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770B1 - 오일 탱크로리 - Google Patents

오일 탱크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770B1
KR102186770B1 KR1020200073404A KR20200073404A KR102186770B1 KR 102186770 B1 KR102186770 B1 KR 102186770B1 KR 1020200073404 A KR1020200073404 A KR 1020200073404A KR 20200073404 A KR20200073404 A KR 20200073404A KR 102186770 B1 KR102186770 B1 KR 102186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ose
compartment
container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명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특장 filed Critical (주)에스앤특장
Priority to KR102020007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45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the transfer method
    • B67D7/327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the transfer method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5Arrangements for hoses, tubes, or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6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8Arrangements of hoses, e.g. operative connection with pump motor
    • B67D7/40Suspending, reeling or st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8Arrangements of pumps
    • B67D7/70Arrangements of pumps of two or more pumps in series or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67D7/0401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fuelling vehicles, i.e. without human intervention
    • B67D2007/0403Fuelling robots
    • B67D2007/0423Fuelling hoses
    • B67D2007/0426Fuelling hoses comprising several hoses for several 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러(C)의 제어로서 차량(L) 내 배터리(B)의 전원을 간단히 활용하여 예를 들어 제1격실(T1)의 경유를 주유코자 할 경우 제1펌프(13)를 구동시켜 제1오일건(12)을 통해 경유의 공급을 가능케 하고, 마찬가지로 컨트롤러(C)의 제어로서 간단히 차량(L) 내 배터리(B)의 전원을 활용하여 예를 들어 제2격실(T2)의 등유를 주유코자 할 경우 제2펌프(23)를 구동시켜 제2오일건(22)을 통해 등유의 공급을 가능케 하여, 배터리(B)의 전원을 간단 신속하게 활용한 컨트롤러(C)의 조작으로 경유 또는 등유의 주유를 빠르고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선행기술문헌과 같은 PTO를 활용할 경우의 여러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유 또는 등유의 공급라인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시켜 혼유로 인한 각종 보일러 또는 엔진 등으로의 손상을 철저히 방지토록 할 수 있는 오일 탱크로리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오일 탱크로리{OIL TANK LORRY}
본 발명은 오일 탱크로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트롤러의 제어로서 차량 내 배터리의 전원을 간단히 활용하여 예를 들어 제1격실의 경유를 주유코자 할 경우 제1펌프를 구동시켜 제1오일건을 통해 경유의 공급을 가능케 하고, 마찬가지로 컨트롤러의 제어로서 간단히 차량 내 배터리의 전원을 활용하여 예를 들어 제2격실의 등유를 주유코자 할 경우 제2펌프를 구동시켜 제2오일건을 통해 등유의 공급을 가능케 하여, 차량 내 배터리의 전원을 신속 간단하게 활용한 컨트롤러의 조작으로 경유 또는 등유의 주유를 빠르고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경유 또는 등유의 공급라인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시켜 혼유로 인한 각종 보일러 또는 엔진 등으로의 손상을 철저히 방지토록 할 수 있는 오일 탱크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 탱크로리(Oil Tank Lorry)는 한 종류의 오일, 즉 경유 또는 등유 등을 탱크에 적재하여 필요한 곳(각종 차량이나 가정 또는 공장 등)에 기동력 있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오일 공급 차량이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06622호)에 소개된 탱크로리의 PTO 배관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탱크로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럭(TR)의 적재대에 탱크(TK)를 탑재하고, 탱크(TK)의 후방에 주유호스를 구비한 주유기박스(SO)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탱크(TK)에는 경유 또는 등유 등의 어느 한 종류를 적재하여 각 사용처, 즉 각종 차량이나 가정 또는 공장 등의 저장탱크에 주유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주유기박스(SO)의 동력은 트럭(TR)에 설치된 피티오(PTO; Power Take Off)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PTO는 트럭(RT)의 트랜스미션으로부터 동력을 일부 인출하여 주유기박스(SO)의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일종의 펌프라 할 수 있다.
운전자가 탱크로리를 이용하여 주유하는 과정을 보면, 일단 주유할 장소에 차량을 정차한 운전자는 차량에서 내려서 탱크(TK) 후방의 주유기박스(SO)를 열고 주유호스를 연결하고 주유밸브를 연다.
그런 다음, 다시 트럭(TR)의 운전석으로 이동하여 클러치를 밟고 PTO 작동스위치를 작동한다. 그리고, 주유 또는 충전이 완료되면, 밸브를 닫고 신속하게 운전석으로 이동하여 클러치를 밟고 PTO 작동스위치를 끄고 나서, 연결된 호스를 해제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탱크로리는 주유를 하기 위해 운전자가 너무 많은 이동을 하므로 인하여 피로감에 의한 졸음운전의 원인이 되곤 한다.
또한, 주유 완료 후 PTO를 끄기 위해 운전석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아직 작동 중인 PTO에 의해 호스 및 밸브 등의 배관라인의 압력이 상승하므로 기계적인 결함을 유발시키는 단점 또한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0662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러의 제어로서 차량 내 배터리의 전원을 간단히 활용하여 예를 들어 제1격실의 경유를 주유코자 할 경우 제1펌프를 구동시켜 제1오일건을 통해 경유의 공급을 가능케 하고, 마찬가지로 컨트롤러의 제어로서 간단히 차량 내 배터리의 전원을 활용하여 예를 들어 제2격실의 등유를 주유코자 할 경우 제2펌프를 구동시켜 제2오일건을 통해 등유의 공급을 가능케 하여, 차량 내 배터리의 전원을 신속 간단하게 활용한 컨트롤러의 조작으로 경유 또는 등유의 주유를 빠르고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경유 또는 등유의 공급라인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시켜 혼유로 인한 각종 보일러 또는 엔진 등으로의 손상을 철저히 방지토록 할 수 있도록 한 오일 탱크로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 배터리의 전원을 신속 간단하게 활용하여 개폐스위치로서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1오일건 또는 제2오일건을 통한 주유시 제1밸브 또는 제2밸브의 개폐를 신속 정확하게 가능케 하여 보다 안정된 경유 또는 등유의 공급을 가능토록 하고, 나아가 제1오일건 또는 제2오일건의 고장 나아가 제1호스 또는 제2호스의 손상에 의한 누유시 비상차단레버의 신속한 조작을 통한 차량 내 배터리의 전원으로 제1밸브 또는 제2밸브를 긴급 차단케 하여 안전사고를 더 더욱 철저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오일 탱크로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오일건 및 제2오일건을 고정틀의 양측에 마련된 제1파지구 또는 제2파지구에 거치시켜 서로 마주보면서 하향되도록 하고, 수거통을 고정틀의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제1오일건 및 제2오일건으로부터 낙하되는 제1오일 및 제2오일을 전량 받아들여 수거토록 함으로써 청결은 물론이거니와 화재의 위험으로부터도 철저하게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한 오일 탱크로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오일건 및 제2오일건으로부터 낙하되는 제1오일 및 제2오일이 호퍼를 통해 안전하고도 신속하게 포집되면서 용기에 채워질 수 있도록 한 오일 탱크로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렁거리는 혼유에 의한 튀는 현상을 중간판으로 차단하면서 다시 호퍼를 통해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혼유의 안전한 보관을 통한 사고의 위험까지 없앨 수 있도록 한 오일 탱크로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시동을 위한 배터리를 지니면서 바디프레임에 탑재된 탱크를 포함하는 오일 탱크로리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제1오일 및 제2오일을 각각 수용하는 제1격실 및 제2격실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격실에 연통된 제1호스를 통해 제1오일을 분출시키는 제1오일건 및 상기 제2격실에 연통된 제2호스를 통해 제2오일을 분출시키는 제2오일건과, 상기 제1호스에 개재된 제1펌프 및 상기 제2호스에 개재된 제2펌프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으로 상기 제1펌프 및 제2펌프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면서 주유량을 각각 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트롤러의 제어로서 차량 내 배터리의 전원을 간단히 활용하여 예를 들어 제1격실의 경유를 주유코자 할 경우 제1펌프를 구동시켜 제1오일건을 통해 경유의 공급을 가능케 하고, 마찬가지로 컨트롤러의 제어로서 간단히 차량 내 배터리의 전원을 활용하여 예를 들어 제2격실의 등유를 주유코자 할 경우 제2펌프를 구동시켜 제2오일건을 통해 등유의 공급을 가능케 하여, 차량 내 배터리의 전원을 신속 간단하게 활용한 컨트롤러의 조작으로 경유 또는 등유의 주유를 빠르고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경유 또는 등유의 공급라인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시켜 혼유로 인한 각종 보일러 또는 엔진 등으로의 손상을 철저히 방지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 내 배터리의 전원을 신속 간단하게 활용하여 개폐스위치로서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1오일건 또는 제2오일건을 통한 주유시 제1밸브 또는 제2밸브의 개폐를 신속 정확하게 가능케 하여 보다 안정된 경유 또는 등유의 공급을 가능토록 하고, 나아가 제1오일건 또는 제2오일건의 고장 나아가 제1호스 또는 제2호스의 손상에 의한 누유시 비상차단레버의 신속한 조작을 통한 배터리의 전원으로 제1밸브 또는 제2밸브를 긴급 차단케 하여 안전사고를 더 더욱 철저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경유 또는 등유를 제1호스 또는 제2호스의 길이의 가감으로 필요한 곳에 어디든지 자유롭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오일건 및 제2오일건을 고정틀의 양측에 마련된 제1파지구 또는 제2파지구에 거치시켜 서로 마주보면서 하향되도록 하고, 수거통을 고정틀의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제1오일건 및 제2오일건으로부터 낙하되는 제1오일 및 제2오일을 전량 받아들여 수거토록 함으로써 청결은 물론이거니와 화재의 위험으로부터도 철저하게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오일건 및 제2오일건으로부터 낙하되는 제1오일 및 제2오일이 호퍼를 통해 안전하고도 신속하게 포집되면서 용기에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출렁거리는 혼유에 의한 튀는 현상을 중간판으로 차단하면서 다시 호퍼를 통해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혼유의 안전한 보관을 통한 사고의 위험까지 없앨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탱크로리의 PTO 배관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에 적용된 수거통을 포함한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에 적용된 수거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L) 시동을 위한 배터리(B)를 지니면서 바디프레임(F)에 탑재된 탱크(T)를 포함하고, 탱크(T)는 제1오일 및 제2오일을 각각 수용하는 제1격실(T1) 및 제2격실(T2)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1오일은 경유일 수 있고, 제2오일은 등유일 수 있는데, 하나의 라인을 통한 하나의 오일건으로 경유 또는 등유를 교차 주유할 경우 옥탄가가 서로 다른 오일이 미세하지만 혼유되어 각종 보일러나 엔진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는 탱크(T)를 제1격실(T1) 및 제2격실(T2)로 구획하되, 이들 제1격실(T1) 및 제2격실(T2)에 제1오일 및 제2오일을 각각 수용토록 한 후, 제1격실(T1)에 연통된 제1호스(11)를 통해 제1오일을 분출시키는 제1오일건(12) 및 제2격실(T2)에 연통된 제2호스(21)를 통해 제2오일을 분출시키는 제2오일건(22)과, 제1호스(11)에 개재된 제1펌프(13) 및 제2호스(21)에 개재된 제2펌프(23)와, 배터리(B)의 전원으로 제1펌프(13) 및 제2펌프(23)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면서 주유량을 각각 표시하는 컨트롤러(C)를 포함토록 하여, 컨트롤러(C)의 제어로서 차량(L) 내 배터리(B)의 전원을 간단히 활용하여 예를 들어 제1격실(T1)의 경유를 주유코자 할 경우 제1펌프(13)를 구동시켜 제1오일건(12)을 통해 경유의 공급을 가능케 하고, 마찬가지로 컨트롤러(C)의 제어로서 간단히 차량(L) 내 배터리(B)의 전원을 활용하여 예를 들어 제2격실(T2)의 등유를 주유코자 할 경우 제2펌프(23)를 구동시켜 제2오일건(22)을 통해 등유의 공급을 가능케 하여, 배터리(B)의 전원을 간단 신속하게 활용한 컨트롤러(C)의 조작으로 경유 또는 등유의 주유를 빠르고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선행기술문헌과 같은 PTO를 활용할 경우의 여러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유 또는 등유의 공급라인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시켜 혼유로 인한 각종 보일러 또는 엔진 등으로의 손상을 철저히 방지토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는 제1격실(T1) 및 제1호스(11) 사이에 개재된 제1밸브(14) 그리고 제2격실(T2) 및 제2호스(21) 사이에 개재된 제2밸브(24)와, 배터리(B)의 전원으로 제1밸브(14) 및 제2밸브(24)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개폐스위치(S)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개폐스위치(S)는 배터리(B)의 전원으로 제1밸브(14) 및 제2밸브(24)를 긴급 차단시키는 비상차단레버(S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L) 내 배터리(B)의 전원을 신속 간단하게 활용하여 개폐스위치(S)로서 제1밸브(14) 및 제2밸브(24)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1오일건(12) 또는 제2오일건(22)을 통한 주유시 제1밸브(14) 또는 제2밸브(24)의 개폐를 신속 정확하게 가능케 하여 보다 안정된 경유 또는 등유의 공급을 가능토록 하고, 나아가 제1오일건(12) 또는 제2오일건(22)의 고장 나아가 제1호스(11) 또는 제2호스(21)의 손상에 의한 누유시 비상차단레버(S1)의 신속한 조작을 통한 차량(L) 내 배터리(B)의 전원으로 제1밸브(14) 또는 제2밸브(24)를 긴급 차단케 하여 안전사고를 더 더욱 철저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는 바디프레임(F)에 장착되어 제1호스(11)를 권회시켜 제1오일건(12)에 연결시키는 제1호스릴(15)과, 바디프레임(F)에 장착되어 제2호스(21)를 권회시켜 제2오일건(22)에 연결시키는 제2호스릴(21)을 포함하여, 경유 또는 등유를 제1호스(11) 또는 제2호스(21)의 길이의 가감으로 필요한 곳에 어디든지 자유롭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에 적용된 수거통(40)을 포함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에 적용된 수거통(40)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로리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호스릴(15) 및 제2호스릴(25) 사이의 바디프레임(F) 위에 마련된 고정틀(30)의 양측에 마련되어 제1오일건(12) 및 제2오일건(22)으로 하여금 서로 마주보면서 하향되도록 각각 잡아주는 제1파지구(31) 및 제2파지구(32)와, 고정틀(30)의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제1오일건(12) 및 제2오일건(22)으로부터 낙하되는 제1오일 및 제2오일을 받아들이는 수거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유 또는 등유의 주유 후 제1오일건(12) 및 제2오일건(22)을 바디프레임(F)의 후미에 단순히 거치시켜 놓을 경우 잔여 오일이 낙하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오일의 낙하 및 누적은 기름때가 되어 차량(L)에 적층되면서 고위험의 인화물질로 변화하여 정전기 또는 전기적인 쇼트 나아가 간단한 담뱃불에 의한 화재로 이어져 큰 사고를 유발시킬 수밖에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1오일건(12) 및 제2오일건(22)을 고정틀(30)의 양측에 마련된 제1파지구(31) 또는 제2파지구(32)에 거치시켜 서로 마주보면서 하향되도록 하고, 수거통(40)을 고정틀(30)의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제1오일건(12) 및 제2오일건(22)으로부터 낙하되는 제1오일 및 제2오일을 전량 받아들여 수거토록 함으로써 청결은 물론이거니와 화재의 위험으로부터도 철저하게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거통(40)은 고정틀(30)의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용기(41)와, 용기(41)의 테두리에 걸쳐지면서 제1오일건(12) 및 제2오일건(22)으로부터 낙하되는 제1오일 및 제2오일을 용기(41)에 포집시키는 호퍼(42)를 포함하여, 제1오일건(12) 및 제2오일건(22)으로부터 낙하되는 제1오일 및 제2오일이 호퍼(42)를 통해 안전하고도 신속하게 포집되면서 용기(41)에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거통(40)은 용기(41)의 중단에 마련된 사선방향단턱(41a)과, 용기(41)의 사선방향단턱(41a)에 걸쳐지면서 최하단홀(43a)을 지닌 중간판(43)을 더 포함한다.
용기(41)에 제1오일 및 제2오일의 혼유가 채워진 상태에서 차량(L)이 운행되어 요철 또는 비포장도로를 만날 경우 혼유가 용기(41) 속에서 출렁거릴 수 있는데, 이렇게 출렁거리는 혼유에 의한 튀는 현상을 중간판(43)으로 차단하면서 다시 호퍼(42)를 통해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혼유의 안전한 보관을 통한 사고의 위험까지 없앨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일을 배송하여 급유 또는 주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일 탱크로리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L : 차량 B : 배터리
F : 바디프레임 T : 탱크
T1 : 제1격실 T2 : 제2격실
11 : 제1호스 12 : 제1오일건
13 : 제1펌프 14 : 제1밸브
15 : 제1호스릴 21 : 제2호스
22 : 제2오일건 23 : 제2펌프
24 : 제2밸브 25 : 제2호스릴
C : 컨트롤러 S : 개폐스위치
S1 : 비상차단레버 30 : 고정틀
31 : 제1파지구 32 : 제2파지구
40 : 수거통 41 : 용기
41a : 사선방향단턱 42 : 호퍼
43 : 중간판 43a : 최하단홀

Claims (7)

  1. 삭제
  2. 차량(L) 시동을 위한 배터리(B)를 지니면서 바디프레임(F)에 탑재된 탱크(T)를 포함하는 오일 탱크로리에 있어서,
    상기 탱크(T)는 제1오일 및 제2오일을 각각 수용하는 제1격실(T1) 및 제2격실(T2)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격실(T1)에 연통된 제1호스(11)를 통해 제1오일을 분출시키는 제1오일건(12) 및 상기 제2격실(T2)에 연통된 제2호스(21)를 통해 제2오일을 분출시키는 제2오일건(22)과, 상기 제1호스(11)에 개재된 제1펌프(13) 및 상기 제2호스(21)에 개재된 제2펌프(23)와, 상기 배터리(B)의 전원으로 상기 제1펌프(13) 및 제2펌프(23)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면서 주유량을 각각 표시하는 컨트롤러(C)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격실(T1) 및 제1호스(11) 사이에 개재된 제1밸브(14) 그리고 상기 제2격실(T2) 및 제2호스(21) 사이에 개재된 제2밸브(24)와, 상기 배터리(B)의 전원으로 상기 제1밸브(14) 및 제2밸브(24)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개폐스위치(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로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스위치(S)는 상기 배터리(B)의 전원으로 상기 제1밸브(14) 및 제2밸브(24)를 긴급 차단시키는 비상차단레버(S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로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F)에 장착되어 제1호스(11)를 권회시켜 상기 제1오일건(12)에 연결시키는 제1호스릴(15)과,
    상기 바디프레임(F)에 장착되어 제2호스(21)를 권회시켜 상기 제2오일건(22)에 연결시키는 제2호스릴(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로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스릴(15) 및 제2호스릴(25) 사이의 상기 바디프레임(F) 위에 마련된 고정틀(30)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오일건(12) 및 제2오일건(22)으로 하여금 서로 마주보면서 하향되도록 각각 잡아주는 제1파지구(31) 및 제2파지구(32)와,
    상기 고정틀(30)의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제1오일건(12) 및 제2오일건(22)으로부터 낙하되는 제1오일 및 제2오일을 받아들이는 수거통(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로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40)은
    상기 고정틀(30)의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용기(41)와,
    상기 용기(41)의 테두리에 걸쳐지면서 상기 제1오일건(12) 및 제2오일건(22)으로부터 낙하되는 제1오일 및 제2오일을 상기 용기(41)에 포집시키는 호퍼(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로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40)은
    상기 용기(41)의 중단에 마련된 사선방향단턱(41a)과,
    상기 용기(41)의 사선방향단턱(41a)에 걸쳐지면서 최하단홀(43a)을 지닌 중간판(4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로리.
KR1020200073404A 2020-06-17 2020-06-17 오일 탱크로리 KR102186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04A KR102186770B1 (ko) 2020-06-17 2020-06-17 오일 탱크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04A KR102186770B1 (ko) 2020-06-17 2020-06-17 오일 탱크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770B1 true KR102186770B1 (ko) 2020-12-07

Family

ID=7379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404A KR102186770B1 (ko) 2020-06-17 2020-06-17 오일 탱크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7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6852A (zh) * 2023-04-21 2023-05-30 中国航空油料有限责任公司天府机场分公司 一种飞机加油管线车的卷盘出线口保护机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9800U (ja) * 1981-10-16 1983-04-22 東急車輌製造株式会社 タンクロ−リ
JPH0642327A (ja) * 1992-07-21 1994-02-15 Mk Seiko Co Ltd オイル交換装置
JPH07206099A (ja) * 1994-01-19 1995-08-08 Tatsuno Co Ltd 燃料配送車用プリセット給油装置
JPH10291593A (ja) * 1997-04-18 1998-11-04 Tokico Ltd 給油装置
KR200240468Y1 (ko) * 2001-04-27 2001-10-12 이승희 홈 로리의 호스 릴 일체형 구조의 주유기
JP2004034755A (ja) * 2002-07-01 2004-02-05 Mk Seiko Co Ltd 潤滑油配送車
KR100806622B1 (ko) 2007-03-19 2008-02-25 신흥정공 주식회사 탱크로리의 pto 콘트롤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9800U (ja) * 1981-10-16 1983-04-22 東急車輌製造株式会社 タンクロ−リ
JPH0642327A (ja) * 1992-07-21 1994-02-15 Mk Seiko Co Ltd オイル交換装置
JPH07206099A (ja) * 1994-01-19 1995-08-08 Tatsuno Co Ltd 燃料配送車用プリセット給油装置
JPH10291593A (ja) * 1997-04-18 1998-11-04 Tokico Ltd 給油装置
KR200240468Y1 (ko) * 2001-04-27 2001-10-12 이승희 홈 로리의 호스 릴 일체형 구조의 주유기
JP2004034755A (ja) * 2002-07-01 2004-02-05 Mk Seiko Co Ltd 潤滑油配送車
KR100806622B1 (ko) 2007-03-19 2008-02-25 신흥정공 주식회사 탱크로리의 pto 콘트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6852A (zh) * 2023-04-21 2023-05-30 中国航空油料有限责任公司天府机场分公司 一种飞机加油管线车的卷盘出线口保护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0031A (en) Alternative fuel system for powered industrial vehicle
CA2872200C (en) Fuel system for a vehicle
US7216681B2 (en) Gravity feed ball-in-seat valve with extension unit for dosing fuel additives
DE102010005735B4 (de) System und Verfahren zum Lagern und Fördern eines Kraftstoffzusatzstoffs an Bord eines Plugin-Hybridelektrofahrzeugs
US4320788A (en) Apparatus for the bulk delivery of volatile liquids
US10738944B2 (en) System for draining and refilling cryogenic fuel in a vehicle tank
KR102186770B1 (ko) 오일 탱크로리
US10280067B2 (en) Multiple non-manifolded fuel tanks on a trailer
US6016834A (en) Propane vehicle tank and shut-off valve
EP3224076B1 (en) A fuel storage system
US5295521A (en) Self-contained fuel filler system
WO2016200287A1 (ru) Автотопливозаправщик массовой выдачи
JP4060772B2 (ja) 混液防止方法
CN108368972A (zh) 气箱设备
DE102013019555A1 (de) Speichereinrichtung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eines Kraftwagens
US6102065A (en) Liquid propane delivery system
US20200002155A1 (en) Anti-leak arrangement applicable to gas supply nozzles
CN202557383U (zh) 航空煤油转注车
DE102016004122A1 (de) Betankung eines Fahrzeugs mit Wasserstoff
KR100806622B1 (ko) 탱크로리의 pto 콘트롤장치
KR100314423B1 (ko) 항공기급유차의다중제어시스템
DE102010043815A1 (de) Brennstoffersatztank mit einer Steuereinheit für gasbetriebene Fahrzeuge
EP0597768A1 (fr) Système de sécurité pour véhicule routier fonctionnant au combustible gazeux
DE3201660A1 (de) Mobiler fluessiggasversorger
KR100350731B1 (ko) 엘피지 차량용 가스탱크의 정비장치 및 정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