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813B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813B1
KR102186813B1 KR1020180166272A KR20180166272A KR102186813B1 KR 102186813 B1 KR102186813 B1 KR 102186813B1 KR 1020180166272 A KR1020180166272 A KR 1020180166272A KR 20180166272 A KR20180166272 A KR 20180166272A KR 102186813 B1 KR102186813 B1 KR 102186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bucket
water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091A (ko
Inventor
한재성
이동연
송광석
김은수
안준상
김종화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102018016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8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4Apparatus for shaping or finishing ice pieces, e.g. ice pr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4Apparatus for shaping or finishing ice pieces, e.g. ice presses
    • F25C5/142Apparatus for shaping or finishing ice pieces, e.g. ice presses extrusion of ice crys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4Distributing ice for storing 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일면이 개방된 얼음통 수용부 및 수통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얼음통 수용부에 탈착할 수 있게 수용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생성된 얼음이 수용되는 얼음통; 상기 본체의 수통 수용부에 탈착할 수 있게 수용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게 물을 공급하는 수통;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통에서 공급된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며,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통에 수용되도록 이송하는 얼음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통은 하부에 상기 얼음통에 수용된 얼음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빙기의 상부에 생성된 얼음이 보관되는 얼음통이 배치되어, 사용자가 소량의 얼음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 배출마개를 개방시켜 얼음을 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량의 얼음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 얼음통을 본체에서 분리하여 얼음통에 수용된 얼음을 다량으로 취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얼음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여 배출할 수 있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수기나 냉장고에 얼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제빙기가 포함된 정수기나 냉장고가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나 냉장고에 포함된 제빙기는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서 얼음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별도의 버튼 등을 눌러 내부에 보관된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 배출되는 얼음은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배출되도록 설치되는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생성된 얼음을 취하기 위해 컵 등과 같은 용기를 이용하여 생성된 얼음을 취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다수의 얼음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용기를 지속적으로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배치시키고 원하는 양의 얼음이 배출될 때까지 대기하거나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버튼을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정수기나 냉장고 등에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수도관 등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설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수기나 냉장고에 물이 공급될 수 있는 배관을 정수기나 냉장고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하여야 얼음을 생성시켜 이용할 수 있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성된 얼음을 사용자가 원하는 양에 따라 소량 또는 다량으로 취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에 별도의 배관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얼음을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일면이 개방된 얼음통 수용부 및 수통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얼음통 수용부에 탈착할 수 있게 수용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생성된 얼음이 수용되는 얼음통; 상기 본체의 수통 수용부에 탈착할 수 있게 수용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게 물을 공급하는 수통;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통에서 공급된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며,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통에 수용되도록 이송하는 얼음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통은 하부에 상기 얼음통에 수용된 얼음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얼음통에 형성된 얼음 배출구에서의 얼음 배출 여부를 조절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얼음 배출구를 개폐하는 얼음 배출마개; 상기 얼음 배출마개의 일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배출마개 동작부; 상기 마개부를 상기 얼음통의 하부에 고정하는 배출마개 고정부; 및 상기 얼음 배출마개가 상기 얼음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마개 동작부에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얼음 배출마개가 회전하여 상기 얼음 배출마개는 상기 얼음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마개 동작부에 외력을 가하는 배출마개 작동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마개 작동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음통 수용부는 상기 수통 수용부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얼음통 수용부 및 수통 수용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얼음통에서 얼음이 배출시키기 위한 버튼이 배치된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마개 작동부 및 모터는 상기 조작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얼음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얼음이 통과하는 얼음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마개 작동부의 외주면에 상기 배출마개 작동부의 길이 방향으로 작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작동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된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수통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된 압축기에 의해 냉각되어 생성된 얼음이 상승하는 하나 이상의 얼음 상승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얼음 상승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얼음 상승부에서 상승된 얼음이 꺾여 절단되는 얼음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절단부에서 절단되어 생성된 얼음은 상기 얼음통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절단부는 상기 얼음 상승부에서 상승된 얼음이 절단되도록 상단의 형상이 하부 형상보다 큰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얼음 절단부의 상부 형상에 역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본체 내에 상기 얼음통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얼음 절단부에서 절단된 얼음이 상기 얼음통으로 이송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의 하부 끝단에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송되는 얼음이 상기 얼음통에 이송되도록 얼음 이송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통은,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는 얼음 수용부; 및 상기 얼음 수용부에 수용된 얼음을 상기 얼음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와이어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선 형상의 이송부가 회전되어 상기 얼음 수용부에 수용된 얼음을 상기 얼음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얼음통이 상기 얼음통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이송부와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음 수용부에는 일면에 상기 얼음통에서 생성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얼음통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얼음통 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얼음통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가 배치되며, 상기 얼음 수용부는 상기 얼음통 배수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얼음통이 상기 얼음통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얼음통 배수구를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통은,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얼음을 생성하는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수용부의 일면에 상기 수통에서 물을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물 공급구와 연결되는 물 공급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물 수용부는 상기 물 공급구 내에 배치되며, 상기 수통이 상기 수통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물 공급구를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통의 일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통은 상기 배출홈의 하부에 배치된 물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빙기의 상부에 생성된 얼음이 보관되는 얼음통이 배치되어, 사용자가 소량의 얼음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 배출마개를 개방시켜 얼음을 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량의 얼음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 얼음통을 본체에서 분리하여 얼음통에 수용된 얼음을 다량으로 취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얼음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는 설치할 때, 별도의 외부 배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수통에 수용된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할 수 있어, 제빙기를 설치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제약이 없이 어느 위치에든 제빙기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얼음통 및 수통을 분리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수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이송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마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마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얼음통 및 수통을 분리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본체(110), 얼음통(130), 수통(140) 및 물받침(148)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얼음통(130) 및 수통(14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얼음통(130)에 얼음이 보관되도록 내부에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본체(110)의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본체(110)는 얼음통(130) 및 수통(1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에 얼음통 수용부(IBH) 및 수통 수용부(WBH)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10)에 형성된 얼음통 수용부(IBH)는 수통 수용부(WBH)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얼음통 수용부(IBH)는 얼음통(13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얼음통 수용부(IBH)의 내측면에 얼음통(130)이 정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GD)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GD)는 얼음통(130)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36)에 대응되도록 개방된 면을 향한 방향으로 형성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GD)는 얼음통 수용부(IBH)의 양측에 배치된 내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통 수용부(IBH)의 내면에 제1 모터(M1) 및 배수부(ID)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모터(M1)는 후술할 얼음통(130)에 배치된 이송 스프링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배수부(ID)는 후술할 얼음통(130)에 형성된 얼음통 배수구(138)와 물리적으로 접촉되며, 얼음통 배수구(138)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 모터(M1) 및 배수부(ID)의 형상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그리고 본체(110)에 형성된 수통 수용부(WBH)는 얼음통 수용부(IBH)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수통(14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얼음통 수용부(IBH) 및 수통 수용부(WBH)는 본체(110)의 일면에 각각 배치되며, 본체(110)의 개방된 일면은 수평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통 수용부(WBH)의 내면에는 물 공급 연결부(WS)가 배치된다. 물 공급 연결부(WS)는 수통(140)에 형성된 물 공급구(144)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며, 수통(140)에 수용된 물을 얼려 얼음이 생성되도록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수통 수용부(WBH)의 외면에는 배출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홈(146)은 상부에 배치된 얼음통(130)에서 얼음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이다. 한편 배출홈(146)은 수통 수용부(WBH)의 전면에 형성되고, 하부에 물받침(148)이 배치될 수 있다. 물받침(148)은 얼음통(130)에서 배출된 얼음으로 인해 발생된 물이 외부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물받침(148)의 상부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판이 배치되고, 하부에 물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받침(148)은 수통(140)에서 탈착할 수 있게 수통(140)에 결합될 수 있다.
얼음통 수용부(IBH)와 수통 수용부(WBH)의 사이에 조작부(150)가 배치된다. 조작부(150)는 사용자가 얼음통(130)에서 얼음을 배출하기 위해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이 배치되고, 또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 제빙기(100)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전원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5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얼음 관통홀(152)이 형성될 수 있다. 얼음 관통홀(152)은 얼음통(130)에서 하부 방향으로 얼음이 배출될 때, 조작부(150)의 얼음 관통홀(15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얼음을 받을 수 있는 용기를 물받침(148)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작부(150)의 얼음 관통홀(152)을 통해 배출되는 얼음을 용기에 담을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측면에는 개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홈(112)은 얼음통(130) 및 수통(140)을 본체(110)에서 사용자가 쉽게 이탈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따라서 개방홈(112)은 본체(110)의 측면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수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수통(14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통(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배출홈(146)이 형성되고, 하부에 물받침(148)이 배치된다. 그리고 타 측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 수용부(142)가 배치된다.
물 수용부(1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물 수용부(142)의 내부 벽면에 물 공급구(144)가 형성된다.
물 공급구(144)는 물 수용부(142)의 내부 벽면의 하부에 형성되며, 물 수용부(142)의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외부로 연결된 물 공급구(144)가 앞서 설명한 본체(110)의 수통 수용부(WBH) 내에 배치된 물 공급 연결부(WS)와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물 수용부(142) 내에 수용된 물은 물 공급구(144) 및 물 공급 연결부(WS)를 통해 본체(1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물 공급구(144)의 내부에는 밸브(CV)가 배치될 수 있다.
배출홈(146)은 일면에 형성되고, 수통(140)의 일 측에 양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사이에 형성된다. 배출홈(146)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얼음을 받기 위한 용기가 배출홈(146)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얼음 생성부(12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본체(110)의 상부커버(116) 및 측면커버(114)를 분리한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얼음 생성부(120)는 제빙기(100)의 본체(110) 상부에 배치된다. 얼음 생성부(120)는 본체(110)의 상부커버(116)의 하부에 배치되며, 얼음 상승부(121), 얼음 절단부(123), 경사면(125), 얼음 이송구(127), 및 얼음 생성부 커버(129)를 포함한다.
얼음 상승부(121)는 수통(140)에서 공급된 물이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된 압축기(CP)에 의해 냉각되어 생성된 얼음이 상승된다. 얼음 상승부(1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절단부(123)가 배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얼음 절단부(123)를 둘러싸도록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얼음 상승부(121) 각각은 원형의 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에서 냉각된 얼음이 상승할 수 있다.
여기서, 수통(140)에 수용된 물은 배관을 통해 얼음 상승부(121)로 공급되는데, 이때, 얼음이 상승되는 얼음 상승부(121)의 주변이 압축기(CP)에 의해 순환되는 냉매가 감싸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얼음 상승부(121)에 위치된 물이 냉각될 수 있다. 이렇게 얼음 상승부(121)에서 냉각된 물은 얼음 상승부(121)의 상단에 가까워질수록 냉각되어 얼음 상승부(121)의 상부로 상승될 때 완전한 얼음의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얼음 상승부(121)에서 상승되는 얼음은 완전히 단단한 얼음의 형태는 아닐 수 있으며, 얼음 상승부(121) 내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을 정도의 얼음 상태일 수 있다.
얼음 절단부(123)는 얼음 상승부(121)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되고, 얼음 상승부(121)보다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얼음 절단부(123)의 상단은 돌출된 형상의 상부에 역경사면을 가지는 원뿔 절두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얼음 절단부(123)는 얼음 상승부(121)를 통해 상승하다가 얼음 절단부(123)의 상단의 역경사면에 걸려 외측 방향으로 꺾일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얼음 상승부(121)를 통해 상승하는 얼음은 얼음 절단부(123)에 걸려 꺾이고, 그에 따라 하나의 얼음 조각이 생성될 수 있다.
경사면(125)은 얼음 상승부(12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얼음 절단부(123)에 의해 꺾여 생성된 얼음 조각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면(125)의 하부에 얼음 이송구(127)가 형성된다. 얼음 이송구(127)는 하부에 배치된 얼음통(130)과 연통되며, 얼음 이송구(127)를 통해 이송된 얼음은 얼음통(130)의 얼음 수용부(132)에 수용될 수 있다.
얼음 생성부 커버(129)는 얼음 생성부(12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얼음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얼음에 의해 발생된 수분이 본체(110) 내의 다른 부분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체(110)의 후면에는 제빙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연결부(118)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밸브(CV)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이송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통(130)에 대해 설명한다. 얼음통(130)은 내부에 얼음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얼음이 수용된다. 그리고 얼음통(130)은 본체(110)의 얼음통 수용부(IBH)에 수용될 수 있으며, 본체(110)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얼음통(130)에 수용된 얼음을 다량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얼음통(130)을 제빙기(100) 본체(110)에서 분리하여 얼음통(130)에 수용된 얼음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얼음통(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얼음 수용부(132)가 배치되고, 얼음 수용부(132)의 하부 일 측에 얼음 배출구(134)가 형성될 수 있다. 얼음 배출구(134)는 얼음 수용부(132)에 수용된 얼음이 사용자에 의해 소량 배출되기 위해 형성되며, 얼음 배출구(134)를 통해 배출된 얼음은 조작부(150)의 얼음 관통홀(152)(도 2 참조)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 수용부(132)에서 얼음 배출구(134)에 대향된 내면에 얼음통 배수구(138)가 형성될 수 있다. 얼음통 배수구(138)는 외부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얼음통 수용부(IBH)에 수용된 얼음이 일부 녹아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얼음통 배수구(138)는 본체(110)에 형성된 배수부(ID)와 연결될 수 있어, 얼음통 배수구(138)를 통해 배출된 물은 배수부(ID)를 통해 제빙기(100)의 본체(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얼음통 배수구(138)의 내부에는 밸브(CV)가 배치될 수 있다. 밸브(CV)는, 앞서 언급한 물 공급구(144)에 배치된 밸브(CV)와 동일한 종류의 밸브(CV)가 이용될 수 있다. 밸브(CV)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얼음통 배수구(138)에 고정되며, 폐쇄되는 경우에 얼음통 배수구(138)를 폐쇄하여 얼음통(13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CV)의 타 측은 본체(110)에 배치된 배수부(ID)와 접촉될 수 있으며, 얼음통(130)이 본체(110)의 얼음통 수용부(IBH)에 삽입되면, 밸브(CV)의 타 측이 본체(110)의 배수부(ID)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밸브(CV)의 타 측은 본체(110)의 배수부(ID)에 의해 압박되며, 그에 따라 밸브(CV)가 개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밸브(CV)에는 스프링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얼음통(130)이 얼음통 수용부(IBH)에 수용되면, 본체(110)에 배치된 배수부(ID)가 얼음통 배수구(138) 내의 밸브(CV)를 눌러 밸브(CV)를 개방시킨다. 그에 따라 얼음통 수용부(IBH)에서 생성된 물이 얼음통 배수구(138)와 배수부(I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통(130)이 얼음통 수용부(IBH)에서 이탈되면, 본체(110)에 배치된 배수부(ID)와 얼음통 배수구(138) 내에 배치된 밸브(CV)가 이격되고, 그에 따라 밸브(CV)가 가해진 압력이 없어져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얼음통 배수구(138)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얼음통(130)이 얼음통 수용부(IBH)에서 이탈되면 얼음통 배수구(138)를 통해 물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수통(140)의 물 공급구(144)에 배치된 밸브(CV)도 얼음통 배수구(138)에 배치된 밸브(CV)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얼음통 수용부(IBH) 내에 이송부(TS)가 배치될 수 있다. 이송부(TS)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얼음 배출구(134)에 배치되고, 타 측이 얼음 배출구(134)에 대향된 얼음 수용부(132) 내면에 배치된다. 이송부(TS)는 길이 방향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게 얼음 수용부(132) 내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송부(TS)는 회전하면서 얼음 수용부(132) 내에 수용된 얼음을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부(TS)의 타 측은 얼음 수용부(132)의 외측에 배치된 이송 회전부(TSR)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회전부(TSR)가 회전하면, 그에 따라 이송부(TS)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이송 회전부(TSR)는 얼음통 수용부(IBH)의 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얼음통 수용부(IBH)를 관통하더라도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실링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이송 회전부(TSR)는 본체(110)에 배치된 제1 모터(M1)(도 2 참조)와 접촉되어 제1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회전부(TSR)의 타 측단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모터(M1)의 일 측단에는 이송 회전부(TSR)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홈에 걸릴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M1)에 형성된 돌기가 이송 회전부(TSR)의 타 측단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홈에 걸려 제1 모터(M1)의 구동에 따라 이송 회전부(TSR)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이송 회전부(TSR)와 제1 모터(M1)의 접촉은 얼음통(130)이 본체(110)의 얼음통 수용부(IBH)에 삽입되었을 때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TS)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와이어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타 측에서 일 측으로 갈수록(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갈수록) 나선의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얼음 수용부(132)에 수용된 얼음이 이송부(TS)가 회전됨에 따라 점차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돌출부(13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통 수용부(IBH)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하나의 외측면에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얼음통(130)이 얼음통 수용부(IBH)에 수용될 때, 돌출부(136)가 얼음통 수용부(IBH)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GD)를 따라 가이드되어 얼음통(130)이 얼음통 수용부(IBH)에 정확한 위치에 수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마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마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통(130)의 일 측 하부에 얼음 배출구(134)가 형성된다. 얼음 배출구(134)는 얼음 수용부(132)의 내부에 수용된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얼음 배출구(134)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마개부(160)는 일 측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얼음통(130)에 설치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스프링(168)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얼음 배출구(134)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해 마개부(160)는, 얼음 배출마개(162), 배출마개 동작부(164), 배출마개 고정부(166) 및 작동 스프링(168)을 포함한다.
얼음 배출마개(162)는, 얼음 배출구(134)를 폐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 측에 배치된다.
배출마개 동작부(164)는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타 측에 배치되고,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외력이 가해질 수 있게 소정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배출마개 고정부(166)는 배출마개 동작부(164)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개부(160)를 얼음통(130)의 하면에 고정하기 위해 배치된다. 따라서 마개부(160)는 배출마개 고정부(166)에 얼음통(130)의 하면에 고정되고, 배출마개 동작부(164)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얼음 배출마개(162) 및 배출마개 동작부(164)가 회전할 수 있다. 이렇게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되면, 얼음 배출구(134)가 개방될 수 있다.
작동 스프링(168)은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되는 회전축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배출마개 동작부(16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얼음 배출마개(162)에 복원력을 작용하여 얼음 배출마개(162)가 얼음 배출구(134)를 폐쇄하도록 한다. 따라서 얼음 배출구(134)에 얼음이 배치되어 얼음 배출마개(162)의 상부에 얼음이 배치되더라도 얼음의 무게에 의해 얼음 배출마개(162)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어 얼음 배출구(134)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마개 동작부(164)에 외력을 가하기 위해 배출마개 작동부(170) 및 제2 모터(M2)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마개 작동부(170) 및 제2 모터(M2)는 조작부(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잠시 도 2를 참조하면, 조작부(150)의 상면에 배출마개 작동부(170)의 상부 끝단이 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배출마개 작동부(17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마개 작동부(170)는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배출마개 작동부(170)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배출마개 동작부(164)에 외력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마개 작동부(170)의 일 측면에는 작동 기어(172)가 형성될 수 있다. 작동 기어(172)는 배출마개 작동부(170)의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랙 기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터(M2)는 조작부(15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2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제2 모터(M2)에 설치된 구동 기어(MG)가 회전될 수 있다. 구동 기어(MG)는 작동 기어(172)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모터(M2)의 구동에 따라 구동 기어(MG)가 회전하고, 구동 기어(MG)의 회전에 따라 작동 기어(172)의해 배출마개 작동부(17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모터(M2)는 구동 기어(MG)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모터(M1) 및 제2 모터(M2)는 서로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150)에 배치된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면, 제1 모터(M1)가 구동되어 이송부(TS)를 회전시킬 수 있고, 동시에 제2 모터(M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출마개 작동부(17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얼음 수용부(132)에 수용된 얼음은 얼음 수용부(132)에서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이동하고, 얼음 배출구(134)를 폐쇄하고 있는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하여 얼음 배출구(134)를 개방함에 따라 얼음 배출구(13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동안 얼음이 얼음 배출구(134)로 배출되거나 사용자가 얼음의 배출을 중지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면, 제1 모터(M1)의 구동이 정지되며, 제2 모터(M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출마개 작동부(17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얼음 수용부(132)에 수용된 얼음이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이송되는 것이 정지되고,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하여 얼음 배출구(134)를 폐쇄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빙기
110: 본체
112: 개방홈 114: 측면커버
116: 상부커버 118: 전원연결부
120: 얼음 생성부 121: 얼음 상승부
123: 얼음 절단부 125: 경사면
127: 얼음 이송구 129: 얼음 생성부 커버
130: 얼음통
132: 얼음 수용부 134: 얼음 배출구
136: 돌출부 138: 얼음통 배수구
140: 수통
142: 물 수용부 144: 물 공급구
146: 배출홈 148: 물받침
150: 조작부 152: 얼음 관통홀
160: 마개부
162: 얼음 배출마개 164: 배출마개 동작부
166: 배출마개 고정부 168: 작동 스프링
170: 배출마개 작동부 172: 작동 기어
CP: 압축기 CV: 밸브
IBH: 얼음통 수용부 ID: 배수부
GD: 가이드부
M1: 제1 모터 M2: 제2 모터
MG: 구동 기어
TS: 이송부 TSR: 이송 회전부
WBH: 수통 수용부 WS: 물 공급 연결부

Claims (15)

  1. 일면이 개방된 얼음통 수용부 및 수통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얼음통 수용부에 탈착할 수 있게 수용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생성된 얼음이 수용되는 얼음통;
    상기 본체의 수통 수용부에 탈착할 수 있게 수용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게 물을 공급하는 수통;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통에서 공급된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며,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통에 수용되도록 이송하는 얼음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통의 하부에는 상기 얼음통에 수용된 얼음을 배출할 수 있는 얼음 배출구와, 상기 얼음통에서 생성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얼음통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얼음통 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얼음통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얼음통 배수구에는 상기 얼음통 배수구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얼음통이 상기 본체의 얼음통 수용부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배수부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 작동하고, 상기 얼음통이 상기 본체의 얼음통 수용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배수부에 의한 가압 상태가 해제되어 폐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음통에 형성된 얼음 배출구에서의 얼음 배출 여부를 조절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얼음 배출구를 개폐하는 얼음 배출마개;
    상기 얼음 배출마개의 일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배출마개 동작부;
    상기 마개부를 상기 얼음통의 하부에 고정하는 배출마개 고정부; 및
    상기 얼음 배출마개가 상기 얼음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마개 동작부에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얼음 배출마개가 회전하여 상기 얼음 배출마개는 상기 얼음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빙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마개 동작부에 외력을 가하는 배출마개 작동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마개 작동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얼음통 수용부는 상기 수통 수용부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얼음통 수용부 및 수통 수용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얼음통에서 얼음이 배출시키기 위한 버튼이 배치된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마개 작동부 및 모터는 상기 조작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얼음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얼음이 통과하는 얼음 관통홀이 형성된 제빙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출마개 작동부의 외주면에 상기 배출마개 작동부의 길이 방향으로 작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작동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된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제빙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수통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된 압축기에 의해 냉각되어 생성된 얼음이 상승하는 하나 이상의 얼음 상승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얼음 상승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얼음 상승부에서 상승된 얼음이 꺾여 절단되는 얼음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절단부에서 절단되어 생성된 얼음은 상기 얼음통으로 이송되는 제빙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절단부는 상기 얼음 상승부에서 상승된 얼음이 절단되도록 상단의 형상이 하부 형상보다 큰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얼음 절단부의 상부 형상에 역경사면이 형성된 제빙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본체 내에 상기 얼음통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얼음 절단부에서 절단된 얼음이 상기 얼음통으로 이송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의 하부 끝단에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송되는 얼음이 상기 얼음통에 이송되도록 얼음 이송구가 형성된 제빙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음통은,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는 얼음 수용부; 및
    상기 얼음 수용부에 수용된 얼음을 상기 얼음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와이어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선 형상의 이송부가 회전되어 상기 얼음 수용부에 수용된 얼음을 상기 얼음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빙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얼음통이 상기 얼음통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이송부와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통은,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얼음을 생성하는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수용부의 일면에 상기 수통에서 물을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물 공급구와 연결되는 물 공급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물 수용부는 상기 물 공급구 내에 배치되며, 상기 수통이 상기 수통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물 공급구를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제빙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통의 일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이 형성된 제빙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통은 상기 배출홈의 하부에 배치된 물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KR1020180166272A 2018-12-20 2018-12-20 제빙기 KR102186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72A KR102186813B1 (ko) 2018-12-20 2018-12-20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72A KR102186813B1 (ko) 2018-12-20 2018-12-20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91A KR20200077091A (ko) 2020-06-30
KR102186813B1 true KR102186813B1 (ko) 2020-12-04

Family

ID=7112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272A KR102186813B1 (ko) 2018-12-20 2018-12-20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8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967A (ja) * 2001-12-10 2003-06-27 Hideo Nakajo 氷ディスペンサーの扉開閉装置
JP2011185450A (ja) * 2010-03-04 2011-09-22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598A (ko) * 2003-04-01 2004-10-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제빙기의 냉각시스템 및 그 작동제어방법
KR101188483B1 (ko) * 2010-07-06 2012-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967A (ja) * 2001-12-10 2003-06-27 Hideo Nakajo 氷ディスペンサーの扉開閉装置
JP2011185450A (ja) * 2010-03-04 2011-09-22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91A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513B1 (ko) 냉장고
EP2664870B1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US9885510B2 (en) Refrigerator
EP3680586B1 (en)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ing device
KR101997259B1 (ko) 냉장고
US8596086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327081A1 (en) Refrigerator
KR20110138777A (ko) 냉장고
KR102186813B1 (ko) 제빙기
KR102255896B1 (ko) 제빙기
KR102221595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N101506601B (zh) 冰盘组件及具有这种冰盘组件的冰箱
KR20060110548A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의 얼음 엉김 방지 구조
KR20220044029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4543791B2 (ja) 冷蔵庫の製氷装置
KR102227961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80000128A (ko) 냉장고
CN216924848U (zh) 制冰机
KR2020003810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1480377B2 (en) Refrigerator
CN113574336B (zh) 具有防溢盖的制冰机
KR20220044030A (ko) 가요성 트레이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471371Y1 (ko) 신속 출빙이 가능한 제빙기의 저빙고
KR100612102B1 (ko) 냉장고의 얼음토출구 개폐장치
KR20080090100A (ko) 냉장고의 도어 장착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