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971B1 -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971B1
KR101494971B1 KR20130097468A KR20130097468A KR101494971B1 KR 101494971 B1 KR101494971 B1 KR 101494971B1 KR 20130097468 A KR20130097468 A KR 20130097468A KR 20130097468 A KR20130097468 A KR 20130097468A KR 101494971 B1 KR101494971 B1 KR 101494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management
agricultural
support
as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남
황원규
김금희
최동식
김해숙
Original Assignee
강원도 횡성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횡성군 filed Critical 강원도 횡성군
Priority to KR2013009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은, 행정청의 메인서버(M), 상기 메인서버(M)에는; 행정청인 관리자(A)와 함께 실제 사용자가 되는 영농인인 다수의 시군구사용자 및 읍면동 사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u1,u2,u3..)가 인터넷(I)을 통하여 통신하고,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DB)가 저장되고 백업 및 서버하는 데이터서버(DM), 인터넷(I)으로 연결된 토지대장데이터베이스(LD), 농지원부, 농지전용, 농지취득자료를 가지는 새올행정시스템데이터베이스(SD), 및 기타의 각종의 사업추진자료 또는 경운비용 등의 데이터의 기타데이터베이스(ED,CD)가 데이터 연동하는 상기 메인서버(M) 상에서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ATS)을 가지고, 상기 지원시스템(ATS)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의 지원기본데이터입력단계(S1), 농정보조사업의 사업등록단계(S2), 상기 지원기본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업지원입력단계(S3),상기 농정보조사업의 보조지원자의 결정단계(S4)를 포함하고, 만일 상기 결정단계(S4)에서 지원대상판정(Y)이면 보조금교부 등의 지원사업을 수행단계(S5) 이후에 사후관리단계(S6)로 진행하고, 만일 상기 결정단계(S4)에서 부적격한 지원대상(N)으로 판단되면 이를 별도 데이터입력관리(SN1)하여 추후 부정수급 등의 기본자료로 하고 비지원대상통지단계(SN32)로서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THE SYSTEM AND METHOD OF ARGICULTURAL AUXIALARY ADMISTRATION}
본 발명은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각종의 농정 특히 농정관려한 다양한 보조사업의 실시를 위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 종래에 비하여 농정의 대상이 되는 영농인의 인적인 수준에 구애됨이 없이 원활하고도 명확한 농정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농정수행에 대한 정부예산의 대폭적인 저감과, 농정의 표준성, 정밀성 및 신뢰성을 대폭 증대할 수 있는 구성의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농촌지역의 각 지자체에서는 농가의 경영부담 완화와 영농의욕 고취, 생산비 절감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와 취지의 농정관련 보조행정업무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로부터의 이러한 농정관련한 행정 및 보조행정업무는 상당부분은 중앙청과 연동 되어 전산화되거나 시스템화된 구성이 없어 다양한 행정상의 문제점을 노정하여 왔다.
특히, 종래의 농정보조사업은 각 지역에서 필요에 따라서 문서화를 위하여 워드 또는 엑셀에 기초한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특정하지 않은 형태로 영농인으로부터 취합하여 이에 근거하여 수행함으로써 행정 업무의 수행시간 및 행정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농정사업 자체의 기간 역시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현상에 따라서 농촌 인구가 대폭 고령화되면서 다양한 대영농인 혜택이 부여되는 각종의 정부의 농정보조사업을 위한 사업신청서를 제대로 작성하지 못하는 농업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각종 농정보조사업의 혜택이 필요한 농가로부터의 신청누락이 발생하고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농가별로 중복되어 신청되고 있음에도 행정인력의 수작업에 의한 필터링 외에는 특별한 데이터의 스크리닝 방법이 없어 특정한 농가에 과잉 또는 중복지원이 있음에도 이를 유효하게 선별하지 못하여 정부예산의 낭비와, 추후 지원받지 못한 영농인에 의한 민원의 소지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현재의 농정보조사업은 대부분의 사업추진기간이 년 중, 매년 반복되는 사업이 대부분이고 사업접수기간은 매년 1. 2 ~ 1. 31 (년초)에 수행되고 있어 이러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 된다.
통상적인 농정보조사업의 주요한 항목을 보면,
(1) 농자재 지원사업으로서 국비지원사업은 유기질비료지원사업, 녹비호맥지원사업이 있고, 도비지원사업에는 맞춤형비료 지원사업, 육묘용상토 지원사업이 있으며 지자체 사업으로서는 경운비 지원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2) 또한, 농기계 지원사업은 관리기, 건조기 등에 대하여 국비, 도비, 군비 지원사업이 수행되고 있고,
(3) 특화단지조성사업으로서는 친환경농업단지조성, 잡곡생산단지 조성, 기타 사업 등 다양한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농정보조사업들의 사업신청자는 당연히 농업인 또는 생산자단체 등이 될 것이다.
종래로부터의 이러한 농정보조사업의 신청은 필지기준 신청으로서 퇴비비료 등 농자재 공급은 경작면적 기준으로 필지 정보에 의하여 신청이 이루어지고, 경작규모 별 신청으로는 농기계 구입, 특화단지조성 등이 있다.
한국 특허 제10-0419130호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0-0021713호
상기하는 제반의 농정보조사업의 수행에 있어서 대두 되는 주요한 문제점을 하기와 같다.
각종 농정보조사업의 사업신청서 작성 시에는 신청자 개인의 인적사항 외 경작필지정보, 사업계획 등을 구체적으로 기재하게 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서,
(1) 영농인들의 고령화 및 상대적으로 고령자의 낮은 학력수준에 따라 무형식의 사업신청서의 필요한 자료의 수집과 작성에 어려움이 있어,
이러한 대필 신청 시에도, 구체적인 양식이나 서식이 없이 단순히 주요 사항을 메모지 등에 기재하여 이장에게 전달하거나 담당자에게 전화로 통지하는 방식이므로 당연히 기재 및 전달되는 데이터의 오류가 다발하게 되고 실제 농정보조사업의 행정담당자로까지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대단히 많다.
따라서 추후 전달오류에 따른 사업실시 결과 누락이 되어 다대한 민원의 대상이 되는 문제가 있다.
(2) 특히, 유기질비료지원사업의 경우 다수의 농업인이 관련되는 농자재 지원사업으로써 사업지침에 의거하여 경작필지 내역을 기재하여 신청 접수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접수원칙에 있어서의 실제 운용을 보면,
ㄱ. 농지 원부의 경작상황이 토지정보와 연동되지 않아 오류가 많고(토지의 합병,분할 등이 다발함에 기인한다.)
ㄴ. 농지 원부는 농업인의 요청에 의해 정리되어 지고 있어, 일반적으로 농업생산활동을 하는 실제 영농인은 농지원부를 정리하지 않고 있어 오류가 발생하고,
ㄷ. 지역 영세 영농인의 경우 지역 내에서의 무단 임대차에 의한 임차경작지가 많아 농지원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 실제 상황과 다른 데이터가 제공되게 된다.
예를 들어 횡성군에서의 실제 농정보조사업의 시행결과 얻어진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면 하기와 같은 매우 주요한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2012년도의 유기질 비료사업(농림사업)에 대한 사업 신청을 취합하여 본 결과, 5,361 농가의 18,469필지에서의 4,089ha에 대하여 / 1,491,349포로서 총소요액 5,070,586천원 이었으나, 과다신청에 따른 대상결과가 4,756건의 오류가 발견되고, 또한 동일 세대의 이중신청 역시 20 농가, 경작농지 중복신청은 1,421필지, 존재하지 아니하는 필지 등 오류신청이 2,802필지, 개인별 한도량 초과신청이 513 농가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오류에 대하여 전수검사를 실시한 결과, 신청에 대비한 대상결과가 1,491,379포: 1,222,604포로서 25 %의 감소분이 발견되어 불요한 정부예산이 낭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하는 현상은 2011년의 경운비지원사업의 경우도 2,416 건의 오류가 발견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었고, 2012 경운비지원사업 (자체사업) 신청에서도 발견되고 있고, 대부분의 오류가,
ㄱ. 소유주와 임차인 경작필지의 중복신청
ㄴ. 지목상 농지이나 실제 주택, 축사, 임야 등 비농지에 대한 농자재 신청
ㄷ. 휴경하고 있는 농지 또는 외지인 출입농지의 임의 신청
ㄹ. 번지 없는 농지로 허위신청 등에 의한 것이며 이러한 오류의 대부분이 상술하는 바와 같이, 기초데이터인 원시데이터의 오류와 구전 또는 메모 등에 의한 주먹구구 식의 신청에 기인하는 바가 매우 크다.
제한된 인원으로 수행되는 상기하는 다양한 농정보조사업에 있어서 문서수작업에 의한 오류의 수정 및 필터링은 현실적으로 대단히 어려워 인건비의 낭비와 불요한 정부 예산의 낭비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농정보조사업을 효율적이고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산화된 시스템이 소망되어 왔고 본 발명의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은 그러한 농정보조사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구성과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은,
행정청의 메인서버, 상기 메인서버에는;
행정청인 관리자와 함께 실제 사용자가 되는 영농인인 다수의 시군구사용자 및 읍면동 사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고,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고 백업 및 서버하는 데이터서버, 상기 인터넷으로 연결된 토지대장데이터베이스, 농지원부, 농지전용, 농지취득자료를 가지는 새올행정시스템데이터베이스, 및 기타의 각종의 사업추진자료 또는 경운비용 등의 데이터의 기타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 연동하는 상기 메인서버 상에서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을 가지고,
상기 지원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의 지원기본데이터입력단계, 농정보조사업의 사업등록단계, 상기 지원기본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업지원입력단계,상기 농정보조사업의 보조지원자의 결정단계를 포함하고,
만일 상기 결정단계에서 지원대상판정이면 보조금교부 등의 지원사업을 수행단계 이후에 사후관리단계로 진행하고,
만일 상기 결정단계에서 부적격한 지원대상으로 판단되면 이를 별도 데이터입력관리하여 추후 부정수급 등의 기본자료로 하고 비지원대상통지단계로서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 의하여 토지원부 상의 정확한 경작필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이장 등의 중간보조사업자가 아닌 각종 농자재를 실수령하는 농업인의 사업 신청에서부터 사후관리까지 다룰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기존에도 이러한 시스템 중에 일부의 민간보조사업 프로그램은 농정보조사업의 보조결정에서부터 사후관리까지의 관리기능은 가지고 있으나, 농자재 지원사업 등의 경작필지 별 신청 취합은 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유기질비료 지원사업 등 다양한 농정보조사업들이 아직도 상술한 쪽지, 전화, 이장의 노트에 기재하여온 상태로 접수되고 있는 전근대적인 실정을 개선하여 정확한 데이터에 기초한 신청데이터의 수합과 관리가 가능하게 하는 유용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은,
경작농지를 기초로 하는 농가별 사업신청서 등 각종사업신청서 전수 출력이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출력물을 창봉투를 활용한 사업홍보물로서 제작하여 배포가 가능하게 하며, 보조금 집행통지서를 자동작성 및 출력 가능하게 하고, 보조금 교부집행관련 서식 5종 (교부신청서, 완료확인서, 청구서, 정산서 등)을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출력 및 교부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종래 오프라인에 기초한 자료의 수합과 수합자료의 오류를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의 효과는 농정보조 사업신청서를 전 농가를 대상으로 출력하여 배포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메모 등에 의한 부정확한 데이터의 전달과 전달오류를 근원적으로 방지하고, 그에 따라서 사업신청 누락농가의 발생을 일소할 수 있고, 신뢰가능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 구축된 정확한 필지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작성된 신청서에 의해 신청되고 농가의 영농인은 확인하고 오류부분만 수정하면 신청절차가 완료되므로 민원인의 편의성이 대폭 제고된다.
나아가 오류로 신청되는 경작필지를 감소시켜 불필요한 대상 정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행정소요 처리기간을 단축시키며 농정보조사업의 조기추진 및 완료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 중요한 효과는 신청서의 접수와 동시에 군청과 읍면의 접수정보를 공유 할 수 있게 하여 예상되는 농정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고 사전에 그러한 문제의 발생을 조치할 수 있으며 정확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요예산을 확보함으로써 지원사업의 추진이 원활하여 진다.
행정적인 면에서 보면, 농정보조사업의 신청단계에서부터 수행대상자의 선정, 보조의 결정, 사업의 완료 확인, 정산, 후관리까지의 모든 관리를 일원화 (1991년도 사업부터 입력관리)할 수 있어 농정보조사업의 추진 기본틀의 구축 및 행정 담당자별 데이터의 공유와 그에 따른 효율적 업무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농업인의 사업신청사항을 행정 담당자별로 공유하게 하여 대상자 선정심사에 적극 활용하게 하고, 기 지원받은 실적을 사후관리항목으로 관리함으로써중복지원 등을 사전에 배제할 수 있고, 신규 사업신청 농가와 기지원농가의 형평성 부여함으로써 고른 농정혜택과 추후의 민원의 발생 소지를 근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이 추구하는 바의 작용효과의 하나로서의 유기질비료 지원사업신청서(1) 및 맞춤형 비료지원신청서(2)의 지원시스템에서의 출력서식물의 예.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의 전체 항목구성메뉴를 설명하는 도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농정보조 지원을 위한 일반흐름도로서의 프로그램 구현의 항목뎁스에 따른 단계적인 캡쳐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메인메뉴 및 농가관리메뉴항목을 도시하는 프로그램구현의 캡쳐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개인별 경작지관리항목구성을 도시하는 프로그램구현의 캡쳐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농정보조 사업등록을 위한 항목의 프로그램구현의 항목뎁스에 따른 단계적인 캡쳐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농정보조 지원을 위한 지원시스템에서의 예시적인 사업으로서의 농필지기준의 농자재 지원의 경우의 일반흐름도로서의 프로그램 구현의 항목뎁스에 따른 단계적인 캡쳐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농정보조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구현에서의 각종 서식출력기능의 탑재 및 그 사용을 도시하는 각 서식의 화면상에서의 캡쳐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농정보조 지원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지원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과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이 추구하는 바의 작용효과의 하나로서의 유기질비료 지원사업신청서(1) 및 맞춤형 비료지원신청서(2)의 지원시스템에서의 출력서식물의 예,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의 전체 항목구성메뉴를 설명하는 도표, 도 4는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농정보조 지원을 위한 일반흐름도로서의 프로그램 구현의 항목뎁스에 따른 단계적인 캡쳐도, 도 5는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메인메뉴 및 농가관리메뉴항목을 도시하는 프로그램구현의 캡쳐도, 도 6은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개인별 경작지관리항목구성을 도시하는 프로그램구현의 캡쳐도, 도 7은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농정보조 사업등록을 위한 항목의 프로그램구현의 항목뎁스에 따른 단계적인 캡쳐도, 도 8은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농정보조 지원을 위한 지원시스템에서의 예시적인 사업으로서의 농필지기준의 농자재 지원의 경우의 일반흐름도로서의 프로그램 구현의 항목뎁스에 따른 단계적인 캡쳐도, 도 9는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농정보조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구현에서의 각종 서식출력기능의 탑재 및 그 사용을 도시하는 각 서식의 화면 상에서의 캡쳐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에서의 농정보조 지원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지원방법의 흐름도로서 순차적으로 또한 상호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은 통상적인 다른 많은 비지니스모델과 같이 인터넷을 공용선으로 하고 그에 기반하여 구현되는 농정의 사업모델이 된다.
통상적인 구성과 같이 전제 시스템은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ATS)이 장착되는 메인서버(M)를 가지고. 이 메인서버(M)의 운영체제상에서 구현되는 프로그램으로서의 본 발명의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ATS)이 구현된다.
메인서버(M)에는 행정청인 관리자(A)와 함께 실제 사용자가 되는 영농인인 다수의 시군구사용자 및 읍면동 사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u1,u2,u3..)가 인터넷(I)을 통하여 통신하고 데이터 전송 및 수신에 따른 논리적인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지원시스템(ATS)은 열린 행정차원에서 일부 데이터는 사용자(u1,u2,u3..)에 의하여 열람 및 조회가 가능함을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2에서의 사용자(u1,u2,u3..)에 대하여 폐쇄적인 데이터열람을 수행하고 후술하는 각각의 출력 서식물(F1,F2,F3..) 만을 교부하고 그 내용을 확인 이후에 서명제출하여 농정보조사업의 신청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10에 본 발명의 지원시스템(ATS)의 방법의 흐름이 도시되고 도 3 이하의 지원시스템과 연동되어 사용되고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구성의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ATS)이 도시된다.
각 행정청 단위로, 또는 중앙행정청에 제공되고 각 행정청은 서브단위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메인서버(M)에는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DB)가 저장되고 백업 및 서버하는 데이터서버(DM)가 연결되고,
본 지원시스템(ATS)의 기본적인 데이터는 인터넷(I)으로 연결된 토지대장데이터베이스(LD), 농지원부, 농지전용, 농지취득자료를 가지는 새올행정시스템데이터베이스(SD), 및 기타의 각종의 사업추진자료 또는 경운비용 등의 데이터의 기타데이터베이스(ED,CD)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원시스템(ATS)에서는 행정지역에서의 관리자(A)에 의한 지원기본데이터입력(S1)이 이루어짐으로서 지원시스템(ATS)의 기반 데이터를 구축한다.
이러한 구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시행하고자 하는 농정보조사업의 사업등록(S2)을 수행하고, 입수된 사업지원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업지원입력(S3)으로서 필터링 및 농정보조사업의 보조지원자를 결정(S4)를 결정하여 만일 지원대상판정(Y)이면 보조금교부 등의 지원사업을 수행(S5) 이후에 사후관리(S6)로 진행하고, 만일 부적격한 지원대상(N)으로 판단되면 이를 별도 데이터입력관리(SN1)하여 추후 부정수급 등의 기본자료로 하고 비지원대상통지(SN32)를 하여 종료한다.
도 3 이하의 본 발명의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 특히 프로그램으로서의 지원시스템(ATS))을 상세히 설명한다.
지원시스템(ATS)으로서의 프로그램은 관리대상과 규모, 하이아라키에 따라서 대분류(A) , 중분류(B), 및 세부작업내용인 소분류(C)로 분류되어 설정하도록 구현된다.
대분류(A) 항목으로서는 도 3의 항목메뉴 도표 및 지원시스템(ATS)의 항목주메뉴(M)와 같다.
관리(a), 등록(b), 확정(c), 완료(d), 집행 및 정산(e), 서식출력(f), 사후관리(g), 관리자(h), 도구(i) 항목들이 규정된다.
나아가 이들의 각 항목의 서브항목으로서의 중분류(B), 및 세부작업내용인 소분류(C)를 구체적으로 보면 하기와 같다.
관리(a) 항목으로서는 농가관리(a1)와 사업관리(a2)가 있으며, 구체적인 농가관리(a1)항목으로서는 농가현황 / 농가조회 및 관리, 농가이관 / 농자정보 이전 및 관리, 경작현황 / 토지별 경작정보 조회 및 관리항목이 있고,
사업관리(a2)로서는 사업현황 / 사업등록 및 수정 , 품목현황 / 품목등록 및 수정이 정의되고
사용자 관리기능의 더욱 상세한 세부 항목은, 사업자(농가 및 생산자단체) 관리, 보조사업 담당공무원을 선택하여 가입승인 절차 반영, 사용자별 권한별 비주얼 적용, 사업신청 관리기능, 예산반영된 보조사업의 등록 및 신청접수 상태 확인 기능, 확정된 보조사업을 읍면 담당자가 추진상황 처리 기능, 보조사업자의 인적사항 및 연락처 등 확인 기능, 보조사업별 보조사업 개요, 사업량 등 상세 정보 확인 및 인쇄 기능, 보조사업별보조사업자별지역별 신청액량건 합계 자동분할 기능, 보조금 신청시 금융기관 선택으로 입금계좌 등록 기능이 있어야 한다.
또한, 사업관리 기능의 더욱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항목은, 실질적인 보조사업을 처리할 사용자 선정 기능, 보조사업에 대한 집행기준 설정 기능, 제출자료(교부신청서 등) 출력 기능, 사업별 보조금 지급의뢰서 출력 가능(은행제출용)
- 현재까지 처리된 모든 보조사업의 목록 조회,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보조금 신청서류를 제출하면, 현재 신청 처리된 보조사업 목록 조회 기능, 해당 보조사업별 담당공무원이 보조사업에 대한 서류 및 정보 확인 기능, 보조사업에 대한 보조금이 확정되면 확정교부통지서, 완료되면 사업완료확인서와 청구서, 보조금교부되면 정산서 발급 기능, 보조사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 완료 후 사후관리를 위한 상세사업내역 등록 기능, 엑셀 파일로 사업내역 일괄 등록 기능, 내려받기를 통한 각종 보고서 레포팅 기능이 관리자(A)의 편의 및 관리기능의 향상을 위하여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지대장데이터베이스(LD), 농지원부, 농지전용, 농지취득자료를 가지는 새올행정시스템데이터베이스(SD), 및 기타의 각종의 사업추진자료 또는 경운비용 등의 데이터의 기타데이터베이스(ED,CD)에서 데이터연동되어 기본적인 데이터로 사용되고 관리자(A)의 입력사항에 의하여 각 수행하는 관청에서 구성된다.
항목주메뉴(M)의 등록(b) 항목으로는 홍보(b1)의 홍보물제작 및 출력, 접수(b2)의 조정 및 비조정 사업 접수가,
항목주메뉴(M)의 접수현황(b3)으로서는 조정 및 비조정 사업 접수현황 조회가 규정되어 기본적인 관리항목으로 사용한다.
또한, 확정(c)항목으로서는 조정 및 확정(c1)의 신청사업의 대상자 확정이,
완료(d)항목으로서는 완료 및 청구(d1)의 사업완료사항 입력 및 조회, 완료현황(d2)의 신청완료사항 조회, 집행 및 정산(e)항목으로서는 집행현황(e1)의 사업비 집행사항 등록 및 지급자료 출력 ,정산현황(e2)의 사업비 정산내역 등록 및 확인, 서식출력(f)항목으로서는 사업신청서(f1)의 필지대상 사업신청 외 각종신청서 출력, 교부신청서(f2)의 보조금관리에 관한 법률 관련 서식 출력, 집행통지서(f3)의 보조금 집행통지서 출력 및 발송이 정의된다.
또한, 사후관리(g) 항목으로서 사후관리현황(g1)의 사후관리 직권등록 및 조회가, 관리자(h)항목으로서는 공지사항관리(h1)의 공지사항 등록 / 업데이트 자료 공유, 사용자관리(h2)의 프로그램 사용자 등록, 코드관리(h3)의 프로그램 운영관련 각종 코드 생성 및 관리가 정의되고,
기타 도구(i)항목으로서 환경설정/프로그램정보(i1)가 정의된다.
상기하는 항목주메뉴(M)의 구성으로서 구현되는 지원시스템(ATS)의 흐름이 도 4에 캡쳐도(100)로서 도시된다.
지원시스템(ATS)의 접수항목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업대상자를 확정(110)하여 지원시스템(ATS)에서 사업완료등록(120)을 사업완료세부내역등록(130)을 거쳐 수행하고, 추후 보조금 집행일을 등록(140)하고 보조금집행통지서출력(150)의 수행 이후, 정산하여 정산내역을 등록(160) 이후 사호관리항목진입(170)하여 사후관리한 내역을 등록(180)하게 된다.
도 5의 농가관리에서와 같이, 지원시스템(ATS)에 로그인(2)하여 경작농지등록관리(3)를 수행하고 농가주의등록관리(4) 로서 영농인관리화면(5)이 완성된다.
도 6 에 이렇게 형성된 농가현황표가 테이블(M1)로서 도시된다.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ATS)에 접속(1)하여 메인화면(2) 상에서 시행할 사업세부내역등록(3)으로서 시행할 사업을 등록한다. 등록입력후 사업등록내역확인(4) 후에 세부품목별등록(5)을 수행함으로써 사업의 등록이 완성된다.
도 8의 예시적인 지원시스템(ATS)을 이용하는 농정보조사업으로서 필지기준한 농자재지원사업(200)의 화면이 도시된다.
도 1에 본 발명에 의한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이 추구하는 바의 작용효과의 하나로서의 유기질비료 지원사업신청서(1) 및 맞춤형 비료지원신청서(2)의 지원시스템사업신청서가 도시되고, 도 9에는 예시적인 보조금교부신청서(F2)가 도시되는 바, 이와 같은 형태로 출력하여 배포 후, 자료를 취합하여 영농인의 간단한 확인 이후, 사업신청내역등록(220)을 하고, 사업신청내역취합(230)이후 이를 바탕으로 전체 사업신청내역집계(240)를 수행한다.
따라서 신청내역은 영농인이 간단하게 내용의 인지와 이의 확인서명 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은 수기메모, 전화전언 등에 의한 데이터의 오류가 근원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사업 시행 이후에는 도 9와 같이, 본 지원시스템(ATS)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성되는 서식들의 예로서 사업홍보물(F1), 보조금집행, 교부관련서식(F2),보조금집행통지서(F3) 등이 기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서식텍스트와 결합되어 자동으로 생성되고 이를 출력하여 사용하면 된다.
I: 인터넷
M: 메인서버
ATS: 지원시스템

Claims (2)

  1. 행정청의 메인서버(M), 상기 메인서버(M)에는;
    행정청인 관리자(A)와 함께 실제 사용자가 되는 영농인인 다수의 시군구사용자 및 읍면동 사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u1,u2,u3..)가 인터넷(I)을 통하여 통신하고,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DB)가 저장되고 백업 및 서버하는 데이터서버(DM),
    인터넷(I)으로 연결된 토지대장데이터베이스(LD), 농지원부, 농지전용, 농지취득자료를 가지는 새올행정시스템데이터베이스(SD), 및 기타의 각종의 사업추진자료 또는 경운비용 등의 데이터의 기타데이터베이스(ED,CD)가 데이터 연동하는 상기 메인서버(M) 상에서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ATS)을 가지고,
    상기 지원시스템(ATS)은 상기 토지대장데이터베이스(LD), 상기 새올행정시스템데이터베이스(SD), 상기 기타데이터베이스(ED,CD)로의 지원기본데이터입력처리단계(S1), 농정보조사업의 사업등록처리단계(S2), 상기 지원기본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업지원입력처리단계(S3),상기 농정보조사업의 보조지원자의 결정처리단계(S4)를 수행하고,
    만일 상기 결정처리단계(S4)에서 지원대상판정(Y)이면 보조금교부 등의 지원사업을 수행처리단계(S5) 이후에 사후관리처리단계(S6)로 진행하고,
    만일 상기 결정처리단계(S4)에서 부적격한 지원대상(N)으로 판단되면 이를 별도 데이터입력관리(SN1)하여 추후 부정수급 등의 기본자료로 하고 비지원대상통지처리단계(SN32)로서 종료하는 처리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정보조사업의 지원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시스템(ATS)은 대분류(A) 항목으로서 관리(a), 등록(b), 확정(c), 완료(d), 집행 및 정산(e), 서식출력(f), 사후관리(g), 관리자(h), 도구(i) 항목과,
    중분류(B), 및 세부작업내용인 소분류(C) 항목으로서,
    관리(a) 항목으로서는 농가관리(a1)와 사업관리(a2)가 있으며, 구체적인 농가관리(a1)항목으로서는 농가현황 / 농가조회 및 관리, 농가이관 / 농자정보 이전 및 관리, 경작현황 / 토지별 경작정보 조회 및 관리항목,
    사업관리(a2)로서는 사업현황 / 사업등록 및 수정 , 품목현황 / 품목등록 및 수정,
    등록(b) 항목으로는 홍보(b1)의 홍보물제작 및 출력, 접수(b2)의 조정 및 비조정 사업 접수가, 항목주메뉴(M)의 접수현황(b3)으로서는 조정 및 비조정 사업 접수현황 조회가 규정되어 기본적인 관리항목,
    확정(c)항목으로서는 조정 및 확정(c1)의 신청사업의 대상자 확정,
    완료(d)항목으로서는 완료 및 청구(d1)의 사업완료사항 입력 및 조회, 완료현황(d2)의 신청완료사항 조회, 집행,
    정산(e)항목으로서는 집행현황(e1)의 사업비 집행사항 등록 및 지급자료 출력 ,정산현황(e2)의 사업비 정산내역 등록 및 확인,
    서식출력(f)항목으로서는 사업신청서(f1)의 필지대상 사업신청 외 각종신청서 출력, 교부신청서(f2)의 보조금관리에 관한 법률 관련 서식 출력, 집행통지서(f3)의 보조금 집행통지서 출력 및 발송,
    사후관리(g) 항목으로서 사후관리현황(g1)의 사후관리 직권등록 및 조회,
    관리자(h)항목으로서 공지사항관리(h1)의 공지사항 등록 / 업데이트 자료 공유,
    사용자관리(h2)의 프로그램 사용자 등록, 코드관리(h3)의 프로그램 운영관련 각종 코드 생성 및 관리,
    기타 도구(i)항목으로서 환경설정/프로그램정보(i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정보조사업의 지원시스템.
KR20130097468A 2013-08-16 2013-08-16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 KR101494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468A KR101494971B1 (ko) 2013-08-16 2013-08-16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468A KR101494971B1 (ko) 2013-08-16 2013-08-16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971B1 true KR101494971B1 (ko) 2015-03-02

Family

ID=5302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7468A KR101494971B1 (ko) 2013-08-16 2013-08-16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9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623B1 (ko) * 2017-05-29 2018-06-25 지역농업네트워크 협동조합 지역 농업 통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200055200A (ko) 2018-11-12 2020-05-21 (주)휴메인시스템 농수축산을 업으로 하는 업인의 자동분류 방법
KR102184289B1 (ko) 2020-03-03 2020-11-30 강원도 횡성군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적 시스템 및 농가 상담 지원 방법
KR20210029893A (ko) 2019-09-06 2021-03-17 주식회사 에피넷 영농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KR102408373B1 (ko) * 2021-04-12 2022-06-14 주식회사 이노드 농지 정보의 자동화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7353A (ja) * 2009-04-28 2010-11-11 Hyogo Prefecture 農業経営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農業経営支援システム
KR20130006282A (ko) * 2012-05-11 2013-01-16 (주)휴메인시스템 농가 정보 통합 관리 서버 및 방법
KR20130006283A (ko) * 2012-05-11 2013-01-16 (주)휴메인시스템 보조금 사업 통합 관리 서버 및 방법
KR20130006281A (ko) * 2012-05-11 2013-01-16 (주)휴메인시스템 보조금 지급 제어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7353A (ja) * 2009-04-28 2010-11-11 Hyogo Prefecture 農業経営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農業経営支援システム
KR20130006282A (ko) * 2012-05-11 2013-01-16 (주)휴메인시스템 농가 정보 통합 관리 서버 및 방법
KR20130006283A (ko) * 2012-05-11 2013-01-16 (주)휴메인시스템 보조금 사업 통합 관리 서버 및 방법
KR20130006281A (ko) * 2012-05-11 2013-01-16 (주)휴메인시스템 보조금 지급 제어 방법 및 서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623B1 (ko) * 2017-05-29 2018-06-25 지역농업네트워크 협동조합 지역 농업 통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200055200A (ko) 2018-11-12 2020-05-21 (주)휴메인시스템 농수축산을 업으로 하는 업인의 자동분류 방법
KR20210029893A (ko) 2019-09-06 2021-03-17 주식회사 에피넷 영농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KR102184289B1 (ko) 2020-03-03 2020-11-30 강원도 횡성군 농업 현장 상담 데이터 축적 시스템 및 농가 상담 지원 방법
KR102408373B1 (ko) * 2021-04-12 2022-06-14 주식회사 이노드 농지 정보의 자동화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sueh China's national income, 1952-1995
Bindlish et al.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T & V Extension in Kenya
KR101494971B1 (ko) 농정보조사업 지원시스템
CN106169152A (zh) 一种增值税的自动核算方法及系统
Bandaragoda et al. Institutional factors affecting irrigation performance in Pakistan: Research and policy priorities
Ali Developing a Framework to Apply Total Quality Management Concepts to Land Administration
Humphrey Food-for-work in Ethiopia: Challenging the scope of project evaluations
Rasskazova et al. Information support of the agricultural land use management system based on cadastral data
Daftary Development in an era of economic reform in India
United States. Bureau of the Census Geographic areas reference manual
Cedamon et al. Compiling market and other financial data on smallholder forestry in Leyte, the Philippines
Haq et al. The Implementation of Simple Additive Weighting Method for Designing A Web-Based Waste Management Saving Transaction System
Wescott E-government: enabling Asia-Pacific governments and citizens to do public business differently
Tran Institutional analysis of the contemporary land consolidation in the Red River Delta: A village-level study of Dong Long Commune in Tien Hai District, Thai Binh Province, Vietnam
Rafi Implementation of the Bazna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t the National Board of Zakat in Bekasi City
Liu et al. Estimation Method of the Consolidation Potential of Rural Residential Land considering Farmers’ Willingness
Thohari Requirement engineering for open government information network development to support digital startup in Cimahi city Indonesia
Ten Have et al. Taxes: Residential property valuation for local tax purposes in the Netherlands
Team Analysis of the Challenges of and Proposals for Strengthening the Country’s Land Acquisition System Bangladesh Land Acquisition Diagnostic Review: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Sari The workflow of maintenance of cadastral data as based on land administration domain model (LADM): A case study in Indonesia
Azad DIGITIZATION OF LAND MANAGEMENT SYSTEM–BANGLADESH PERSPECTIVE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orestry Department. Policy et al.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participatory forestry projects
Lisjak et al. Croatian LADM Profile Extension for State-Owned Agricultural Land Management. Land 2021, 10, 222
Pika et al. APBD Implementation and Preparation Through Local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 at BPKAD Bali Province
Warshawsky State, civil society, and food insecurity in post-apartheid Johannesbur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