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843B1 -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843B1
KR102184843B1 KR1020190114858A KR20190114858A KR102184843B1 KR 102184843 B1 KR102184843 B1 KR 102184843B1 KR 1020190114858 A KR1020190114858 A KR 1020190114858A KR 20190114858 A KR20190114858 A KR 20190114858A KR 102184843 B1 KR102184843 B1 KR 102184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unit
oil
switch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석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16H61/431Pump capacity control by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e.g. using solenoi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16H61/0025Supply of control fluid; Pumps theref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16H2061/0037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characterised by controlled fluid supply to lubrication circuits of the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24Adapting to failures or work around with other constraints, e.g. circumvention by avoiding use of fail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펌프부와, 오일펌프부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라인압을 형성하는 라인압조절부와, 라인압조절부를 통과하는 오일을 이용하여 윤활압을 형성하는 윤활압조절부와, 윤활압조절부를 통과하는 오일을 이용하여 리듀싱압을 형성하는 리듀싱압조절부와, 오일펌프부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댐퍼제어압을 형성하는 댐퍼압조절부와,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면서 윤활압 또는 리듀싱압을 토크컨버터로 공급하는 스위치부와, 토크컨버터를 통과한 윤활압 또는 리듀싱압을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여, 차량 주행 조건에 따라 적정 윤활유가 공급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DEVICE FOR CONTROLLING HYDRAULIC OF AUTO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조건에 따라 적정 윤활유가 공급되어 펌프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는 차량의 주행속도와 스로틀밸브의 개도율 및 제반 검출조건에 따라 변속제어장치가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여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목표 변속단의 변속기어가 동작되어 자동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운전자가 셀렉트 레버를 원하는 변속단으로 레인지 변환하면, 유압 제어 시스템에서 매뉴얼 밸브의 포트 변환이 이루어지면서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복수의 솔레노이드밸브의 듀티 제어에 따라 변속기어 메커니즘의 여러 작동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변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종래에는 주행 조건에 따라 윤활유량 조절이 불가능하고, 차량이 저속이거나 고속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윤활유압이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55148호(2013.05.28. 공개, 발명의 명칭 :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주행 조건에 따라 적정 윤활유가 공급되어 펌프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는: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펌프부; 상기 오일펌프부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라인압을 형성하는 라인압조절부; 상기 라인압조절부를 통과하는 오일을 이용하여 윤활압을 형성하는 윤활압조절부; 상기 윤활압조절부를 통과하는 오일을 이용하여 리듀싱압을 형성하는 리듀싱압조절부; 상기 오일펌프부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댐퍼제어압을 형성하는 댐퍼압조절부; 상기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윤활압 또는 상기 리듀싱압을 토크컨버터로 공급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토크컨버터를 통과한 상기 윤활압 또는 상기 리듀싱압을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라인압조절부는 상기 오일펌프부에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하는 라인압유로부; 및 상기 라인압유로부를 개폐하는 라인압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윤활압조절부는 상기 라인압밸브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연결하여 오일을 안내하는 윤활압유로부; 및 상기 윤활압유로부를 개폐하는 윤활압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듀싱압조절부는 상기 윤활압유로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연결하여 오일을 안내하는 리듀싱압유로부; 및 상기 리듀싱압유로부를 개폐하는 리듀싱압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압조절부는 상기 라인압유로부와 상기 스위치부 및 상기 토크컨버터를 연결하여 오일을 안내하는 댐퍼압유로부; 및 상기 댐퍼압유로부를 개폐하는 댐퍼압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가 오프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토크컨버터의 입구부와 상기 윤활압유로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토크컨버터의 출구부와 상기 회수부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가 온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토크컨버터의 입구부와 상기 리듀싱압유로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토크컨버터의 출구부와 상기 회수부를 연결시키며, 상기 윤활압유로부와 상기 회수부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장치는 댐퍼클러치의 온 또는 오프 상태에 따라 스위치부가 절환되어 공급되는 오일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에서 댐퍼클러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에서 댐퍼클러치가 온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에서 댐퍼클러치 제어시 토크컨버터의 입구부와 출구부의 압력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에서 댐퍼클러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에서 댐퍼클러치가 온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1)는 오일펌프부(10)와, 라인압조절부(20)와, 윤활압조절부(30)와, 리듀싱압조절부(40)와, 댐퍼압조절부(50)와, 스위치부(60)와, 회수부(70)를 포함한다.
오일펌프부(10)는 오일을 공급한다. 일예로, 오일펌프부(10)는 차체에 장착되고, 저장된 오일을 펌핑하여 목적지로 이송시킬 수 있다. 라인압조절부(20)는 오일펌프부(10)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라인압을 형성한다. 윤활압조절부(30)는 라인압조절부(20)를 통과하는 오일을 이용하여 윤활압을 형성한다. 리듀싱압조절부(40)는 윤활압조절부(30)를 통과하는 오일을 이용하여 리듀싱압을 형성한다. 댐퍼압조절부(50)는 오일펌프부(10)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댐퍼제어압을 형성한다. 이때, 댐퍼제어압은 토크컨버터(100)의 댐퍼클러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부(60)는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면서 윤활압 또는 리듀싱압을 토크컨버터(100)로 공급한다. 회수부(70)는 토크컨버터(100)를 통과한 윤활압 또는 리듀싱압을 회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압조절부(20)는 라인압유로부(21)와 라인압밸브부(22)를 포함한다. 라인압유로부(21)는 오일펌프부(10)에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하고, 라인압밸브부(22)는 라인압유로부(21)를 개폐한다. 일예로, 라인압유로부(21)의 일단부는 오일펌프부(10)에 연결되고, 라인압유로부(21)의 타단부는 라인압밸브부(2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활압조절부(30)는 윤활압유로부(31)와 윤활압밸브부(32)를 포함한다. 윤활압유로부(31)는 라인압밸브부(22)와 스위치부(60)를 연결하여 오일을 안내하고, 윤활압밸브부(32)는 윤활압유로부(31)를 개폐한다. 일예로, 윤활압유로부(31)는 라인압밸브부(22)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윤활압밸브부(32)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1윤활유로부(311)와, 제1윤활유로부(311)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스위치부(60)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윤활유로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듀싱압조절부(40)는 리듀싱압유로부(41)와 리듀싱압밸브부(42)를 포함한다. 리듀싱압유로부(41)는 윤활압유로부(31)와 스위치부(60)를 연결하여 오일을 안내하고, 리듀싱압밸브부(42)는 리듀싱압유로부(41)를 개폐한다. 일예로, 리듀싱압유로부(41)는 제2윤활유로부(312)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리듀싱압밸브부(42)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1리듀싱유로부(411)와, 리듀싱밸브부(42)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스위치부(60)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리듀싱유로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압조절부(50)는 댐퍼압유로부(51)와 댐퍼압밸브부(52)를 포함한다. 댐퍼압유로부(51)는 라인압유로부(21)와 스위치부(60) 및 토크컨버터(100)를 연결하여 오일을 안내하고, 댐퍼압밸브부(52)는 댐퍼압유로부(51)를 개폐한다. 일예로, 댐퍼압유로부(51)는 일단부가 라인압유로부(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댐퍼압밸브부(52)에 연결되는 제1댐퍼유로부(511)와, 일단부가 댐퍼압밸브부(5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토크컨버터(100)에 연결되는 제2댐퍼유로부(512)와, 제2댐퍼유로부(512)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스위치부(60)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3댐퍼유로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댐퍼유로부(512)는 토크컨버터(100)의 댐퍼클러치(130)에 댐퍼제어압을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부(60)는 댐퍼제어압에 의해 절환되고, 회수부(70)는 파워트레인(200)에 윤활오일을 공급한다. 일예로, 회수부(70)는 스위치부(6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쿨러(300)를 통과하여 파워트레인(200)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1회수유로부(71)와, 스위치부(6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쿨러(300)를 우회하여 제1회수유로부(71)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회수유로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130)가 오프인 경우, 댐퍼압밸브부(52)는 댐퍼압유로부(51)를 폐쇄한다. 그리고, 스위치부(60)는 토크컨버터(100)의 입구부(110)와 윤활압유로부(31)를 연결시키고, 토크컨버터(100)의 출구부(120)와 제1회수유로부(71)를 연결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는 오일펌프부(10)에서 토출된 오일이 윤활압유로부(31)를 통해 입구부(110)로 공급되고, 출구부(120)로 배출된 다음 제1회수유로부(71)를 통해 파워트레인(200)의 윤활을 위해 이동된다(도 2 참조).
즉, 댐퍼클러치(130)가 오프인 조건에서는 엔진과 터빈 상대 회전차가 커서 많은 발열이 발생하므로, 토크컨버터(100)에 충분한 윤활압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130)가 온인 경우, 댐퍼압밸브부(52)는 댐퍼압유로부(51)를 개방한다. 이로 인해, 스위치부(60)는 절환되어 토크컨버터(100)의 입구부(110)와 리듀싱압유로부(41)를 연결시키고, 토크컨버터(100)의 출구부(120)와 제2회수유로부(72)를 연결시킨다. 이때, 윤활압유로부(31)는 제1회수유로부(71)와 연결된다.
상기한 상태에서는 오일펌프부(10)에서 토출된 오일이 리듀싱압유로부(41)를 통해 입구부(110)로 공급되고, 출구부(120)로 배출된 다음 제2회수유로부(72)를 통해 파워트레인(200)의 윤활을 위해 이동된다. 그리고, 윤활압유로부(31)를 통과한 오일은 스위치부(60)를 통해 제1회수유로부(71)로 이동된 후 파워트레인(200)에 공급된다(도 3 참조).
즉, 댐퍼클러치(130)가 온인 조건에서는 엔진과 터빈 상대 회전차가 적어지므로 토크컨버터(100)의 내부 윤활압을 낮게 유지하면서 댐퍼제어압도 낮게 유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라인압을 낮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오일펌프부(1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토크컨버터(100)를 통과한 오일은 파워트레인(200)용 윤활을 위해 재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에서 댐퍼클러치 제어시 토크컨버터의 입구부와 출구부의 압력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위치부(60)의 절환시점에서 입구부(110)와 출구부(120)에 가해지는 압력이 급격하게 줄어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60)는 오프스위치부(61)와 온스위치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프스위치부(61)는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130)가 오프인 경우 토크컨버터(100)의 입구부(110)와 윤활압조절부(30)를 연결시키고, 토크컨버터(100)의 출구부(120)와 회수부(70)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온스위치부(62)는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130)가 온인 경우 입구부(110)와 리듀싱압조절부(40)를 연결시키고, 윤활압조절부(30)와 회수부(70)를 연결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프스위치부(61)는 제1오프스위치부(611)와, 제2오프스위치부(612)와, 제3오프스위치부(613)와, 제4오프스위치부(6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오프스위치부(611)는 리듀싱압조절부(40)와 연결되고, 리듀싱압의 이동을 제한한다. 일예로,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130)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제1오프스위치부(611)는 제2리듀싱유로부(412)와 연결되어 토크컨버터(100)로의 오일 공급을 제한할 수 있다.
제2오프스위치부(612)는 입구부(110)와 윤활압조절부(30)를 연결시키고, 윤활압을 입구부(110)로 안내한다. 일예로,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130)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제2오프스위치부(612)는 제2윤활유로부(312)와 입구부(110)를 연결시켜 토크컨버터(100)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제3오프스위치부(613)는 출구부(120)와 회수부(70)를 연결시키고, 출구부(120)로부터 배출되는 유압을 회수부(70)로 안내한다. 일예로,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130)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제3오프스위치부(613)는 출구부(120)와 제1회수유로부(71)를 연결시켜, 토크컨버터(100)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쿨러(300)를 통과한 후 파워트레인(2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4오프스위치부(614)는 쿨러(300)를 우회하여 제1회수유로부(71)와 연결되는 제2회수유로부(72)와 연결된다. 일예로,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130)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제4오프스위치부(614)는 제2회수유로부(72)와 연결되어 유압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온스위치부(62)는 제1온스위치부(621)와, 제2온스위치부(622)와, 제3온스위치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온스위치부(621)는 리듀싱압조절부(40)와 입구부(110)를 연결시키고, 리듀싱압을 입구부(110)로 안내한다. 일예로,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130)가 온 상태인 경우, 제1온스위치부(621)는 제2리듀싱유로부(412)와 입구부(110)를 연결시켜, 토크컨버터(100)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제2온스위치부(622)는 윤활압조절부(30)와 회수부(70)를 연결시키고, 윤활압을 회수부(70)로 안내한다. 일예로,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130)가 온 상태인 경우, 제2온스위치부(622)는 제2윤활유로부(312)와 제1회수유로부(71)를 연결시켜, 제2윤활유로부(312)를 통과한 오일이 토크컨버터(100)에 공급되지 않고 바로 제1회수유로부(71)를 통해 파워트레인(2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3온스위치부(623)는 출구부(120)와 회수부(70)를 연결시킨다. 일예로,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130)가 온 상태인 경우, 제3온스위치부(623)는 출구부(120)와 제2회수유로부(72)를 연결시킨다. 이로 인해 토크컨버터(100)를 통과한 후 냉각된 오일이 쿨러(300)를 거치지 않고 파워트레인(200)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장치(1)는 댐퍼클러치(130)의 온 또는 오프 상태에 따라 스위치부(60)가 절환되어 공급되는 오일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오일펌프부 20 : 라인압조절부
21 : 라인압유로부 22 : 라인압밸브부
30 : 윤활압조절부 31 : 윤활압유로부
32 : 윤활압밸브부 40 : 리듀싱압조절부
41 : 리듀싱압유로부 42 : 리듀싱압밸브부
50 : 댐퍼압조절부 60 : 스위치부
70 : 회수부

Claims (7)

  1.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펌프부;
    상기 오일펌프부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라인압을 형성하는 라인압조절부;
    상기 라인압조절부를 통과하는 오일을 이용하여 윤활압을 형성하는 윤활압조절부;
    상기 윤활압조절부를 통과하는 오일을 이용하여 리듀싱압을 형성하는 리듀싱압조절부;
    상기 오일펌프부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댐퍼제어압을 형성하는 댐퍼압조절부;
    상기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윤활압 또는 상기 리듀싱압을 토크컨버터로 공급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토크컨버터를 통과한 상기 윤활압 또는 상기 리듀싱압을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는 상기 스위치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쿨러를 통과하여 파워트레인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1회수유로부; 및
    상기 스위치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쿨러를 우회하여 상기 제1회수유로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회수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토크컨버터의 입구부와 상기 윤활압조절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토크컨버터의 출구부와 상기 회수부를 연결시키는 오프스위치부; 및
    상기 입구부와 상기 리듀싱압조절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윤활압조절부와 상기 회수부를 연결시키는 온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스위치부는
    상기 리듀싱압조절부와 연결되고, 상기 리듀싱압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오프스위치부;
    상기 입구부와 상기 윤활압조절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윤활압을 상기 입구부로 안내하는 제2오프스위치부;
    상기 출구부와 상기 제1회수유로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출구부로부터 배출되는 유압을 상기 제1회수유로부로 안내하는 제3오프스위치부; 및
    상기 제2회수유로부와 연결되는 제4오프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스위치부는
    상기 리듀싱압조절부와 상기 입구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리듀싱압을 상기 입구부로 안내하는 제1온스위치부;
    상기 윤활압조절부와 상기 제1회수유로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윤활압을 상기 제1회수유로부로 안내하는 제2온스위치부; 및
    상기 출구부와 상기 제2회수유로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출구부로부터 배출되는 유압을 상기 제2회수유로부로 안내하는 제3온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압조절부는
    상기 오일펌프부에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하는 라인압유로부; 및
    상기 라인압유로부를 개폐하는 라인압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압조절부는
    상기 라인압밸브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연결하여 오일을 안내하는 윤활압유로부; 및
    상기 윤활압유로부를 개폐하는 윤활압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듀싱압조절부는
    상기 윤활압유로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연결하여 오일을 안내하는 리듀싱압유로부; 및
    상기 리듀싱압유로부를 개폐하는 리듀싱압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압조절부는
    상기 라인압유로부와 상기 스위치부 및 상기 토크컨버터를 연결하여 오일을 안내하는 댐퍼압유로부; 및
    상기 댐퍼압유로부를 개폐하는 댐퍼압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가 오프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토크컨버터의 입구부와 상기 윤활압유로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토크컨버터의 출구부와 상기 회수부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제어압에 의해 작동되는 댐퍼클러치가 온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토크컨버터의 입구부와 상기 리듀싱압유로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토크컨버터의 출구부와 상기 회수부를 연결시키며,
    상기 윤활압유로부와 상기 회수부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1020190114858A 2019-09-18 2019-09-18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102184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58A KR102184843B1 (ko) 2019-09-18 2019-09-18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58A KR102184843B1 (ko) 2019-09-18 2019-09-18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843B1 true KR102184843B1 (ko) 2020-12-01

Family

ID=7379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858A KR102184843B1 (ko) 2019-09-18 2019-09-18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8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844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227894B1 (ko) * 1994-04-08 1999-11-01 정몽규 자동차용 4속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시스템의 압력조절장치
JP2011185338A (ja) * 2010-03-05 2011-09-22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2241798A (ja) * 2011-05-19 2012-12-10 Toyota Motor Corp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油圧制御回路
KR101713738B1 (ko) * 2015-10-26 2017-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토크 컨버터의 유압제어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894B1 (ko) * 1994-04-08 1999-11-01 정몽규 자동차용 4속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시스템의 압력조절장치
KR19990059844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JP2011185338A (ja) * 2010-03-05 2011-09-22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2241798A (ja) * 2011-05-19 2012-12-10 Toyota Motor Corp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油圧制御回路
KR101713738B1 (ko) * 2015-10-26 2017-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토크 컨버터의 유압제어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3818B2 (en) Hydraulic device for stepless transmission
US20110005617A1 (en) Valve configuration for a lubrication circuit of a latched pump applied clutch transmission
JP5434945B2 (ja) 油圧制御装置
US9890853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2184844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US8342997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3662968B2 (ja) 変速機の潤滑油路構成
JP5811011B2 (ja) 無段変速機
KR102184843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102621937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101806095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970008493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101360425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JP6270404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11879509B2 (en) System for operating and lubricating clutch of work vehicle
JP7276088B2 (ja) 産業車両の油圧駆動装置
CN111656059B (zh) 无级变速器及无级变速器的控制方法
US20160327155A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0211362B1 (ko) 자동 변속기용 라인압 저하 보상장치
KR20240049008A (ko) 하이브리드 차량 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KR100285410B1 (ko) 무단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KR970008495B1 (ko) 자동 변속기 유압 제어 시스템의 압력제어 분배장치
JP5884529B2 (ja) ドライブトレーンの油圧供給装置
JP2010261509A (ja) 油圧装置
KR19990038471U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시스템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