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289B1 -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적 시스템 및 농가 상담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적 시스템 및 농가 상담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289B1
KR102184289B1 KR1020200026328A KR20200026328A KR102184289B1 KR 102184289 B1 KR102184289 B1 KR 102184289B1 KR 1020200026328 A KR1020200026328 A KR 1020200026328A KR 20200026328 A KR20200026328 A KR 20200026328A KR 102184289 B1 KR102184289 B1 KR 102184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rm
farmhouse
task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훈
임종완
곽기웅
임윤섭
김덕중
Original Assignee
강원도 횡성군
김덕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횡성군, 김덕중 filed Critical 강원도 횡성군
Priority to KR102020002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가 상담 지원 방법은 사전에 농가별 재배정보가 입력되고, 각 농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농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농가 상담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과제정보를 농가별로 분류하여 수집하는 정보수집 단계; 서버에는 사전에 각각의 농가별 재배정보가 입력되고, 정보수집 단계에서 농가별로 분류하여 수집된 과제정보를 해당 농가의 재배정보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갱신하는 정보반영 단계; 서버에서 정보수집단계에서 수집된 각각의 과제정보와 농가별 재배정보를 이용하여 농가별로 과제 솔루션을 도출하여 해당 과제정보를 송신하여 농가별 농가 상담을 수행하는 농가 상담 단계; 및 사전에 기설정된 기간 경과 후 과제 솔루션이 제공된 각각의 농가 단말기로부터 농가 상담 결과에 대한 과제 해결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수신받는 피드백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적 시스템 및 농가 상담 지원 방법{Agricultural Field Consultation Data Accumulation System and Farm Counseling Support Method}
본 발명은 농업 현장 상담 내용의 데이터를 축적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농가 상담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농가 특성에 따라 현장에서 상담한 내용(사진, 동영상 포함)을 데이터화하여 원활하고 명확한 개별 영농상담의 지속성을 확보하여 농가별 맞춤형 영농상담을 제공함으로써 개별농가 영농상담 자료의 축적을 바탕으로 한 상담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각 지역별 농업 현장의 영농 문제점은 일반적 농업기술의 이론만 가지고는 해결하기 어려움으로 지역에서 축적된 현장 적응형 영농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자료로 발전하고, 나아가 각 농가의 영농 현장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농가의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적 시스템 및 농가 상담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녹색성장 및 저탄소 산업지향,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인하여 농업기술은 농산물의 특성화가 가속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각종 재배환경 및 재배기술 발전이 가속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농업기술의 발전은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일반 농가가 하루가 다르게 변화되는 최신기술 및 정보를 습득하여 적용하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농작물 재배시에는 온도, 습도, 일조량 같은 자연 환경뿐만 아니라, 병충해 등을 방지 또는 치료를 위한 농약 살포 및 비료 공급 등 다양한 부대 작업이 요구되며, 재배환경 및 작물 등에 따라 전문적 기술을 요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에, 각 농가에서 최신 시설 하우스, 농약 살포기계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하더라도, 각각의 농가의 재배환경 및 재배기술 등이 뒷받침되지 않는 경우 작물 재배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국내 농촌 인력은 계속해서 감소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어 이에 따른 농촌일손 부족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컴퓨터 등의 활용능력이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것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국제화, 세계화로 인한 문제들은 농업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사과 화상병,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토마토궤양병 등은 과거 우리나라에는 없었던 병이나 종자 또는 농산물의 국제 유통으로 최근에 유입되어 전국적으로 농업인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들 새로 들어온 외래 병해충은 우리나라에 알려 진 것이 없어 어떤 성질인지, 어떻게 증식하며 농작물에 어떤 피해를 주는지 등을 알 수 없어 큰 피해를 주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래서 이들 방제 방법이 개발되면 신속하게 농업 현장에 전파되어 문제 병해충을 극복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농업 현장에서 나타난 문제들을 상담하고의 각각의 해결책을 상담한 컨설팅 자료를 농촌지도사 간에 공유하기 위해 문제들이 나타날 때 마다 직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각자의 고유 업무의 한계와 일 들로 인해 여러가지 농업인의 제 문제를 공유할 시간이 매우 부족하다. 그리고 바쁜 업무로 인해 상담한 농촌지도사만 그 내용을 알아 담당자가 부재한 상황이 발생하면 농업인의 어려움을 해결할 솔루션은 시간 제약을 받고 있다.
특히, 촌각을 다투는 병충해 등의 문제의 경우 해당 지자체에서 해결하지 못할 경우 시료를 채취하여 상위 기관으로 전달하여 그에 따른 솔루션을 공급받을 수 있어 과제 해결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작물 재배가 실패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농가에서 영농지도 상담할 때마다, 또는 담당 전문가가 바뀌는 경우 각 농가의 재배환경을 다시 설명해야 하는 등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과제 해결에 실패한 솔루션을 다시 제공하는 우를 범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494971 B1 (2015.02.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각의 농가가 특성에 따라 원활하고 명확한 농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농가별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는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적 시스템 및 농가 상담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표준 솔루션을 구축하고 구축된 표준 솔루션을 이용하여 솔루션 제공시간을 단축하여 작물재배의 성공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적 시스템 및 농가 상담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가 상담 지원 방법은 사전에 농가별 재배정보가 입력되고, 각 농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농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농가 상담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과제정보를 농가별로 분류하여 수집하는 정보수집 단계; 서버에는 사전에 각각의 농가별 재배정보가 입력되고, 정보수집 단계에서 농가별로 분류하여 수집된 과제정보를 해당 농가의 재배정보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갱신하는 정보반영 단계; 서버에서 정보수집단계에서 수집된 각각의 과제정보와 농가별 재배정보를 이용하여 농가별로 과제 솔루션을 도출하여 해당 과제정보를 송신하여 농가별 농가 상담을 수행하는 농가 상담 단계; 및 사전에 기설정된 기간 경과 후 과제 솔루션이 제공된 각각의 농가 단말기로부터 농가 상담 결과에 대한 과제 해결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수신받는 피드백 단계;를 포함한다.
정보수집 단계는, 서버는 과제정보를 송신한 농가 단말기에 내장된 농가 식별자를 이용하여 농가를 식별하는 과제 식별과정; 및 농가 단말기를 통해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사진, 동영상, 과제관련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온라인 정보와 과제관련 시료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정보를 포함하는 과제정보를 수집하는 과제 수집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과제 수집과정에서, 오프라인 정보는 기 설치된 오프라인 회수부를 통해 수집하되, 오프라인 회수부는 농가 단말기에 내장된 농가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집되는 오프라인 정보를 각 농가별로 구분하여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서버는 사전에 병충해 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농약 또는 비료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표준 솔루션으로 이루어진 표준 솔루션부를 포함하고, 농가 상담 단계는, 서버에 기 저장된 표준 솔루션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농가에서 수집된 각각의 과제정보에 대응되는 표준 솔루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 판단과정에서 표준 솔루션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표준 솔루션을 과제 솔루션으로 도출하고, 표준 솔루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문가로부터 과제 솔루션을 수신하는 과제 솔루션 도출과정; 및 서버에서 도출된 과제 솔루션을 농가 단말기로 전송하여 농가 상담을 수행하는 농가 상담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단계에서, 농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이 과제를 해결하지 못한 경우 표준 솔루션부에는 과제정보에 대응되는 표준 솔루션이 없다고 판단하고 농가 상담 단계를 다시 실시하되, 농가 상담단계는, 전문가에게 기 제공된 과제 솔루션 정보가 갱신된 농가의 재배정보와 과제정보를 송신하여 도출된 새로운 과제 솔루션을 수신받아 농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가 상담 지원 방법은 피드백 단계 이후에, 피드백 단계에서 농가 상담 지원 단계에서 전문가로부터 수신된 과제 솔루션에 대한 피드백이 과제를 해결한 경우, 제공된 과제 솔루션을 표준화하여 표준 솔루션을 생성하는 표준화 단계; 및 서버의 표준 솔루션부에 표준화 단계 에서 생성된 표준 솔루션을 추가하는 표준 솔루션 구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척 시스템은 사전에 각 농가의 재배정보가 입력된 농가 정보부와 복수 개의 표준 솔루션이 저장된 표준 솔루션부를 포함하는 서버; 및 농가별로 구분 가능하도록 내부에 농가 식별자가 저장되며, 서버로 사진, 동영상, 과제관련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온라인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과제 솔루션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농가 단말기;를 포함하고, 서버는 농가 단말기를 통해 들어온 각각의 과제정보를 표준 솔루션부에 입력된 각각의 표준 솔루션과 비교하여 과제 솔루션을 도출하여 농가 단말기로 전송하되, 대응되는 표준 솔루션이 없는 경우 서버에 기 등록된 전문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과제정보를 전송하고 전문가로부터 수신된 과제 솔루션을 농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척 시스템은 농가로부터 과제정보에 대한 시료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정보를 수거 및 분석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수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프라인 수거부는, 각 농가의 농가 단말기에 내장된 농가 식별자를 인식한 후 농가별로 분류하여 오프라인 정보를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서버는, 과제 솔루션이 제공된 농가 단말기에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과제 해결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수신받아, 문제가 해결된 경우 과제 솔루션을 표준 솔루션으로 등록하여 표준 솔루션부를 갱신하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경우, 전문가에게 과제정보를 재전송하여 전문가로부터 새로운 과제 솔루션을 수신받아 농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농가별로 지급된 농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발생된 병충해 등 각종 과제정보를 손쉽게 접수하고 그에 따른 농가 상담 지원을 신속하게 받을 수 있어 작물재배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제 해결여부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받아 서버 내의 표준 솔루션부가 갱신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동일한 과제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인력 및 시간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드백 정보를 통해 각 농가에서 과제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전문가로부터 수신된 새로운 솔루션이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병충해 등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동일한 내용으로 과제 접수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가 상담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가별 맞춤형 농가지원 시스*은 사전에 각 농가의 재배정보가 입력된 농가 정보부(101), 병충해 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농약 또는 비료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표준 솔루션으로 이루어진 표준 솔루션부(102)를 포함하는 서버(100)와, 서버(100)에 온라인 정보를 송신하고 그에 대응되는 과제 솔루션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서버(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농가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서버(100)에는 사전에 설정된 수의 농가가 농가 단말기(200)를 통하여 동시에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며, 각각의 농가 단말기(200)에는 각 농가별로 구분 가능한 농가 식별자가 내장되어 마련된다.
이에, 농가에서 과제정보 입력시 별도의 농가 재배정보 입력 또는 농가 인증을 거치지 않고 과제정보 입력이 가능하여 농가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스팸 정보 등과 같은 불필요한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방지하여 농가 상담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척 시스템은 복수 개의 농가들을 일정 수의 농가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농가군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농가군에 포함된 농가로부터 병충해 작물의 일부 등 시료 등과 같은 오프라인 정보를 수거 및 분석하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오프라인 수거부(300)를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프라인 수거부(300)는 읍, 면, 동 등과 같은 단위로 구획된 농가군에 포함되는 농가에서 과제 발생시 오프라인 정보를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농가군의 중심부 등에 설치되어 농가군에 포함되는 복수의 농가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오프라인 수거부(300)는 농가 단말기(200)에 내장된 농가 식별자를 인식한 후 시료 등 오프라인 정보 투입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투입된 오프라인 정보는 농가별로 구분될 수 있도록 농가 식별자를 통해 인식된 농가의 일련번호 등 구분수단이 태그되어 수납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잘못된 오프라인 정보가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추후에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과제 솔루션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농가 식별자는 예를 들어 IC(Integrated Circuit)칩, 바코드 등과 같이 각각의 농가를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오프라인 수거부(300)는 외부에 농가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부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농가 단말기(200)를 오프라인 수거부(300)의 리더부에 태그한 후 오프라인 정보를 투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수거부(300)는 오프라인 정보가 수거되는 즉시 서버(100)에 해당 농가의 오프라인 정보의 접수를 알리고, 수거된 오프라인 정보의 사진, 영상 등을 분석하여 서버(100)로 전송한다.
서버(100)는 농가 단말기(200)를 통해 수집된 온라인 정보와 오프라인 수거부(300)를 통해 수집된 오프라인 정보를 포함하는 과제정보와 농가 식별자를 통해 사전에 입력된 해당 농가의 재배정보를 이용하여 과제 솔루션을 도출하여 해당 농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정보 또는 오프라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집되면, 서버(100)는 농가 식별자를 이용하여 사전에 입력된 농가 정보부(101)에서 해당 농가의 재배정보를 인출하고, 연산부(103)에서 복수 개의 표준 솔루션이 저장된 표준 솔루션부(102)의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한 표준 솔루션을 과제 솔루션으로 도출하고 이를 농가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연산부(103)는 사전에 설정된 유사도 판단 기준에 따라 표준 솔루션을 도출하며, 예를 들어 작물의 종류, 병충해 종류, 시기, 색상, 증상 등 비교 요소를 각 10단계로 나누어 비교하여 가장 유사도가 높은 표준 솔루션을 과제 솔루션으로 도출한다.
이때, 유사도는 0 ~ 100점으로 수치화하고, 사전에 설정된 기준 유사도(70점)보다 낮은 경우 과제정보에 대응되는 표준 솔루션이 없어 과제 솔루션 제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서버(100) 내에 저장된 전문가 중 하나를 선정하고 해당 전문가에게 과제정보를 제공하여 전문가로부터 수신된 과제 솔루션을 농가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전문가는 해당 지자체의 관리자 또는 농촌지도사 등이 될 수 있으며, 서버(100)는 전문가가 전문으로 하는 작물, 병충해 등 전문 분야에 따라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전문가에게 과제정보를 전송하고 과제 솔루션을 수신받도록 구성된다.
또한, 서버(100)는 상기와 같이 과제 솔루션이 제공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농가 단말기(200)에 과제 해결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요청하고, 농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서 과제가 해결된 경우 제공된 솔루션을 표준화하여 표준 솔루션부(102)에 저장하고, 과제가 해결되지 않은 경우 이전에 제공된 과제 솔루션이 부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전문가에게 과제정보를 재전송하여 새로운 과제 솔루션을 수신받아 농가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표준 솔루션부 구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존에 존재하는 표준 솔루션 중 하나를 사용하여 과제를 해결한 경우는 현 상태를 유지하고, 표준 솔루션부(102)에 없는 새로운 과제 솔루션이 과제를 해결한 경우 해당 과제 솔루션에서 사용된 작물의 단위, 약품 량 등을 표준화하여 표준 솔루션을 생성하여 표준 솔루션부(102)를 실시간으로 갱신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척 시스템을 이용한 농가 상담 지원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가 상담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가 상담 지원 방법은 각 농가별 농가 식별자가 내장된 농가 단말기(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농가별로 분류하여 각 농가의 과제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 단계와, 수집된 각각의 과제정보를 서버(100)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갱신하는 정보반영 단계와 서버에서 수집된 과제정보와 사전에 입력된 농가 정보부(101)를 이용하여 과제 솔루션을 도출하여 농가 상담을 수행하는 농가 상담 단계 및 과제 솔루션이 제공된 농가로부터 피드백을 수신받은 피드백 단계를 포함한다.
정보수집 단계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발생된 농가로부터 과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으로 과제와 관련된 정보는 크게 온라인 정보 및 오프라인 정보로 구분된다.
온라인 정보는 농가에서 각각의 농가 식별자가 내장된 농가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와 관련된 과제관련 문서 등과 같이 서버(100)에 전송 가능한 온라인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현장에서 작물상태 등을 보여줄 수 있는 사진, 동영상 등을 찍어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수집이 이루어진다.
한편, 오프라인 정보는 병충해가 발생된 작물의 일부, 현재 사용중인 비료 또는 약품 등과 같이 온라인으로 전송 불가능한 과제정보로서, 읍, 면 동 등과 같이 일정 단위로 배치된 오프라인 수거부(300)를 통하여 수집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수거부(300)는 내부에 오프라인 과제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바디(301)와, 바디(301)의 일측에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제1 게이트(302)와, 제1 게이트(302)에 인접하여 농가 단말기(200)에 내장된 농가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부(303),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오프라인 과제를 농가별로 구분할 수 있는 구분수단을 태그하는 태그부(304) 및 오프라인 과제를 태그하는 과정에서 임시 안착되도록 내부공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게이트(305)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각 농가에서 농가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수거부(300)가 농가 식별자를 인식시키면 제1 게이트(302)가 오픈되고, 농가에서 오프라인 자료를 제2 게이트(305) 상부에 안착시키면 제1 게이트(302)가 클로즈 되고, 태그부(304)가 오프라인 과제에 농가를 구분할 수 있는 농가 일련번호 등 구분수단을 태그하며, 태그가 완료되면 제2 게이트(305)를 오픈하여 내부공간에 수납하고 이를 서버에 전송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오프라인 수거부(300)는 오프라인 자료의 색상, 상태 등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부(30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별도의 전문 시험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오프라인 정보 등은 오프라인 수거부(300)에 투입 즉시 신속하게 분석하여 서버(100)로 즉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과제 솔루션 도출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작물재배 실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정보수집 단계가 완료되면, 서버(100)는 사전에 입력된 농가 정보부(101)에서 해당 농가의 재배정보를 인출하고 수집된 과제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시킨다.
이에, 이후 접수된 과제가 해결되지 않은 경우 동일한 과제를 접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과제 솔루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A" 농가에서 "1번" 과제정보를 접수한 하여 "가" 솔루션을 제공받았으나 해결되지 않은 경우, "A" 농가에서 동일한 과제정보를 재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방지가고, 나아가 동일한 "가" 솔루션이 제공되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과제 해결 성공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보반영 단계가 완료되면, 서버(100)의 연산부(103)는 갱신된 해당 농가의 재배정보를 표준 솔루션부(102)에 입력된 복수 개의 표준 솔루션과 비교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솔루션을 도출하여 이를 과제 솔루션으로 해당 농가의 농가 단말기(200)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유사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0 ~ 100 점으로 수치화되며, 도출된 표준 솔루션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유사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해당 과제정보에 대응되는 표준 솔루션이 없다고 판단하고 사전에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전문가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전문가로부터 수신된 과제 솔루션을 농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사도는 작물의 품종, 증상, 발생시기 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치화 할 수 있으며, 전문가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전문 품종, 병충해 등을 고려하여 가장 유사도가 높은 전문가를 선정하도록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각 농가에 제공되는 과제 솔루션은 해당농가의 재배 면적, 재배작물 수, 시기(날씨 등) 을 고려하여 농약, 비료 등 약품의 사용량, 시기, 기간 등을 조절하여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버에서 각 농가의 수집한 과제정보에 대한 과제 솔루션을 송신하여 농가 상담 단계가 완료되면, 피드백 단계에서 서버(1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각각의 농가 단말기(200)로 농가 상담에 대한 과제 해결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받아 농가 정보부(101)에 반영한다.
또한, 서버(100)는 피드백 단계에서 수신된 피드백이 과제 해결에 실패한 경우 서버(100)의 표준 솔루션부(102)에 대응되는 표준 솔루션이 없다고 판단하고, 전문가를 통해 새로운 과제 솔루션을 수신받아 제공하도록 농가 상담 단계를 재실시 한다.
이때, 제공된 과제 솔루션이 전문가를 통해 제공된 경우, 해당 과제 솔루션은 실효성이 없다고 판단하여 파기하고, 기 제공된 과제 솔루션 정보와 사전에 수집한 과제정보를 함께 전문가에게 전송하여 동일한 과제 솔루션이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여 농가 상담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가 상담 지원 방법은 상기와 같은 농가 상담 단계 및 피드백 단계에서 전문가가 제공된 과제 솔루션이 과제를 해결한 경우 연산부(103)에서 제공된 과제 솔루션을 표준화하여 표준 솔루션을 생성하는 표준화 단계와 서버의 표준 솔루션부(102)에 생성된 표준 솔루션을 추가하여 표준 솔루션부(102)를 구축하는 표준 솔루션부 구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준화 단계는 각 농가의 특성에 따라 조절된 품종, 약품, 시기, 기간 등의 정보를 표준화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예를들어 과제 솔루션이 15 ~ 20℃ 기온에서 12그루의 사과나무에 대하여 하루에 12kg의 인산비료를 일주일간 투여하도록 제공된 경우, 표준 솔루션은 기온이 18℃(시기)의 환경에서 사과나무(품종) 1그루 당 하루에 1kg의 인산비료(약품)를 7일간(기간) 투여 등과 같이 표준화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에, 이후 동일한 과제 발생시 표준화된 표준 솔루션을 해당 농가의 상황에 맞게 변환하여 각 농가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농가 상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농가 상담 성공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서버(100)에서 피드백을 요청하는 시기는 제공된 과제 솔루션에 포함된 기간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공된 과제 솔루션이 7일간 적용하게 되는 경우 7~10일 경과 후 해당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농가 단말기(200)로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서버 101: 농가 정보부
102: 표준 솔루션부 103: 연산부
200: 농가 단말기 300: 오프라인 수거부
301: 바디 302: 제1 게이트
303: 리더부 304: 태그부
305: 제2 게이트 306: 분석부

Claims (9)

  1. 사전에 농가별 재배정보가 입력되고, 각 농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농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농가 상담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과제정보를 농가별로 분류하여 수집하는 정보수집 단계;
    서버에는 사전에 각각의 농가별 재배정보가 입력되고, 정보수집 단계에서 농가별로 분류하여 수집된 과제정보를 해당 농가의 재배정보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갱신하는 정보반영 단계;
    서버에서 정보수집단계에서 수집된 각각의 과제정보와 농가별 재배정보를 이용하여 농가별로 과제 솔루션을 도출하여 해당 과제정보를 송신하여 농가별 농가 상담을 수행하는 농가 상담 단계; 및
    사전에 기설정된 기간 경과 후 과제 솔루션이 제공된 각각의 농가 단말기로부터 농가 상담 결과에 대한 과제 해결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수신받는 피드백 단계;를 포함하고,
    정보수집 단계는, 서버는 과제정보를 송신한 농가 단말기에 내장된 농가 식별자를 이용하여 농가를 식별하는 과제 식별과정; 및 농가 단말기를 통해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사진, 동영상, 과제관련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온라인 정보와 기 설치된 오프라인 회수부를 통하여 병충해 작물의 일부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정보를 포함하는 과제정보를 수집하는 과제 수집과정;을 포함하며,
    오프라인 회수부는 투입된 병충해 작물의 색상 정보를 분석할 수 있도록 내장된 분석부를 이용하여 병충해 작물의 사진 또는 영상을 분석하고, 농가 단말기에 내장된 농가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집되는 오프라인 정보를 각 농가별로 구분하여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별 맞춤형 농가 상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버는 사전에 병충해 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농약 또는 비료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표준 솔루션으로 이루어진 표준 솔루션부를 포함하고,
    농가 상담 단계는,
    서버에 기 저장된 표준 솔루션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농가에서 수집된 각각의 과제정보에 대응되는 표준 솔루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
    판단과정에서 표준 솔루션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표준 솔루션을 과제 솔루션으로 도출하고, 표준 솔루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문가로부터 과제 솔루션을 수신하는 과제 솔루션 도출과정; 및
    서버에서 도출된 과제 솔루션을 농가 단말기로 전송하여 농가 상담을 수행하는 농가 상담 과정;을 포함하는, 농가별 맞춤형 농가 상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피드백 단계에서,
    농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이 과제를 해결하지 못한 경우 표준 솔루션부에는 과제정보에 대응되는 표준 솔루션이 없다고 판단하고 농가 상담 단계를 다시 실시하되,
    농가 상담 단계는,
    전문가에게 기 제공된 과제 솔루션 정보가 갱신된 농가의 재배정보와 과제정보를 송신하여 도출된 새로운 과제 솔루션을 수신받아 농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별 맞춤형 농가 상담 방법.
  6. 삭제
  7. 사전에 각 농가의 재배정보가 입력된 농가 정보부와 복수 개의 표준 솔루션이 저장된 표준 솔루션부를 포함하는 서버;
    농가별로 구분 가능하도록 내부에 농가 식별자가 저장되며, 서버로 사진, 동영상, 과제관련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온라인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과제 솔루션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농가 단말기; 및
    농가로부터 과제정보에 대한 시료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정보를 수거 및 분석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수거부;를 포함하고,
    서버는 농가 단말기를 통해 들어온 각각의 과제정보를 표준 솔루션부에 입력된 각각의 표준 솔루션과 비교하여 과제 솔루션을 도출하여 농가 단말기로 전송하되, 대응되는 표준 솔루션이 없는 경우 서버에 기 등록된 전문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과제정보를 전송하고 전문가로부터 수신된 과제 솔루션을 농가 단말기로 전송하고,
    오프라인 수거부는 내장된 분석부를 이용하여 병충해 작물의 사진 또는 영상을 분석하여 색상 정보를 분석하고, 농가 단말기에 내장된 농가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집되는 오프라인 정보를 각 농가별로 구분하여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별 맞춤형 농가 상담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서버는,
    과제 솔루션이 제공된 농가 단말기에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과제 해결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수신받아, 문제가 해결된 경우 과제 솔루션을 표준 솔루션으로 등록하여 표준 솔루션부를 갱신하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경우, 전문가에게 과제정보를 재전송하여 전문가로부터 새로운 과제 솔루션을 수신받아 농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별 맞춤형 농가 상담 시스템.
KR1020200026328A 2020-03-03 2020-03-03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적 시스템 및 농가 상담 지원 방법 KR102184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328A KR102184289B1 (ko) 2020-03-03 2020-03-03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적 시스템 및 농가 상담 지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328A KR102184289B1 (ko) 2020-03-03 2020-03-03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적 시스템 및 농가 상담 지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289B1 true KR102184289B1 (ko) 2020-11-30

Family

ID=7364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328A KR102184289B1 (ko) 2020-03-03 2020-03-03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적 시스템 및 농가 상담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448A1 (ko) * 2022-10-13 2024-04-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지인 작물 재배 작업 지시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2602A (ja) * 2000-07-17 2002-01-31 K2 Corporation:Kk 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た相談回答システム
KR101494971B1 (ko) 2013-08-16 2015-03-02 강원도 횡성군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
KR20150105854A (ko) * 2014-03-10 2015-09-18 (주)더모스트컨설팅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KR20170052898A (ko) * 2015-11-05 2017-05-15 주식회사 케이티 농장 맞춤형 영농 정보제공 서버, 방법 및 그 프로그램
KR101808702B1 (ko) * 2017-03-22 2018-01-18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업 진단평가 통합 시스템을 이용한 기업진단 방법
KR20200021162A (ko) *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부뜰정보시스템 상담원의 상담내용을 기반으로 상담 챗봇을 학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2602A (ja) * 2000-07-17 2002-01-31 K2 Corporation:Kk 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た相談回答システム
KR101494971B1 (ko) 2013-08-16 2015-03-02 강원도 횡성군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
KR20150105854A (ko) * 2014-03-10 2015-09-18 (주)더모스트컨설팅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KR20170052898A (ko) * 2015-11-05 2017-05-15 주식회사 케이티 농장 맞춤형 영농 정보제공 서버, 방법 및 그 프로그램
KR101808702B1 (ko) * 2017-03-22 2018-01-18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업 진단평가 통합 시스템을 이용한 기업진단 방법
KR20200021162A (ko) *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부뜰정보시스템 상담원의 상담내용을 기반으로 상담 챗봇을 학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448A1 (ko) * 2022-10-13 2024-04-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지인 작물 재배 작업 지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7827B2 (en) Farm work management system, farm work management apparatus, and farming management method
Vaughan et al. Evaluating agricultural weather and climate services in Africa: Evidence, methods, and a learning agenda
Ricci et al. Local pesticide use intensity conditions landscape effects on biological pest control
Annosi et al. Is the trend your friend? An analysis of technology 4.0 investment decisions in agricultural SMEs
Hall et al. Analysis of beef producers' risk management perceptions and desire for further risk management education
Andrade et al. Simulating tropical forage growth and biomass accumulation: an overview of mode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KR102271036B1 (ko) 클라우드 기반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KR100808645B1 (ko) 농산물 및 그 가공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안전농산물생산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Maurer et al. Different types of semi‐natural habitat are required to sustain diverse wild bee communities across agricultural landscapes
KR102184289B1 (ko)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적 시스템 및 농가 상담 지원 방법
MacLachlan et al. Learning about a moving target in resource management: optimal Bayesian disease control
Lacoste et al. Upgrading the RIM model for improved support of integrated weed management extension efforts in cropping systems
Ferehan et al. Smart farming system based on intelligent Internet of Things and predictive analytics
Fresco Issues in farming systems research.
CN114550848A (zh) 作物病害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KR20220021045A (ko) 유전체데이터를 활용한 농가 맞춤형 헬퍼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Micheni et al. 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alytics, and deep learning for sustainable precision agriculture
KR20200057440A (ko) 양돈 성장 조건 플랫폼 기반 출하 예측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González-Andújar Introduction to decision support systems
CN110998642A (zh) 使用来自作物保护中田地试验的数据校准和优化预测模型
Xin et al. Plant and pest diagnosis and identification through DDIS
KR20210020625A (ko) 농산물 및 그 가공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안전농산물생산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amble et al. Linking Farmers’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to the Changing Agricultural Pest Problems: A Case Study of Cotton Mealybug Phenacoccus solenopsis Tinsley in Maharashtra, India
KR100447136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영농 경영 진단방법 및 그것을 구현하는시스템
KR2017009131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쌍방향 작물재배 정보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