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850B1 -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850B1
KR102184850B1 KR1020190146764A KR20190146764A KR102184850B1 KR 102184850 B1 KR102184850 B1 KR 102184850B1 KR 1020190146764 A KR1020190146764 A KR 1020190146764A KR 20190146764 A KR20190146764 A KR 20190146764A KR 102184850 B1 KR102184850 B1 KR 102184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germinated
germinated brown
germination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한수
Original Assignee
청원생명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원생명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filed Critical 청원생명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Priority to KR102019014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은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은, 현미를 세척, 발아, 증숙, 건조, 숙성하는 과정을 차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현미 세척장치와, 현미 발아장치와, 발아현미 증숙장치와, 발아현미 건조장치와,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를 포함하며, 처리를 위한 현미가 현미 세척장치와 현미 발아장치와 발아현미 증숙장치와 발아현미 건조장치와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를 차례대로 연속되게 거치면서 처리되므로, 발아현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을 위한 가공처리 과정에서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Brown rice 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미를 세척, 발아, 증숙 및 건조를 차례로 진행하여 발아현미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성이 서구화되면서 쌀 대신 밀가루 음식이나 인스턴트 식품을 선호함에 따라 쌀에 함유된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 섭취도 부족하여 당뇨병 등과 같은 각종 성인병 환자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쌀에 함유된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기 위하여 현미밥이 권장되고 있다.
한편, 벼를 먹기 좋고 보기에 좋게 하기 위하여 왕겨와 쌀겨층을 벗겨내는 도정과정에서 왕겨만 벗겨낸 것을 1분도의 현미라고 한다. 이러한 현미에 적절한 수분과 온도, 산소를 공급하게 되면 현미가 싹을 틔우게 되는데, 이렇게 싹을 틔운 현미를 발아현미라고 한다.
발아현미는 쌀의 영양 혁명이라 불릴 정도로 여러 가지 영양 성분을 듬뿍 함유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발아 과정 중에 쌀눈이 자라나기 위해 현미의 영양을 흡수하려면 삭혀야 하기 때문에 강력한 발효 효소를 만들어낸다. 이 과정에서 소화 효소가 200∼300배 증가해 겨 층을 삭힘으로 부드러워져 먹기에도 부담이 없고, 소화가 잘 되며, 밥맛도 좋아진다.
또한 발아현미에는 흰쌀보다 식이섬유가 3배, 칼슘이 5배, 비타민이 5배 더 들어 있으며 식물성 지방은 2.5배가 넘게 함유되어 있다. 특히 이 중에서 발아 현미 100g에 들어 있는 비타민 B1은 쇠고기 두 근, 김50장에 들어 있는 양과 비슷하다. 흰쌀보다 무려 10배, 현미보다는 3∼5배나 많은 '가바'(GABA : 피페리딘산이라고 함,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뇌에 산소 공급량을 증가시켜 뇌세포 대사 기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여 고혈압을 예방하고 신경계를 안정시켜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 정신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함)성분이 들어 있다.
또한 발아현미에 풍부한 식이섬유는 우리 몸에 축적된 중금속을 배출시키고 과도한 영양소를 배설시키는 작용을 하여 비만을 막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정상으로 유지시켜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현미를 발아하기 위한 기술과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통상의 현미 발아 장치는, 현미를 발아시키면서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며, 현미의 발아하는 과정에서 부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8388호(등록일:2019.09.03)에는 "발아현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 제조방법"가 개시되고, 등록특허 제10-0664700호(등록일:2006.12.27)에는 "발아현미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현미를 세척, 발아, 증숙 및 건조하는 공정을 차례로 진행하여 발아현미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아현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부패 등과 같은 불량을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는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은, 현미 공급호퍼로부터 현미가 투입되고, 내부로 세척수를 급수하여 상기 현미를 세척하여 세척현미 저장호퍼로 저장하는 현미 세척장치와, 이송펌프를 통해 상기 세척현미 저장호퍼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펌프의 구동을 통해 세척현미가 투입되어 저장되며, 내부로 25℃ ~ 30℃의 온수가 유입되어 상기 세척현미를 특정시간 동안 숙성하여 발아하는 발아탱크와, 상기 발아탱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아탱크에서 발아되는 발아탱크가 투입되어 발아현미를 세척하는 발아현미 세척조를 포함하는 현미 발아장치와, 상기 발아현미 세척조에서 배출하는 상기 발아현미를 이송하면서 탈수하는 탈수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투입되는 상기 발아현미를 스팀과 열풍을 통해 증숙하는 현미 증숙부를 포함하는 발아현미 증숙장치와, 상기 발아현미 증숙장치에서 배출되는 증숙 발아현미를 확산시켜 이송하는 확산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확산이송 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투입되는 상기 증숙 발아현미를 이송하면서 건조하도록 건조이송 컨베이어가 상하 복수층으로 배치되며, 열풍을 이용하여 이송되는 상기 증숙 발아현미를 건조하는 건조 하우징을 포함하는 발아현미 건조장치와, 상기 발아현미 건조장치에서 배출되는 건조 발아현미를 이송하는 배출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이송 컨베이어에서 투입되는 상기 건조 발아현미 중 뭉쳐있는 상기 건조 발아현미를 낱알로 분리하는 낱알분리 호퍼와, 상기 낱알분리 호퍼에서 이송되는 상기 건조 발아현미를 저장하는 후처리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현미 세척장치는, 현미이송라인에 의해 상기 현미 공급호퍼와 연결되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진공압이 형성되어 상기 현미이송라인을 통해 상기 현미 공급호퍼의 현미를 이송하여 저장하고, 하측에 개폐도어의 개폐를 통해 내부에 저장되는 현미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진공이송 저장탱크부와, 상단부에 상기 진공이송 저장탱크부가 결합되어 상기 진공이송 저장탱크부에서 배출되는 현미가 유입되는 현미 가이드호퍼를 구비하며, 상기 현미 가이드호퍼를 통해 유입되는 현미를 세척 날개부의 회전을 통해 세척하고, 일측에 구비되는 세척현미 배출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세척현미 저장호퍼로 배출하는 현미 세척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현미 발아장치는, 상기 발아탱크가 복수개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발아탱크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온수를 저장하며 상기 발아탱크와 연결되는 온수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발아현미 세척조는, 상기 발아탱크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발아탱크에서 배출되는 상가 발아현미가 유입 가능하도록 상가 발아탱크의 하부를 커버하는 확장 가이드호퍼가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현미 증숙부는, 상기 탈수이송 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투하되는 상기 발아현미를 가이드하는 투입가이드부재가 일측에 구비되고, 증숙이 완료된 상기 증숙 발아현미가 배출되는 배출가이드부재가 타측에 구비되는 지지 하우징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하우징의 내부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발아현미가 점진적으로 이송되면 증숙되도록 상기 지지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와, 상기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로 스팀과 열풍을 공급하도록 상기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와 연결되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는, 상기 투입가이드부재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일단부가 중심축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내부로 경사진 이탈방지 경사부가 구비되어 투입 개구부를 형성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발아현미의 이탈을 방지하고, 타측에 완전하게 개방되어 배출 개구부가 형성되며, 양측 외면에 상기 지지 하우징의 베어링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회전 가이드 플랜지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아현미 건조장치는, 상기 확산이송 컨베이어에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확산이송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상기 건조 발아현미를 확산시키는 확산 스크루부재와, 상기 건조이송 컨베이어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건조이송 컨베이어의 배출단부에 구비되며, 이송되는 상기 건조 발아현미를 모아서 상기 배출이송 컨베이어로 배출하도록 상기 건조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점진적으로 근접되는 한 쌍의 집중배출 가이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확산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배출가이드부재에서 배출되는 상기 건조 발아현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측에 이탈방지 스크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확산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탈방지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현미를 세척, 발아, 증숙 및 건조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하여 발아현미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아현미를 신속하게 증숙하고 건조하므로, 생산하는 과정에서 현미가 부패하는 것과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 세척장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 세척장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 발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 발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 증숙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 증숙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아현미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아현미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중배출 가이드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 세척장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 세척장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 발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 발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 증숙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 증숙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아현미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아현미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중배출 가이드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은, 현미를 세척, 발아, 증숙, 건조, 숙성하는 과정을 차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현미 세척장치(100)와, 현미 발아장치(200)와, 발아현미 증숙장치(300)와, 발아현미 건조장치(400)와,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위한 현미가 현미 세척장치(100)와, 현미 발아장치(200)와, 발아현미 증숙장치(300)와, 발아현미 건조장치(400)와,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500)를 차례대로 연속되게 거치면서 처리되므로, 발아현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을 위한 가공처리 과정에서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현미 세척장치(100)는 정미공정을 마친 현미가 저장되는 현미 공급호퍼(110)와, 현미를 이송하기 위한 진공이송 저장탱크부(120)와, 현미의 세척을 위한 현미 세척조(130)와, 세척된 세척현미를 저장하기 위한 세척현미 저장호퍼(140)를 구비한다.
이때 현미 세척장치(100)는 현미 세척조(130)의 상측에 진공이송 저장탱크부(120)가 결합되고, 현미 세척조(130)의 일측에 세척현미 저장호퍼(140)가 구비되며, 현미 공급호퍼(110)가 진공이송 저장탱크부(120)와 이격되게 구비된다.
현미 공급호퍼(110)는 상면에 개폐도어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내부로 현미가 투입되며, 하단부에 현미의 배출을 위한 현미 배출관(111)이 구비되고, 현미 배출관(111)이 현미이송라인(113)을 통해 진공이송 저장탱크부(120)와 연결된다. 현미 배출관(111)에는 개폐를 위한 밸브가 구비된다.
진공이송 저장탱크부(120)는 현미이송라인(113)에 의해 현미 공급호퍼(110)와 연결된다. 이러한 진공이송 저장탱크부(120)는 밀폐된 상태에서 진공흡입수단(도시생략)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현미 배출관(111)이 개방되면 기압차에 의해 현미 공급호퍼(110)의 현미가 현미이송라인(113)을 통해 이송되어 내부로 투입되어 저장된다. 이때 진공이송 저장탱크부(120)는 진공흡입수단이 작동하는 동안 현미가 이송되어 저장된다.
또한 진공이송 저장탱크부(120)는 내부에 저장되는 현미를 현미 세척조로 투하할 수 있도록 하부에 현미의 배출을 위한 개폐도어(121)가 구비되고, 개폐도어(121)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면서 현미를 배출하게 된다. 개폐도어(121)는 현미의 이송이 완료되어야만 개방된다.
현미 세척조(130)는, 내부에 현미의 세척을 위한 물이 급수되어 저장되고, 상단부에 진공이송 저장탱크부(120)에서 배출되는 현미를 세척수로 투입하기 위한 현미 가이드호퍼(131)가 구비된다. 이때, 현미 가이드호퍼(131)의 상단부에 진공이송 저장탱크부(120)가 결합된다.
이러한 현미 세척조(130)는 현미 가이드호퍼(13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현미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 날개부(13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세척된 세척현미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세척현미 배출밸브(135)가 구비된다. 세척현미 배출밸브(135)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그 하부에 세척현미 저장호퍼(140)가 위치하게 된다.
세척현미 저장호퍼(140)는 세척현미 배출밸브(135)에서 배출되는 세척현미가 투입되어 저장되며, 내부에 저장된 세척현미가 현미 발아장치(200)로 이송된다.
현미 발아장치(200)는 세척현미 저장호퍼(140)에서 이송되어 저장되는 세척현미를 온수에 함침시켜 특정시간 예를 들어 24간 동안 숙성하여 발아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현미 발아장치(200)는 이송펌프(210)를 통해 세척현미 저장호퍼(140)와 연결되는 발아탱크(220)와, 발아탱크(220)에서 배출되는 발아현미를 세척하기 위한 발아현미 세척조(230)와, 발아탱크(220)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240)과, 온수 공급을 위한 온수탱크(250)를 포함한다.
이러한 현미 발아장치(200)는 이송펌프(210)의 구동을 통해 세척현미가 발아탱크(220)에 투입되어 저장되면, 온수탱크(250)로부터 25℃ ~ 30℃의 온수를 발아탱크(220)로 공급하여, 발아탱크(220)의 세척현미를 온수를 이용하여 적어도 24시간 이상 숙성하여 세척현미를 발아시키게 된다. 이후, 발아탱크(220)에서 배출되는 발아현미는 발아현미 세척조(230)에서 세척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다.
발아탱크(220)는 이송펌프(210)에 의해 이송되는 세척현미가 상측으로 유입되고, 발아현미를 발아현미 세척조(230)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개폐밸브가 구비된다. 이때 발아탱크(220)는 특정 주기로 발아현미를 생산할 수 있도록 프레임(240)에 4개가 각각 설치된다.
프레임(240)은 발아탱크(220)가 지면에서 이격되게 결합되며, 발아탱크(220)의 하부로 발아현미 세척조(230)가 위치하게 된다.
온수탱크(250)에는 현미 발아를 위한 온수가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발아탱크(220)로 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발아현미 세척조(230)는, 발아탱크(2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발아탱크(220)에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발아현미가 모두 유입 가능하도록 발아탱크(220)의 개폐밸브의 하부를 커버도록 확장 가이드호퍼(231)가 상단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발아현미 세척조(230)는 내부에 투입되는 발아현미를 세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세척수가 유입되며, 스크류 또는 회전날개의 회전을 통해 내부의 발아현미를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240)의 일측에는 발아현미 세척조(230)에서 배출되는 세척 발아현미를 탈수 및 증숙하기 위한 발아현미 증숙장치(300)가 구비된다.
발아현미 증숙장치(300)는 발아현미 세척조(230)에서 배출하는 세척 발아현미를 이송하면서 탈수하는 탈수이송 컨베이어(310)와, 탈수이송 컨베이어(310)에서 이송되어 투입되는 세척 발아현미를 스팀과 열풍을 통해 증숙하는 현미 증숙부(320)를 포함한다.
탈수이송 컨베이어(310)는 세척 발아현미가 이송되면서 자연 탈수 가능하도록 컨베이어벨트에 탈수를 위한 미세 타공이 형성되고, 세척 발아현미를 이송하여 현미 증숙부(320)로 투입하게 된다.
현미 증숙부(320)는, 탈수이송 컨베이어(310)에서 이송되어 투입되는 세척 발아현미를 투입 및 배출하기 위한 지지 하우징(321)과, 지지 하우징(3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증숙을 위한 세척 발아현미를 이송하면서 증숙시키는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와,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로 스팀과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325)를 포함한다.
지지 하우징(321)은 탈수이송 컨베이어(310)에서 투하되는 세척 발아현미를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로 가이드하기 위한 투입가이드부재(321a)가 일측에 구비되고,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에서 증숙되어 배출되는 증숙 발아현미를 발아현미 건조장치(40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가이드부재(321b)가 타측에 구비된다. 또한 지지 하우징(321)의 내부에는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가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베어링부재를 구비하며,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와 체인 구동 또는 벨트 구동방식으로 연결되어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재가 구비된다.
이때 투입가이드부재(321a)는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그 끝단이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의 내부로 삽입되게 지지 하우징(321)에 결합된다. 배출가이드부재(321b)는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의 하측 외면을 커버하도록 지지 하우징(321)에 결합된다.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는 양측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지지 하우징(321)의 내부에서 경사지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는 투입가이드부재(321a)에서 배출가이드부재(321b)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지지 하우징(321)의 베어링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며, 회전을 통해 내부로 투입되는 세척 발아현미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진적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는 그 내부로 스팀 및 열풍의 공급을 위한 스팀 공급관 및 열풍 공급관이 배치되며,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스팀과 열풍이 스팀 공급관 및 열풍 공급관을 통해 내부로 공급된다. 이를 통해 발아현미의 증숙이 이루어진다.
또한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는 투입가이드부재(321a)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일단부가 중심축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내부로 경사진 이탈방지 경사부(323a)가 형성되어 투입 개구부를 이루게 되고, 타측이 완전하게 개방되어 배출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탈방지 경사부(323a)는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로 투입되는 세척 발아현미가 투입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하여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는 지지 하우징(321)의 베어링부재에 안정되게 안착되어 회전됨과 동시에 축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양단부 외면에 회전 가이드 플랜지(323b)가 돌출 형성된다. 회전 가이드 플랜지(323b)는 지지 하우징(321)의 베어링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어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의 회전을 안정되게 가이드하게 된다.
보일러(325)는 지지 하우징(321)의 일측에 구비되며, 스팀과 열풍을 발생하여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에서 천천히 이송되면서 스팀과 열풍에 의해 증숙되는 증숙 발아현미는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323)의 타측 배출개구부를 통해 발아현미 건조장치(400)로 배출된다.
발아현미 건조장치(400)는 현미 증숙부(320)에서 배출되는 증숙 발아현미를 낱알로 분리하여 완전하게 건조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발아현미 건조장치(400)는 증숙 발아현미를 낱알로 확산시켜 이송하는 확산이송 컨베이어(410)와, 증숙 발아현미의 건조를 위한 건조 하우징(420)과, 확산이송 컨베이어(410)에 구비되어 증숙 발아현미를 낱알로 확산시키는 확산 스크루부재(430)와, 건조 하우징(4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증숙 발아현미를 이송하면서 건조하는 건조이송 컨베이어(440)와, 건조이송 컨베이어(440)에서 배출되는 낱알의 건조 발아현미를 모아서 배출시키기 위한 집중배출 가이드 블레이드(450)를 포함한다.
확산이송 컨베이어(410)는 증숙 발아현미의 확산을 위하여 다른 컨베이어의 넓이보다 2배 이상 넓게 형성되며, 하단부에 확산 스크루부재(430)가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된다.
또한 확산이송 컨베이어(410)는 현미 증숙부(320)의 배출가이드부재(321b)에서 배출되는 증숙 발아현미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측에 이탈방지 스크린부재(411)가 구비되고, 증숙 발아현미의 이송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탈방지판(413)이 결합된다.
확산 스크루부재(430)는 확산이송 컨베이어(4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확산이송 컨베이어(410)에서 이송되는 증숙 발아현미를 넓게 확산시키게 된다.
건조 하우징(420)은 건조이송 컨베이어(440)를 커버하며, 외부로부터 증숙 발아현미의 건조를 위한 건조공기가 유입된다.
건조이송 컨베이어(440)는 확산이송 컨베이어(410)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건조 하우징(420)의 내부에 적어도 5개 이상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측의 건조이송 컨베이어(440)에서 이송되어 투하되는 건조 발아현미가 하측의 건조이송 컨베이어(440)로 투하되어 이송되면서 건조되고 더 하측의 건조이송 컨베이어로 투하하게 된다.
그리고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건조이송 컨베이어(440)에서 배출되는 건조 발아현미는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500)로 이송된다. 이때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건조이송 컨베이어(440)에는 낱알로 흩어져 이송되는 건조 발아현미가 모아져서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500)로 배출되도록 집중배출 가이드 블레이드(450)가 설치된다.
집중배출 가이드 블레이드(450)는 쌍을 이루도록 건조이송 컨베이어(440)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건조이송 컨베이어(440)의 배출단부에 구비되며, 이송되는 건조 발아현미를 모아져서 배출되도록 건조이송 컨베이어(440)의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점진적으로 근접되게 설치된다. 즉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치된다.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500)는 발아현미 건조장치(400)에서 배출되는 건조 발아현미를 이송하는 배출이송 컨베이어(510)와, 배출이송 컨베이어(510)에서 투입되는 건조 발아현미 중 뭉쳐있는 건조 발아현미를 낱알로 분리하는 낱알분리 호퍼(520)와, 낱알분리 호퍼(520)에서 이송되는 건조 발아현미를 저장하는 후처리 저장탱크(5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500)는 낱알분리 호퍼(520)의 건조 발아현미가 진공이송장치를 통해 후처리 저장탱크(530)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후처리 저장탱크(530)의 건조 발아현미는 필요에 따라 후처리 공정인 포장 고정으로 이송되어 포장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현미 세척장치 110 : 현미 공급호퍼
111 : 현미 배출관 113 : 현미이송라인
120 : 진공이송 저장탱크부 121 : 개폐도어
130 : 현미 세척조 131 : 현미 가이드호퍼
133 : 세척 날개부 135 : 세척현미 배출밸브
140 : 세척현미 저장호퍼 200 : 현미 발아장치
210 : 이송펌프 220 : 발아탱크
230 : 발아현미 세척조 231 : 확장 가이드호퍼
240 : 프레임 250 : 온수탱크
300 : 발아현미 증숙장치 310 : 탈수이송 컨베이어
320 : 현미 증숙부 321 : 지지 하우징
323 :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 325 : 보일러
400 : 발아현미 건조장치 410 : 확산이송 컨베이어
411 : 이탈방지 스크린부재 413 : 이탈방지판
420 : 건조 하우징 430 : 확산 스크루부재
440 : 건조이송 컨베이어 450 : 집중배출 가이드 블레이드
500 :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 510 : 배출이송 컨베이어
520 : 낱알분리 호퍼 530 : 후처리 저장탱크

Claims (5)

  1. 현미 공급호퍼로부터 현미가 투입되고, 내부로 세척수를 급수하여 상기 현미를 세척하여 세척현미 저장호퍼로 저장하는 현미 세척장치;
    이송펌프를 통해 상기 세척현미 저장호퍼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펌프의 구동을 통해 세척현미가 투입되어 저장되며, 내부로 25℃ ~ 30℃의 온수가 유입되어 상기 세척현미를 특정시간 동안 숙성하여 발아하는 발아탱크와, 상기 발아탱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아탱크에서 발아되는 발아탱크가 투입되어 발아현미를 세척하는 발아현미 세척조를 포함하는 현미 발아장치;
    상기 발아현미 세척조에서 배출하는 상기 발아현미를 이송하면서 탈수하는 탈수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탈수이송 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투입되는 상기 발아현미를 스팀과 열풍을 통해 증숙하는 현미 증숙부를 포함하는 발아현미 증숙장치;
    상기 발아현미 증숙장치에서 배출되는 증숙 발아현미를 확산시켜 이송하는 확산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확산이송 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투입되는 상기 증숙 발아현미를 이송하면서 건조하도록 건조이송 컨베이어가 상하 복수층으로 배치되며, 열풍을 이용하여 이송되는 상기 증숙 발아현미를 건조하는 건조 하우징을 포함하는 발아현미 건조장치; 및
    상기 발아현미 건조장치에서 배출되는 건조 발아현미를 이송하는 배출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이송 컨베이어에서 투입되는 상기 건조 발아현미 중 뭉쳐있는 상기 건조 발아현미를 낱알로 분리하는 낱알분리 호퍼와, 상기 낱알분리 호퍼에서 이송되는 상기 건조 발아현미를 저장하는 후처리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건조발아현미 저장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 세척장치는, 현미이송라인에 의해 상기 현미 공급호퍼와 연결되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진공압이 형성되어 상기 현미이송라인을 통해 상기 현미 공급호퍼의 현미를 이송하여 저장하고, 하측에 개폐도어의 개폐를 통해 내부에 저장되는 현미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진공이송 저장탱크부; 및
    상단부에 상기 진공이송 저장탱크부가 결합되어 상기 진공이송 저장탱크부에서 배출되는 현미가 유입되는 현미 가이드호퍼를 구비하며, 상기 현미 가이드호퍼를 통해 유입되는 현미를 세척 날개부의 회전을 통해 세척하고, 일측에 구비되는 세척현미 배출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세척현미 저장호퍼로 배출하는 현미 세척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 발아장치는, 상기 발아탱크가 복수개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발아탱크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온수를 저장하며 상기 발아탱크와 연결되는 온수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아현미 세척조는, 상기 발아탱크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발아탱크에서 배출되는 상가 발아현미가 유입 가능하도록 상가 발아탱크의 하부를 커버하는 확장 가이드호퍼가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 증숙부는, 상기 탈수이송 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투하되는 상기 발아현미를 가이드하는 투입가이드부재가 일측에 구비되고, 증숙이 완료된 상기 증숙 발아현미가 배출되는 배출가이드부재가 타측에 구비되는 지지 하우징;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하우징의 내부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발아현미가 점진적으로 이송되면 증숙되도록 상기 지지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 및
    상기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로 스팀과 열풍을 공급하도록 상기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와 연결되는 보일러;를 포함하며,
    상기 현미증숙 이송드럼부재는, 상기 투입가이드부재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일단부가 중심축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내부로 경사진 이탈방지 경사부가 구비되어 투입 개구부를 형성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발아현미의 이탈을 방지하고, 타측에 완전하게 개방되어 배출 개구부가 형성되며, 양측 외면에 상기 지지 하우징의 베어링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회전 가이드 플랜지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현미 건조장치는, 상기 확산이송 컨베이어에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확산이송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상기 건조 발아현미를 확산시키는 확산 스크루부재; 및
    상기 건조이송 컨베이어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건조이송 컨베이어의 배출단부에 구비되며, 이송되는 상기 건조 발아현미를 모아서 상기 배출이송 컨베이어로 배출하도록 상기 건조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점진적으로 근접되는 한 쌍의 집중배출 가이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확산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배출가이드부재에서 배출되는 상기 건조 발아현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측에 이탈방지 스크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확산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탈방지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
KR1020190146764A 2019-11-15 2019-11-15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 KR102184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764A KR102184850B1 (ko) 2019-11-15 2019-11-15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764A KR102184850B1 (ko) 2019-11-15 2019-11-15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850B1 true KR102184850B1 (ko) 2020-12-01

Family

ID=7379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764A KR102184850B1 (ko) 2019-11-15 2019-11-15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8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735B1 (ko) 2021-05-13 2022-02-08 국신국 건조벼 수분교반장치
KR20220111870A (ko) * 2021-02-03 2022-08-10 농업회사법인 (주) 오상물산 자동으로 현미를 발아시키고 후처리가 가능한 발아현미 제조장치
WO2022235083A1 (ko) * 2021-05-06 2022-11-10 김소연 식물공장용 식물자동수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331A (ja) * 2001-09-10 2003-03-18 Natural Life:Kk 乾燥発芽玄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加工食品
KR100478766B1 (ko) * 2000-06-09 2005-03-24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발아 현미
KR100664700B1 (ko) * 2005-08-10 2007-01-03 정연식 발아현미 제조장치
KR100764943B1 (ko) * 2006-06-16 2007-10-08 김영성 연속식 압력 증자기
KR101862636B1 (ko) * 2018-02-20 2018-05-31 양형모 곡물발아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곡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766B1 (ko) * 2000-06-09 2005-03-24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발아 현미
JP2003079331A (ja) * 2001-09-10 2003-03-18 Natural Life:Kk 乾燥発芽玄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加工食品
KR100664700B1 (ko) * 2005-08-10 2007-01-03 정연식 발아현미 제조장치
KR100764943B1 (ko) * 2006-06-16 2007-10-08 김영성 연속식 압력 증자기
KR101862636B1 (ko) * 2018-02-20 2018-05-31 양형모 곡물발아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곡물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870A (ko) * 2021-02-03 2022-08-10 농업회사법인 (주) 오상물산 자동으로 현미를 발아시키고 후처리가 가능한 발아현미 제조장치
KR102614280B1 (ko) * 2021-02-03 2023-12-15 농업회사법인 (주) 오상물산 자동으로 현미를 발아시키고 후처리가 가능한 발아현미 제조장치
WO2022235083A1 (ko) * 2021-05-06 2022-11-10 김소연 식물공장용 식물자동수확장치
KR102357735B1 (ko) 2021-05-13 2022-02-08 국신국 건조벼 수분교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850B1 (ko) 발아현미 파보일드 라이스 생산 시스템
Luh et al. Parboiled rice
KR101027128B1 (ko) 시래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US20120244266A1 (en) Method of processing and mass-producing green whole grains
EP07226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processing of rice
KR101792740B1 (ko) 고구마 말랭이 제조방법
CN207487327U (zh) 一种陈皮烘干机
US20080220145A1 (en) Method of producing parboiled rice and parboiled rice produced by the method
DK166117B (da) Apparat til at fremstille sojaboenneflager
JP2008220221A (ja) パーボイル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パーボイル米
KR101328450B1 (ko) 현미의 제조장치
CN106387037A (zh) 带抛光的打蜡烘干一体机
KR100788496B1 (ko) 현미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893742B1 (ko) 곡물 가공용 증자기
KR101328452B1 (ko) 곡물의 세척 겸 습윤장치
KR101792739B1 (ko) 고구마 말랭이 제조장치
KR102160110B1 (ko) 곡물 증숙장치
KR20220095385A (ko) 마늘 박피 시스템
CN107361148A (zh) 一种熟浆热磨的豆奶加工工艺
CN103599820B (zh) 一种苦荞麦整籽粒生脱壳装置
CN110973535A (zh) 一种番薯干的加工设备及加工方法
KR100546033B1 (ko) 현미 연속살균과 백미 혼합 장치 및 방법
KR20170090010A (ko) 취반이 용이한 보리가공방법
CN111296797A (zh) 一种半红枣制备黑枣的方法及设备
KR101212187B1 (ko) 곡물 증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