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608B1 -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608B1
KR102148608B1 KR1020190110512A KR20190110512A KR102148608B1 KR 102148608 B1 KR102148608 B1 KR 102148608B1 KR 1020190110512 A KR1020190110512 A KR 1020190110512A KR 20190110512 A KR20190110512 A KR 20190110512A KR 102148608 B1 KR102148608 B1 KR 102148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rotating
camera
photographed
rotat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퓨처쉐이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처쉐이퍼스 filed Critical (주)퓨처쉐이퍼스
Priority to KR1020190110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촬영 대상물인 피사체의 상부면을 포함한 둘레 및 저면을 촬영하여 피사체의 전체 3차원 이미지를 보다 명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생성시켜 보다 효율적인 3차원 이미지 정보제공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촬영 대상물을 올려놓고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과; 상기 촬영대상물로 향한 촬영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 대상물을 3차원적으로 촬영하기 위한 3차원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은 일측의 서보모터의 풀리와; 회전 테이블의 둘레를 연결한 구동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회전 테이블은 불투명부와 투명부로 구분하여 형성하여 촬영 대상물을 상기 회전 테이블의 투명부에 올려놓게하고, 상기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 하부에 결합한 고정 지지 함체 내부에 촬영 대상물 촬영용 카메라를 진입시켜 회전 테이블의 투명부에 올려놓은 촬영 대상물의 저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3D Imaging System using Rotation Table}
본 발명은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촬영 대상물인 피사체의 상부면을 포함한 둘레 및 저면을 촬영하여 피사체의 전체 3차원 이미지를 보다 명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생성시켜 보다 효율적인 3차원 이미지 정보제공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업화를 위한 특정 제품(피사체)의 이미지 정보전달을 온라인(on-line)상에서 입체 영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촬영 시스템이 널리 알려져 있고, 이러한 촬영 시스템을 이용하여 얻어진 3차원 이미지를 공개특허 제10-2018-0107193호에 게재된 3차원 이미지용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3차원 이미지는 실내 또는 실외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들, 이를테면 광고, 가정 시청, 내부 또는 외부 장식, 예술들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가게 전면 또는 다른 사업체는 종래의 2차원 디스플레이들과 반대로 3차원들로 객체들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고객들의 마음을 끌기를 원할 수 있다. 3차원 표현은 편평한 2차원 표현과 반대로 행인에게 더 눈길을 끌거나 더 주목되게 할 개연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카메라를 통하여 직접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경우, 물품에 대한 배경색 및 빛 조절이 되지 않은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져, 배경에 그림자가 발생하고 촬영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3차원 이미지의 경우, 사용자가 일일이 다각도의 물품의 이미지를 촬영해야 하기 때문에, 거의 그 이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들이 물품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하여, 특히 촬영 대상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스튜디오에서 촬영을 하거나, 3차원 이미지 촬영용 전문 제품을 사용해야 했다. 이에 따라서, 물품의 촬영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하여 제안된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제10-1701329호에 의하면, 다각도의 촬영 대상의 이미지를 자동으로 촬영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테이블과, 테이블을 제어할 수 있고, 촬영 조건을 설정하여 테이블을 제어하면서 촬영 대상을 촬영함으로써 촬영 대상의 3차원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 및 제공하는 시스템이 소개되고 있으나, 이 경우의 선행기술은 촬영용 회전 테이블에 피사체(촬영 대상)를 올려 놓고, 촬영장치에 의하여 제어 회전되는 회전 테이블의 회전 각에 위치한 피사체의 상부면, 전, 후면 및 양측면을 각각 정지된 상태로 촬영한 피사체의 각 부분을 편집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어서, 촬영 대상인 피사체의 상부면, 전, 후면 및 양측면을 편집한 3차원 이미지의 생성은 유효하나, 피사체의 저면을 촬영할 수 없어 저면을 포함한 피사체의 전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피사체의 저면을 촬영할 수 없는 경우의 촬영 대상물이 예컨대 운동화 또는 휴대폰 등의 제품인 경우 이들 제품의 상부면, 전, 후면 및 양측면의 촬영 부분을 합하여 편집하더리도 이들 제품이 특징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저면부의 편집이 불가하므로 제품의 전체 이미지를 제3자에게 제품의 특성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어 효율적인 홍보 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이를 해소하기위해서는 피사체의 상부를 촬영 한 다음 회전 테이블에 제품의 저면을 상부로 향하게 하여 촬영해야 하므로 피사체의 촬영 시간 및 이에 따른 편집시간이 길어져 3차원 이미지 생성 작업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본 발명은 촬영 대상물인 피사체의 상부면을 포함한 둘레 및 저면을 촬영하여 피사체의 전체 3차원 이미지를 보다 명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생성시켜 보다 효율적인 3차원 이미지 정보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촬영 대상물을 올려놓고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과; 상기 촬영대상물로 향한 촬영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 대상물을 3차원적으로 촬영하기 위한 3차원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은 일측의 서보모터의 풀리와; 회전 테이블의 둘레를 연결한 구동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회전 테이블은 불투명부와 투명부로 구분하여 형성하여 촬영 대상물을 상기 회전 테이블의 투명부에 올려놓게하고, 상기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 하부에 결합한 고정 지지 함체 내부에 촬영 대상물 촬영용 카메라를 진입시켜 회전 테이블의 투명부에 올려놓은 촬영 대상물의 저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촬영 대상물의 상부 및 상부를 포함한 둘레의 형상과 모양은 물론 저면을 동시에 3차원적으로 촬영하여 신속한 3차원 촬영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3차원 촬영 작업 공정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촬영 대상물의 전체 이미지를 보다 명확하게 생성할 수 있어 편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의 결합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의 분리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의 전체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저면 촬영부의 동작 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저면 촬영부의 동작 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분리 사시도 이다.
도 9는 도 8의 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의 촬영 제어 회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의 제1 실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은 피사체인 촬영 대상물(10)을 올려놓고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20)과; 상기 촬영 대상물(10)로 향하게 하고, 상기 촬영 대상물(10)의 상부 및 둘레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카메라(30);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촬영 카메라(30)에 의해 촬영 대상물(10)을 3차원적으로 촬영하기 위한 3차원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20)은 일측의 서보모터(21)의 풀리(22)와; 회전 테이블(23)의 둘레를 연결한 구동 벨트(24);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회전 테이블(23)은 불투명부(23A)와 투명부(23B)로 구분 형성하여 촬영 대상물(10)을 상기 회전 테이블(23)의 투명부(23B)에 올려놓게 하고, 상기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20) 하부에 결합한 고정 지지 함체(40) 내부에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카메라(50)를 후술하는 진퇴 안내수단(70)에 의하여 진입시켜 회전 테이블(23)의 투명부(23B)에 올려놓은 촬영 대상물(10)의 저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촬영 카메라(30)는 회전수단(20) 상부에 설치되는 미 도시한 촬영 시스템의 지지부재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1나 이상의 촬영 카메라(30)가 설치되게 하고, 회전수단(20)를 구성하는 회전 테이블(23)이 원형일 경우 바람직하게는 4개의 촬영 카메라(30)를 45도 각도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여 회전수단(20)이 45도 각도로 회전 및 정지할 때마다 상기 각각의 촬영 카메라(30)가 회전 및 정지하는 촬영 대상물(10)의 상부 및 둘레를 회전 각도에 맞추어 순서대로 연속 촬영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20)을 구성하는 서보모터(21)는 정역 서보모터로 제공하여 회전 테이블(23)을 상기와 같이 일정각도 만큼씩 회전 및 정지시키되, 정역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 대상물(10)의 촬영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20) 하부에 결합한 고정 지지 함체(40)는 베어링(60)에 의하여 결합시켜 회전 테이블(23)이 자유롭게 회전가능 하게 하고, 상기 고정 지지 함체(40)는 상부 개방부(40A)및 일측 개방부(40B)를 가지는 구조로서,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카메라(50)가 상기 고정 지지 함체(40)의 일측 개방부(40B)측으로 진입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카메라(50)는 진퇴 안내수단(70)에 의하여 고정 지지 함체(40)의 일측 개방부(40B)측으로 진입하게 하거나 후퇴하도록 설계할 수 있고, 이는 촬영 대상물(10)의 제품 특성상 상부 및 상부 둘레에 특징이 있는 경우에는 촬영 대상물(10)의 저면 촬영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카메라(50)의 진입이 불필요하고, 만일 촬영 대상물(10)의 제품 특성상 제품의 저면 촬영 부분이 필요할 경우에는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카메라(50)의 진입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를 위하여 진퇴 안내수단(70)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상기 진퇴 안내수단(70)은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카메라(50)를 고정 시켜 받쳐주는 안내판(71)과; 상기 안내판(71)의 이송을 자유롭게 하는 안내레일(72)과; 상기 안내판(71)의 일단에 결합한 모터 실린더(73)의 피스톤(73A);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안내레일(72)은 고정 지지 함체(40)의 바닥판(40C)에 고정 시켜 구성할 수 있고, 필요에 의하여 촬영 대상물(10)의 저면을 촬영하는 경우 도 5와 같이 모터 실린더(73)에 제어신호를 보내 모터 실린더(73)를 구동시키면 피스톤(73A)이 동작하여 안내판(71)을 안내레일(72)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고정 지지 함체(40)의 일측 개방부(40B)측으로 진입시켜 안내판(71) 상부의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카메라(50)에 의하여 촬영 대상물(10)의 저면을 촬영할 수 있게 하고, 촬영 대상물(10)의 저면 촬영이 불필요할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도 6과 같이 모터 실린더(73)를 동작시켜 안내판(71)을 원위치하도록 하는 것이고, 특히 본 발명의 상기 회전 테이블(23)은 불투명부(23A)와 투명부(23B)로 구분 형성하여 제공하고 있으므로, 촬영 대상물(10)의 상부 및 둘레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카메라(30)에 의하여 촬영 대상물(10)의 상부 촬영 시 촬영 대상물(10)이 투명부(23B)에 올려놓은 상태이어서 회전 테이블(23)의 불투명부(23A)를 통하여 회전 테이블(23)의 하부 즉, 고정 지지 함체(40)의 내부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촬영 대상물(10)의 상부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고, 회전 테이블(23)의 투명부(23B)에 올려놓은 촬영 대상물(10)이 상기 투명부(23B)에 의하여 선명하게 보여지므로 저면 촬영이 용이 해지는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기타 촬영 대상물(10) 촬영 후 편집 시 발생 되는 그림자를 제거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미 도시한 조명수단을 통하거나 그림자 제거용 촬영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측 단면도로서, 고정 지지 함체(40) 내부에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회전 수단(80)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회전 수단(80)은 서보모터(81)에 의하여 일정 각도만큼씩 회전 및 정지하는 회전 테이블(82)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저면 촬영용 카메라(50A)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실시예는 예컨대 상부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20)을 구성하는 회전 테이블(23)의 둘레 투명부(23B')에 촬영 대상물(10)을 올려놓고 45도 각도 씩 회전 테이블(23)을 회전 및 정지시킨 상태에서 4개의 촬영 카메라(30)가 각각 45도 각도에 각각 위치한 촬영 대상물(10)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회전 수단(80)을 구성하는 회전 테이블(82)도 상기 회전 테이블(23) 회전 및 정지 동작에 동조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여 일정각도로 회전 및 정지하는 촬영 대상물(10)의 저면을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촬영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회전 테이블(23),(82) 각각의 회전 각도 및 정지시간 등은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의 제3 실시예로서, 촬영 대상물(10)의 상부 및 둘레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카메라(30)를 일정각도 만큼씩 회전 및 정지시키는 카메라 회전수단(90)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카메라 회전수단(90)은 미 도시한 촬영 시스템의 지지부재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91)의 지지대(92) 끝단에 결합한 서보모터(93)의 회전축(93A)에 회전원판(94)을 회전 및 정지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원판(94)의 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촬영 카메라(30)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20)을 구성하는 회전 테이블(23)은 예컨대 45도 각도씩 회전 및 정지시킴과 동시에 회전원판(94)도 45도 각도씩 회전 및 정지시키면서 촬영 대상물(10)의 회전및 정지 순서대로 연속 촬영하게 하거나,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20)을 구성하는 회전 테이블(23)은 예컨대 45도 각도씩 회전 및 정지시키고, 회전원판(94)은 45도 회전보다 많거나 적게 회전 및 정지시켜 촬영 대상물(10)의 전, 후면 및 둘레면을 보다 세밀하게 촬영할 수 있게 하여 보다 명확하게 촬영 대상물(10)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이때 고정 지지 함체(40) 내부에는 진퇴 안내수단(70)에 의한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카메라(50)를 설치하거나,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회전 수단(80)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의 촬영 제어 회로 블럭도로서, 주제어부(100)와; 주제어부(100)에 의하여 제어되는 원격 카메라 구동부(110)와; 상기 원격 카메라 구동부(110)에 의하여 구동되는 촬영 카메라(30)와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카메라(50) 및 저면 촬영용 카메라(50A)와; 상기 주제어부(100)에 연결된 무선 통신부(12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1 무선 통신부(130)에 연결된 회전 테이블 제어부(140); 및 상기 회전 테이블 제어부(140)에 의하여 제어되는 서보모터(21) 및 서보모터(9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무선 통신부(12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2 무선 통신부(150)에 연결된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안내판 및 회전 테이블 제어부(160); 및 상기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안내판 및 회전 테이블 제어부(160)에 의하여 제어되는 모터 실린더(73) 및 서보모터(8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촬영 카메라(30)와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카메라(50) 및 저면 촬영용 카메라(50A)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 대상물(10)의 촬영 부분을 영상획득장치(170)에 의하여 처리되어 컴퓨터 단말기(180)에 입력처리되며, 컴퓨터 단말기(180)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서보모터 등 각 동작부가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촬영 대상물 20 :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
21 : 서보모터 23 : 회전 테이블
30 : 촬영 카메라 40 : 고정 지지 함체
50 : 저면 촬영용 카메라 70 : 진퇴 안내수단
71 : 안내판 72 : 안내레일
73 : 모터 실린더 80 : 저면 촬영용 회전수단
90 : 카메라 회전수단 94 : 회전원판

Claims (5)

  1. 피사체인 촬영 대상물(10)을 올려놓고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20)과; 상기 촬영 대상물(10)로 향하게 하고, 상기 촬영 대상물(10)의 상부 및 둘레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카메라(30);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촬영 카메라(30)에 의해 촬영 대상물(10)을 3차원적으로 촬영하기 위한 3차원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20)은 일측의 서보모터(21)의 풀리(22)와; 회전 테이블(23)의 둘레를 연결한 구동 벨트(24);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회전 테이블(23)은 불투명부(23A)와 투명부(23B)로 구분 형성하여 촬영 대상물(10)을 상기 회전 테이블(23)의 투명부(23B)에 올려놓게 하고, 상기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20) 하부에 결합한 고정 지지 함체(40) 내부에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카메라(50)를 진퇴 안내수단(70)에 의하여 진입시켜 회전 테이블(23)의 투명부(23B)에 올려놓은 촬영 대상물(10)의 저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진퇴 안내수단(70)은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카메라(50)를 고정 시켜 받쳐주는 안내판(71)과; 상기 안내판(71)의 이송을 자유롭게 하는 안내레일(72)과; 상기 안내판(71)의 일단에 결합한 모터 실린더(73)의 피스톤(73A);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안내레일(72)은 고정 지지 함체(40)의 바닥판(40C)에 고정시켜 구성하며,
    상기 촬영 대상물(10)의 저면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모터 실린더(73)에 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모터 실린더(73)를 구동시키면 상기 피스톤(73A)이 동작하여 상기 안내판(71)을 상기 안내레일(72)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상기 고정 지지 함체(40)의 일측 개방부(40B)측으로 진입시켜 상기 안내판(71) 상부의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카메라(50)에 의하여 상기 촬영 대상물(10)의 저면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지지 함체(40) 내부에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회전 수단(80)을 설치하되, 상기 촬영 대상물 저면 촬영용 회전 수단(80)은 서보모터(81)에 의하여 일정 각도만큼씩 회전 및 정지하는 회전 테이블(82)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저면 촬영용 카메라(50A)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촬영 대상물(10)의 상부 및 둘레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카메라(30)를 일정각도 만큼씩 회전 및 정지시키는 카메라 회전수단(90)을 구비하되, 상기 카메라 회전수단(90)은 촬영 시스템의 지지부재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91)의 지지대(92) 끝단에 결합한 서보모터(93)의 회전축(93A)에 회전원판(94)을 회전 및 정지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원판(94)의 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촬영 카메라(30)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20)을 구성하는 회전 테이블(23)은 일정 각도씩 회전 및 정지시킴과 동시에 회전원판(94)도 일정 각도씩 회전 및 정지시키면서 촬영 대상물(10)의 회전및 정지 순서대로 연속 촬영하게 하거나, 촬영 대상물 회전수단(20)을 구성하는 회전 테이블(23)은 일정 각도씩 회전 및 정지시키고, 회전원판(94)은 상기 회전 테이블(23)의 회전보다 많거나 적게 회전 및 정지시켜 촬영 대상물(10)의 전, 후면 및 둘레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KR1020190110512A 2019-09-06 2019-09-06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KR102148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512A KR102148608B1 (ko) 2019-09-06 2019-09-06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512A KR102148608B1 (ko) 2019-09-06 2019-09-06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608B1 true KR102148608B1 (ko) 2020-08-28

Family

ID=7229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512A KR102148608B1 (ko) 2019-09-06 2019-09-06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6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452A (ko) * 2001-08-16 2003-03-03 다본정보기술 주식회사 3차원 촬영장치
KR20150138555A (ko) * 2014-05-29 2015-12-10 주식회사 오성알앤에이천안공장 물체 비전 검사 장치 및 물체 비전 검사 방법
KR20180010170A (ko) * 2017-12-20 2018-01-30 한창엽 촬영 장치
KR101936324B1 (ko) * 2017-07-12 2019-01-08 민준식 다각도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452A (ko) * 2001-08-16 2003-03-03 다본정보기술 주식회사 3차원 촬영장치
KR20150138555A (ko) * 2014-05-29 2015-12-10 주식회사 오성알앤에이천안공장 물체 비전 검사 장치 및 물체 비전 검사 방법
KR101936324B1 (ko) * 2017-07-12 2019-01-08 민준식 다각도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10170A (ko) * 2017-12-20 2018-01-30 한창엽 촬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406908U (zh) 手机用旋转摄像头
CN204065655U (zh) 物品立体成像拍摄设备
CN105072343B (zh) 一种物体外观全景拍摄方法及便携拍摄系统
CN101852979A (zh) 全景相机
CN104980632A (zh) 影像撷取方法及装置
CN204859354U (zh) 一种物体外观全景便携拍摄系统
US10474006B2 (en) Outdoor photography system
GB24647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3-D Photography
US20220053170A1 (en) Goods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DE202015102479U1 (de) Fotografisches System
KR20150091064A (ko) 단일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캡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48609B1 (ko)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CN106840034A (zh) 具有散斑投射器的三维扫描系统及其应用
KR102148608B1 (ko)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촬영 시스템
CN108121146B (zh) 全景扫描装置
CN108124127B (zh) 全景扫描监控系统
WO20200276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ing
Ikeda et al. A pitfall in clinical photography: the appearance of skin lesions depends upon the illumination device
CN206251210U (zh) 实时文物展品抠像合成系统
CN208285455U (zh) 一种4目3d全景生成装置
JP5165807B2 (ja) 撮影装置
CN214173254U (zh) 三维建模数据采集箱
RU115085U1 (ru) Трехмерная примерочная "mamagi"
CN213754628U (zh) 一种用于实物档案三维建模展示的扫描装置
KR20070025410A (ko) 3차원 영상 생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