 따라서, 특정 영역에서 빛 번짐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을 통해 발광 수단의 색온도 및 광량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 및 요구되는 이미지의 컨셉에 따라서 범용적으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발광 수단의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돔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회전 테이블 및 구동 수단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테이블 인디케이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메인 커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촬영 장치가 지지대에 결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촬영 장치와 제어부가 연동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에 대한 제어 명령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에 대한 제어 명령 입력이 가능한 PC 프로그램의 화면에 대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발광 수단의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돔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회전 테이블 및 구동 수단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테이블 인디케이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메인 커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촬영 장치가 지지대에 결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촬영 장치와 제어부가 연동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에 대한 제어 명령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에 대한 제어 명령 입력이 가능한 PC 프로그램의 화면에 대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는, 메인 돔(10), 회전 테이블(20), 다수의 발광수단(31, 32, 33)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메인 돔(10)의 하부 영역 중, 회전 테이블(20)이 설치되는 영역의 내부에 설치되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저장 및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일종의 컴퓨팅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메인 돔(10)은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인 돔(12) 및 제2 메인 돔(11)으로 상하로 구분되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제1 메인 돔(12)과 제2 메인 돔(11)의 경계면에는 서로 걸림 가능한 걸림 턱 및 홈 구조가 상호간에 형성되어 설치를 가이드하는 한편 설치 시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돔(10)은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의 제1 개방부(13) 및 상면부의 제2 개방부(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개방부(13, 14)는 메인 돔(10)의 내부 캐비티(100)가 외부와 도통되도록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영역을 의미하며, 도 7에 도시된 메인 커버(50) 및 일반 커버(51) 등에 의하여 개폐가 조작될 수 있다. 각 커버(50, 51)와 개방부(13, 14)는 예를 들어 자력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 접촉 영역에 자력물질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돌출부 및 홈 등을 포함하는 끼움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메인 돔(10)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캐비티(100)를 갖는 돔 형태의 구성으로서, 그 하부에는 후술하는 회전 테이블(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인 돔(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구동 수단, 발광 수단(31, 32, 33) 및 제어부에 대해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수단(예를 들어 어댑터 등)의 연결 단자가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수단은 모터와 기어 구조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을 전달하는 톱니 바퀴(102)와 자유 회동되는 롤러(103)가 회전 테이블(20)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회전 테이블(20)의 저면에는 톱니 바퀴(102)가 걸리는 원주를 따라 형성된 레일(21)이 형성되고, 롤러(103)는 회전 테이블(20)의 저면에 접촉되어, 모터 및 기어 구조에 의하여 회전(R1)되는 톱니 바퀴(102)가 회전 테이블의 저면의 레일(21)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 테이블(20)이 톱니 바퀴(102)의 회전량에 비례하는 각도로 회전(R2)되로록 구동된다.
즉, 메인 돔(10)의 하부 영역에는 상술한 회전 테이블(20), 구동 수단 및 제어부 등이 설치되며, 내부 캐비티(100)의 나머지 영역은 비워진 상태에서, 회전 테이블(20)의 상면에 위치되는 피사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메인 돔(10)의 내부 캐비티(100)에 배치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위해서 상술한 제1 개방부(13) 및 제2 개방부(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 테이블(20)은 도 2 및 5를 포함한 다수의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원통)형의 테이블로서, 피사체가 되는 피사체가 상면에 배치 및 위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수단에 의하여 지지되는 동시에 회전되는 구성이다.
회전 테이블(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판형의 단일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나, 회전 테이블(20)의 저면에 설치되는 구동 수단 등과의 접촉 영역이 촬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 테이블(20)에 해당하는 상부 테이블과, 그 저면 등을 내부에 수용 폐쇄하는 원통형의 하부 테이블을 포함하는 유닛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테이블(20)은 촬영 장치 및 유저 단말과 제어부의 통신 기능 수행에 따른 제어 명령에 따라서 일정한 각도만큼 반복 회전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어부의 기능 수행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발광 수단(31, 32, 3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돔(10)의 캐비티(100) 내벽에 설치되고, 제어부에 의하여 그 구동이 제어되며, 구동에 의하여 캐비티(100)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빛의 조사에 의하여 캐비티(100) 내부의 회전 테이블(20)의 상면에 위치되는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여, 이미지의 선명도를 높이는 한편, 빛의 조사에 의하여 배경, 즉 메인 돔(10)의 내벽과 회전 테이블(20) 등 서로 다른 구성들의 경계면을 이미지 상에서 희석화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수단(31, 32, 33)은 캐비티(100)에 대한 조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부 발광 수단(31), 전면부 발광 수단(32) 및 하부 발광 수단(3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하부 발광 수단(33)은 피사체의 저면에 대한 광 조사를 통해 이미지 선명도 증가 및 구성들 사이의 경계면 제거 효과에 더불어, 회전 테이블(20)에 피사체를 위치 시의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그 배치 위치에 따라서 구현될 수 있다.
즉, 하부 발광 수단(33)은 회전 테이블(20)의 저면, 즉 메인 돔(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때 회전 테이블(20)은 불투명 재질로 구성되되, 그 저면에는 해당 발광 수단(33)에 반응하여 회전 테이블(20)을 통해 통과되는 광량이 다른 면과 다르도록 구성되고, 회전 테이블(20)의 중심 포인트를 안내 및 지시하도록 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테이블 인디케이터(2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발광 수단(33)이 발광되지 않는 경우, 회전 테이블(20)의 상면(22)은 일정한 색을 띄고 있으나, 저면의 테이블 인디케이터(24)에 의하여, 발광 수단(33)이 발광되는 경우, 상면(23)에 광 반응 패턴이 형성되어, 테이블 인디케이터(24)에 의하여 도 6과 같이 회전 테이블(20)의 중심 포인트가 어디인지 여부를 유저들에게 안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발광 수단(31, 32, 33)의 발광, 회전 테이블(20)의 회전 및 통신 연결된 외부 촬영 장치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예를 들어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유저 단말(200) 및 촬영 장치(300) 등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200)은 도 10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등 촬영 모듈이 결합된 장치일 수 있으나, 일반 PC 단말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300) 역시,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 등 제어 명령에 따라서 촬영 조건이 세팅되고, 제어 명령에 따라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 단말일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스마트폰 등의 유저 단말(20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장치(300) 및 유저 단말(200)의 선택은, 촬영 품질, 촬영 조건 제어 및 이미지 편집 등의 기능 수행 가능성에 대해서 촬영 장치(300), 유저 단말(200) 및 일반 PC 단말마다 설정된 차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그 연결 방식 역시, 도 10의 (a)와 같이 유저 단말(200)의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주로 연결되고, 도 10의 (b)와 같이 촬영 장치(300)의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 방식이 제어부 및 유저 단말(200)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경우나, 도 10의 (c)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 방식이 제어부 또는 PC 단말 등의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 유선 연결 방식을 사용되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따른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유선 통신 포트 등이 포함된 하드웨어적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의 주요 기능으로는 먼저, 발광 수단(31, 32, 33)에 대한 제어에 있다. 즉 유저 단말(200)과 연동된 상태에서 유저 단말(200)의 입력에 따라서, 발광 수단(31, 32, 33)의 일부 또는 전부의 색온도, 발광량 및 광 조사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광 조사 영역은, 각 발광 수단(31, 32, 33)에 포함된 발광 소자별로 광량 및 온오프를 제어하여,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제어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200)에는 도 11 및 12와 같은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먼저 도 11의 화면(500)은 예를 들어 유저 단말(200)이 스마트폰 등 모바일 단말일 경우의 예로서, 메인 화면(501)에서는 피사체에 대한 촬영 영상을 확인하고, 디밍 다이얼(502) 및 색온도 다이얼(503)을 통해 광량 및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센터 가이드 메뉴(501)를 통해, 촬영 전 독립적으로 상술한 발광 수단(33)을 발광시켜, 테이블 인디케이터(23)에 의하여 회전 테이블(20)의 중심 포인트를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화면(510)은 예를 들어 유저 단말(200)이 일반 PC 단말일 경우의 예로서, 더욱 많은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장치(300)의 제어가 가능한 경우, 카메라 제어 메뉴(511)를 통해서 촬영 모드, 포커싱 등에 대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돔 컨트롤 메뉴(512)를 통해 상술한 도 11의 화면(500)에서 언급한 발광 수단(31, 32, 33)의 다양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역시, 메인 화면(514)에서는 촬영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발광 수단(31, 32, 33)에 대한 제어 이외에, 촬영에 대한 제어 조건을 세팅하거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화면(500, 510)들에서, 횟수 세팅 메뉴(506)를 통해서, 1회 완전 회전 시 촬영 횟수를 세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피사체를 촬영 시, 회전 테이블(20) 상에 피사체를 배치하고, 회전 테이블(20)을 회전시키면서 촬영 장치(300)가 일정 각도 회전시마다 기설정된 횟수의 2차원 이미지를 촬영하고, 일 회전(360도)이 완료 시 2차원 이미지를 결합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촬영 횟수 등에 따라서 회전 테이블(20)이 일정한 각도를 회전한 후 촬영을 위하여 잠시 구동을 중지하다가, 다시 일정한 각도를 회전하는 기능을 반복 수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는 유저 단말(200)과 연동된 상태에서, 유저 단말(200)에서 횟수 세팅 메뉴(506)에 설정된 횟수로 촬영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 시, 제어 명령에 포함된 정보로서, 구동 수단이 일 회 구동될 때의 상기 회전 테이블(20)의 회전 각에 대한 정보에 따라 구동 수단이 일 회에 회전 테이블(20)이 회전 각만큼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기설정된 대기 시간만큼 대기한 후 다시 일 회 회전하도록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11의 예와 같이 횟수가 24회로 세팅되는 경우, 1회에 회전 테이블(20)은 15도씩 회전해야 할 것이다. 이때 회전 각은 15도로 세팅될 것이다.
한편 촬영 장치(300)와의 연동 시에는, 상기와 같은 구동 중지 등이 필요 없이, 제어부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게 되면, 상기와 같이 일 회에 설정된 회전 각만큼 회전 테이블(20)이 회전되도록 구동 수단을 구동시킨 뒤, 촬영 장치(300)의 통신 수단으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 시, 즉시 다시 일 회 회전하도록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유저 단말(200) 및 촬영 장치(300)와 연동된 상태에서, 유저 단말(200)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수신 시, 제어 명령에 포함된 정보로서, 구동 수단이 일 회 구동될 때의 회전 테이블(20)의 회전 각에 대한 정보에 따라 구동 수단이 일 회에 회전 테이블(20)이 회전 각만큼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촬영 장치(300)의 통신 수단으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촬영 완료 신호를 수신 시 다시 일 회 회전하도록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구동에 따라서 2차원 이미지가 다수개 촬영된 후, 유저 단말(200) 등 2차원 이미지를 편집 가능한 단말에서는, 촬영 장치가 피사체를 촬영하여 생성된 복수의 피사체에 대한 2차원 촬영 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피사체의 3차원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즉 2차원 촬영 이미지를 회전각에 따라서 배열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전체를 연결 또는 결합하면, 유저 단말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 시 2차원 이미지를 차례로 출력하게 되는 방식으로 기능할 것이며, 그 결과 피사체를 회전하는 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는 3차원 이미지가 생성된다.
한편 이러한 메인 돔(10)의 내부 형태 및 상술한 회전 테이블(20)과의 설치 구조 등에 의하면, 내부에 피사체가 위치되는 회전 테이블(20)이 배치되는 메인 돔(10)에 배치된 발광 수단(31, 32, 33)을 이용하여, 회전 테이블(20)에 피사체를 배치하여 제어부에 의하여 회전 테이블(20)을 회전하면서 자동으로 유저 단말(200) 및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300)가 개방된 영역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빛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돔 형태의 내부 캐비티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미지의 품질을 전문 스튜디오에서 촬영하는 것과 같이 높이기 위하여 필요시되는 광량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200)을 통해 발광 수단(31, 32, 33)의 색온도 및 광량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 및 요구되는 이미지의 컨셉에 따라서 범용적으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에는, 메인 커버(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메인 커버(50)는 도 1, 2 및 도 7, 8 등을 포함하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제1 개방부(13) 및 제2 개방부(14)의 형상, 즉 폭 경계면 등은 동일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커버(50)는 제1 개방부(13) 및 제2 개방부(14)에 상술한 바와 같이 자력 결합 등을 통해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메인 커버(50)의 탈부착에 의하여 제1 개방부(13) 및 제2 개방부(14)가 개폐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정면의 제1 개방부(13)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 시, 제2 개방부(14)를 메인 커버(50)를 통해 차단한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하여 제2 개방부(14)를 통한 외광의 입사 및 내부 조사광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반대로, 상부에서 피사체를 내려다보는 형식으로 촬영 시, 제1 개방부(13)를 메인 커버(50)를 통해 차단한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내부 광의 유출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커버(50)의 세부 구조 및 일반 커버(51)가 추가적인 구성으로 제시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제2 메인 돔(11)의 제2 개방부(14)에 메인 커버(50)가 설치된 상태에서, 메인 커버(50)은 그 일부의 개방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커버(50)의 일 영역은 개방된 제3 개방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제3 개방부(54)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이 이루는 가이드 라인을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되되, 일부는 제3 개방부(54)와 인접되도록 형성된 수용 라인(55)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다수의 서브 커버판(56)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서브 커버판(56)의 이동을 통해서 제3 개방부(54)가 개방되는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일 개방부는 일반 커버(51)를 통해 완전히 차단하고, 다른 개방부는 메인 커버(50)를 통해 차단한 상태에서 제3 개방부(54)의 크기 및 위치를 가변하고 제3 개방부(54)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단순히 상부 및 정면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각도 역시 제3 개방부(54)의 위치 가변을 통해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외광의 유입 및 외부로의 광 유출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어, 촬영의 다양성 및 촬영 품질의 향상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물론,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커버(50)는 그 탈부착을 위해서 손잡이 영역(52) 및 서브 커버판(56)의 이동 영역이 형성되는 평면 영역(5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돔(10)에 설치되는 발광 수단(31, 32, 33)은 그 설치 영역이 제한되어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 발광 수단의 설치 위치 및피사체의 재질에 따라서 피사체의 특정 영역에 빛이 집중되어 이미지 품질 저하 및 해당 특정 영역에서의 빛 반사에 의한 번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에는, 서브 돔(60)이 포함될 수 있다. 서브 돔(60)은 메인 돔(10)의 내부 캐비티(100)에 수용되는 동시에 회전 테이블(20)의 상면을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이다.
메인 돔(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메인 돔(12) 및 제2 메인 돔(11)으로 서로 분리 가능한데, 이때 서브 돔(60)은 그 내부 설치를 위해서 먼저 제1 메인 돔(12)에 설치된 뒤 제2 메인 돔(11)이 제1 메인 돔(12)에 설치 결합됨에 따라서 메인 돔(10)에 수용되는 구조로 설치 가능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서브 돔(60)은 빛의 산란을 유도하는 불투명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발광 수단(31, 32, 33)을 통해 조사되는 빛(L1)은, 서브 돔(60) 및 상술한 불투명 재질의 회전 테이블(20)을 통과하면서 산란되어, 결국 서브 돔(60)의 내부 영역(63)에는 발광 수단(31, 32, 33)의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고르게 빛(L2)이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서브 돔(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메인 돔(10)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 테이블(20)의 적어도 상면이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4 개방부(64)가 형성되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브 돔(60)은 제1 개방부(13) 및 제2 개방부(14)에 대응되도록 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에 각각 대응되는 개방부(61, 6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돔(10)은 하부가 폭이 좁기 때문에,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70)가 메인 돔(10)의 하부에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 형성(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70) 중 도 1, 2,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에는, 촬영 장치(300) 또는 유저 단말(200)을 거치할 수 잇는 거치대(210)가 설치될 수 있는 거치대 결합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거치대 결합부(71)가 형성되는 지지부(70)는 바람직하게는 촬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 개방부(13)에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된 지지부(70)임이 바람직하다. 거치대 결합부(71)는 예를 들어 스크류 볼트로 형성되어, 일반적인 카메라 및 휴대폰 거치대의 구성과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전면부의 제1 개방부 및 상면부의 제2 개방부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의 내부 캐비티를 갖는 돔 형태로서, 하부면에 구동 수단이 설치된 메인 돔;
    피사체가 되는 피사체가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하여 지지 및 회전되는 원판형의 회전 테이블;
    적어도 상기 메인 돔의 캐비티 내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의 발광,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 및 통신 연결된 외부 촬영 장치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돔은 하부의 제1 메인 돔과 상부의 제2 메인 돔이 서로 탈부착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메인 돔에 설치된 뒤 상기 제2 메인 돔이 상기 제1 메인 돔에 결합될 시 상기 메인 돔에 수용되는 구조로 설치 가능한 불투명 재질의 외면과 내부의 캐비티를 갖는 서브 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돔은,
    상기 메인 돔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개방부 및 상기 제2 개방부에 대응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상기 회전 테이블이 삽입되도록 개방된 제4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부 이외의 영역은 상기 불투명 재질의 외면에 의하여 폐쇄된 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부와 상기 제2 개방부의 형상은 동일하고,
    상기 제1 개방부 및 상기 제2 개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개방부 및 상기 제2 개방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메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의 일 영역은 개방된 제3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개방부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이 이루는 가이드 라인을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되되, 일부는 상기 제3 개방부와 인접되도록 형성된 수용 라인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다수의 서브 커버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 중 일부는 상기 메인 돔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 테이블은 불투명 재질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 테이블의 저면에는 상기 메인 돔의 하부면에 설치된 발광 수단에 반응하여 상기 회전 테이블에 통과되는 광량이 다른 면과 다르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 테이블의 중심 포인트를 안내하도록 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테이블 인디케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저 단말과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유저 단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발광 수단의 일부 또는 전부의 색온도, 발광량 및 광 조사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저 단말과 연동된 상태에서, 유저 단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수신 시, 상기 제어 명령에 포함된 정보로서, 상기 구동 수단이 일 회 구동될 때의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 각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수단이 일 회에 상기 회전 테이블이 상기 회전 각만큼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기설정된 대기 시간만큼 대기한 후 다시 일 회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저 단말 및 촬영 장치와 연동된 상태에서, 유저 단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수신 시, 상기 제어 명령에 포함된 정보로서, 상기 구동 수단이 일 회 구동될 때의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 각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수단이 일 회에 상기 회전 테이블이 상기 회전 각만큼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촬영 장치의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피사체에 대한 촬영 완료 신호를 수신 시 다시 일 회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돔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 돔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 중 상기 제1 개방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된 지지부에는, 상기 촬영 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설치가 가능한 거치대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KR1020200059250A 2020-05-18 2020-05-18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KR102186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250A KR102186828B1 (ko) 2020-05-18 2020-05-18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PCT/KR2020/006798 WO2021235583A1 (ko) 2020-05-18 2020-05-26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250A KR102186828B1 (ko) 2020-05-18 2020-05-18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828B1 true KR102186828B1 (ko) 2020-12-04

Family

ID=7377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250A KR102186828B1 (ko) 2020-05-18 2020-05-18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6828B1 (ko)
WO (1) WO20212355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971B1 (ko) * 2021-02-26 2021-06-04 주식회사 헬스마일 내구성을 갖는 조립형 포토 박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2659A (ja) * 1996-11-15 1998-05-29 Shashin Kagaku:Kk 撮影用簡易スタジオ
JP2010522960A (ja) * 2007-03-29 2010-07-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自然光模倣システム及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101456550B1 (ko) * 2014-05-19 2014-10-31 윤주영 물체 전방위 촬영 3차원 실물화상기
JP2016103789A (ja) *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Pfu 撮像画像データ公開システム
KR20190113301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미니마인 3d 피규어 촬영용 이동식 스튜디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2659A (ja) * 1996-11-15 1998-05-29 Shashin Kagaku:Kk 撮影用簡易スタジオ
JP2010522960A (ja) * 2007-03-29 2010-07-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自然光模倣システム及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101456550B1 (ko) * 2014-05-19 2014-10-31 윤주영 물체 전방위 촬영 3차원 실물화상기
JP2016103789A (ja) *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Pfu 撮像画像データ公開システム
KR20190113301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미니마인 3d 피규어 촬영용 이동식 스튜디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971B1 (ko) * 2021-02-26 2021-06-04 주식회사 헬스마일 내구성을 갖는 조립형 포토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5583A1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72343B (zh) 一种物体外观全景拍摄方法及便携拍摄系统
EP23919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photographic and/or videographic images
US8162486B2 (en) Remote set-up and calibration of an interactive system
KR102186828B1 (ko) 돔형 휴대용 스튜디오 장치
US20200173930A1 (en) Jewelry and gemstone imag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200601586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subject in an environment
KR102148609B1 (ko)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CN209861016U (zh) 一种环形拍摄装置
US20060158521A1 (en) Mechanical and thermal aspects of an enclosure for interactive system components and the like
CN208489913U (zh) 成像组件、电子组件和电子装置
KR20030069074A (ko) 자동사진촬영장치
JP7344299B2 (ja) 印画紙上のデジタル写真を拡大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2124475B1 (ko) 프로젝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48608B1 (ko)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KR20070025410A (ko) 3차원 영상 생성 시스템
JP2003295301A (ja) 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制御方法、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プリント紙ユニット
KR102598687B1 (ko) Led 조명으로 구현되는 배경화면을 셀프로 선택하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 배경 시스템
CN214847661U (zh) 一种跨境电商营销数据分析用展示装置
CN112187978A (zh)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4269577B2 (ja) 写真プリント装置およびプリント紙ユニット
CN204876673U (zh) 充气式照相亭
JP4441411B2 (ja) 自動写真作成装置
WO2007108321A1 (ja) 人物撮影装置
CN115812303A (zh) 用于制作照片/视频材料的多功能自助多媒体工作室
JP3092543U (ja) 写真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